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804B1 -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 Google Patents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804B1
KR101620804B1 KR1020160020970A KR20160020970A KR101620804B1 KR 101620804 B1 KR101620804 B1 KR 101620804B1 KR 1020160020970 A KR1020160020970 A KR 1020160020970A KR 20160020970 A KR20160020970 A KR 20160020970A KR 101620804 B1 KR101620804 B1 KR 10162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output
present
distributio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정화
이상배
이준광
강주성
Original Assignee
진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정화 filed Critical 진정화
Priority to KR102016002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2Mobile units, e.g. for work si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부하별로 분기하는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 또는 수평형 직육면체의 이동형 전원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연결하여 수전하도록 함몰 경사지게 형성된 입력단과, 상기 입력단을 제외한 타 측면에는, 출력 전원이 부하별로 분기되도록 함몰 경사지게 형성된 다 수개의 출력단을 가지는 단자대부와, 함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뚜껑 모양을 가지는 상단부와, 단자대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입력단으로부터 인입된 전기를 내부의 변압기를 통해 변압하여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TR 내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에 관한 것이며,
입력단에 인가된 AC 480V(3P, 3W) 전기를 AC 480V(3P, 3W) 그대로 출력하거나, AC 380/220V(3P, 4W) 및 AC 220V(1P, 2W) 등으로 다양하게 출력하며, 시설 및 설비를 유지, 보수하거나 점검하고자 할 때 필요한 전력을 작업장소로부터 가까운 곳에 이동 설치하여 전력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Portable multi-power 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를 작업현장에서 부하별로 분기하는 이동형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력을 수전하는 입력부, 다양한 전력을 출력하는 멀티 출력 단자대부, 변압기를 이용하여 인가된 전기를 변압하는 TR 내장부 및 작업현장으로 이동하여 고정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는 전력공급처로부터 공장으로 들어오면 수, 배전반을 통하여 계통별 혹은 용도별로 분배되며, 분전반에서 각 부하별로 분기된다.
정상적으로 분기하는 분전반 이외에, 각종시설 및 설비를 수리 및 점검 또는 유지, 보수 작업을 하거나 긴급하고 응급한 상황 발생 시에 필요한 전력 공급을 위한 분전반이 멀리 떨어져 있거나, 용량이 부족할 경우 새로운 분전반을 필요한 장소에 시공, 설치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수 있으며,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불필요해져서 철거해야 하거나 제대로 관리도지 못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설치된 고정형 분전반은 작업현장에서 주로 단기간 이용된다는 이유로 일시적이고, 작업 시 절차 및 단계에 대한 구분이 불명확하여 임의적이며, 각 상별 단자가 밀집되어 있고 상시 노출되어 있어 분전반 내부에 각 상간 함체 내 접촉 또는 케이블 간섭여지가 존재하며, 작업편의만을 위하여 안전한 작업을 위한 기능적, 구조적 요소를 소홀히 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일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다기능 아크 보호용 분전반 및 그 운전방법 발명(특허출원 제10-2015-0133036호)을 출원한 바 있다. 상기 발명은 독립적으로 아크 보호용 단자대를 구성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전력 사용을 도모하고 있으나, 항구적인 사용을 위해 설치, 시공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각 현장별로 필요한 다양한 전력을 공급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7969호(2015.12.27.)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2736호(2015.07.10.)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대부, 상단부, TR 내장부, 이동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직형 직육면체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상 3선 입력 전압 440V~480V의 입력 전원에 대해서 내장된 변압기를 통해 다양한 출력 전압, 즉 3상 3선 440V~480V AC, 3상 4선 380/220V AC, 단상 2선 220V AC와 220V AC 콘센트 출력 단자대부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요구 조건에 적합한 전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출력 단자대부에 전력이 통하는 상태, 즉 통전 상태를 알려주는 램프를 구성하여, 작업자가 입, 출력 단자대를 사용할 때 통전 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든 입력, 출력 회로에 차단기(과부하 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 구성하여, 전력이 입력되는 전기 회로 또는 분기하여 출력되는 전기 회로에 전기적인 고장 및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웃한 입력, 출력 회로 또는 작업 중인 시설 및 설비에 전기적인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보호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육면체 또는 다면함체로 구성되는 외함이 외부 충돌이나 충격으로부터 취부된 기기를 보호하는 구조로 구성되고, 사람의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와 그에 적합한 이동 수단을 갖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 입력부, 출력 단자대부의 모든 회로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그 회로의 각각의 상(Phase) 또한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개별 상 독립형 절연 손잡이 단자대와 아크 보호용 칸막이를 취부하여, 전력선 연결과 분리 시에 신체나 작업 기구 등이 통전 부위에 접촉되거나 혼촉되어 발생하는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전반의 전력 연결을 위한 전선 접속 단자대를 제외한 모든 통전 부위와 분전반의 전기적 회로를 구성하는 모든 배선 구조가 분전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부를 최소화시킨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되는 440V~480V AC 전력에 대해 3상 4선 380/220V AC, 단상 2선 220V 출력을 발생하는 변압기를 내장한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함 전체 면을 두께 1.5mm 이상의 SUS 304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하며, 하부로부터 상부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내부에는 입력단과 출력단의 케이블이 결속되어지는 밀집형 단자대가 나열되어 있고, 케이블은 중앙 케이블 연결통로를 통해서 상하로 연결되며, 독립형 절연 단자대가 부착되는 백 패널은 반투명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대부가, 수직형 다면함체의 중간부의 일 측면에는,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연결하여 수전하도록 함몰 경사지게 형성된 입력단과, 입력단을 제외한 타 측면에는, 출력 전원이 부하별로 분기되도록 함몰 경사지게 형성된 다 수개의 출력단을 