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172B1 - 잡음원의 유형을 파악하는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잡음원의 유형을 파악하는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172B1
KR101622172B1 KR1020100111386A KR20100111386A KR101622172B1 KR 101622172 B1 KR101622172 B1 KR 101622172B1 KR 1020100111386 A KR1020100111386 A KR 1020100111386A KR 20100111386 A KR20100111386 A KR 20100111386A KR 101622172 B1 KR101622172 B1 KR 10162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ogical value
signal
noise source
training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066A (ko
Inventor
강준성
황효선
황찬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172B1/ko
Priority to US13/177,490 priority patent/US8731108B2/en
Priority to EP11183796.9A priority patent/EP2453622B1/en
Priority to JP2011245458A priority patent/JP5795244B2/ja
Priority to CN201110372619.1A priority patent/CN102545926B/zh
Publication of KR2012005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4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04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self-synchronising codes, e.g. split-phas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04L27/1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하고, 임계값과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하는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잡음원의 유형을 파악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FOR FIGURING OUT TYPE OF NOISE SOURCE}
아래의 실시예들은 잡음원의 유형을 파악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신단에서 생성된 신호는 무선 채널을 거쳐 수신단으로 전송된다. 이 때, 전송 신호는 채널 내의 다양한 종류의 잡음원에 의해 변형과 왜곡이 되어 수신단에서의 수신 오류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잡음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오류를 야기하는 잡음원은 크게 백색 가우시안 잡음과 간섭으로 나눌 수 있다. 백색 가우시안 잡음은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거의 일정한 주파수 성분을 갖는, 자연계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잡음 신호이다. 반면, 간섭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되어 나의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신호를 왜곡하거나 나의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되어 다른 통신 시스템의 정상적인 수신 신호를 방해하는 신호를 말한다.
ISM(Industrial Science Medical) 주파수 대역과 같이 다양한 통신 시스템이 공존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잡음원이 송수신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특히 2.4GHz 대역의 경우 WLAN, Bluetooth, ZigBee 등의 다양한 통신 규약들이 존재한다. 때문에, 이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은 잡음원을 인지하고 이에 대처하는 메커니즘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임계값과 상기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후보값들이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논리값 ‘0’ 또는 논리값 ‘1’ 어느 하나의 개수를 감지하거나, 상기 논리값 ‘0’ 및 상기 논리값 ‘1’ 모두의 개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임계값과 상기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이 백색 가우시안 잡음 또는 간섭 중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잡음원을 간섭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가 상기 임계값과 같거나 작으면 상기 잡음원을 백색 가우시안 잡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게 상기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후보값들이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잡음원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잡음원의 유형에 따라 상기 송신 신호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기초하여 수신 채널의 특성을 파악하는 파악부;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오류 확률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수신 채널의 특성 및 상기 오류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 채널의 특성 및 상기 오류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작용하는 잡음원이 백색 가우시안 잡음 또는 간섭 중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 채널의 특성에 따른 상기 오류 확률 중 논리값 '0'이 논리값 '1'로 나타날 오류 확률이 상기 논리값 '1'이 상기 논리값 '0'으로 나타날 오류 확률보다 높으면 상기 잡음원을 간섭 신호로 판단하고, 그 밖의 경우 상기 잡음원을 백색 가우시안 잡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트레이닝 시퀀스의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대한 잡음원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잡음원의 유형에 따라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조절하는 송신 장치; 및 상기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임계값과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파악하고, 잡음원의 유형에 따라 대처함으로써 통신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장치가 아닌 수신 장치에서 간섭 신호를 인지하고, 송신 장치가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false interference alarm 또는 hidden node problem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이진 비선형 변조(OOK)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간섭 신호 및 백색 가우시안 잡음에 의한 수신 확률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0'을 전송하는 경우, 간섭 신호의 유무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의 확률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송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송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가 소프트 디시즌(Soft-decision) 기반으로 논리값을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가 하드 디시즌(Hard-decision) 기반으로 논리값을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진 비선형 변조(OOK) 방식은 임의의 신호를 보내고 있는 상태(Symbol '1')와 아무 신호도 보내고 있지 않은 상태(Symbol '0')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디지털 변조 방식이다. 이진 비선형 변조(OOK) 방식은 다른 디지털 변조 방식과 비교하여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비할 때, 보낼 수 있는 비트(Bit)의 수가 높은 시스템은 아니지만, 아무런 신호도 전송하고 있지 않는 오프(Off) 상태를 이용하기 때문에 송신단에서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즉, 이진 비선형 변조(OOK) 방식은 송신단에서는 아무 신호도 보내지 않는 구간 동안 오실레이터(Oscillator)나 출력 전력 증폭기(Output Power amplifier) 등을 오프(Off)시킴으로써 송신 장치의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진 비선형 변조(OOK) 방식을 이용하는 수신 장치는 고차원 선형 모듈레이션 방식에 비해 간단한 소자들로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신 소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진 비선형 변조(OOK) 방식을 이용하는 수신 장치를 구현하는 방법 중 한 가지는 다음과 같다. 엔벨로프 (Envelop) 검출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진폭(Amplitude) 정보를 추출한다. 그 후, 이 값이 특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 '1'신호로, 임계값 이하인 경우 '0'신호로 검출해 능동 RF 소자를 이용하는 반송파 복조 없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를 경우, 수신 장치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은 전송하고자 하는 각 심볼 xi에 서로 다른 주파수 fi를 할당하고 이를 송신한 후, 수신단에서 주파수 별로 할당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다.
