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747B1 -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 - Google Patents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747B1
KR101620747B1 KR1020140176135A KR20140176135A KR101620747B1 KR 101620747 B1 KR101620747 B1 KR 101620747B1 KR 1020140176135 A KR1020140176135 A KR 1020140176135A KR 20140176135 A KR20140176135 A KR 20140176135A KR 101620747 B1 KR101620747 B1 KR 101620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frame
steel plate
moving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7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 장치는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에서 이동하게 설치되는 이동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유닛에 연계되고, 소재에 접촉하고 클램핑하는 가압유닛; 및 상기 장치바디 또는 상기 이동유닛에 연계되어 이동하게 제공되고, 상기 소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냉각채널을 구비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장치바디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게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방열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방열유닛을 상기 소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제1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유닛을 상기 소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Apparatus for clamping to material and Endless roll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재를 고정하는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연연속 압연은 압연장치 또는 압연기에 연속적으로 슬래브 또는 강판(이하, 강판이라 함)을 공급하는 공정이다. 일반적인 열간 압연공정에서는 일차로 압연된 강판을 압연장치 또는 압연기의 직전에서 접합하여 공급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즉, 강판을 1매씩 압연하는 것이 아니라 강판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이송되도록 구성하고, 압연장치 또는 압연기의 입측에서 선행 이송되는 강판의 후단과 후행 이송되는 강판의 선단을 접합하여 연속적인 압연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강판의 접합은 대부분 접합장치에 의한 용접으로 수행되는데, 강판의 선단과 후단에 발생한 불량 또는 비정상 영역이 용접부에 포함되어 강판으로부터 탈락될 수 있으므로 품질에 대한 엄격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연연속 열간 압연의 경우 강판의 온도가 떨어지기 전에 압연이 종료되어야 하기 때문에 강판의 접합은 신속하게 수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접합된 강판이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연속 압연에 있어서 강판의 접합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판의 접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관련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3355호(2004.06.23.공개)
본 발명은 소재, 특히 연연속 압연에서 사용되는 강판을 고정하고 잡아주는 클램프(Clamp)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선행 이송되는 강판의 후단과 후행 이송되는 강판의 선단을 접합할 때, 접합부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강판의 연속적인 압연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장치는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에서 이동하게 설치되는 이동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유닛에 연계되고, 소재에 접촉하고 클램핑하는 가압유닛; 및 상기 장치바디 또는 상기 이동유닛에 연계되어 이동하게 제공되고, 상기 소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냉각채널을 구비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장치바디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게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방열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방열유닛을 상기 소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제1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유닛을 상기 소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방열유닛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소재에 접촉하게 제공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제1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에 연결되어 상기 소재에 대하여 상기 롤러부를 이동하되, 상기 소재에 대한 상기 롤러부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밸런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외주에는 제1기어부를 포함하는 구동빔;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에 맞물리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수직구동빔;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수직구동빔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소재에 대하여 회전 이동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외부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신장 또는 수축하게 제공되어,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밸런싱실린더; 및 상기 롤러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밸런싱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기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기는 강판을 이송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에 강판을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이송대 상에서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공급장치에 후행 배치되고, 상기 강판에 생성된 크롭을 제거하는 크롭제거장치;와, 상기 이송대 상에서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크롭제거장치에 후행 배치되는 압연장치;와, 상기 크롭제거장치와 상기 압연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선행 이송되는 강판의 후단과 후행 이송되는 강판의 선단을 접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접합장치; 및 상기 접합장치와 상기 압연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을 클램핑하는 상기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바디는 상기 이송대에 고정되거나, 상기 이송대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접합부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를 통하여 강판의 접합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그외에도 접합부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판의 접합부의 품질 및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하여 연연속 압연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장치의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장치의 제1이동부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의 공정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아울러, 이하에서 사용하는 강판은 어떠한 소재도 될 수 있으며, 상기 소재는 그 재질, 형상, 규격 등의 조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간결하고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상기 소재는 강판으로 지칭하도록 하며, 이는 본 발명의 클램핑 대상물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함께 밝혀 둔다.