이루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단은,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3상 케이블이 결속되는 3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와, 상기 독립형 절연 단자대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가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력단은,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출력하는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와, 독립형 절연 단자대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단에 인가된 AC 480V(3P, 3W) 전기는, 출력단으로 출력될 때, 인가된 AC 480V(3P, 3W) 그대로 출력되거나, 상 및 전압의 변환을 거쳐서 각각 AC 380/220V(3P, 4W) 및 AC 220V(1P, 2W)인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단부는, 분전함 외함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정면에는 AC 480V(3P, 3W) 출력단(120)이 위치하고, 좌측면에는 AC 380/220V(3P, 4W) 출력단이 위치하고, 우측면에는 AC 220V(1P, 2W) 출력단이 위치하고, 뒷면에는 AC 480V(3P, 3W) 입력단을 배치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단부가 단자대부의 상단에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뚜껑 모양으로 결합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단부는, 다수 개의 멀티 2구 출력 콘센트와,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 및, 상기 수직형 직육면체를 인양할 수 있는 인양 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R 내장부가 단자대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입력단으로부터 인입된 전기를 내부의 변압기를 통해 변압하여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R 내장부는, 입력단 및 출력단의 접지 케이블을 결속하는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가 설치된 함몰 경사지게 형성되는 접지 단자대를 포함하고, 외함은 냉각용 공기 순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수단이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를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의 하부에 부착되는 캐스터 바퀴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립형 절연 단자대가 단자볼트, 절연 단자 본체, 절연 덮개, 절연 단자너트 및 단자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립형 절연 단자대의 단자볼트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 또는 부하 케이블이 연결되어 통전 되도록 형성되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중심부에 상기 단자볼트가 끼워지는 홀이 있는 사각형 판재가 있고, 상기 사각형 판재를 바닥면으로 삼 면이 일체로 된 측벽을 이루고, 상기 삼 면 중 마주보는 양 면은 아크방지용 측벽을 형성하고, 개구 면과 대향되는 측벽의 단부에는 개폐 힌지가 형성되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립형 절연 단자대의 절연 덮개는, 절연 단자 본체의 개폐 힌지에 연결되어 상하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립형 절연 단자대의 단자 손잡이는, 절연 덮개의 면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단부에는 절연 단자 볼트에 통전을 위하여 연결된 케이블을 결속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절연 단자너트가 형성되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립형 절연 단자대의 아크방지용 측벽은, 바닥면의 판재 쪽으로 일부 면의 길이를 연장하여 백 패널에 끼움 결합되는 측벽 스커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은, 단자대부, 상단부, TR 내장부 및 이동수단를 포함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자대부가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를 일 측면에는 상기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연결하여 수전하도록 함몰 경사지게 형성된 입력단과, 상기 입력단을 제외한 타 측면에는 출력 전원이 부하별로 분기되도록 다 수개 형성된 출력단을 가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대부의 입력단은,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3상 케이블이 결속되는 3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와, 상기 독립형 절연 단자대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가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대부의 출력단은,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출력하는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와, 독립형 절연 단자대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를 포함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대부의 입력단에 인가된 AC 480V(3P, 3W) 전기는, 인가된 AC 480V(3P, 3W) 그대로 출력되거나, 상 및 전압의 변환을 거쳐서 각각 AC 380/220V(3P, 4W) 및 AC 220V(1P, 2W)로 출력되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대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은, 각각 접지 케이블을 결속하기 위한 접지 단자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대부의 입력단의 좌 우 측면에는, 수직형 장방형의 함몰부에 멀티 2구 출력 콘센트와,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는 차단기가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단부가 단자대부의 상단에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뚜껑모양으로 결합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단부에는,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의 상부에는 입출력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는 케이블 바구니와, 상기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 본체를 인양할 수 있는 인양 고리를 가지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R 내장부는, 입력단과 출력단의 중간에 위치하여, 입력단으로부터 인입된 전기를 변압기를 통해 변압하여 출력단으로 공급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수단은,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를 싣고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견인 손잡이가 부착된 카트바퀴 형태인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은, 단자대부, 상단부, TR 내장부, 이동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다른 특징은, 외함이 기기가 취부되는 전면 및 그 외의 면은 두께 1.5mm 이상의 SUS 304 스테인레스 강판을 사용하며, 외함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적층식으로 구성된다. 