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615B1 - 위험물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위험물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615B1
KR101618615B1 KR1020130138559A KR20130138559A KR101618615B1 KR 101618615 B1 KR101618615 B1 KR 101618615B1 KR 1020130138559 A KR1020130138559 A KR 1020130138559A KR 20130138559 A KR20130138559 A KR 20130138559A KR 101618615 B1 KR101618615 B1 KR 101618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hip
support
offshore structur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949A (ko
Inventor
권오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6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55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6Refuse discharge, e.g. for 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63B35/30Barges or lighters self-discharging
    • B63B35/305Barges or lighters self-discharging discharging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이동부에 설치되어 함께 이동가능하고, 위험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이동부를 지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이동부와 지지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위험물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험물 배출 장치 {A system of discharging Hazardous Materials}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발생한 각종 오염물질 등의 위험물을 비상 시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위험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드릴 쉽(Drill Ship), 리그(Rig) 등의 다양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작업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 (화기성, 폭발성, 방사성) 등의 위험물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위험물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화재, 방사능 노출이나 폭발 등과 같은 사고를 야기하기도 하고, 이미 발생된 사고를 확대시켜 2차 피해를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서는 내부에서 발생된 위험물을 처리하는 구조 또는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발생된 위험물을 컨테이너 등의 용기에 저장시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내부에 격리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화재, 폭발, 방사능 노출 등과 같은 비상 시 위험물을 즉각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나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위험물 배출 장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발생한 화재나 폭발 등이 상기 발생된 위험물로 인해 더욱 확대될 수 있는 위험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사고가 위험물 자체에서 발생한 경우, 해당 위험물을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비상 시 위험물을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위험물 배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어 함께 이동가능하고, 위험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이동부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와 상기 지지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위험물 배출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 하방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지지부재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저장부가 결합된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 하방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부는 제1 결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모듈은 상기 제1 지지부재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 상기 이동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중 다른 어느 하나에 결합되되 상기 걸림 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제2 결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모듈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되 제1홀이 형성된 제1 돌기부;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제2홀이 형성된 제2 돌기부; 및 상기 제1홀 및 상기 제2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홀 및 상기 제2홀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 또는 상기 경사부재의 하부 중 어느 한 면에 미끄럼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 또는 상기 경사부재의 하부 중 어느 한 면에 구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는 비상 시 위험물이 저장된 저장부재를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내부에서 발생한 사고가 위험물을 통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된 위험물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지지부 및 지지부에 결합된 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지지부 및 지지부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하는 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지지부에 결합된 이동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II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이동부가 지지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제2 결합모듈 분리 동작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제1 결합모듈 분리 동작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이동부가 지지부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하는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된 위험물 배출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는 이동부(200)를 신속하게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구조물(2)의 외측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의 일정 장소에 고정되어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해양구조물의 탑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에 설치되나, 드릴 쉽이나 리그선과 같이 항해나 특수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선박의 외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지지부 및 지지부에 결합된 이동부를,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지지부 및 지지부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하는 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지지부를,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지지부에 결합된 이동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는 지지부(100), 이동부(200), 저장부(300) 및 결합부(400)를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00)는 제1 지지부재(110), 제2 지지부재(120) 및 가이드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의 외측에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판형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의 외측에 설치되는 위험물 배출 장치(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재(110)는 반드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로부터 상기 외측부로 연장된 데크(deck)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2 지지부재(120)는 상기 제1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2 지지부재(12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20)는 상기 제1 지지부재(110)의 양 측부로부터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20)는 도 2의 y축 방향을 기준으로 간격이 일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지지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저장부(300)를 설치하거나 상기 저장부(300)에 위험물을 적재하기 위해 이동부(200)에 접근하는 작업자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20)는 