KR101622387B1 - 멜라토닌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멜라토닌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387B1
KR101622387B1 KR1020160008203A KR20160008203A KR101622387B1 KR 101622387 B1 KR101622387 B1 KR 101622387B1 KR 1020160008203 A KR1020160008203 A KR 1020160008203A KR 20160008203 A KR20160008203 A KR 20160008203A KR 101622387 B1 KR101622387 B1 KR 101622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elatonin
weight
hair growth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풍석
이동일
전예지
유영근
Original Assignee
현대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약품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61K8/49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having condensed rings, e.g. indol
    • A23L1/3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4Amides, e.g. hydroxamic acids of a carboxylic acid with an aminoalcohol, e.g. cer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45Indole-alkylamines; Amides thereof, e.g. serotonin, melaton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81,3-Diazoles condensed with o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e.g. biotin, sorbin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55Nicotinic acids, e.g. niacin;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65Nicotin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라토닌,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리 활성성분인 멜라토닌의광안정성을 개선하면서 제제를 안정화시키고 두피 염증을 유의하게 억제함으로써, 발모 또는 양모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광안정성, 보존성, 투약 편의성 및 치료효과가 동시에 증대된 효율적인 발모, 양모 촉진제 또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멜라토닌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Melatonin with Improved Stability}
본 발명은 안정성, 투약 순응도 및 치료효과가 비약적으로 개선된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탈모주기는 크게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및 휴지기 (telogen)로 구분된다. 성장기는 모유도의 활동이 활발하면서 세포분열이 왕성하게 일어나 모발이 빠른 속도로 자라는 시기이다. 성장기의 수명은 털의 종류마다 다르지만 머리카락의 경우, 3-6년 정도이다. 성장기 모발은 전체모발의 80-90%를 차지하며, 탈모가 진행되고 있는 사람은 성장기가 짧아지고 휴지기가 긴 모발주기를 가지게 되어 전체모발에서 성장기모발의 비중이 감소하게 된다. 퇴행기는 모발의 성장기가 끝나고 모발 생성이 점차 느려져 결국 세포분열 및 성장이 멈추는 시기로 퇴행기의 수명은 1-1.5개월 정도이며 전체 모발의 1% 정도가 이 단계에 속한다. 휴지기는 성장의 마지막 단계로서 모낭과 모유두가 완전히 분리되어 모낭은 위축되고 모근은 더욱 위쪽으로 올라가 머리카락이 빠지는 단계이다. 휴지기는 3-4개월간 지속되고 전체모발의 4-14%가 이 단계에 해당된다. 휴지기가 끝나고 다시 모유두의 활동이 활발해지면, 새로운 모발의 모유두가 만들어지면서 휴지기에 있던 모발은 밀려나서 완전히 두피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탈모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트레스가 크게 관여한다는 보고도 있고, 최근에는 신장 기능의 장애가 탈모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주장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한 탈모증의 원인이나 발생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은 부분이 많다.
현재 탈모치료를 위한 제제는 크게 의약품과 의약외품, 그리고 화장품으로 분류된다.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 구입이 가능한 전문의약품에는 미국 Merck사에서 개발 판매하고 있는'프로페시아'가 있으며, 이의 주성분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1997년 12월 미국 FDA로부터 탈모치료제 승인을 받았다. 피나스테라이드는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전환하는 5α-리덕테이즈 효소를 억제하는 약제로서 연모를 굵고 긴 모발로 성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단기적으로 탈모개선에 효과가 있으나 발기부전, 성기능 감퇴, 남성의 유방비대 등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안전성과 유효성이 인정되어 의사의 처방 없이도 구입이 가능한 약품으로 미녹시딜(Minoxidil)이 있으며, 1997년 12월 미국 FDA로부터 최초의 바르는 탈모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이 약품은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칼륨 채널을 개방시킴으로써 모발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가려움, 발진 등 국소반응이 올 수 있으며, 빈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멜라토닌은 뇌의 송과선에서 생성,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트립토판(tryptophan)이세로토닌(serotonin)을 거쳐 만들어진다. 멜라토닌은 내분비 조절제로서 모발 성장, 착색 또는 탈피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모발주기 조절이 가능하고, DNA 회복 유도체로서 모발의 성장을 촉진한다. 이에 멜라토닌은 기존 탈모치료제의 다양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에도, 광안정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용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외용제 형태로의 제품화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멜라토닌을 약리성분으로 포함하면서도 보관 안정성이 개선되고 복용 편의성이 우수하면서 약물전달 효율 및 약물지속성이 최적화된 약제학적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탈모 치료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보관 안정성 및 투여 편의성이 우수한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멜라토닌,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일정 함량으로 포함시킬 경우 약리성분인 멜라토닌의광안정성이 개선되고 제제 성상 투명도가 향상되며, 약물흡수, 특히 경피투과흡수가 극대화될 뿐 아니라, 장기간 보관시에도 자외선에 의한 화학적, 물리적 변화가 최소화되어 제제의 안정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멜라토닌,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탈모 치료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보관 