내부에는 입력단과 출력단의 케이블이 결속되어지는 밀집형 단자대가 나열되어 있고, 케이블은 상하로 통하는 중앙 케이블 연결통로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며, 독립형 절연 단자대가 부착되는 백 패널은 투명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또 다른 특징은, 단자대부가, 수직형 다면함체의 중간부의 일 측면에는,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연결하여 수전하도록 함몰 경사지게 형성된 입력단과, 입력단을 제외한 타 측면에는, 출력 전원이 부하별로 분기되도록 함몰 경사지게 형성된 다 수개의 출력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의 입력단은,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3상 케이블이 결속되는 3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와, 상기 독립형 절연 단자대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가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MCCB 3P 10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의 출력단은,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출력하는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와, 독립형 절연 단자대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입력단에 인가된 AC 480V(3P, 3W) 전기는, 출력단으로 출력될 때, 인가된 AC 480V(3P, 3W) 그대로 출력되거나, 상 및 전압의 변환을 거쳐서 각각 AC 380/220V(3P, 4W) 및 AC 220V(1P, 2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단부는, 분전함 외함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정면에는 AC 480V(3P, 3W) 출력단(120)이 위치하고, 좌측면에는 AC 380/220V(3P, 4W) 출력단이 위치하고, 우측면에는 AC 220V(1P, 2W) 출력단이 위치하고, 뒷면에는 AC 480V(3P, 3W) 입력단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또 다른 특징은, 상단부가 단자대부의 상단에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뚜껑 모양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단부는, 다수 개의 멀티 2구 출력 콘센트(220)와,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ELCB 2P 20A) 및, 상기 수직형 다면함체를 인양할 수 있는 인양 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2구 출력 콘센트(16A 220V)는, 수동 또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업/다운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또 다른 특징은, TR 내장부가 단자대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입력단으로부터 인입된 전기를 내부의 변압기(건식 30kVA D-Y)를 통해 변압하여 출력단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TR 내장부는, 입력단 및 출력단의 접지 케이블을 결속하는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가 설치된 함몰 경사지게 형성되는 접지 단자대를 포함하고, 외함은 공기 순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또 다른 특징은, 이동수단이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를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의 하부에 부착되는 캐스터 바퀴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또 다른 특징은, 독립형 절연 단자대가 단자볼트, 절연 단자 본체, 절연 덮개, 절연 단자너트 및 단자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의 단자볼트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 또는 부하 케이블이 연결되어 통전 되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선 환형 압착단자가 없는 케이블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홀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의 절연 단자 본체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중심부에 상기 단자볼트가 끼워지는 홀이 있는 사각형 판재가 있고, 상기 사각형 판재를 바닥면으로 삼 면이 일체로 된 측벽을 이루고, 상기 삼 면 중 마주보는 양 면은 아크방지용 측벽을 형성하고, 개구 면과 대향되는 측벽의 단부에는 개폐 힌지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의 절연 덮개는, 절연 단자 본체의 개폐 힌지에 연결되어 상하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의 단자 손잡이는, 절연 덮개의 면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단부에는 절연 단자 볼트에 통전을 위하여 연결된 케이블을 결속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절연 단자너트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의 아크방지용 측벽은, 바닥면의 판재 쪽으로 일부 면의 길이를 연장하여 백 패널에 끼움 결합되는 측벽 스커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 여러 개를 한 곳에 배치할 때에는, 인입 또는 출력 전선의 수(W)에 따라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군(群)을 형성하며, 각 상(P)별로 구분되는 색상(적, 백, 청, 흑)으로 표시하고 각 상을 나타내는 R, S, T, N 글씨를 각인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 부근에는 전력인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램프를 설치하되, 각 회로별 차단기가 ON되면 그 회로에 해당되는 램프가 각 상별로 ON되도록 하고, 차단기가 OFF되면 램프가 OFF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차단기가 ON되었음에도 램프가 켜지지 않는 경우, 회로의 해당 상별 전력 인가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은, 단자대부, 상단부, TR 내장부 및 이동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다른 특징은, 단자대부가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를 일 측면에는 상기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연결하여 수전하도록 함몰 경사지게 형성된 입력단과, 상기 입력단을 제외한 타 측면에는 출력 전원이 부하별로 분기되도록 다 수개 형성된 출력단을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의 입력단은,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3상 케이블이 결속되는 3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와, 상기 독립형 절연 단자대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가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의 출력단은,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출력하는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와, 독립형 절연 단자대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의 입력단에 인가된 AC 480V(3P, 3W) 전기는, 인가된 AC 480V(3P, 3W) 그대로 출력되거나, 상 및 전압의 변환을 거쳐서 각각 AC 380/220V(3P, 4W) 및 AC 220V(1P, 2W)로 출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은, 각각 접지 케이블을 결속하기 위한 접지 단자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의 입력단의 좌 우 측면에는, 수직형 장방형의 함몰부에 멀티 2구 출력 콘센트와,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는 차단기가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 여러 개를 한 곳에 배치할 때에는, 인입 또는 출력 전선의 수(W)에 따라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군(群)을 형성하며, 각 상(P)별로 구분되는 색상(적, 백, 청, 흑)으로 표시하고 각 상을 나타내는 R, S, T, N 글씨를 각인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 부근에는 전력인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램프를 설치하되, 각 회로별 차단기가 ON되면 