주파수 편이 변조(FSK) 방식을 이용하는 수신 장치는 일반적으로 각 주파수 신호 fi를 위해 병렬 연결된, 이진 비선형 변조(OOK) 방식을 이용하는 수신기 세트(set)와 각 수신기의 출력 진폭(amplitude) 가운데 가장 큰 값을 갖는 심볼 xi를 검출해 내기 위한 검출기로 구성된다.
한편, 이진 주파수 편이 변조(Binary FSK) 수신 장치는 소모 전력 절감을 위해 하나의 이진 비선형 변조(OOK) 방식을 이용하는 수신 장치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다. 즉, 두 개의 주파수 신호 가운데 하나의 주파수 신호만을 검출하고, 출력 진폭(amplitude)의 임계값에 따라 검출 신호를 결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이진 비선형 변조(OOK) 방식 및 주파수 편이 변조(FSK)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신호의 오프(Off) 상태를 이용하기 때문에 간섭 신호에 큰 영향을 받는다. 즉, 아무 신호도 존재하지 않는 구간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 구간 동안 외부 잡음 신호(특히, 간섭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시스템의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진 비선형 변조(OOK) 방식 및 주파수 편이 변조(FSK)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는 간섭 신호를 인지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간섭 신호를 인지하고 대처하는 기술은 주로 송신단에서의 간섭 회피 동작을 통하여 구현된다. 즉, 송신단에서 신호를 보내기 전에 채널 상태를 확인하고 간섭 신호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한 후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간섭 상황을 피할 수 있다(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 이하 CSMA).
송신단에서 간섭 신호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한 후에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여러 가지 요인에 의거하여 간섭 신호에 의한 신호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1) 특정 채널을 사용하겠다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Collision Avoidance)과 2) 신호를 보내는 와중에 간섭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술(Collision Detection)들이 있다.
이 같은 간섭 인지 및 간섭 회피 방법들은 통신의 성공 가능성을 송신단에서 예측하고 동작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1) 실제 통신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송신단 주변의 간섭 신호원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통신의 기회를 놓치게 되는 문제와 2) 수신단 근처에 간섭 신호원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송신단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Hidden node problem)등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진 비선형 변조(OOK) 방식 및 주파수 편이 변조(FSK)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이 수신한 신호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간섭 신호의 존재를 인지하여 대처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110).
이 때, 수신 장치는 미리 정의된 테이블을 이용하거나, 프레임(frame)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의된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후보값들이 저장된 테이블일 수 있다.
수신 장치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하고(120),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감지한다(130).
130에서 수신 장치는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논리값 '0' 또는 논리값 '1' 어느 하나의 개수를 감지하거나, 논리값 '0' 및 논리값 '1' 모두의 개수를 모두 감지하여 논리값의 분포가 어떠한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수신 장치는 예를 들어, 논리값 '0'과 논리값 '1'의 분포에 대한 밸런스가 맞다 또는 논리값 '0'과 논리값 '1'의 분포에 대한 밸런스가 맞지 않는다 등으로 논리값의 분포를 감지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임계값과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이 백색 가우시안 잡음 또는 간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진 비선형 변조(OOK) 방식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백색 가우시안 잡음과 간섭 신호는 서로 다른 오류 발생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잡음원을 판단할 수 있다.