도 1에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클램핑 장치(100)는 장치바디(10)와, 상기 장치바디에서 이동하게 설치되는 이동유닛(20) 및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유닛에 연계되고, 강판(1)에 접촉하고 클램핑하는 가압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치바디(10)의 입측으로는 강판(1)이 공급되며 이송되고, 이송되는 강판(1)의 규격, 재질 등을 고려하여 강판(1)의 폭 또는 두께에 맞추어 장치바디(10)의 입측을 구성하면 장치바디(10)의 입측에서 강판(1)이 정렬되어 진입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유닛(20)은 가압유닛(30)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유닛(30)을 이동시킨다. 가압유닛(30)을 상기 강판(1)의 상부에서 일정거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압유닛을 강판(1)에 접촉시키기도 하고, 비접촉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20)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유닛(30)을 이동시키면, 가압유닛(30)이 강판(1)의 상부에서 상기 강판과 형성하는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유닛(20)이 직접 가압유닛(30)에 연결되어 가압유닛(30)을 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바디(10) 또는 상기 이동유닛(20)에 연계되어 이동하게 제공되고, 상기 강판(1)의 상부에 배치되며 냉각채널을 구비하는 방열유닛(40)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3에 보이는 것처럼, 방열유닛(40)은 이동유닛(20)과 가압유닛(30)을 연결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고, 이외에도 냉각채널(41)로써의 워터재킷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냉각채널(41)은 장치바디(10) 및 상기 장치바디(10)에 설치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냉각을 위한 것으로서, 다른 주요 구성요소들의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냉각채널(41)은 워터재킷 이외에도 안전상의 문제가 없는 한 어떠한 냉각수단도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냉각채널(41)에 사용되는 냉매의 종류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방열유닛(40)은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복수개의 관통된 홀로 구비되는 냉각홈(42)을 구비할 수 있다. 냉각홈(42)에 의하면 방열유닛(40)의 하부에 설치된 냉각채널(41)에 의해 상기 방열유닛(40)의 상면까지 냉각효과를 볼 수 있다.
다만, 분명한 것은 상기 냉각채널(41)이 본 발명의 장치바디(10) 및 상기 장치바디에 설치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냉각하도록 구비함으로써 본 장치의 열에 의한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방열유닛(40)을 구비하게 되면, 상기 가압유닛(30)은 방열유닛(4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유닛(20)에 의해 강판(1)에 접촉 또는 비접촉하게 제공되는 롤러부(31)로 구비될 수 있다.
롤러부(31)는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이송되는 강판(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32)와, 상기 샤프트(32)에 평행하게 놓이는 롤러(34) 및 상기 샤프트(32)와 상기 롤러(34)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3)를 포함한다.
롤러(34)는 직접 강판(1)에 접촉하기 때문에 강판(1)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강판(1)에 접촉되는 롤러(34)의 외주면의 재질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특히, 강판(1)의 표면에 크랙 또는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롤러(34)의 외주면의 재질은 바람직하게 완충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롤러(34)와 샤프트(32)를 별도로 분리하여 샤프트(32)와 롤러(34)가 연결부재(33)로써 연결되도록 구비하면, 강판(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이동유닛(20)을 상기 롤러(34)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닌, 샤프트(32)에 직접 연결하게 되면 이동유닛(20)으로부터 가해지는 힘 또는 진동이 롤러(34)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강판(1)에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강판(1)의 표면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선술한 이동유닛(20)은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상기 방열유닛(40)에도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롤러부(31)의 샤프트(32)에도 연결될 수 있다.