도 2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지지부재(110)와 수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제1 지지부재(110)를 거쳐 제2 지지부재(12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가이드부재(130)는 상기 제1 지지부재(1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 하방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130)는 도 2의 x축 방향으로 하향하도록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는 도 3의 E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하향 경사일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재(120)와 인접하여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에 있어 가이드부재(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00)가 가이드부재(13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E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바형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부재(130)와 이동부(200)간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가이드부재(130)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가이드부재(130)의 상부면에는 이동부(200)와 접촉하는 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가이드부재(130)가 이동부(200)와 접촉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부재(131)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미끄럼부재(13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130) 상부에 설치되는 패드형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미끄럼부재(131)는 상기 가이드부재(130)와 이탈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이동부(200)의 하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는 상기 미끄럼부재(131)가 상기 이동부(200)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낮은 마찰계수와 내마모성을 갖춘 테플론 부재 또는 스테인리스 부재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러한 소재의 선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는 상기 가이드부재(130)와 이동부(200)가 이탈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상부 또는 상기 이동부(200)의 하부에 다수의 구름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름부재(미도시)는 공지된 구성의 휠 또는 롤러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부재(130)와 이동부(200) 간 접촉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상기 이동부(200)를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 외부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다수의 지지부프레임(140)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부(100)의 각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재(120) 및 가이드부재(13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지지부프레임(140)은 측면프레임(141), 하부프레임(143) 및 고정프레임(145)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측면프레임(141)은 일단부가 제1 지지부재(110)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가이드부재(130)의 하측부에 상기 하향 경사의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가이드부재(13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경사프레임(141a)과, 상기 경사프레임(141a)의 상부로부터 지지부재(120)의 하측부를 향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141b)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측면프레임(141)은 이동부(200)가 지지부(100)로부터 도 3의 E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200)의 양 측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부프레임(143)은 한 쌍의 경사프레임(141a) 사이에 y축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하부프레임(143)은 상기 경사프레임(141a)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는 고정프레임(145)의 일단부가 하부프레임(143)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프레임(145)은 제1 지지부재(110)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43)으로부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부(200)는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20) 사이에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이동부(200)는 결합판(210), 경사부재(220) 및 이동부프레임(230)을 포함한다.
결합판(210)에는 저장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는 상기 결합판(210)이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저장부(300)가 적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장부(300)를 이동부(200)와 함께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 결합판(210)은 제1 지지부재(110)와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20)가 이루는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20)가 이루는 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결합판(2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제1 지지부재(110) 및 제2 지지부재(120)에 수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저장부(300)를 결합판(210) 상부에 적재하거나 위험물을 상기 저장부(300)에 적재하기 용이하다.
경사부재(220)는 결합판(210)의 일 모서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경사부재(2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경사면을 포함하는 판형 구조체일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부재(220)의 하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30)의 상부와 이동가능하도록 접촉될 수 있다. 한편, 경사부재(220)의 경사는 가이드부재(130)의 하향 경사와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부(2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 방향으로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의 경사부재(220)는 반드시 판형 구조체의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한 쌍의 가이드부재(130)와 이동가능하도록 접촉하기 위한 한 쌍의 바형 구조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부프레임(230)은 경사부재(220)로부터 적재판(210)을 향해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이동부프레임(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재판(210)과 저장부(300)로부터 경사부재(220)로 전달되는 하중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저장부(300)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에서 발생한 각종 오염물질 등의 위험물이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300)는 내부가 밀폐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장부(300)에 저장되는 오염물질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00)는 상기 이동부(200)에 전부 수용되기 위해 상기 적재판(21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의 저장부(30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지형 구조체이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5의 I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II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부(400)는 이동부(200)를 지지부(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이동부(200)와 지지부(100)를 결합한다. 이 때, 결합부(400)는 제1 결합모듈(410) 및 제2 결합모듈(420)을 포함한다.
제1 결합모듈(410)은 지지부(100)와 이동부(200)를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100) 및 상기 이동부(200) 일측을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결합모듈(4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20)가 이루는 간격을 기준으로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부(200)의 하중이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20)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결합모듈(410)은 제1 결합부재(411), 제2 결합부재(412) 및 결합수단(413)을 포함한다.
