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616B1 -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616B1
KR101618616B1 KR1020140075746A KR20140075746A KR101618616B1 KR 101618616 B1 KR101618616 B1 KR 101618616B1 KR 1020140075746 A KR1020140075746 A KR 1020140075746A KR 20140075746 A KR20140075746 A KR 20140075746A KR 101618616 B1 KR101618616 B1 KR 101618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rail member
fixing portions
escape apparatu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581A (ko
Inventor
천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616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 B63B23/32Rigid guides, e.g. having arms pivoted near water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62Fastening or storing of boats on d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70Condition-responsive handling equipment, e.g. automatic release of boat from lowering tackle upon contact with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구명보트, 구조물의 외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레일 부재 및 상기 레일 부재 상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명보트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레일 부재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구명보트로부터 분리되는 탈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Escape apparatus for offshore structures}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에서 화재나 폭발로 인하여 사용자가 탈출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8594호(공개일 2014.03.10)에는 구명보트 진수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에 설치된 종래의 구명보트는 와이어에 의해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의 상부 데크에 설치된 것이 일반적이다.
비상시에는 사용자들이 구명보트에 탑승하고, 사용자들이 와이어를 풀어서 구명보트를 해수면에 천천히 내려서 탈출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구명보트를 사용하여 사용자들이 탈출하는 경우에는 탈출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해상으로 신속하게 탈출이 가능할 수 있는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구명보트, 구조물의 외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레일 부재 및 상기 레일 부재 상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명보트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레일 부재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구명보트로부터 분리되는 탈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 유닛은, 상단이 상기 구명보트를 파지하도록 위치된 두 개의 고정부, 바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구명보트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두 개의 고정부들을 서로 연결하며,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접히게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두 개의 고정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두 개의 고정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는, 인장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두 개의 고정부의 하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는 상기 구명보트를 향하여 돌출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명보트에서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부분에는 상기 돌출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입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 유닛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레일 부재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 유닛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탈착 유닛은 상기 구명보트의 하측에 일정 간격 마다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는 비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구명보트에 탑승하기만 하면, 구명보트가 레일 부재를 따라 이동되어 해수면까지 빠르게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는 종래의 구명보트보다 탈출하는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됨으로써, 짧은 시간에 많은 사용자들이 탈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에서 탈착 유닛만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에서 구명보트가 레일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에서 구명보트가 레일 부재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100)는 구명보트(110), 레일 부재(120), 및 탈착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명보트(110)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구명보트(110)의 내부공간에는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다. 구명보트(110)는 탈출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소형 선박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레일 부재(120)는 구조물(10)의 외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조물(10)의 형상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 레일 부재(120)는 구조물(10)의 둘레면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 부재(120)의 구조는 일례로, 두 개의 파이프(121)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두 개의 파이프(121)들은 스틱 형상의 복수의 뼈대부(122)에 의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탈착 유닛(130)은 상기 레일 부재(120) 상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 부재(120)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탈착 유닛(130)은 구명보트(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탈착 유닛(130)이 상기 레일 부재(120)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구명보트(110)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탈착 유닛(130)은 구명보트(110)가 레일 부재(12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구명보트(110)가 레일 부재(120)로부터 이탈된 경우에는 구명보트(110)로부터 분리되어 구명보트(110)의 운항이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탈착 유닛(130)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탈착 유닛(130)은 상기 구명보트(110)의 하측에 일정 간격 마다 결합될 수 있다. 여러 개의 탈착 유닛(130)이 구명보트(110)의 하측에 결합됨으로써, 구명보트(110)가 레일 부재(1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에서 탈착 유닛만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상기 탈착 유닛(130)의 상세한 구조는 일례로, 두 개의 고정부(131)들, 지지부(133) 및 탄성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고정부(131)들은 상단이 상기 구명보트(110)를 파지하도록 위치된다. 고정부(1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1)의 상단은 구명보드에 접촉되고, 고정부(131)의 하단은 레일 부재(120)에 접촉될 수 있다.
지지부(133)는 바(bar)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구명보트(11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된다. 지지부(133)는 상기 두 개의 고정부(131)들을 서로 연결하며,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접히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133)는 두 개의 빔(134, beam)의 어느 한쪽 부분이 샤프트(135)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135)를 기준으로 두 개의 빔(134)이 회전될 수 있다. 두 개의 빔(134)의 자유단 각각에는 고정부(131)가 결합된다. 두 개의 빔(134)과 고정부(131)는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136)는 상기 두 개의 고정부(131)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두 개의 고정부(131)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탄성부(136)는 일례로 인장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두 개의 고정부(131)의 하단에 각각 연결된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인장 스프링은 수축되려는 힘을 발생시킨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에서 구명보트가 레일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에서 구명보트가 레일 부재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탈착 유닛(130)에 의해 구명보트(110)가 레일 부재(120)에 결합되어 있을 때의 상태와, 구명보트(110)가 레일 부재(120)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보트(110)가 레일 부재(120)를 따라 이동되는 상태에서는 탈착 유닛(130)이 구명보트(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구명보트(110)와 탈착 유닛(130)이 자중에 의하여 레일 부재(120)을 따라 이동된다. 그러고 나서, 구명보트(110)가 레일 부재(120)의 끝부분으로부터 이탈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유닛(130)이 레일 부재(120)로부터 이탈되고, 인장 스프링은 수축되려는 힘을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두 개의 고정부(131)의 하단이 인장 스프링에 의해 가까워지게 된다.
이때, 지지부(133)는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접히게 되고, 두 개의 고정부(131)들 각각은 지지부(133)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두 개의 고정부(131)들 각각의 돌출부(132)는 구명보트(110)의 수용부(111)로부터 분리되어 구명보트(11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탈착 유닛(130)과 구명보트(110)는 분리될 수 있고, 구명보트(110)는 해수면에 부유될 수 있다.
여기서, 탈착 유닛(130)이 구명보트(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면 구명보트(110)의 운항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100)에서는 구명보트(110)가 레일 부재(120)로부터 이탈되면, 탈착 유닛(130)이 구명보트(110)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구명보트(110)의 운항이 탈착 유닛(130)에 의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100)에서 구명보트(110)와 탈착 유닛(130)의 결합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131)의 상단에는 상기 구명보트(110)를 향하여 돌출형성된 돌출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명보트(110)에서 상기 돌출부(132)가 수용되는 부분에는 상기 돌출부(13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입된 수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32)와 수용부(111)에 의해 탈착 유닛(130)이 구명보트(110)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착 유닛(130)은 복수의 롤러(13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137)는 상기 고정부(131)에서 상기 레일 부재(120)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복수의 롤러(137)는 구명보트(110)와 레일 부재(120)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구명보트(110)가 레일 부재(120)를 따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100)는 비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구명보트(110)에 탑승하기만 하면, 구명보트(110)가 레일 부재(120)를 따라 이동되어 해수면까지 빠르게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100)는 종래의 일반적인 구명보트를 사용하여 탈출하는 경우보다 탈출하는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됨으로써, 짧은 시간에 많은 사용자들이 탈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110: 구명보트
111: 수용부 120: 레일 부재
121: 파이프 122: 뼈대부
130: 탈착 유닛 131: 고정부
132: 돌출부 133: 지지부
134: 빔 135: 샤프트
136: 탄성부 137: 롤러