즉, 이동유닛(20)은 장치바디(10)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21)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부재(23a)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동모터(23)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게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방열유닛(40)에 연결되어 상기 방열유닛을 강판(1)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22) 및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제1이동부(22)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31)의 샤프트(32)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34)를 강판(1)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29)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동부(22)는 방열유닛(40)에 연결되어 상기 방열유닛(40)을 이동시킴으로써, 방열유닛(40)과 강판(1)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부(22)는 방열유닛(40) 및 상기 롤러부(31)의 샤프트(32)에 연결되어 강판(1)에 대하여 샤프트(32) 및 롤러(34)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롤러(34)와 강판(1)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이동부(22)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터(23)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외주에는 제1기어부(24a)를 포함하는 구동빔(24)과, 상기 지지프레임(21)에 설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24a)에 맞물리는 제2기어부(25a)를 포함하는 수직구동빔(25)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모터(23)는 필요에 따라 감속기(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고, 인버터모터, 스텝모터 등 종래 기술에 의해 널리 알려진 다양한 모터가 선택될 수 있고 그 종류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제1기어부(24a)는 도 1에 보이는 것처럼, 구동모터(23)의 회전축에 커플링(미도시) 결합된 구동빔(24)의 외주에 장착되는 피니언기어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부(24)는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려서 구동되는 랙기어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구동모터(23)의 회전운동을 수직구동빔(25)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면 웜 기어를 비롯한 그 어떤 수단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수직구동빔(25)에서 제2기어부(25a)가 형성되는 영역을 조절함으로써 수직구동빔(25)의 직선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방법으로 상기 수직구동빔(25)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방열유닛(4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수직구동빔(25)의 하단부에는 보조결합부재(62)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결합부재(62)의 일측은 수직구동빔(25)의 하단부에 보조힌지(61)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결합부재(62)의 타측은 제2힌지부(60)에 의해 상기 방열유닛(40)에 결합된다.
아울러, 도 4에 보이는 것처럼 방열유닛(40)은 상기 지지프레임(21)에 고정축(4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축(43)은 상기 지지프레임(21)의 일측에 마련된 이동홈(44)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홈(44) 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는, 상기 방열유닛(40)이 상기 보조힌지(61) 및 상기 제2힌지부(60)에 의해 강판(1)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보조힌지(61) 및 제2힌지부(60)를 구성하면, 제2이동부(29) 및 후술하는 밸런싱부(26)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방열유닛(40) 및 가압유닛(30)을 상기 강판(1)에 대하여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먼저, 제2이동부(29)는 지지프레임(21) 또는 상기 제1이동부(22)에 연계되게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21)에 몸체가 고정되는 실린더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부(29)는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지지프레임(21)에 실린더몸체(29a)가 결합되고, 실린더로드(29b)는 신장 또는 수축하게 제공되되, 상기 실린더로드(29b)의 단부에는 로드연결부재(29c)가 제공되어 상기 로드연결부재(29c)는 롤러부(31)의 샤프트(3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일정 동력(예를 들면,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실린더로드(29b)의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면 가압유닛(30)에 힘이 가해지게 되고, 상기 가압유닛(30)에 결합된 방열유닛(40)에도 함께 힘이 가해지게 된다.
그러면, 선술한 보조힌지(61) 및 제2힌지부(60)가 힘을 받으면서 방열유닛(40)이 강판(1)의 상부에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강판(1)의 길이방향으로 롤러(34)의 위치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롤러(34)가 강판(1)의 접합부(미도시)에 근접하여 있지 않다 하더라도, 롤러(34)를 상기 강판(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합부(미도시) 주변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로드연결부재(29c)와 상기 롤러부(31)의 샤프트(32)의 결합 역시 힌지를 사용하면 상기 롤러부(31)가 상기 방열유닛(40)에 대하여 회전 운동하게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도 3에 보이는 것처럼 가압유닛의 하부에 곡선부(35)를 함께 마련하여 두면 강판(1)의 표면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부(35)의 재질 또한 완충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선술한 밸런싱부(26)는 도 1에 보이는 것처럼, 상기 지지프레임(21)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피스톤로드가 신장 또는 수축하게 제공되는 제1밸런싱실린더(27) 및 제2밸런싱실린더(28)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상기 제1,2밸런싱실린더(27,28) 또한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각각 제1로드연결부재(27a) 및 제2로드연결부재(28a)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로드연결부재(27a,28a)는 도 3에 보이는 것처럼 제1힌지부(50)에 의해 방열유닛(4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2로드연결부재(27a,28a)는 선술한 것처럼 방열유닛(40)에 연결될 수도 있고, 직접 상기 롤러부(31)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롤러부(31)가 상기 방열유닛(40)에 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제1,2로드연결부재(27a,28a)를 방열유닛(40)의 단부에 연결하여도 상기 제1,2밸런싱실린더(27,28)의 동작에 의해 롤러부(31)가 함께 이동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선술한 것처럼, 제1힌지부(50), 제2힌지부(60) 및 보조힌지(61)를 구비하여, 상기 방열유닛(40) 및 상기 가압유닛(30)이 강판(1)에 대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하면 이동 지점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고, 섬세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강판(1)을 보다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밸런싱부(26)는 상기 지지프레임(21) 또는 상기 제1이동부(22)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31)에 연결되어 강판(1)에 대하여 상기 롤러부(31)를 이동하되, 상기 강판(1)에 대한 롤러부(31)의 수평도를 조절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보이는 것처럼 가압유닛(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밸런싱실린더(27)와, 가압유닛(3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밸런싱실린더(28)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단부에는 각각 제1로드연결부재(27a) 및 제2로드연결부재(28a)가 구비되어 가압유닛(30)에 연결된다.