제1 결합부재(411)는 제1 지지부재(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결합부재(41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1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일면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결합부재(412)는 이동부(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결합부재(4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재(411)와 x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결합부재(4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2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일면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수단(413)은 상기 제1 결합부재(411)과 제2 결합부재(412)를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결합수단(413)은 한 쌍의 연결부재(413a), 걸림부재(413b), 후크부재(413c) 및 레버(413d)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연결부재(413a)는 제1 결합부재(411)와 제2 결합부재(41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연결부재(413a)는 제1 결합부재(411)의 홀과 제2 결합부재(412)의 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의 한 쌍의 연결부재(413a)는 샤클(shackle) 형상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걸림부재(413b)는 한 쌍의 연결부재(413a)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재(413c)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413a)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413b)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걸림부재(413b)는 상기 후크부재(413c)와 결합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의 후크부재(413c)는 후크가 걸림부재(413b)의 하부방향으로부터 결합되나, 반드시 이러한 결합 방향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레버(413d)는 상기 결합된 걸림부재(413b)와 상기 후크부재(413c)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후크부재(413c)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크부재(413c)를 걸림부재(413b)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레버(413d)를 이동시켜 후크부재(413c)를 걸림부재(413b)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성 및 동작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2 결합모듈(420)은 제1 결합모듈(410)에 편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지지부(100) 및 이동부(200) 일측을 각각 연결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결합모듈(4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모듈(410)의 양 측면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결합모듈(410)에 집중된 하중을 한 쌍의 제2 결합모듈(420)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결합모듈(420)은 제1 돌기부(421), 제2 돌기부(422) 및 결합핀(423)을 포함한다.
제1 돌기부(421)는 제1 지지부재(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결합부재(4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1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일면에 제1홀(42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부(422)는 이동부(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돌기부(412) 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부(421) 와 x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42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421a)과 제2홀(422b)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다. 이 때, 제2 돌기부(422)는 결합핀(423)이 제1홀(421a)과 제2홀(422b)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돌기부(42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부(421)는 상기 제2 돌기부(422)의 연장된 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는 제2 결합모듈(420)이 하나의 결합핀(423)에 의해 결합되는 바, 작업자가 제2 결합모듈(420)을 분리하기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의 결합핀(423)은 제1홀(421a)과 제2홀(422b)을 동시에 관통하는 일자 형상의 결합볼트이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이동부가 지지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제2 결합모듈 분리 동작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제1 결합모듈 분리 동작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의 이동부가 지지부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하는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의 지지부(10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이동부(20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이동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모듈(410) 및 제2 결합모듈(420)에 의해 지지부(10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200)에는 위험물이 적재되는 저장부(30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는 위험물을 저장부(300)에 적재하거나, 위험물이 적재된 저장부(300)를 이동부(200)에 설치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110) 및 한 쌍의 제2 지지부재(120)을 통해 상기 저장부(300)로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의 화재 또는 폭발 등의 사고 발생 시, 작업자는 우선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423)을 제1 돌기부(421) 및 제2 돌기부(422)로부터 분리시켜 제2 결합모듈(420)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를 통해 이동부(200)의 하중이 제1 결합모듈(410)에 집중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재(413c)의 일측에 형성되는 레버(413d)를 이동부(200) 방향으로 밀어 상기 후크부재(413c)를 걸림부재(413b)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를 통해, 이동부(200)의 하중이 집중된 제1 결합모듈(41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이동부(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0)와 함께 E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배출 장치(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결합모듈(420)과 제1 결합모듈(410)을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저장부(300)가 설치된 이동부(200)를 지지부(100)로부터 분리시키는 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에서 발생한 각종 오염물질 등의 위험물을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2)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2: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10: 위험물 배출 장치
100: 지지부 110: 제1 지지부재
120: 제2 지지부재 130: 가이드부재
131: 미끄럼부재 140: 지지부프레임
141: 측면프레임 143: 하부프레임
145: 고정프레임 200: 이동부
210: 결합판 220: 경사부재
230: 이동부프레임 300: 저장부
400: 결합부 410: 제1 결합모듈
411: 제1 결합부재 412: 제2 결합부재
413: 결합수단 420: 제2 결합모듈
421: 제1 돌기부 422: 제2 돌기부
423: 결합핀

Claims (11)

  1.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어 함께 이동가능하고, 위험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이동부를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와 상기 지지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저장부가 결합된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 하방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이동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가 상기 경사부재의 경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부로 배출되는 위험물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 하방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위험물 배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위험물 배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위험물 배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위험물 배출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1 결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모듈은
    상기 제1 지지부재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
    상기 이동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위험물 배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중 다른 어느 하나에 결합되되 상기 걸림 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위험물 배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2 결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모듈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되 제1홀이 형성된 제1 돌기부;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제2홀이 형성된 제2 돌기부; 및
    상기 제1홀 및 상기 제2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홀 및 상기 제2홀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위험물 배출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 또는 상기 경사부재의 하부 중 어느 한 면에 미끄럼부재가 설치되는 위험물 배출 장치.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 또는 상기 경사부재의 하부 중 어느 한 면에 구름부재가 설치되는 위험물 배출 장치.