안정성 및 투여 편의성이 우수한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멜라토닌,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일정 함량으로 포함시킬 경우 약리성분인 멜라토닌의광안정성이 개선되고 제제 성상 투명도가 향상되며, 약물흡수 개선뿐만 아니라, 장기간 보관시에도 자외선에 의한 화학적, 물리적 변화가 최소화되어 제제의 안정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멜라토닌,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일정 함량으로 포함시킬 경우 항산화 효과가 극대화 되어 염증 유발을 예방하고 항염증 효과를 보여 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육모 촉진", "양모 촉진" 및 "발모 촉진"은 모발의 생성 및 성장을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전체 모발에서 성장기 모발의 비중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성장기 모발의 비중이 감소함으로써 유발되는 탈모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므로,"탈모 개선", "탈모 예방" 및 "탈모 치료"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멜라토닌(melatonin) 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량에 대해 0.001-1.0 중량%로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005-0.5 중량%로 포함되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01-0.3 중량%로 포함되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0.05-0.2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덱스판테놀(dexpanthenol)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량에 대해 0.01-0.5 중량%로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02-0.4 중량%로 포함되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05-0.3 중량%로 포함되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0.1-0.2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비오틴(biotin)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량에 대해 0.001-0.05 중량%로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002-0.04 중량%로 포함되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005-0.03 중량%로 포함되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0.01-0.02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니코틴산아미드(nicotinamide)는 본 발명의 조성물 총량에 대해 0.006-0.3 중량%로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2-0.24 중량%로 포함되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03-0.18 중량%로 포함되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0.06-0.12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광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광안정화제(light stabilizer)"는 제제가 가공, 보관 및 유통 과정에서 태양광에 노출됨으로써 유효성분이 열화, 분해, 산화 또는 변색되어 본래의 효능과 성상에 변화가 오는 것을 차단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광안정화는 라디칼의 포착, 하이드로퍼옥사이드의 분해, 중금속의 포착, 홑겹항산소의 소광에 의한 안정화를 모두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시광선 및 자외선에의 노출에 의한 가능한 물리 화학적 변화를 차단 또는 완화시키는 일체의 기작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광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힌더드 아민 광안정화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HALS), 힌더드페놀성광안정화제(Hindered Phenol Light Stabilizer), Al-Mg(알루미늄-마그네슘)계의 안정제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광안정화제는 벤조페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벤조페논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량에 대해 0.008-0.5 중량%로 포함되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04-0.3 중량%로 포함되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0.08-0.2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제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제제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파라히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parahydroxybenzoic acid ester) 유도체, 피롤리디논(pyrrolidinone) 유도체, 알코올, 페놀 유도체, 티메로살(thimerosal), 아세트산 무수물, 소디움카르복실레이트, 라우릴설페이트(lauryl sulfate), 설파이드 화합물, 아황산염(sulfite), 아스코르빈산, 레티놀(retinol), 토코페롤(tocopherol), 부틸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 hydroxyl anisole)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제제 안정화제는 메틸-2-피롤리디논(methyl-2-pyrrolidinone)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틸-2-피롤리디논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량에 대해 0.05-2.0 중량 %로 포함되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1-1.5 중량 %로 포함되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0.5-1.0 중량 %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유효성분 외에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 피하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육모 촉진, 양모 촉진 또는 발모 촉진을 위해 적용되는 점을 감안하면, 투여는 두피에 국소적으로 도포하거나 경피 투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유화액 또는 토너, 로션, 크림 및 샴푸 등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피부외용 조성물이다. 