그 회로에 해당되는 램프가 각 상별로 ON되도록 하고, 차단기가 OFF되면 램프가 OFF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차단기가 ON되었음에도 램프가 켜지지 않는 경우, 회로의 해당 상별 전력 인가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또 다른 특징은, 상단부가 단자대부의 상단에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뚜껑모양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단부에는,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의 상부에는 입출력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는 케이블 바구니와, 상기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 본체를 인양할 수 있는 인양 고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또 다른 특징은, TR 내장부는, 입력단과 출력단의 중간에 위치하여, 입력단으로부터 인입된 전기를 변압기를 통해 변압하여 출력단으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또 다른 특징은, 이동수단은,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를 싣고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견인 손잡이가 부착된 카트바퀴 형태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은 이동형으로서 작업현장의 근접한 장소에 배치가 가능함으로서, 사용부하를 적절히 분산할 수 있고 과도한 이동 전선의 연장 사용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은 작업현장에 신속한 투입이 가능함으로서, 임시 또는 일시 사용을 위한 고정형 분전반의 과도하게 설치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하여 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전원 출력단을 AC 480V(3P, 3W), AC 380/220V(3P, 4W) 및 AC 220V(1P, 2W)와 같이 다양하게 분전이 가능함으로서, 작업현장에서 사용 전력에 대한 대응 능력이 뛰어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는 부하 회로별로 차단기를 적용함으로서, 부하 회로의 이상으로부터 중요 설비 및 시설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는, 절연 단자 본체를 합성수지 절연재를 사용하고, 아크방지용 측벽 및 측벽 스커트부를 일체로 형성하며, 측벽 스커트부를 백 패널에 끼워 맞춤 결합함으로서, 종전의 절연 단자대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결합방식이 쉽고, 전문 작업자가 아니라도 설치가 용이하고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의 단자볼트에는 케이블 홀이 형성되어, 전선 단말에 환형 압착단자가 없는 케이블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는 상 분리가 되어 있고, 절연 단자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어 체결 및 해제 작업 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절연 단자 손잡이를 사용하므로 편리하고 전기 안전성이 매우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단자대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자대부의 입력단을 보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 ~ 8은 본 발명의 단자대부의 각각의 출력단을 보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상단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TR 내장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접지 단자단을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2 (a, b)는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의 측벽 스커트부가 백 패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함 모양의 수직형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로 된 이동형 전원 분전반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내부를 보이는 개략적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내부 입체 구성도이다.
도 18은 외함의 수직면에 설치된 입력단과 출력단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정면 입체도이다.
도 20(a, b)는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작업 시작 공정도 및 작업 완료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 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 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 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단자대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단자대부의 입력단을 보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6 ~ 8은 본 발명의 단자대부의 각각의 출력단을 보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상단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TR 내장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접지 단자단을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12 (a, b)는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의 측벽 스커트부가 백 패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결합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로 된 이동형 전원 분전반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내부를 보이는 개략적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내부 입체 구성도이며, 도 18은 외함의 수직면에 설치된 입력단과 출력단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입체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정면 입체도이며, 도 20(a, b)는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작업 시작 공정도 및 작업 완료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부하별로 분기하는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제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10)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은, 단자대부(100), 상단부(200), TR 내장부(300), 이동수단(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외함(10)은 두께 1.5mm 이상의 SUS 304 스테인레스 강판을 사용하며, 하부로부터 상부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내부에는 입력단(110)과 출력단(120)의 전원 케이블이 결속되어지는 밀집형 단자대(102)가 나열되어 있고 상하로 통하는 중앙 케이블 연결통로(104)로 전원 케이블이 단자대부(100)와 TR 내장부(300)의 각종 기기와 연결되며,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가 부착되는 백 패널(105)은 소정의 강도와 두께를 가지는 반투명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단자대부(100)는, 수직형 다면함체(10)의 중간부의 수직 측면에,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연결하여 수전하도록 형성된 입력단(110)과, 입력단(110)을 제외한 타 측면에는, 출력 전원이 부하별로 분기되도록 형성된 다 수개의 출력단(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100)는, 입력단(110) 및 출력단(120)의 각 단자대를 취부한 면이 분전반의 외함(1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함몰되고, 단자대 면이 