이진 비선형 변조 방식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의 파형 및 오류 발생 특성과 이를 이용하여 잡음원을 판단하는 원리에 대하여는 아래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수신 장치는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40).
이때,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수신 장치는 잡음원을 간섭 신호로 판단하고(150), 잡음원의 유형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해당 수신 신호에 대한 잡음원이 간섭 신호라는 정보)를 송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160).
140에서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가 임계값과 같거나 작으면, 수신 장치는 백색 가우시안 잡음을 잡음원으로 판단하고(170), 백색 가우시안 잡음이 잡음원이라는 것을 송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160).
도 2는 이진 비선형 변조(OOK)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위쪽 도면은 간섭(Interference) 신호에 의한 신호 왜곡을 나타내고, 도 2의 아래쪽 도면은 백색 가우시안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에 의한 신호 왜곡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진 비선형 변조(OOK) 시스템은 정현파 신호(Continuous Wave)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와 아무 신호도 전송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0'과 '1'의 신호로 구분한다. 그리고, 이진 비선형 변조(OOK)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에 의해 신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와 백색 가우시안 잡음(AWGN)에 의해 신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는 서로 다른 오류 발생 특성을 보인다.
도 2의 위쪽 도면과 같이 간섭 신호에 의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는 아무 신호도 전송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0'신호를 전송하는 구간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 도 2의 아래쪽 도면과 같이 백색 가우시안 잡음(AWGN)에 의해 오류가을 발생하는 경우는 '0' 신호 구간뿐만 아니라 '1'신호 구간에서도 오류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백색 가우시안 잡음은 간섭 신호에 비하여 오류를 더 불균형하게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아래의 도 3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도 3은 간섭 신호 및 백색 가우시안 잡음에 의한 수신 확률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간섭 신호에 의한 수신 확률 변화를 나타내고, 도 3(b)는 백색 가우시안 잡음에 의한 수신 확률 변화를 나타낸다.
도 3(a)와 같이 간섭 신호에 의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P(Sending = '0'| Receiving = '1')의 확률이 크게 증가한다. 반면에, 도 3(b)와 같이 백색 가우시안 잡음(AWGN)에 의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P(Sending = '0' | Receiving = '1')뿐만 아니라 P(Sending = '1'| Receiving = '0')의 확률도 증가하게 된다.
상술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수신 신호는 아래의 [수학식 1]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0073320246-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0073320246-pat00002
이고,
Figure 112010073320246-pat00003
이며,
Figure 112010073320246-pat00004
는 전송 주파수를 나타내고, t
Figure 112010073320246-pat00005
는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0073320246-pat00006
는 간섭 신호의 진폭(amplitude)를 나타내고,
Figure 112010073320246-pat00007
는 백색 가우시안 잡음을 나타낸다.
[수학식 1]은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신호(
Figure 112010073320246-pat00008
)를 나타내고,
Figure 112010073320246-pat00009
는 송신 장치가 전송한 송신 신호를,
Figure 112010073320246-pat00010
는 간섭 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백색 가우시안 잡음(AWGN)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0073320246-pat00011
따라서, 직각 위상 비동기 수신기(Quadrature non-coherent receiver)가 상술한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에 잡음원이 작용했다고 가정하면 수신 신호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진폭(amplitude)을 얻을 수 있다.
1) 잡음원이 백색 가우시안 잡음(AWGN)인 경우,
a. 송신 장치가 '0'을 송신한 경우:
Figure 112010073320246-pat00012
b. 송신 장치가 '1'을 송신한 경우:
Figure 112010073320246-pat00013

2) 잡음원이 간섭(interference) 신호인 경우,
a. 송신 장치가 '0'을 송신한 경우:
Figure 112010073320246-pat00014
b. 송신 장치가 '1'을 송신한 경우:
Figure 112010073320246-pat00015

위에서 잡음원이 간섭(interference) 신호이고, 송신 장치가 '0' 신호를 송신한 경우, 수신 장치는 간섭(interference) 성분(B)에 의해 Rice 확률 분포를 갖게 되어 잡음원이 백색 가우시안 잡음인 경우보다 오류가 발생활 확률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1'의 개수가 임계값을 넘어가는지의 여부에 따라 백색 가우시안 잡음 또는 간섭 신호에 의한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송신 장치가 각 잡음원에 대처할 수 있도록 송신 신호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사항은 도 4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도 4는 '0'을 전송하는 경우, 간섭 신호의 유무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의 확률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임계값(Detection Threshold) 값이 2.5 인 경우, 임계값의 위치에서의 원 신호는 '0'으로 판단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간섭 신호에 의해 변형된 신호의 경우, 전체적인 수신 신호 세기의 확률이 오른쪽으로 치우치면서 임계값의 위치에 해당하는 신호가 '1'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아짐을 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송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 장치는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조절한다(510).