상기 피부 외용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파우더, 젤, 연고, 크림, 액체 또는 에어로졸 제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피부외용제형의 겔 기재로는 카르보머(Carbomer),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methylcellulos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젤라틴(Gelatine), 알지네이트염(Alginate Salt), 키틴(Chitin) 또는 키토산(Chitosan) 유도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콜라겐(collagen)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두피에 국소적으로 도포하는 형태의 피부외용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동물의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을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대상(subject)은 인간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은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로션,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과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및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멜라토닌 0.001-1.0 중량%, 덱스판테놀 0.01-0.5 중량%, 비오틴 0.001-0.05 중량% 및 니코틴산아미드 0.006-0.3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본 일 양태는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다른 일 양태에서 유효 성분의 함량을 명확히 한정한 것으로서, 상기 다른 일 양태에 대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모든 내용을 원용하며, 중복되는 내용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 기재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멜라토닌,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탈모 예방"은 성장기 모발의 비중을 증가시킴으로서, 성장기 모발의 비중이 감소됨으로써 유발되는 탈모를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고, 본 명세서에서 용어 "탈모 치료"는 상술한 성장기 모발의 비중의 증가에 따라, 탈모의 진행을 늦추거나, 탈모 증상을 억제하고, 궁극적으로 모발의 탈락된 상태의 두피 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인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을 원용하며, 중복되는 내용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 기재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멜라토닌 0.001-1.0 중량%, 덱스판테놀 0.01-0.5 중량%, 비오틴 0.001-0.05 중량% 및 니코틴산아미드 0.006-0.3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본 일 양태는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다른 일 양태에서 유효 성분의 함량을 명확히 한정한 것으로서, 상기 다른 일 양태에 대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모든 내용을 원용하며, 중복되는 내용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 기재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멜라토닌,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리 활성성분인 멜라토닌의광안정성을 개선하면서 제제를 안정화시키고 두피 염증을 유의하게 억제함으로써, 발모 또는 양모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c) 본 발명의 조성물은광안정성, 보존성, 투약 편의성 및 치료효과가 동시에 증대된 효율적인 발모, 양모 촉진제 또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유도 탈모증(alopecia) C57BL/6 마우스 모델에서 시험물질 처리 후 9일째의 발모효력평가(AREA OF HAIR RESTORATION) 결과를 나타낸다. 도 1의 화살표 처리한 부분은 도포 부위를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후, ImageJ 소프트웨어 (NIH, Bethesda, MD)를 이용하여 분석한 범위를 표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제제의 제조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4종의 복합성분인 멜라토닌,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가 포함된 9가지 제제를 제작하였으며, 상기 제제의 구체적인 성분은 하기의 표 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제제의 조성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비교예1
멜라토닌 0.1 0.1 0.1 0.1 0.1 0.1 0.1 0.1 0.1 0.01 0.2 -
덱스판테놀 - 0.1 - - 0.1 0.1 0.1 0.1 0.1 0.1 0.1 0.1
비오틴 - - 0.01 -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니코틴산아미드 - - -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0.06
N-메틸-2-피릴리디논 - - - - - 0.5 1 0.5 0.5 0.5 0.5 -
벤조페논 - - - - - - - 0.04 0.08 0.08 0.08 -
폴리옥실40경화 피마자유(Polyoxyl 40 Hydrogenated Castor Oil)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글리세린(Glycerin) 3 3 3 3 3 3 3 3 3 3 3 3
l-멘톨(l-Menthol)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dl-캄파(dl-Camphor)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에데트산나트륨수화물(Disodium Edetate Hydrate)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파라옥시벤조산메틸(Methylparaben)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Propylparaben)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향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에탄올(Ethanol)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정제수 60.42 60.32 60.41 60.36 60.25 59.75 59.25 59.71 59.67 59.76 59.57 60.35
각 제제의 제조 방법
공정명 작업명
수상조제1 정제수, N-메틸-2-피롤리돈, 글리세린, 벤조페논, 덱스판테놀, 비오틴을 넣고 가온 용해한다.
수상조제2 수상조제1에 니코틴산아미드, 에데트산나트륨수화물을 투입하여 용해한 뒤 실온으로 냉각한다.
유상조제1 에탄올, 폴리옥실40경화피마자유를 넣고 가온 용해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유상조제2 유상조제1에 l-멘톨, dl-캄파, 멜라토닌,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착향제를 투입하여 교반 용해한다.
혼합 수상조제2에 준비된 유상조제2를 투입하여 교반한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5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효과 및 성상에 적합한 제제 확립을 위한 기본 제제 처방 확립을 위한 것이며,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은 안정성 확보 및 경피흡수율 증가를 위한 조성의 적용이며, 실시예 8 및 실시예 9는 자외선에 의한 화학적, 물리적 변화로부터 제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성의 적용이다.
실험예 1: 항산화 효과(DPPH)의 측정
자유 라디칼은노화(예컨대, 탈모, 피부노화)의 원인물질로 간주되고 있는데, 광안정화제 사용에 따른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을 통하여 항산화효과 정도를 측정하였다.