위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전원 케이블 착, 탈 작업이 수월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100)의 입력단(110)은,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3상 케이블이 결속되는 3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와, 상기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가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103; MCCB 3P 10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입력단(110)에 인가된 AC 480V(3P, 3W) 전기는, 출력단(120)으로 출력될 때, 인가된 AC 480V(3P, 3W) 그대로 출력되거나, 상 및 전압의 변환을 거쳐서 각각 AC 380/220V(3P, 4W) 및 AC 220V(1P, 2W)로 출력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100)의 출력단(120)은, 입력단(110)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출력하는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와,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출력단(120)의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군(群)에 적용되는 차단기(103)는, AC 480V(3P, 3W) 출력 단자대에는 차단기 ELCB 3P 75A가 적용되어 과부하 및 누전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AC 380/220V(3P, 4W) 출력단에는 차단기 MCCB 4P 50A가 적용되어 과부하를 차단하고 , AC 220V(1P, 2W) 출력단에는 차단기 ELCB 2P 40A가 적용되어 과부하 및 누전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여러 개를 한 곳에 배치할 때에는, 인입 또는 출력 전선의 수(W)에 따라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군(群)을 형성하며, 각 상(P)별로 구분되는 색상(적, 백, 청, 흑)으로 표시하고 각 상을 나타내는 R, S, T, N 글씨를 각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입력단(110)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부근에 설치되는 LED 램프(106)는 차단기(103; MCCB 3P 100A)의 ON/OFF에 관계없이 항상 LED 램프(106)가 ON 되도록 설치되어,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통전되고 있음을 인지하여 전기사고가 예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출력단(120)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부근에는 전력인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LED 램프(106)를 설치하되, 각 회로별 차단기가 ON되면 그 회로에 해당되는 LED 램프(106)가 각 상별로 ON되도록 하고, 차단기가 OFF되면 LED 램프(106)가 OFF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차단기가 ON되었음에도 LED 램프(106)가 켜지지 않는 경우, 회로의 해당 상별 전력 인가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단부(100)는, 분전함 외함(10)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정면에는 AC 480V(3P, 3W) 출력단(120)이 위치하고, 좌측면에는 AC 380/220V(3P, 4W) 출력단(120)이 위치하고, 우측면에는 AC 220V(1P, 2W) 출력단(120)이 위치하고, 뒷면에는 AC 480V(3P, 3W) 입력단(110)을 배치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100)의 입력단(110) 및 출력단(120)의 상부에는, 상(P), 선수(W), 전압(V)을 나타내는 명판을 붙여서 입출력 전원 표시를 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상단부(200)는, 단자대부(100)의 상단에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10)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뚜껑 모양으로 하되, 분전함 외함(10) 보다 조금 넓게 차양부(230)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단부(200)는, 다수 개의 멀티 2구 출력 콘센트(220)와,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103; ELCB 2P 20A) 및, 상기 수직형 다면함체(10)를 인양할 수 있는 인양 고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2구 출력 콘센트(220; 16A 220V)는, 수동 또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업/다운이 가능하도록 매립 형으로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TR 내장부(300)는 단자대부(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입력단(110)으로부터 인입된 전기를 내부의 변압기(310; 건식 30kVA 480-380/220V D-Y권선)를 통해 변압하여 출력단(120)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TR 내장부(300)는, 입력단(110) 및 출력단(120)의 접지 케이블을 결속하는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가 외함(10)의 일면에 함몰 경사지게 설치되는 접지 단자대(320)를 포함하고, 접지 단자대(320)가 위치한 면을 제외한 외함(10)의 3면에는 공기 순환이 가능한 다수 개의 슬릿(330)이 형성되어 변압기(310)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접지 단자대(320)에 취부되는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군(群)은 색상을 녹색으로 표시하여 접지 단자임을 알리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이동수단(400)은,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10)를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10)의 하부에 부착되는 캐스터 바퀴(401)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2 및 도 13에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는, 단자볼트(153), 절연 단자 본체(150), 절연 덮개(151), 절연 단자너트(156) 및 단자 손잡이(1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의 단자볼트(153)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 또는 부하 케이블이 연결되어 통전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단자볼트(153)에는, 전선 환형 압착단자가 없는 순수 전원 케이블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홀(1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의 절연 단자 본체(15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중심부에 상기 단자볼트(153)가 끼워지는 홀이 있는 사각형 판재와, 상기 사각형 판재를 바닥면으로 할 때, 삼 면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측벽을 이루고, 상기 삼 면 중 마주보는 양 면은 아크방지용 측벽(154)을 형성하고, 개구 면과 대향되는 측벽의 단부에는 개폐 힌지(152)가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의 절연 덮개(151)는, 절연 단자 본체(150)의 개폐 힌지(152)에 연결되어 상하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의 단자 손잡이(157)는, 절연 덮개(151)의 면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단부에는 절연 단자 볼트(153)에 통전을 위하여 연결된 케이블을 결속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절연 단자너트(156)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의 아크방지용 측벽(154)에는, 바닥면의 사각형 판재가 백 패널(105)에 결합될 때, 백 패널(105)에 끼워 맞춤 될 수 있도록 일부 측벽의 길이를 연장한 측벽 스커트부(158)가 형성되어진다.