Claims (6)

  1. 삭제
  2. 내부 공간이 형성된 구명보트,
    구조물의 외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레일 부재, 및
    상기 레일 부재 상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명보트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레일 부재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구명보트로부터 분리되는 탈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 유닛은,
    상단이 상기 구명보트를 파지하도록 위치된 두 개의 고정부,
    바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구명보트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두 개의 고정부들을 서로 연결하며,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접히게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두 개의 고정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두 개의 고정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인장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두 개의 고정부의 하단에 각각 연결된 인장 스프링인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는 상기 구명보트를 향하여 돌출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명보트에서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부분에는 상기 돌출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입된 수용부가 형성된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유닛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레일 부재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유닛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탈착 유닛은 상기 구명보트의 하측에 일정 간격 마다 결합된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KR1020140075746A 2014-06-20 2014-06-20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KR101618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46A KR101618616B1 (ko) 2014-06-20 2014-06-20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46A KR101618616B1 (ko) 2014-06-20 2014-06-20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81A KR20150145581A (ko) 2015-12-30
KR101618616B1 true KR101618616B1 (ko) 2016-05-09

Family

ID=5508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746A KR101618616B1 (ko) 2014-06-20 2014-06-20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528A (zh) * 2017-12-27 2018-05-04 大连理工大学 一种可移动的救生舱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81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1142031A (ru) Система швартовки с отделенными якорными оттяжками и/или системой водоотделяющих колонн
KR101984917B1 (ko) 펜더 대빗 장치
KR101805001B1 (ko) 절첩 구조를 갖는 선박용 닻
KR101618616B1 (ko) 해상 구조물용 탈출 장치
KR101747312B1 (ko) 부유구조물의 계류장치
KR101387761B1 (ko) 구명보트 진수 장치
KR20180027589A (ko) 부유형 구조
KR101599306B1 (ko) 분리형 헬리데크를 구비한 선박
RU2571681C2 (ru) Наливной рукав
KR101732663B1 (ko) 회전 타워형 구명정 진수 장치
KR102097957B1 (ko) 선체 계류 장치
KR20140131406A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JP6548740B2 (ja) 半潜水式海洋構造物
US20160221644A1 (en) Floating cage launch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KR200473064Y1 (ko) 케이블 정리용 지그
KR20170002733U (ko) 잠수함의 갑판 해치용 휴대용 물막이 장치
KR101948641B1 (ko) 부력 장치
KR101625515B1 (ko) 무어링 장치
KR101334352B1 (ko) 선박
KR101762786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246560B1 (ko) 휴대급 자율무인잠수정의 진수와 인양을 위한 편리하고 안전한 j형 프레임
KR101724442B1 (ko) 이동형 접안 장치
US1107109A (en) Safety-cradle for dropping life-boats.
KR102260450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20180002424U (ko) 선박용 승하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