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619B1 -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Google Patents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7619B1 KR101617619B1 KR1020130111490A KR20130111490A KR101617619B1 KR 101617619 B1 KR101617619 B1 KR 101617619B1 KR 1020130111490 A KR1020130111490 A KR 1020130111490A KR 20130111490 A KR20130111490 A KR 20130111490A KR 101617619 B1 KR101617619 B1 KR 1016176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ud
- piece
- emboss
- embossing
- bri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NRATNLHPGXHMA-XZHTYLCXSA-N (r)-(6-ethoxyquinolin-4-yl)-[(2s,4s,5r)-5-ethyl-1-azabicyclo[2.2.2]octan-2-yl]methanol;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H]([C@H](C1)CC)C2)CN1[C@@H]2[C@H](O)C1=CC=NC2=CC=C(OCC)C=C21 QNRATNLHPGXHMA-XZHTYLCX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스터드에 교차되도록 결합되는 커넥션 채널의 사시도
도 4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스터드와 커넥션 채널을 연결하여 형성된 서포트 프레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의 시공 상태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의 시공 상태의 일부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의 시공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스터드 엠보싱 구조를 벽체 시공시 적용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스터드 엠보싱 구조를 벽체와 슬래브 시공시 동시에 적용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4. 마감재 6. 몰탈
10. 스터드 12. 엠보 베이스편
14. 사이드 서포트편 14a. 보강 연장편
14b. 보조 연장편 15. 엠보싱
15a. 브릿지 엠보편 15b. 완충 엠보편
16. 보강 비드부 16a. 제1비드편
16b. 제2비드편 18. 지지돌부
20. 커넥션 채널 22. 커넥트 바디부
24. 커넥트 픽싱편 32. 스페이서
34. 제진 고무
Claims (12)
- 벽체(1)와 슬래브(2)에 의해 각 층의 실내가 형성된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의 벽체(1) 또는 슬래브(2)에 장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터드(10);
상기 스터드(10)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소음 진동 발생시 흡수하는 엠보싱(15);을 포함하며,
상기 엠보싱(15)은 상기 스터드에 한쪽 단부가 연결된 브릿지 엠보편(15a)과, 상기 브릿지 엠보편(15a)의 다른 쪽 단부에 연결되어 마감재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완충 엠보편(15b)을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10)는 상기 엠보싱(15)의 상기 브릿지 엠보편(15a)의 한쪽 단부가 이어져 있는 엠보 베이스편(12)과, 상기 엠보 베이스편(12)의 양쪽 측단부에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서포트편(14)을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 엠보편(15a)에 이어져 있는 상기 완충 엠보편(15b)에 마감재(4)로부터의 충격 작용시 상기 완충 엠보편(15b)과 상기 브릿지 엠보편(15a)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엠보 베이스편(12)과 상기 사이드 서포트편(14)은 상기 슬래브(2)의 상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 셋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15)은 상기 한 쌍의 브릿지 엠보편(15a)의 한쪽 단부가 각각 상기 엠보 베이스편(12)에 이어진 상태에서 상기 스터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는 양쪽 측단부에 상부로 더 돌출되어 서로 나란한 한 쌍의 보강 비드부(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터드(10)에는 상기 보강 비드부(16)에 저면이 접촉된 커넥션 채널(20)이 결합되어, 상기 스터드(10)와 상기 커넥션 채널(20)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차 배치된 서포트 프레임(SF)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는 상기 보강 비드부(16) 사이에 배치되도록 지지돌부(18)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강 비드부(16)에 저면이 얹혀져 지지된 상기 커넥션 채널(20)를 상기 지지돌부(18)가 아래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18)의 상단 높이는 상기 보강 비드부(16)의 상단 높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커넥션 채널(20)의 저면이 상기 지지돌부(18)와 상기 보강 비드부(16)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는 상기 보강 비드부(16) 사이에 배치되도록 통공(12h)이 더 구비되며, 상기 통공(12h)의 주위에 상기 지지돌부(18)가 복수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채널(20)은 단면 디귿자 채널 형태의 커넥트 바디부(22)와, 상기 커넥트 바디부(22)의 양쪽 측단부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커넥트 픽싱편(24)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트 픽싱편(24)의 저면이 상기 지지돌부(18)와 상기 보강 비드부(16)에 얹혀져서 동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스터드(10)에 한쪽 단부가 연결된 브릿지 엠보편(15a);