이 때, 본 발명의 측벽 스커트부(158)를 포함한 절연 단자 본체(150)는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고, 단자 손잡이(157)가 있는 절연 덮개(151)가 저절로 덮이도록 절연덮개(151)가 절연 단자 본체(150)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구 면이 아래로 향하여 전원 케이블의 결속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부착된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은, 단자대부(100'), 상단부(200'), TR 내장부(300') 및 이동수단(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단자대부(100')는,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를 일 측면에는 상기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연결하여 수전하도록 형성된 입력단(110')과, 상기 입력단(110')을 제외한 타 측면에는 출력 전원이 부하별로 분기되도록 다 수개 형성된 출력단(120')을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100')의 입력단(110')은,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3상 케이블이 결속되는 3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와, 상기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가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103; MCCB 3P 10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100')의 출력단(120')은, 상기 입력단(110')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출력하는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와, 상기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100')의 입력단(110')에 인가된 AC 480V(3P, 3W) 전기는, 인가된 AC 480V(3P, 3W) 그대로 출력되거나, 상 및 전압의 변환을 거쳐서 각각 AC 380/220V(3P, 4W) 및 AC 220V(1P, 2W)로 출력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출력단(120')의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군(群)에 적용되는 차단기(103)는, AC 480V(3P, 3W) 출력단에는 차단기 ELCB 3P 75A가 적용되어 과부하 및 누전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AC 380/220V(3P, 4W) 출력단에는 차단기 MCCB 4P 50A가 적용되어 과부하를 차단하고 , AC 220V(1P, 2W) 출력단에는 차단기 ELCB 2P 40A가 적용되어 과부하 및 누전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여러 개를 한 곳에 배치할 때에는, 인입 또는 출력 전선의 수(W)에 따라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군(群)을 형성하며, 각 상(P)별로 구분되는 색상(적, 백, 청, 흑)으로 표시하고 각 상을 나타내는 R, S, T, N 글씨를 각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입력단(110')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부근에 설치되는 LED 램프(106)는 차단기(103; MCCB 3P 100A)의 ON/OFF에 관계없이 항상 LED 램프(106)가 ON 되도록 설치되어,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통전되고 있음을 인지하여 전기사고가 예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출력단(120')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부근에는 전력인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LED 램프(106)를 설치하되, 각 회로별 차단기가 ON되면 그 회로에 해당되는 LED 램프(106)가 각 상별로 ON되도록 하고, 차단기가 OFF되면 LED 램프(106)가 OFF되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차단기가 ON되었음에도 LED 램프(106)가 켜지지 않는 경우, 회로의 해당 상별 전력 인가에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100')의 입력단(110') 및 출력단(120')은, 각각 접지 케이블을 결속하기 위한 접지 단자대(3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100')의 입력단(110')의 좌 우 측면에는, 수직형 장방형의 함몰부에 멀티 2구 출력 콘센트(220')와,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는 차단기(103; ELCB 2P 20A)가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상단부(200')는, 단자대부(100')의 상단에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뚜껑모양으로 하되, 분전함 외함(10') 보다 조금 넓게 차양부(230')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자대부(100')의 입력단(110') 및 출력단(120')의 상부에는, 상(P), 선수(W), 전압(V)을 나타내는 명판을 붙여서 입출력 전원표시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단부(200')에는,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의 상부에는 입출력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는 케이블 바구니(403)와, 상기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 본체를 인양할 수 있는 인양 고리(24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TR 내장부(300')는, 입력단(110')과 출력단(120')의 중간에 위치하여, 입력단(110')으로부터 인입된 전기를 변압기(310')를 통해 변압하여 출력단(120')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TR 내장부(300')의 외함(10')의 양면에는 공기 순환이 가능한 다수 개의 슬릿(330')이 형성되어 변압기(310')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이동수단(400)은,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를 싣고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견인 손잡이(404)가 부착된 카트바퀴(402)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점반의 작업시작 및 작업완료 공정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a)는 작업 시작 공정도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을 현장으로 이동하여 셋업을 하면서 시작한다.
(1) 모든 차단기 OFF,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초기화 및 확인
(2) 전력 공급 분전반으로부터 전력선 연결 및 전력 인입
(3)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의 주 전원 LAMP 정상 확인 및 차단기 ON, 전력공급
(4) 사용할 출력 단자부의 차단기를 작동시켜 LAMP가 정상 인가
(5) LAMP 혹은 출력에 이상이 있는 경우 수리 및 점검 또는 교체
(6) 사용할 작업 전력선을 연결
(7) 사용할 출력 단자부의 차단기 ON, 전력공급
(8) 추가로 작업 전력선 연결이 필요한지 아닌지
(9) 추가 연결을 위해 차단기 OFF
(10) 사용할 출력 단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업 시작
도 20(b)는 작업 완료 공정도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작업 완료 공정은 현장에 셋업된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에서 시작한다.
(1) 작업완료, 적력 사용 완료 확인
(2) 모든 차단기 OFF
(3) 외부 전력선을 연결 해제 및 분리
(4) 작업한 전력선을 연결 해제 및 분리
(5) 지정 장소에 보관하여 유지, 관리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은 이동형으로 작업 현장의 근접한 장소에 배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부하를 적절히 분산할 수 있고 과도한 이동 전선의 연장 사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은 작업현장에 신속한 투입이 가능하여, 임시 또는 일시 사용을 위한 고정형 분전반의 과도하게 설치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원 출력단(120, 120')을 AC 480V(3P, 3W), AC 380/220V(3P, 4W) 및 AC 220V(1P, 2W)와 같이 다양하게 분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현장에서 사용 전력에 대한 대응 능력이 뛰어나다.