이는 가압유닛(30)에서 강판(1)에 직접 접촉하는 롤러(34)가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강판(1)에 접촉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2밸런싱실린더(27,28)의 피스톤로드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강판(1)에 대한 롤러(34)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밸런싱실린더(27,28)는 각각 별개로 제어될 수 있고, 외부 유압공급수단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실린더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유압 이외에도 공압 등의 다양한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밸런싱부(26)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가압유닛(30)의 전면이 균일하게 강판(1)에 동시에 접촉하기 때문에, 강판(1)의 일측에 클램핑력이 과도하게 집중되거나, 클램핑력이 편심되게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의 본 발명은 상기 클램핑 장치(100)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를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기는 강판(1)을 이송하는 이송대(200)와, 상기 이송대에 강판을 공급하는 공급장치(300)와, 상기 이송대 상에서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공급장치(300)에 후행 배치되고, 상기 강판에 생성된 크롭을 제거하는 크롭제거장치(400)와, 상기 이송대 상에서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크롭제거장치에 후행 배치되는 압연장치(600)와, 상기 크롭제거장치와 상기 압연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선행 이송되는 강판의 후단과 후행 이송되는 강판의 선단을 접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접합장치(500) 및 상기 접합장치와 상기 압연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을 클램핑하는 상기 클램핑 장치(100)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바디(10)는 상기 이송대(200)에 고정되거나, 상기 이송대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30)은 접합장치(500)에 의해 접합되는 강판(1)의 접합부 주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장치(300)는 강판(1)을 권취 또는 권출하는 코일박스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압연장치(600)는 사상압연기로 제공될 수 있다.
선술한 것처럼 구비되는 연연속 압연기에 의하면 선행되는 강판의 후단과 후행되는 강판의 선단을 접합장치(500)에 의해 접합함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100)를 통해 강판을 균일하게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 장치(100)에 의해 강판(1)의 전면에 균일하게 작용하는 클램핑력은 접합장치(500)의 접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접합이 완료된 강판(1)의 표면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클램핑 장치(100)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에 의하면 연속적인 강판의 공급과 연속적인 압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제적인 공정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 강판 10 : 장치바디
20 : 이동유닛 30 : 가압유닛
40 : 방열유닛 50 : 제1힌지부
60 : 제2힌지부 100 : 클램핑 장치
200 : 이송대 300 : 공급장치
400 : 크롭제거장치 500 : 접합장치
600 : 압연장치

Claims (8)

  1. 장치바디;
    상기 장치바디에서 이동하게 설치되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유닛에 연계되고, 소재에 접촉하고 클램핑하는 가압유닛; 및
    상기 장치바디 또는 상기 이동유닛에 연계되어 이동하게 제공되고, 상기 소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냉각채널을 구비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장치바디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게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방열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방열유닛을 상기 소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1이동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제1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유닛을 상기 소재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제2이동부;
    를 포함하는 클램핑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방열유닛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소재에 접촉하게 제공되는 롤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제1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에 연결되어 상기 소재에 대하여 상기 롤러부를 이동하되, 상기 소재에 대한 상기 롤러부의 수평도를 조절하는 밸런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외주에는 제1기어부를 포함하는 구동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1기어부에 맞물리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수직구동빔;을 포함하되,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수직구동빔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소재에 대하여 회전 이동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외부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신장 또는 수축하게 제공되어,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밸런싱실린더; 및
    상기 롤러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밸런싱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8. 강판을 이송하는 이송대;
    상기 이송대에 강판을 공급하는 공급장치;
    상기 이송대 상에서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공급장치에 후행 배치되고, 상기 강판에 생성된 크롭을 제거하는 크롭제거장치;
    상기 이송대 상에서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크롭제거장치에 후행 배치되는 압연장치;
    상기 크롭제거장치와 상기 압연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선행 이송되는 강판의 후단과 후행 이송되는 강판의 선단을 접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접합장치; 및
    상기 접합장치와 상기 압연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을 클램핑하는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바디는 상기 이송대에 고정되거나, 상기 이송대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접합부의 주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연속 압연기.