DPPH 시험군 시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멜라토닌 0.1 중량%, 비오틴 0.01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6 중량% 및 덱스판테놀 0.1 중량%를 에탄올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0분간 교반하였다. 그리고, DPPH(1-diphenyl-2-picrylhydrazyl) 용액을 80 ㎍/㎖ 에탄올로 조제하고 이 용액 1 ㎖에 각 분획을 2 ㎎/㎖ 의 농도가 되도록 에탄올에 용해하였다. 그 다음 DPPH의 색변화를 UV스펙트로포토미터를 사용하여 흡수파장 517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활성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치를 아래 수학식에 넣어 억제 효과를 산출하였다: 실험 결과 멜라토닌, 비오틴, 니코틴산아미드 및 덱스판테놀을 포함하는 경우 항산화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측정되었으며, 덱스판테놀, 비오틴, 니코틴산아미드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멜라토닌, 비오틴, 니코틴산아미드 및 덱스판테놀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항산화 효과가 유의하게 감소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07538543-pat00001
성분명 멜라토닌+비오틴+니코틴산아미드+ 덱스판테놀 비오틴 덱스판테놀 니코틴산아미드
억제효과(%) 84.9 17.0 25.0 0.0
상기 실시예는 Journal of Toxicology and Public Health Vol.23 No.3, 2007.9, 263-269.를 참조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예 2: 제형 조성물의 안정화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효과 및 성상에 적합한 제제확립을 위해 유효성분인 멜라토닌, 비오틴, 덱스판테놀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고, 그 유효성분의 조성이 멜라토닌의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광안정성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광안정성 챔버를 이용 ICH(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가이드 라인의 Q1b(Stability Testing: Photo stability Testing of New Drug Substances and Products)에 의거하여 VIS 40 klux 조건하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제형 조성물시험군(실시예1-실시예5)의 제조는 표 2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그리고 펌프타입의 투명용기(HDPE)에 시험군인 시료를 각각 50 g씩 충전하였다. 충전이 완료된 시료를 광안정성 챔버 내의 조사방향으로 배치한 다음 시간대별로 2 mL 씩 샘플링하였다. 샘플링이 완료되면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정량분석 하였다. HPLC 분석조건은 검출기로 자외부흡광광도계(파장 225 nm)컬럼은 C18(4.6 mm×50 mm, 1.8 μm) 또는 이와 동등한 칼럼, 이동상은 0.018 mol/L 인산염완충액(pH 3.0): 아세토니트릴(90 : 10) 그리고 유속은 1 mL/min, 주입량은 50 μL, 온도는 25℃, 주입 순서는 표준액(3회), 검액(2회) 순으로 주입하였다. 실험 결과, 제형 조성물의 안정성은 멜라토닌 단독군보다 멜라토닌, 비오틴, 니코틴산아미드 및 덱스판테놀 혼합군이 함량 안정성이 유지되었는 바, 멜라토닌에 대하여 비오틴, 니코틴산아미드 및 덱스판테놀을 혼합하는 것이 함량 안정성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인산염 완충액은 인산이수소칼륨 2.45 g을 물에 녹여 1 L로 한 다음 20% 인산을 넣어 pH 3.0으로 조정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3: 멜라토닌의광안정화 효과 측정
주성분인 멜라토닌은 빛에 취약하여 이에 안정화제 또는 광안정화제를 첨가하는데, 이에 대한 효과를 광안정성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광안정성 챔버를 이용 ICH(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가이드 라인의 Q1b(Stability Testing: Photo stability Testing of New Drug Substances and Products)에 의거하여 VIS 40 klux 조건하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안정화제 시험군 시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멜라토닌 0.1 중량%에 각각의 안정화제(메틸-2-피롤리디논,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부틸 하이드록시아니솔)를 0.1 중량%씩 에탄올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0분간 교반하였다
광안정화제 시험군 시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멜라토닌 0.1 중량%에 각각의 안정화제(벤조페논, 산화아연, 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산화티탄)를 0.1 중량%씩 에탄올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10분간 교반하였다.
그리고 펌프타입의 투명용기(HDPE)에 시험군인 시료를 각각 50 g씩 충전하였다.
충전이 완료된 시료를 광안정성 챔버 내의 조사방향으로 배치한 다음 시간대별로 2 mL씩 샘플링하였다. 샘플링이 완료되면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정량분석 하였다. HPLC 분석조건은 검출기로 자외부 흡광광도계(파장 225 nm)컬럼은 C18(4.6mm×50mm,1.8μm)또는 이와 동등한 칼럼, 이동상은 0.018 mol/L 인산염완충액(pH 3.0):아세토니트릴(90 : 10) 그리고 유속은 1 mL/min, 주입량은 50 μL, 온도는 25℃, 주입순서는 표준액(3회), 검액(2회) 순으로 주입하였다. 실험 결과, 안정화제 활성은 메틸-2-피롤리디논,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부틸 하이드록시아니솔 순으로 측정되었으며, 메틸-2-피롤리디논의 안정화 활성이 가장 우수한 바 안정화제로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2-피롤리디논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광안정화 활성은 벤조페논, 산화아연, 에틸헥산살리실레이트, 산화티탄 순으로 측정되었으며, 벤조페논의 광안정화 활성이 가장 우수한 바, 광안정화제로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벤조페논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는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인산염완충액은 인산이수소칼륨 2.45 g을 물에 녹여 1 L로 한 다음 20% 인산을 넣어 pH 3.0으로 조정하여 제조하였다.