예를 들어, 송신 장치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 중 '0'과 '1'의 분포에 대한 밸런싱을 맞추거나, '0'과 '1'의 분포를 랜덤하게 조절할 수 있다.
송신 장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게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520).
이 때, 송신 장치는 미리 정의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의된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후보값들이 저장된 테이블일 수 있다.
송신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수신 장치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하고, 잡음원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송신 장치로 전송한다.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로부터 잡음원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530), 잡음원의 유형에 따라 송신 신호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540).
540에서 송신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송신 장치가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영역은 사용하지 않는 적응적 주파수 호핑(adaptive frequency hopping) 방법을 사용하거나, 이를 위한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은 잡음원이 간섭 신호인 경우, 송신 장치가 일정 시간 이후의 신호를 재전송(retransmission)하거나, 잡음원이 백색 가우시안 잡음인 경우, 시스템의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조절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한다(610).
여기서, 트레이닝 시퀀스는 논리값 '0'과 '1'의 분포가 랜덤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 후, 수신 장치는 트레이닝 시퀀스에 기초하여 수신 채널의 특성을 파악하고(620), 트레이닝 시퀀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오류 확률을 계산한다(630).
예를 들어, 트레이닝 시퀀스가 "001101"이라고 가정하면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는 서로 트레이닝 시퀀스가 "001101"이라는 것을 미리 알고 있다.
따라서, 송신 장치가 트레이닝 시퀀스("001101")을 수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수신 장치는 수신된 트레이닝 시퀀스로부터 해당 채널에서의 경로 감쇄 등과 같은 수신 채널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가 송신한 트레이닝 시퀀스("001101")가 수신 장치 자신에게 수신된 결과가 "111100" 인 경우, 트레이닝 시퀀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오류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오류 확률이란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서 나타나는 전체 오류에 대하여 해당 오류가 나타날 확률을 말한다.
즉, 송신 장치가 송신한 트레이닝 시퀀스인 "001101"가 "111100"과 같이 수신된 경우, 수신 장치는 전체 6 비트 중 전체 오류(3 bit)에 대하여 논리값 '0'이 논리값 '1'로 나타날 오류 확률이 2/3 = 66 %이고, 전체 오류 중 논리값 '1'이 논리값 '0'으로 나타날 오류 확률이 1/3 = 33%임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수신 장치는 트레이닝 시퀀스 외에 디폴드(default) 값을 이용하여 수신 채널의 특성을 파악한 후,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서 나타나는 전체 오류에 대하여 해당 오류가 나타날 확률을 계산할 수도 있다.
수신 장치는 수신 채널의 특성 및 오류 확률을 이용하여 트레이닝 시퀀스(training sequence)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한다(640).
640에서 수신 장치는 수신 채널의 특성 및 오류 확률(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서 나타나는 전체 오류에 대하여 해당 오류가 나타날 확률)을 이용하여 트레이닝 시퀀스에 작용하는 잡음원이 백색 가우시안 잡음 또는 간섭 중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640에서 수신 장치는 수신 채널의 특성에 따른 오류 확률 중 논리값 '0'이 논리값 '1'로 나타날 오류 확률이 논리값 '1'이 논리값 '0'으로 나타날 오류 확률보다 높으면 잡음원을 간섭 신호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경우에 잡음원을 백색 가우시안 잡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닝 시퀀스 "001101"의 전체 오류에 대하여 논리값 '0'이 논리값 '1'로 나타날 오류 확률이 2/3 = 66 %이고, 논리값 '1'이 논리값 '0'으로 나타날 오류 확률이 1/3 = 33%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수신 채널의 특성에 따른 오류 확률(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서 나타나는 전체 오류에 대하여 해당 오류가 나타날 확률) 중 논리값 '0'이 논리값 '1'로 나타날 오류 확률(66%)이 논리값 '1'이 논리값 '0'으로 나타날 오류 확률(33%)보다 높다. 따라서, 이 경우 수신 장치는 해당 잡음원을 간섭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640에서 수신 장치는 수신 채널의 특성에 따른 오류 확률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수신 장치는 예를 들어, 수신 채널의 경로 감쇄가 높은 경우, 경로 감쇄마다의 오류 확률을 별개로 산정하여, 동일한 오류 확률이라 하더라도 수신 채널의 특성(여기서는 수신 채널의 감쇄율)에 따라 잡음원을 판단하는 기준을 달리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수신 장치는 수신한 신호(또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논리값 '0' 또는 '1'을 판단하는 데에 소프트 디시즌(Soft-decision)에 기반한 방법과 하드 디시즌(Hard-decision)에 기반한 방법의 2 가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방법에 대하여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송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는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트레이닝 시퀀스의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조절한다(710).
