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863B1 -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863B1
KR101390863B1 KR1020120075995A KR20120075995A KR101390863B1 KR 101390863 B1 KR101390863 B1 KR 101390863B1 KR 1020120075995 A KR1020120075995 A KR 1020120075995A KR 20120075995 A KR20120075995 A KR 20120075995A KR 101390863 B1 KR101390863 B1 KR 101390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er
support member
cradle
trolley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669A (ko
Inventor
정용식
백태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5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86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21B17/01Ris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14Racks, ramps, troughs or bins, for holding the lengths of rod singly or connected; Handling between storage place and borehole
    • E21B19/15Racking of rods in horizontal position; Handling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 E21B19/155Handling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2003/147Moon-pools, e.g. for offshore drill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는 시추선의 캐트워크 상에 마련되는 트롤리에 수평 안착되는 라이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트롤리의 양단 상측에 장착되며 라이저의 양단이 안착되는 크래들과, 크래들 각각에 트롤리의 길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라이저가 크래들에 안착되는 경우 지지부재가 라이저를 향하여 회동되어 라이저가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riser of drilling ship}
본 발명은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추선의 라이저 캐트워크 상에 안착되는 라이저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석유 또는 가스 자원을 채굴하기 위한 시추선의 작업은 상부데크 바닥에 설치된 적치대로부터 라이저들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캐트워크(Catwalk) 상의 이동수단인 트롤리(Trolley)로 이동시키고, 트롤리를 이용하여 라이저를 드릴 플로어(Drill floor) 쪽으로 수평 이동시킨 다음, 데릭(Derrick)을 사용하여 세워 해저 유정으로 연속하여 내려 보내게 된다.
그런데, 통상 라이저를 캐트워크의 트롤리에 안착시킨 경우, 라이저를 그 자중에 의존하여 트롤리의 크래들(cradle) 상에 올려놓을 뿐, 라이저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라이저를 드릴플로어로 수평 이동시키기 위해 트롤리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트롤리의 크래들 상에 안착된 라이저의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라이저 캐트워크 상의 트롤리에 안착되는 라이저가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라이저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추선의 캐트워크 상에 마련되는 트롤리에 수평 안착되는 라이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의 양단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라이저의 양단이 안착되는 크래들과, 상기 크래들에 상기 트롤리의 길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저가 상기 크래들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라이저를 향하여 회동되어 상기 라이저를 고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라이저의 중공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시 상기 제1돌출부가 상기 라이저의 중공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라이저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하단에 상기 제1돌출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롤리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크래들에 장착되며, 상기 라이저의 안착시 상기 라이저가 상기 지지부재의 제2돌출부를 눌러 상기 지지부재가 회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의 제1돌출부가 상기 라이저의 중공부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라이저 캐트워크 상의 트롤리에 장착된 크래들에 지지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라이저가 트롤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라이저의 안착시 라이저의 자중에 의해 지지부재가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구동수단이 불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의 분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시추선 라이저의 고정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인 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트워크(10) 상에 마련되는 트롤리(20)에 안착되는 라이저(3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래들(40) 및 지지부재(50)를 포함한다.
트롤리(20)는 캐트워크(10) 상부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트롤리(20)가 드릴 플로어(Drill floor)로 이동됨으로써 트롤리(20)에 안착되는 라이저(30)가 드릴 플로어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크래들(40)은 트롤리(20)의 양단 상측에 장착되며, 크래들(40) 상에 크레인(60)으로 들어올린 라이저(30)의 양단이 안착된다. 크래들(40)은 대략 라이저(30)의 양단 둘레에 대응되는 원호를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원기둥 형태인 라이저(30)가 좌우로 굴러 트롤리(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크래들(40)의 양측면이 상방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크래들(40)에 안착된 라이저(30)가 크래들(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크래들(40)의 중앙부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크래들(40)에 라이저(30)를 올려놓은 경우, 라이저(30)의 자중에만 의존하여 단순히 올려놓기만 하였는데, 트롤리(20)의 이동시 라이저(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크래들(40)에 장착되는 지지부재(50)를 채택하였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50)는 상기 크래들(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50)는 트롤리(20)의 길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크래들(40)에 결합된다. 이 때, 라이저(30)의 양단부에 한 쌍의 지지부재(50)가 결합될 수도 있으며, 라이저(30)의 일단부에만 지지부재(50)가 결합될 수 도 있다. 지지부재(50)는 트롤리(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하여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며, 크래들(40)에 라이저(30)가 안착된 경우 지지부재(50)는 라이저(30)를 향하여 회동되어 라이저(30)를 고정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지지부재(50)는 라이저(30)를 향하여 회동되어 라이저(30) 양단을 압박함으로써 라이저(3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0)의 상단에 라이저(30)의 중공부(32)에 끼워질 수 있는 제1돌출부(52)가 돌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50)가 라이저(30)의 양쪽에서 라이저(30)를 향하여 회동되면 지지부재(50)의 제1돌출부(52)가 라이저(30)의 중공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이에 따라 라이저(30)가 지지부재(50)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부재(50)를 크래들(40)에 장착하는 경우, 지지부재(50)와 크래들(40)을 연결하는 힌지축(42)은 크래들(40)의 외측부분에 배치되거나,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저(30)가 크래들(40)에 안착된 경우 지지부재(50)의 수동 또는 자동 회전을 위해 별도의 구동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라이저(30)의 자중을 이용하여 지지부재(50)가 회동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재(50)는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52) 외에 제1돌출부(52)와 동일한 방향으로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2돌출부(54)를 가지며, 지지부재(5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2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소정의 경사를 이룬 상태가 되도록 크래들(40)에 장착된다. 그리고 라이저(30)가 크래들(4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라이저(30)가 지지부재(50)의 제2돌출부(54)의 상면을 누르게 되고, 그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0)는 라이저(30)를 향하여 자동으로 회동을 하게 되어 지지부재(50)의 제1돌출부(52)가 라이저(30)의 중공부(32)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라이저(30)가 고정 지지된다. 지지부재(50)는 대략 ‘ㄷ’형상의 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0)의 제2돌출부(54)의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라이저(30)의 안착시 지지부재(50)의 회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지지부재(50)의 제2돌출부(54)는 크래들(40)과 라이저(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40)에 지지부재(50)의 제2돌출부(54)가 관통할 수 있는 홈(42)이 형성될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는 지지부재(50)의 제2돌출부(54)의 단부가 크래들(40)의 홈(42)에 관통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크래들(40)에 결합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는 크래들(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50)를 이용하여 크래들(40)에 안착되는 라이저(30)를 고정 지지하게 되며, 특히 지지부재(50)는 크래들(40) 상에 안착되는 라이저(30)가 지지부재(50)의 제2돌출부(54)를 누르게 됨으로써 자동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별도의 구동수단이 없이도 라이저(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10 : 캐트워크 20 : 트롤리
30 : 라이저 40 : 크래들
50 : 지지부재 52 : 제1돌출부
54 : 제2돌출부