제형 조성물에 따른 안정성 평가 결과
시간(min.)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멜라토닌 멜라토닌+덱스판테놀 멜라토닌+비오틴 멜라토닌+니코틴산아미드 멜라토닌+비오틴+니코틴산아미드+덱스판테놀
0 100.1 100.1 99.7 99.7 100.0
15 99.8 99.7 99.8 99.6 99.9
30 98.4 99.4 99.5 99.0 99.8
45 98.7 99.2 99.7 99.4 100.0
60 97.9 98.6 99.2 98.6 100.0
75 96.7 98.2 98.0 97.7 99.8
90 95.6 97.7 97.2 96.5 100.3
105 93.9 97.2 96.8 96.0 99.6
120 미검출 93.7 92.4 90.7 99.3
(단위 :멜라토닌 함량(%))
(보관조건: 25℃, 60RH),(광조건: VIS 40 klux),
제제 안정화제스크리닝 실험 결과
시간(h) 멜라토닌 멜라토닌+메틸-2-피롤리디논 멜라토닌+아스코르빈산 멜라토닌+토코페롤 멜라토닌+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0 99.7 100.2 100.5 100.2 100.9
2 미검출 100.7 93.7 94.7 94.9
4 미검출 100.4 92.2 93.6 93.8
6 미검출 99.8 91.5 92.3 92.4
8 미검출 99.6 90.1 90.8 89.7
24 미검출 99.5 85.6 88.1 86.5
(단위 :멜라토닌 함량 (%))
(보관조건: 25℃, 60 RH, 광조건: VIS 40 klux)
광안정화제스크리닝 실험 결과
시간(h) 멜라토닌 멜라토닌+벤조페논 멜라토닌+산화아연 멜라토닌+에틸헥실살리실레이트 멜라토닌+산화티탄
0 99.7 99.9 100.1 101.5 100.0
2 미검출 100.0 99.3 99.2 97.4
4 미검출 99.9 98.3 97.5 95.9
6 미검출 100.1 95.7 93.5 91.9
8 미검출 99.8 91.7 88.5 87.9
24 미검출 99.1 85.3 82.2 78.9
(단위 :멜라토닌 함량 (%))
(보관조건: 25℃, 60RH, 광조건: VIS 40klux)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멜라토닌에 비오틴, 니코틴산아미드 및 덱스판테놀을 모두 추가적으로 포함시키는 경우, 비오틴, 니코틴산아미드 또는 덱스판테놀을 단독으로 추가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함량 안정성을 얻을 수 있었으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틸-2-피롤리디논을 이용하는 경우 함량 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바, 메틸-2-피롤리디논을 적합한 안정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벤조페논을 이용하는 경우 함량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바, 벤조페논을 적합한 광안정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벤조페논을 우수한 광안정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으나, 내분비계를 교란하여 알러지성 질환은 악화 시킬 수 있는 등 종래 알려진 일부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이를 대체하기 위해 비오틴, 니코틴산아미드 및 덱스판테놀 복합군을 멜라토닌에 추가적으로 포함시키거나, 또는 메틸-2-피롤리디논을 이용하거나, 또는 벤조페논의 함량을 줄이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비오틴, 니코틴산아미드 및 덱스판테놀 복합군 및 메틸-2-피롤리디논을 이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멜라토닌의 광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의 복합 성분의 이용만으로도, 멜라토닌의 광안정성은 유의하게 증대되며, 추가적인 안정화제 또는 광안정화제, 예컨대, 메틸-2-피롤리디논, 벤조페논을 추가적으로 포함시켜 더욱 향상된 광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험예4: 덱사메타손 유도 탈모증(alopecia) C57BL/6 모델에서 시험 물질의 발모 효력 평가
덱사메타손에 의해 유도된 탈모증(alopecia) C57BL/6 마우스 모델에서 시험물질의 투여가 발모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동물의과학연구소에 의뢰하여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4-1. 시험계
특정병원균 부재(SPF) C57BL/6 마우스, C57BL/6NCrljOri(오리엔트바이오)는 각종 약효 및 독성시험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풍부한 시험 기초 자료가 축적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시험결과의 해석 및 평가가 용이하기 때문에 본 실험에 이용하기 위한 종 및 계통으로 선택하였다. 5주령의 암컷 100마리를 입수하였으며, 입수 후 7일 간의 검역 및 순화기간을 거쳤고, 암컷 70 마리를 시험에 이용하였다.
동물은 순화기간(청색), 투여 및 관찰기간(붉은색) 동안 미부표식법을 사용하여 식별하였다. 사육상자에는 색으로 구별되는 개체식별카드를 부착하고, 사육실 입구에는 동물실 사용기록지를 부착하였다.
4-2. 사육환경
본 시험은 온도 23±3℃, 상대습도 55±15%, 환기횟수 10∼20 회/hr, 조명시간 12 시간(오전 8 시 점등∼오후 8 시 소등)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한 주식회사 한국동물의과학연구소 설치류 사육구역 2 호실에서 실시하였다.