KR1020140176135A 2014-12-09 2014-12-09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 KR101620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135A KR101620747B1 (ko) 2014-12-09 2014-12-09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135A KR101620747B1 (ko) 2014-12-09 2014-12-09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0747B1 true KR101620747B1 (ko) 2016-05-13

Family

ID=5602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6135A KR101620747B1 (ko) 2014-12-09 2014-12-09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7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863B1 (ko) 2016-08-17 2017-06-30 이창근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CN108526225A (zh) * 2018-06-12 2018-09-14 无锡华玉铝业有限公司 热轧进料自动压料装置
CN116213476A (zh) * 2022-12-12 2023-06-06 马鞍山市方圆材料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高稳定型无孔型轧制滚动总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4208B2 (ja) * 1996-09-06 2005-10-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走間溶接設備の加熱型クランプ装置およびこのクランプ装置を用いたクランプ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4208B2 (ja) * 1996-09-06 2005-10-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走間溶接設備の加熱型クランプ装置およびこのクランプ装置を用いたクランプ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863B1 (ko) 2016-08-17 2017-06-30 이창근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CN108526225A (zh) * 2018-06-12 2018-09-14 无锡华玉铝业有限公司 热轧进料自动压料装置
CN116213476A (zh) * 2022-12-12 2023-06-06 马鞍山市方圆材料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高稳定型无孔型轧制滚动总成
CN116213476B (zh) * 2022-12-12 2023-09-05 马鞍山市方圆材料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高稳定型无孔型轧制滚动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747B1 (ko)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
KR20210072681A (ko) 레이저 절단기의 종동 절단 플랫폼 및 레이저 절단 장치
JP4721220B2 (ja) 被加工板の加工装置
US20100132526A1 (en) Apparatus for Holding a Plate-Like Material During a Separation Process
JP2015033743A (ja) 横型帯鋸盤
US8946587B2 (en) Laser machining apparatus
JP2016528040A (ja) 金属ストリップを切断および溶接するための配列を移動させる装置
JP2016049623A (ja) アルミニウムバー用のフライス加工設備
US201903082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sheet metal blank by means of laser cutting
CN104260138B (zh) 裁床及其输送带传送方法
KR20190122310A (ko) 슬라브를 포함하는 강재의 버 제거 장치
KR101716699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US3765985A (en) Apparatus for welding two sheets by ultra high frequency energy
CN101863187A (zh) 雕刻机工件夹持装置
KR101528486B1 (ko) 면취기
KR101220777B1 (ko)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CN109807485B (zh) 一种扶梯驱动主轴焊接变形控制装置及方法
KR101391609B1 (ko) 열간 교정기의 롤 연마장치
CN211254007U (zh) 压机用的送料输送结构
CN205254551U (zh) 散热片型材切割机送料装置
KR101857261B1 (ko) 차량용 휠 밸런스 웨이트 테이핑 장치
KR101584104B1 (ko) 심 용접 장비의 전극 휠 가공 장치
CN216881968U (zh) 一种铝材防变形的切割设备
CN217316499U (zh) 一种热轧研磨板的版面凹坑划伤补焊装置
JP2003205389A (ja) 帯状金属薄板材の溶接部の仕上げ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