그리고 입력단(110, 110') 및 출력단(120, 120')에 부하 회로별로 차단기(103)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부하 회로의 이상으로부터 중요 설비 및 시설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는, 절연 단자 본체(150)를 합성수지 절연재를 사용하고, 측벽 스커트부(158)가 포함된 아크방지용 측벽(154)을 일체로 형성하며, 측벽 스커트부(158)를 백 패널(105)에 끼워 맞춤 결합하였다. 따라서 종전의 절연 단자대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결합방식이 쉬워 전문 작업자가 아니라도 설치가 용이하고 효과가 뛰어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의 단자볼트(153)에는 케이블 홀(15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의 단말에 환형 압착단자가 없는 케이블을 쉽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는 상 분리가 되어 있고, 절연 단자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어 체결 및 해제 작업 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절연 단자 손잡이를 사용하므로 편리하고 전기 안전성이 매우 높다.
10 : 수직형 직육면체(일명: 외함)
10' : 수평형 직육면체(일명: 외함)
100, 100' : 단자대부
102 : 밀집형 단자대
103 : 차단기
104 : 중앙 케이블 연결통로
105 : 백 패널
106 : LED 램프
110, 110' : 입력단
120, 120' : 출력단
140 : 독립형 절연 단자대
150 : 절연 단자 본체
151 : 절연 덮개
152 : 개폐힌지
153 : 절연 단자 볼트
154 : 아크방지용 측벽
155 : 케이블 홀
156 : 절연 단자 너트
157 : 단자 손잡이
158 : 측벽 스커트
200, 200' : 상단부
220, 220' : 출력 콘센트
230, 230' : 차양부
240 : 인양 고리
300, 300' : TR 내장부
310, 310' : 변압기
320, 320' : 접지 단자대
330, 330' : 슬릿
400 : 이동수단
401 : 캐스터 바퀴
402 : 카트 바퀴
403 : 케이블 바구니
404 : 견인 손잡이

Claims (12)

  1.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부하별로 분기하는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10)의 이동형 전원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직형 직육면체(10)의 중간부의 수직 일 측면에는, 상기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연결하여 수전하도록 함몰 경사지게 형성된 입력단(110)과, 상기 입력단(110)을 제외한 수직 타 측면에는, 출력 전원이 부하별로 분기되도록 함몰 경사지게 형성된 다 수개의 출력단(120)을, 가지는 단자대부(100);
    상기 단자대부(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10)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뚜껑 모양으로 형성되는 상단부(200);
    상기 단자대부(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입력단(110)으로부터 인입된 전기를 내부의 변압기(310)를 통해 변압하여 상기 출력단(120)으로 공급하는 TR 내장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부(200)는, 다수 개의 멀티 2구 출력 콘센트(220)와,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103) 및, 상기 수직형 직육면체(10)를 인양할 수 있는 인양 고리(240)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 2구 출력 콘센트(220)는, 업/다운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2.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부하별로 분기하는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의 이동형 전원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를 수직 일 측면에는 상기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을 연결하여 수전하도록 함몰 경사지게 형성된 입력단(110')과, 상기 입력단(110')을 제외한 수직 타 측면에는 출력 전원이 부하별로 분기되도록 다 수개 함몰 경사지게 형성된 출력단(120')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지는 단자대부(100');
    상기 단자대부(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뚜껑모양으로 형성되는 상단부(200');
    상기 입력단(110')과 출력단(120')의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입력단(110')으로부터 인입된 전기를 변압기(310')를 통해 변압하여 상기 출력단(120')으로 공급하는 TR 내장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단(110')의 좌 우 측면에는, 수직 장방형의 함몰부에 멀티 2구 출력 콘센트(220')와,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는 차단기(103)가 설치되며,
    상기 상단부(200')에는,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의 상부에는 입출력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는 케이블 바구니(403)와, 상기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 본체를 인양할 수 있는 인양 고리(24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부(100, 100')의 입력단(110, 110')은, 상기 고정형 분전반으로부터 인입되는 3상 케이블이 각각 결속되는 3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와, 상기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가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103)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대부의 출력단(120, 120')은, 상기 입력단(110, 110')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출력하는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와, 상기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 군(群)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기적 과부하 및 누전 발생 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차단기(103)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단(110, 110')에 인가된 AC 480V(3P, 3W) 전기가 상기 출력단(120, 120')으로 출력될 때, 상기 인가된 AC 480V(3P, 3W) 그대로 출력되거나, 상(P) 및 전압의 변환을 거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P) 및 전압의 변환을 거쳐 다수 개의 출력단(120, 120')으로 출력될 때, AC 380V(3P, 4W) 또는 AC 220V(3P, 4W) 및 AC 220V(1P, 2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TR 내장부(300)는, 입력단(110) 및 출력단(120)의 접지 케이블을 결속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로 형성되는 접지 단자대(3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10) 또는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를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동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수단(400)은, 함 모양의 수직형 직육면체(10)의 하부에 부착되는 캐스터 바퀴(401) 형태이거나, 상기 함 모양의 수평형 직육면체(10')를 싣고 이동할 수 있는 카트바퀴(402)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8. 