사육기간 중 동물실의 온도, 습도, 환기횟수 및 조도 등의 환경조건은 주 1 회 측정하였다. 환경측정 결과 시험의 결과에 나쁜 영향을 끼칠만한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사료는 ㈜카길애그리퓨리나에서 생산하는 실험동물용 사료를 드림바이오로부터 공급받아 급이기에 넣고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물은 정수된 물을 폴리카보네이트제 음수병에 넣고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깔개는 나무깔개를 ㈜새론바이오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순화, 투여 및 관찰 기간 동안 설치류용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W 170 x L 235 x H 125 mm) 에서 사육상자 당 5 마리 이하로 사육하였다.
본 시험은 주식회사 한국동물의과학연구소의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인 KAMSI IACUC의 승인을 받아 실시하였다.
4-3.시험군의 구성 및 투여량 설정
시험군의 구성은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성별 동물수
(마리)
동물번호 시험물질 투여액량
(mL/head)
비고
G1 F 10 1-10 비히클(Vehicle) 1.00 D-판테놀: 0.1%, 비오틴 : 0.01%, 니코틴산아미드 : 0.06%
G2 F 10 11-20 3 % 미녹시딜(Minoxidil) 1.00  
G3 F 10 21-30 멜라토닌(Melatonin) 0.01% 1.00 D-판테놀: 0.1%, 비오틴 : 0.01%, 니코틴산아미드 : 0.06%
G5 F 10 41-50 멜라토닌 0.1% 1.00 D-판테놀: 0.1%, 비오틴 : 0.01%, 니코틴산아미드 : 0.06%
G6 F 10 51-60 멜라토닌 0.1% 단독 1.00  
G7 F 10 61-70 멜라토닌 0.2% 1.00 D-판테놀: 0.1%, 비오틴 : 0.01%, 니코틴산아미드 : 0.06%
제모 후 피부에 상처가 없고 등의 피부색이 분홍색인 동물을 선별하여 무작위로 군분리를 실시하였다. 각 그룹은 군분리 후 부형제대조군, 양성대조군 (3 % 미녹시딜 투여군), HTB005(1)~HTB005(5) 투여군으로 나누어 시험물질을 투여하였다.
4-4. 투여
임상예정경로인 피부도포를 통해 투여하였고, 시험물질의 경우, 제모 후 7 일째부터 1 회/일, 9 일간 투여하였으며, 덱사메타손의 경우, 제모 후 9 일째부터 1 회/일, 7 일간 투여하였다. 덱사메타손의 경우, 1 mL/head로 도포하였다. 피부 일정 구획에 고루 퍼지도록 스프레이 용기(약 0.18 mL/1회)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시험물질 및 양성대조물질을 제모된 피부 위에 1.5 cm×1.5 cm 크기의 틀을 올린 후 일정 구획에 고루 퍼지도록 스프레이 용기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4-5. 시험방법 및 검사 항목
(1) 모델 제작
모든 동물에 대하여 졸레틸 50(Zoletil 50, VIRBAC, France) 및 실라진(xylazine, Rompun®, Bayer AG, Germany)으로 마취를 유도한 후 마우스 등의 털을 제모기를 이용하여 1 차 제모를 실시한 후, 제모크림을 발라 2 차 제모를 실시하였다. 제모 후 피부에 상처가 없고 등의 피부색이 분홍색인 동물을 선별하여 군분리를 실시하였다. 제모 9 일째 (시험물질 투여 2 일째)부터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약 0.2 mL를 제모된 피부 일정 구획에 고루 퍼지도록 도포하였다.
(2) 사진 촬영 및 분석
제모실시일(Day 0), 7일, 9일, 12일 및 16일째에 졸레틸 50 및 실라진으로 마취를 유도한 후 도포 부위를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후, ImageJ 소프트웨어(NIH, Bethesda, M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체중 측정: 제모실시일, 그 이후에는 1 회/주 측정하였다.
(4) 부검
제모 후 16 일째에 시험물질 도포 부위를 적출하여 10 % 중성 완충 포르말린용액에 고정하였다.
(5) 조직병리학적 검사
고정된 조직은 삭정, 탈수, 파라핀 포매, 박절 등 일반적인 조직처리 과정을 거쳐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위한 검체를 제작한 뒤, H&E(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실시하고 모낭의 형성 여부 및 모낭의 생장기 비율에 따른 발모 효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모낭수 및 생장기 비율은 광학 현미경(Olympus BX53, Japan)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후 각 개체당 무작위로 5 장을 선택하여 평가하였다.
4-6. 통계학적 분석
모낭수 및 발모면적에 대하여는 자료의 정규성을 가정하고 모수적인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적용하였다. ANOVA 결과가 유의하였을 경우, Dunnett's multiple comparison test를 포함하는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부형제대조군 및 양성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군을 확인하였다.