KR1020130138559A 2013-11-14 2013-11-14 위험물 배출 장치 KR10161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559A KR101618615B1 (ko) 2013-11-14 2013-11-14 위험물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559A KR101618615B1 (ko) 2013-11-14 2013-11-14 위험물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949A KR20150055949A (ko) 2015-05-22
KR101618615B1 true KR101618615B1 (ko) 2016-05-09

Family

ID=5339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559A KR101618615B1 (ko) 2013-11-14 2013-11-14 위험물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6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735B1 (ko) 2017-09-01 2018-12-04 (주) 지티지로지스틱스 플랫트 랙 컨테이너용 확장 지지체
KR20230045284A (ko)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엔에스 선박 화재 확산 방지용 배터리 사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329B1 (ko) * 2017-06-09 2019-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 설치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6854A (en) 1982-06-16 1985-10-15 Albert Bocker Gmbh & Co. Kg Load-carrying platform
WO1997048598A1 (en) 1996-06-19 1997-12-24 Prital Beheer B.V. Emergency escape device and offshore installation provided with an emergency escape device of this kind
US20050150064A1 (en) 2004-01-08 2005-07-14 David Hill Marine gangway to enable handicapped users to move between floating and fixed landing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6854A (en) 1982-06-16 1985-10-15 Albert Bocker Gmbh & Co. Kg Load-carrying platform
WO1997048598A1 (en) 1996-06-19 1997-12-24 Prital Beheer B.V. Emergency escape device and offshore installation provided with an emergency escape device of this kind
US20050150064A1 (en) 2004-01-08 2005-07-14 David Hill Marine gangway to enable handicapped users to move between floating and fixed landings and relate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735B1 (ko) 2017-09-01 2018-12-04 (주) 지티지로지스틱스 플랫트 랙 컨테이너용 확장 지지체
KR20230045284A (ko)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엔에스 선박 화재 확산 방지용 배터리 사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949A (ko) 201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615B1 (ko) 위험물 배출 장치
US20060032850A1 (en) Adjustable basket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cargo
AU2013374440A1 (en) A system for coupling two floating structures
KR101390863B1 (ko)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
KR20140004399A (ko) 구명보트의 격납구조물
WO2012050458A1 (en) A capture basket system for an underdeck pipehandling machine
KR101713403B1 (ko) 다목적 부착 시스템 및 부착 방법
KR101323826B1 (ko) 선박의 낙하물 차폐 장치
KR101295792B1 (ko) 선박
KR101835287B1 (ko) 이동식 브릿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101863915B1 (ko) 시추설비의 파이프 적치대
CN104632086B (zh) 立管架结构
KR101487996B1 (ko) 라이저 적재 구조체
KR101797616B1 (ko) 분출방지장치 테스트 장비를 보관하는 하부갑판을 갖는 시추선
KR20140003784U (ko) 대상물 운반용 지지장치
KR20120059726A (ko) Bop 트랄리 하중 테스트를 위한 웨이트 적재 시트
KR101994623B1 (ko) 임시 플랫폼
KR101551798B1 (ko) 오버헤드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 선박
KR20120104889A (ko) 드릴쉽 운반 테스트용 운반기구
KR200489978Y1 (ko) 윈드월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1722245B1 (ko) 사다리형 작업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EP3237721A1 (en) Modular tubing rack assembly
KR200481083Y1 (ko) 드릴쉽의 접근 바스켓 설치구조
KR102235034B1 (ko) 화물창
KR20120104888A (ko) 드릴쉽 운반 테스트용 운반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