삭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110') 및 출력단(120')은, 각각 접지 케이블을 결속하기 위한 접지 단자대(3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절연 단자대(140)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 케이블 또는 부하 케이블이 연결되어 통전 되도록 형성되는 단자볼트(153);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중심부에 상기 단자볼트(153)가 끼워지는 홀이 있는 사각형 판재와, 상기 사각형 판재를 바닥면으로 했을 때, 삼 면이 소정의 두께로 된 측벽을 이루고, 상기 삼 면 중 마주보는 양 면은 아크방지용 측벽(154)을 형성하고, 개구 면과 대향되는 측벽의 단부에는 개폐 힌지(152)가 형성되는 절연 단자 본체(150);
    상기 절연 단자 본체(150)의 개폐 힌지(152)에 연결되어 상하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절연 덮개(151);
    상기 절연 덮개(151)의 면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단부에는 절연 단자 볼트(153)에 통전을 위하여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을 결속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절연 단자너트(156)가 형성되어 있는 단자 손잡이(1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자볼트(153)에는, 환형 압착단자가 없는 케이블을 쉽게 결속할 수 있는 케이블 홀(15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아크방지용 측벽(154)은, 상기 바닥면으로 한 사각형 판재가 백 패널(105)에 결합될 때, 백 패널(105)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일부 측벽의 길이를 연장하여 형성한 측벽 스커트부(15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KR1020160020970A 2016-02-23 2016-02-23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KR10162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970A KR101620804B1 (ko) 2016-02-23 2016-02-23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970A KR101620804B1 (ko) 2016-02-23 2016-02-23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804B1 true KR101620804B1 (ko) 2016-05-23

Family

ID=56104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970A KR101620804B1 (ko) 2016-02-23 2016-02-23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80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564B1 (ko) 2017-05-19 2017-07-27 진정화 이동형 멀티전원 분전반 확장 단자대
KR20180012070A (ko) 2016-07-26 2018-02-0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로컬 분전반
KR102085661B1 (ko) * 2019-11-07 2020-03-06 진정화 이동형 미니 분전반
KR20200079648A (ko) 2018-12-26 2020-07-06 (주)21세기소방 소방용 함체
KR102261423B1 (ko) * 2021-02-01 2021-06-04 진정화 전원 분전반용 상 독립형 절연손잡이 조임 단자대
KR20230049593A (ko) * 2020-04-08 2023-04-13 (주)다온이엔지 자성 받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969B1 (ko) 2015-09-21 2015-12-16 진정화 다기능 아크 보호용 분전반 및 그 운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969B1 (ko) 2015-09-21 2015-12-16 진정화 다기능 아크 보호용 분전반 및 그 운전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070A (ko) 2016-07-26 2018-02-05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로컬 분전반
KR101955360B1 (ko) * 2016-07-26 2019-05-3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로컬 분전반
KR101762564B1 (ko) 2017-05-19 2017-07-27 진정화 이동형 멀티전원 분전반 확장 단자대
KR20200079648A (ko) 2018-12-26 2020-07-06 (주)21세기소방 소방용 함체
KR102085661B1 (ko) * 2019-11-07 2020-03-06 진정화 이동형 미니 분전반
KR20230049593A (ko) * 2020-04-08 2023-04-13 (주)다온이엔지 자성 받침 장치
KR102651671B1 (ko) 2020-04-08 2024-03-27 (주)다온이엔지 자성 받침 장치
KR102261423B1 (ko) * 2021-02-01 2021-06-04 진정화 전원 분전반용 상 독립형 절연손잡이 조임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804B1 (ko) 이동형 멀티 전원 분전반
US10535982B2 (en) Meter socket adapter with integral automatic transfer switch
US20070230094A1 (en) Integrated, self-contained power distribution system
US8292657B2 (en) Portable electrical power box
US20120228096A1 (en) Interlock device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ard
KR200428102Y1 (ko) 패널변압기 내장형 배전반
KR102085661B1 (ko) 이동형 미니 분전반
KR101762564B1 (ko) 이동형 멀티전원 분전반 확장 단자대
JP3386808B2 (ja) 配電装置
CN102136745B (zh) 用于可移动音频和通讯设备带充电器电气暗装式安装设备
JP6608000B1 (ja) 天井板、地上設置型変圧装置及び地上設置型変圧装置の施工方法
US8971083B1 (en) Recreational vehicle transformer
KR101874988B1 (ko) 부하개폐기
KR20170024912A (ko) 슬라이딩 출몰식 제어 유니트가 적용된 전동기 제어반
US82926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emergency power
JP3521678B2 (ja) 高圧受電設備
US20140347791A1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and Conversion Assembly Suitable For Portable Work Platforms
JP4110411B2 (ja) 受変電設備
WO2019152338A2 (en) Portable electric vehicle charger
KR102235942B1 (ko)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
CN216564158U (zh) 一种核电sbo工况下使用的移动箱变车
CN214124344U (zh) 一种集成工业插座的专用型配电箱
GB2360884A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CN211701097U (zh) 航空配电箱
KR101837131B1 (ko) 통합모듈형 전자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