생장기 비율 평가는 순위화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모수적Kruskal-Wallis'H-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가 유의할 경우 사후분석인 Dunn's multiple comparison test로 부형제대조군 및 양성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군을 확인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Prism 5.03(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 USA)을 이용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4-7. 실험 결과
본 시험은덱사메타손에 의해 유도된 탈모증 (alopecia) C57BL/6 마우스 모델에서 시험물질의 투여가 발모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G1: 부형제대조군, G2: 양성대조군 (3 % 미녹시딜(Minoxidil)), G3: 멜라노닌 0.01 % 투여군, G5: 멜라토닌 0.1 % 투여군, G6: 멜라토닌 0.1 % 단독 투여군, G7: 멜라토닌 0.2 % 투여군).
미녹시딜(Minoxidil)은 남성형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Messenger AG et al, 2004), 본 시험에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발모 면적 측정 결과,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7 일째에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의 발모 면적은 부형제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물질 투여개시 후 12 및 16 일째에 멜라토닌(Melatonin) 0.01 % 및 멜라토닌 0.2 % 투여군의 발모 면적은 부형제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고, 멜라토닌 0.01 % 및 멜라토닌 0.2 % 투여군의 발모 면적은 양성대조군보다도 높은 경향을 보였기에 시험물질은 발모 촉진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모낭수 측정 결과 및 생장기 모낭 비율을 분석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생장기 모낭 비율 분석 결과에서 멜라토닌 0.01 % 및 멜라토닌 0.2 % 투여군의생장기 모낭 비율은 양성대조군에 비하여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기에 시험물질의 투여가 생장기 모낭으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덱사메타손에 의해 유도된 탈모증 C57BL/6 마우스 모델에 시험물질을 9 일간 피부도포하였을 때, 멜라토닌 0.2 % 투여군의 발모 면적이 모든 측정일에 부형제 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 관찰되었고, 멜라토닌 0.01% 투여군에서는 9일 째를 제외한 모든 측정일에 부형제 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멜라토닌 0.01 % 및 멜라토닌 0.2 % 투여군의 모낭수 및 생장기 모낭 비율은 부형제대조군 및 양성대조군 대비 높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시험 조건 하에서 덱사메타손에 의해 유도된 탈모증 C57BL/6 마우스 모델에서 시험물질 멜라토닌 0.01 % 및 멜라토닌 0.2 %의 투여는 발모 촉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재발모 면적
단위: %
그룹 9 일째
G1 1.257
G2 22.33
G3 20
G5 10.1
G6 0.295
G7 37.2
표 8에서 데이터는 평균으로 나타내었으며, G1은 비히클대조구, G2는 미녹시딜 3% 0.18 ml/head, G3는 멜라토닌 0.01% 0.18 ml/head, G5는 멜라토닌 0.1% 0.18 ml/head, G6는 멜라토닌 0.1% 단독 0.18 ml/head, G7은 멜라토닌 0.2% 0.18 ml/head이다.
활성 모낭비율(anagen ratio)
16일째
G1 0.3
G2 0.4
G3 0.6
G6 0.4
G7 0.7
전체 모낭 중 활성 형태 모낭의 수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활성모낭은 발모시험 내 조직병리학적 검사 소견에서 생장기 모낭 및 모발로 전환된 개체의 비율을나타낸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생장기, 휴지기 및 퇴행기로 구분을 하며, 전체 중 생장기 모낭의 비율만을 계산한 것이다. 생장기, 휴지기 및 퇴행기는 모낭수, 모낭의 크기 및 모발의 굵기, 형태 등을 현미경 상에서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고 결정하였다.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다:
활성 모낭비율(Anagen ratio) = 제모 부위가 생장기로 전환된 동물수 / 각 시험군의전체동물수 X 100.
즉 비율이 높을수록 발모 면적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표 9에서 데이터는 평균으로 나타내었으며, G1은 비히클대조구, G2는 미녹시딜 3% 0.18 ml/head, G3는 멜라토닌 0.01 % 0.18 ml/head, G6는 멜라토닌 0.1% 단독 0.18 ml/head, G7은 멜라토닌 0.2% 0.18 ml/head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멜라토닌,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약제학적 조성물.