710에서 송신 장치는 트레이닝 시퀀스의 논리값 '0'과 '1'의 분포에 대한 밸런싱을 맞추거나, 논리값 '0'과 '1'의 분포를 랜덤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송신 장치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게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720).
이 후, 수신 장치로부터 트레이닝 시퀀스에 대한 잡음원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획득(730)한 송신 장치는 잡음원의 유형에 따라 트레이닝 시퀀스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740). 송신 장치가 트레이닝 시퀀스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5의 54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800)는 수신부(810), 설정부(820), 감지부(830) 및 판단부(840)를 포함한다.
수신부(810)는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810)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후보값들이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파악할 수 있다.
설정부(820)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한다.
감지부(830)는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감지한다.
감지부(830)는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논리값 '0' 또는 논리값 '1' 어느 하나의 논리값의 개수를 감지하거나, 논리값 '0' 및 논리값 '1' 모두의 개수를 감지할 수 있다.
판단부(840)는 임계값과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부(840)는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잡음원을 간섭 신호로 판단하고,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가 임계값과 같거나 작으면 잡음원을 백색 가우시안 잡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송신 장치(900)는 조절부(910), 송신부(920), 획득부(930) 및 파라미터 조절부(940)를 포함한다.
조절부(910)는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조절한다.
송신부(920)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게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송신부(920)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후보값들이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획득부(930)는 수신 장치로부터 잡음원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파라미터 조절부(940)는 잡음원의 유형에 따라 송신 신호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가 소프트 디시즌(Soft-decision) 기반으로 논리값을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가 하드 디시즌(Hard-decision) 기반으로 논리값을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한 전압(Power)값을 조절하여 해당 신호가 논리값 'High'로 판단될 지, 또는 논리값 'Low'로 판단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하드 디시즌과 달리 소프트 디시즌은 수신한 신호를 판단하는 전압(값)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논리값 'High'로 판단되는 수신 신호의 전압이 5V 이고, 논리값 'Low'로판단되는 수신 신호의 전압이 0 V라고 가정할 때, 소프트 디시즌은 수신된 신호의 논리값 'High'로 판단되는 수신 신호의 전압 기준을 5V가 아닌 3V 또는 2.5V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장치가 소프트 디시즌에 기반할 경우, 조절된 전력 기준에 의해 결정된 논리값의 분포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는 예를 들어, 수신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전압 또는 주파수 등의 기준에 따라 '0'인지 혹은 '1'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장치가 하드 디시즌에 기반할 경우, '0' 또는 '1'로 결정된 논리값의 분포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들은 상술한 소프트 디시즌 및 하드 디시즌에 기반하여 논리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수신 장치(1200)는 수신부(1210), 파악부(1220), 계산부(1230) 및 판단부(1240)를 포함한다.
수신부(1210)는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한다.
파악부(1220)는 트레이닝 시퀀스에 기초하여 수신 채널의 특성을 파악한다.
계산부(1230)는 트레이닝 시퀀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오류 확률을 계산한다.
판단부(1240)는 수신 채널의 특성 및 오류 확률을 이용하여 트레이닝 시퀀스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한다.
판단부(1240)는 수신 채널의 특성 및 오류 확률을 이용하여 트레이닝 시퀀스에 작용하는 잡음원이 백색 가우시안 잡음 또는 간섭 중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240)는 수신 채널의 특성에 따른 오류 확률 중 논리값 '0'이 논리값 '1'로 나타날 오류 확률이 논리값 '1'이 논리값 '0'으로 나타날 오류 확률보다 높으면 잡음원을 간섭 신호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 밖의 모든 경우 잡음원을 백색 가우시안 잡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송신 장치(1300)는 조절부(1310), 송신부(1320), 획득부(1330) 및 파라미터 조절부(1340)를 포함한다.