Claims (3)

  1. 시추선의 캐트워크 상에 마련되는 트롤리에 수평 안착되는 라이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의 양단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라이저의 양단이 안착되는 크래들; 및
    상기 크래들에 상기 트롤리의 길이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저가 상기 크래들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라이저를 향하여 회동되어 상기 라이저를 고정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라이저의 중공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시 상기 제1돌출부가 상기 라이저의 중공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라이저가 고정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하단에 상기 제1돌출부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롤리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크래들에 장착되며,
    상기 라이저의 안착시 상기 라이저가 상기 지지부재의 제2돌출부를 눌러 상기 지지부재가 회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의 제1돌출부가 상기 라이저의 중공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20075995A 2012-07-12 2012-07-12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 KR101390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995A KR101390863B1 (ko) 2012-07-12 2012-07-12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995A KR101390863B1 (ko) 2012-07-12 2012-07-12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669A KR20140009669A (ko) 2014-01-23
KR101390863B1 true KR101390863B1 (ko) 2014-05-08

Family

ID=5014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995A KR101390863B1 (ko) 2012-07-12 2012-07-12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058B1 (ko) * 2018-05-17 2019-04-16 곽희광 임시구조물조립장치
CN111676802B (zh) * 2018-12-11 2021-09-14 江山市发发科技有限公司 预制桥的桥板桥墩连接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669A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7898B1 (en) Shoring apparatus with roller bearing
US20150000581A1 (en) Traction system for operating lines of a vessel
GB2418684A (en) Platform apparatus for an intervention frame
KR101390863B1 (ko) 시추선의 라이저 고정장치
WO2014108541A3 (en) Drilling rig
KR101762832B1 (ko) 선박용 계류 장치
US20160002873A1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ongate element in a stretch of water, and associated device and installation
US9422777B2 (en) Elevator assembly with reversible insert
US20150266547A1 (en) Spring loaded vertical and horizontal self aligning roller chock
KR101618615B1 (ko) 위험물 배출 장치
KR20180120458A (ko) 구명정의 보관, 운반 및 투척을 위한 트롤리
KR102260454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JP6300656B2 (ja) エレベータ用ピット梯子装置
KR20110103210A (ko) 승강형 작업대
JP6472223B2 (ja) 杭打機
KR101690752B1 (ko) 크레인 붐 레스트
JP6669356B2 (ja) 岸壁クレーンおよび岸壁クレーンの制御方法
KR101713403B1 (ko) 다목적 부착 시스템 및 부착 방법
JP7491121B2 (ja) 作業機械の起伏シリンダ支持装置および作業機械の起伏シリンダ支持方法、作業機械の輸送方法
KR20130031555A (ko) 핀타입 리프팅프레임 및 핀타입 리프팅프레임을 이용한 데릭 설치 공법
KR101964216B1 (ko) 볼라드구조물
GB2538221A (en) Platform
KR101844274B1 (ko) 리프팅 러그
KR20130034140A (ko) 시추선의 데크 개폐장치
KR101551798B1 (ko) 오버헤드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