  2. 멜라토닌 0.001-1.0 중량%, 덱스판테놀 0.01-0.5 중량%, 비오틴 0.001-0.05 중량% 및 니코틴산아미드 0.006-0.3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광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고, 상기 광안정화제는 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힌더드 아민 광안정화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HALS), 힌더드페놀성 광안정화제(Hindered Phenol Light Stabilizer), 및 Al-Mg(알루미늄-마그네슘)계 안정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안정화제는 벤조페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제제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고, 상기 제제 안정화제는 파라히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parahydroxybenzoic acid ester) 유도체, 피롤리디논(pyrrolidinone) 유도체, 알코올, 페놀 유도체, 티메로살(thimerosal), 아세트산 무수물, 소디움카르복실레이트, 라우릴설페이트(lauryl sulfate), 설파이드 화합물, 아황산염(sulfite), 아스코르빈산, 레티놀(retinol), 토코페롤(tocopherol), 및 부틸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 hydroxyl anisol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 안정화제는 메틸-2-피롤리디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멜라토닌,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12. 멜라토닌 0.001-1.0 중량%, 덱스판테놀 0.01-0.5 중량%, 비오틴 0.001-0.05 중량% 및 니코틴산아미드 0.006-0.3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13. 멜라토닌,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14. 멜라토닌 0.001-1.0 중량%, 덱스판테놀 0.01-0.5 중량%, 비오틴 0.001-0.05 중량% 및 니코틴산아미드 0.006-0.3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15. 멜라토닌, 덱스판테놀, 비오틴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6. 멜라토닌 0.001-1.0 중량%, 덱스판테놀 0.01-0.5 중량%, 비오틴 0.001-0.05 중량% 및 니코틴산아미드 0.006-0.3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60008203A 2015-01-30 2016-01-22 멜라토닌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622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5524 2015-01-30
KR1020150015524 2015-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387B1 true KR101622387B1 (ko) 2016-05-20

Family

ID=5610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203A KR101622387B1 (ko) 2015-01-30 2016-01-22 멜라토닌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22387B1 (ko)
CN (1) CN107205908B (ko)
WO (1) WO20161221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8237A (ko) 2022-02-24 2023-09-04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양모 촉진용 생약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9179B2 (ja) 1994-12-08 1999-11-02 クレット−ロッホ、ローレ、マリア 毛髪の成長,及び選択的には皮膚並びに爪の成長を促進し,抜け毛を防止又は抑制するための合成製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2512A (ja) * 1985-03-19 1986-09-20 Shiseido Co Ltd 養毛料
MXPA05004535A (es) * 2002-10-30 2005-11-23 Asat Ag Applied Science & Tech Unidad para dosificacion diaria de melatonina.
PT1562585E (pt) * 2002-10-30 2011-02-23 Asat Ag Applied Science & Tech Unidades de dosagem diária de melatonina
DE102007039743A1 (de) * 2007-08-22 2009-02-26 Henkel Ag & Co. Kgaa Haarbehandlungsmittel mit Alkohol(en) und Melatonin/Agomelatin
DE102007039741A1 (de) * 2007-08-22 2009-02-26 Henkel Ag & Co. Kgaa Haarbehandlungsmittel mit Tensid(en) und Melatonin/Agomelatin
DE102007039745A1 (de) * 2007-08-22 2009-02-26 Henkel Ag & Co. Kgaa Haarbehandlungsmittel mit Pflegestoff(en) und Melatonin/Agomelatin
KR20120051199A (ko) * 2010-11-12 2012-05-22 애경산업(주) 탈모방지 및 양모를 위한 모발 또는 두피 화장료 조성물
KR101445553B1 (ko) * 2013-02-27 2014-09-29 케일럽 멀티랩 (주) 발모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9179B2 (ja) 1994-12-08 1999-11-02 クレット−ロッホ、ローレ、マリア 毛髪の成長,及び選択的には皮膚並びに爪の成長を促進し,抜け毛を防止又は抑制するための合成製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8237A (ko) 2022-02-24 2023-09-04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양모 촉진용 생약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2172A1 (ko) 2016-08-04
CN107205908B (zh) 2020-03-10
CN107205908A (zh)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58961B2 (ja) 純粋な形態又は植物抽出物としてのマンジフェリン又はその誘導体を活性成分として含有する化粧用又は医薬用組成物
CN101188995B (zh) 包含类胡萝卜素的遮光组合物
CN104797250A (zh) 处置毛发缺失和延缓皮肤老化
KR20190013575A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3800611B2 (ja) 美白剤または色素沈着症改善剤
KR101622387B1 (ko) 멜라토닌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육모,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80118060A (ko) 아디포넥틴의 발현증가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또는 피부 붉은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ES2902036T3 (es) Una composición sinérgica como estimulante de la autofagia
US20100022604A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alopecia
US9572765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restoration, comprising soy extract
KR101725461B1 (ko) 디오스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5725864B2 (ja) エラスターゼ阻害剤
KR101701217B1 (ko) 밤송이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ITMI20131792A1 (it) Uso di un estratto vegetale per la prevenzione e trattamento della caduta dei capelli
KR101145814B1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82246B1 (ko) 갈락토스를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5965A (ko) 디하이드로안드로그라폴라이드를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70134109A (ko) 타베르소닌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00935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US20180064683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or hair restoration containing psoralidin
KR102000934B1 (ko) 디하이드로안드로그라폴라이드를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618350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24110B1 (ko)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1593628B1 (ko) 브레비스카핀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210005203A (ko) 장미증 및 피부 발진을 조절하기 위한 테오브로마 카카오 원두의 외피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