상기 브릿지 엠보편(15a)의 다른 쪽 단부에 연결된 완충 엠보편(15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 엠보편(15b)과 상기 브릿지 엠보편(15a)은 상기 스터드(10)의 표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스터드(10)와 상기 완충 엠보편(15b) 및 상기 브릿지 엠보편(15a) 사이에 노이즈 차단 스페이스(14NS)가 확보되며,
상기 완충 엠보편(15b)은 상면에서 볼 때에 장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브릿지 엠보편(15a)은 원주형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노이즈 차단 스페이스(14NS)는 상기 스터드(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두 개가 배치되거나, 상기 브릿지 엠보편(15a)은 기단부가 상기 스터드(10)에 연결되어 상기 스터드(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기단부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양쪽 너비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완충 엠보편(15b)은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노이즈 차단 스페이스(14NS)는 상기 스터드(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너비 방향으로 연장된 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브릿지 엠보편(15a)은 기단부가 상기 스터드(10)에 연결되어 상기 스터드(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완충 엠보편(15b)은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노이즈 차단 스페이스(14NS)는 상기 스터드(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브릿지 엠보편(15a)은 상기 스터드(10)의 너비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분할 브릿지 엠보편(15a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 엠보편(15b)은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노이즈 차단 스페이스(14NS)는 상기 스터드(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1490A KR101617619B1 (ko) | 2013-09-17 | 2013-09-17 |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1490A KR101617619B1 (ko) | 2013-09-17 | 2013-09-17 |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1816A KR20150031816A (ko) | 2015-03-25 |
KR101617619B1 true KR101617619B1 (ko) | 2016-05-03 |
Family
ID=5302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14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7619B1 (ko) | 2013-09-17 | 2013-09-17 |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761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00964B2 (en) * | 2017-06-19 | 2019-05-28 | Ford Motor Company | Vehicle tailgate |
-
2013
- 2013-09-17 KR KR1020130111490A patent/KR10161761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1816A (ko) | 2015-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63097B1 (ko) |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 |
KR101435993B1 (ko) |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 |
KR101617619B1 (ko) | 층간, 벽간 소음, 진동 차단 향상을 위한 스터드 엠보싱 구조 | |
KR102361506B1 (ko) | 층간 차음용 단독 패널 제조방법 | |
KR101492508B1 (ko) |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 |
KR20130036982A (ko) | 고차음 경량 철골 벽체 시스템 | |
KR101598342B1 (ko) |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 마감 구조 | |
JP5520615B2 (ja) | 室の防音構造 | |
KR101587058B1 (ko) | 건축물을 통한 소음진동 방음 구조 | |
RU2726747C2 (ru) |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потолочной системы | |
KR101942161B1 (ko) | 완충재의 상이한 두께를 이용한 층간 소음 완충 구조 | |
KR20130005772U (ko) | 고차음 경량 철골 벽체 시스템 | |
JP5522934B2 (ja) | 遮音内装構造 | |
JP6453384B2 (ja) | 遮音床構造 | |
JP5114242B2 (ja) | 防振・防音床下地構造 | |
KR100519081B1 (ko) | 천장용 차음판넬 | |
KR200475111Y1 (ko) | 모서리 보강 구조를 갖는 건축물 슬래브 | |
JP7435271B2 (ja) | 遮音構造 | |
JP2020076216A (ja) | 間仕切壁構造、及びこの間仕切壁構造の施工方法 | |
KR100914333B1 (ko) | 층간 소음 및 진동 저감 부재와 이를 사용한 시공 방법 | |
JP7584950B2 (ja) | 遮音構造及び建物 | |
JP2023131306A (ja) | 遮音構造及び遮音構造の施工方法 | |
KR101919296B1 (ko) | 하스너와 측면완충재를 가지는 층간 소음 완충 구조 | |
KR200304752Y1 (ko) | 천장용 차음판넬 | |
KR100595056B1 (ko) | 습기와 소음 및 진동 차단용 매트와 이의 시공방법 및 이시공방법에 의해 조성된 슬래브단층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7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