조절부(1310)는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트레이닝 시퀀스의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조절한다.
송신부(1320)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게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획득부(1330)는 수신 장치로부터 트레이닝 시퀀스에 대한 잡음원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파라미터 조절부(1340)는 잡음원의 유형에 따라 트레이닝 시퀀스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 장치는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조절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신 장치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하고, 임계값과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한다.
이 밖에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송,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는 상술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상술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810: 수신부
820: 설정부
830: 감지부
840: 판단부

Claims (15)

  1.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임계값과 상기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논리값은 상기 송신 장치의 전송 상태와 비전송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후보값들이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파악하는 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논리값 ‘0’ 또는 논리값 ‘1’ 어느 하나의 개수를 감지하거나, 상기 논리값 ‘0’ 및 상기 논리값 ‘1’ 모두의 개수를 감지하는 수신 장치.
  4.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임계값과 상기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임계값과 상기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이 백색 가우시안 잡음 또는 간섭 중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수신 장치.
  5.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임계값과 상기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잡음원을 간섭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가 상기 임계값과 같거나 작으면 상기 잡음원을 백색 가우시안 잡음으로 판단하는 수신 장치.
  6.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게 상기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후보값들이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잡음원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잡음원의 유형에 따라 상기 송신 신호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9.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기초하여 수신 채널의 특성을 파악하는 파악부;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오류 확률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수신 채널의 특성 및 상기 오류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논리값은 상기 송신 장치의 전송상태와 비전송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장치.
  10.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기초하여 수신 채널의 특성을 파악하는 파악부;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오류 확률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수신 채널의 특성 및 상기 오류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 채널의 특성 및 상기 오류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작용하는 잡음원이 백색 가우시안 잡음 또는 간섭 중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수신 장치.
  11. 송신 장치로부터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기초하여 수신 채널의 특성을 파악하는 파악부;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오류 확률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수신 채널의 특성 및 상기 오류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상기 판단부는
    상기 수신 채널의 특성에 따른 상기 오류 확률 중 논리값 '0'이 논리값 '1'로 나타날 오류 확률이 상기 논리값 '1'이 상기 논리값 '0'로 나타날 오류 확률보다 높으면 상기 잡음원을 간섭 신호로 판단하고, 그 밖의 경우 상기 잡음원을 백색 가우시안 잡음으로 판단하는 수신 장치.
  12.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트레이닝 시퀀스의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대한 잡음원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잡음원의 유형에 따라 상기 트레이닝 시퀀스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파라미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14. 이진 비선형 변조(On-Off Keying: OOK) 방식 또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방식에 따르는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논리값들 중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조절하는 송신 장치; 및
    상기 송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하고, 상기 임계값과 수신 신호가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에 작용하는 잡음원의 유형을 판단하는 수신 장치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값의 분포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값을 설정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00111386A 2010-11-10 2010-11-10 잡음원의 유형을 파악하는 통신 시스템 KR10162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386A KR101622172B1 (ko) 2010-11-10 2010-11-10 잡음원의 유형을 파악하는 통신 시스템
US13/177,490 US8731108B2 (en) 2010-11-10 2011-07-06 Communication system for recognizing type of noise source
EP11183796.9A EP2453622B1 (en) 2010-11-10 2011-10-04 Communication system for recognizing type of noise source
JP2011245458A JP5795244B2 (ja) 2010-11-10 2011-11-09 雑音源のタイプを把握することができる通信システム及び送受信装置
CN201110372619.1A CN102545926B (zh) 2010-11-10 2011-11-10 识别噪声源的类型的通信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386A KR101622172B1 (ko) 2010-11-10 2010-11-10 잡음원의 유형을 파악하는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066A KR20120050066A (ko) 2012-05-18
KR101622172B1 true KR101622172B1 (ko) 2016-05-18

Family

ID=4478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386A KR101622172B1 (ko) 2010-11-10 2010-11-10 잡음원의 유형을 파악하는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31108B2 (ko)
EP (1) EP2453622B1 (ko)
JP (1) JP5795244B2 (ko)
KR (1) KR101622172B1 (ko)
CN (1) CN1025459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3198B2 (en) * 2012-09-25 2015-10-06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device for link over-training
US9130657B2 (en) 2012-10-19 2015-09-08 Stmicro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power line modem
KR101987284B1 (ko) * 2012-12-13 2019-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OOK(On-Off Keying)수신기에서 송신 심볼의 검출을 위한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EP2936755B1 (en) * 2012-12-21 2020-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2083580B1 (ko) * 2013-08-09 2020-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 검출을 위한 임계값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TWI569594B (zh) * 2015-08-31 2017-02-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突波干擾消除裝置及突波干擾消除方法
US10816588B2 (en) * 2018-07-12 2020-10-27 Fanuc Corporation Noise source monitoring apparatus and noise source monitoring method
CN110110628B (zh) * 2019-04-24 2023-08-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频率综合器劣化的检测方法及检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8191A (en) * 1974-11-21 1976-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line, multi-mode modulator using bandwidth reduction for digital fsk and dpsk modulation
US6131013A (en) 1998-01-30 2000-10-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argeted interference suppression
US7154938B2 (en) 2002-12-31 2006-12-26 Itron, Inc. RF communications system utilizing digital modulation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DE60317833T2 (de) * 2003-02-11 2008-10-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erenzermittlung in einem Mobilkommunikationssystem
KR100492564B1 (ko) 2003-03-05 200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 온오프 제어 임계값 결정방법
WO2005015814A1 (en) 2003-08-06 2005-02-17 Aelis Photonics (Israel) Ltd. Signal quality monitoring method with signal averaging
US7349503B2 (en) * 2003-11-07 2008-03-25 Atheros Communications, Inc. Adaptive interference immunity control
US7733937B2 (en) 2006-01-03 2010-06-08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ystem and method for cross-modulation interference reduction for pulse-position modulated ultrawideband signals
KR101009807B1 (ko) 2006-02-16 2011-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대잡음비에 근거한 온/오프 키잉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JP5042774B2 (ja) * 2007-10-26 2012-10-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Fsk変調回路
US8787440B2 (en) 2008-07-25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receive data values
FR2943200B1 (fr) * 2009-03-11 2015-03-20 Imra Europ Sas Filtre adaptatif avec classificateur de br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45926B (zh) 2015-05-27
CN102545926A (zh) 2012-07-04
JP5795244B2 (ja) 2015-10-14
KR20120050066A (ko) 2012-05-18
EP2453622A1 (en) 2012-05-16
EP2453622B1 (en) 2015-08-26
JP2012105275A (ja) 2012-05-31
US20120114061A1 (en) 2012-05-10
US8731108B2 (en)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172B1 (ko) 잡음원의 유형을 파악하는 통신 시스템
US797465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performing key feature extraction for cognitive radio system
JP5763156B2 (ja) 通信リンクの品質に基づいて、送信データ・ブロック・サイズおよびレートを適合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225736A2 (en) Adaptive fragmentation for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s
CN101253784A (zh) 动态调整cca门限的系统和方法
US20090124205A1 (en) Physical and mac adaptation for interference mitigation with cognitive radio
JP5650285B2 (ja) 受信データ値の決定
US944457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ceiver,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KR101176214B1 (ko) 데이터 변조방법 및 복조방법
JP5323842B2 (ja) インパルス・ベースの通信のための干渉緩和
KR20150015696A (ko) 신호 복조를 위하여 임계값을 적응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191146B2 (en) Methods permitting a wireless system receiver to determine and report channel conditions to a system transmitter
US20080159357A1 (en) UWB channel estimation using new generating TR transceivers
CN108649969B (zh) 一种基于双通道技术的无线传声器系统及通信方法
KR100779098B1 (ko) 주파수 공유를 위한 초광대역시스템의 송수신장치 및송수신방법
JP4938509B2 (ja) 無線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モジュール、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CN103716271A (zh) 基于二进制帧的通信系统中的自适应检测阈值补偿
KR101953297B1 (ko) 주파수 도약 신호의 탐지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5010970B2 (ja) Ofdm通信装置および適応速度制御方法
JP4190399B2 (ja) チャネルクリアアクセス信号生成回路及び電子装置
US10673559B2 (en) Optimal preamble length and detection threshold
KR102083580B1 (ko) 부호 검출을 위한 임계값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44042A (ko) Uwb 시스템을 위한 nppm 변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