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573B1 -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태양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태양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573B1
KR101617573B1 KR1020147029426A KR20147029426A KR101617573B1 KR 101617573 B1 KR101617573 B1 KR 101617573B1 KR 1020147029426 A KR1020147029426 A KR 1020147029426A KR 20147029426 A KR20147029426 A KR 20147029426A KR 101617573 B1 KR101617573 B1 KR 101617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ethylene
sealing material
olefin copolymer
cell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5841A (ko
Inventor
시게노부 이케나가
후미토 다케우치
도모아키 이토
Original Assignee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2589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1757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5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3Containers; 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of photodi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4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sola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6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coating or encapsulating of electronic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7Monocrystalline silicon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8Amorphous silicon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연소법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불소 원소의 함유량이 30ppm 이하이다.

Description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태양 전지 모듈{SOLAR CELL SEALING MATERIAL AND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지구 환경 문제, 에너지 문제 등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클린하면서 고갈의 우려가 없는 에너지 생성 수단으로서 태양 전지가 주목받고 있다. 태양 전지를 건물의 지붕 부분 등의 옥외에서 사용하는 경우, 태양 전지 모듈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태양 전지 모듈은 일반적으로 이하의 순서에 따라 제조된다. 먼저, 다결정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결정형 태양 전지 소자(이하, 발전 소자 또는 셀로 표기함), 또는 아몰퍼스 실리콘이나 결정 실리콘 등을 유리 등의 기판 상에 수㎛의 매우 얇은 막을 형성하여 얻어지는 박막형 태양 전지 소자 등을 제조한다.
이어서, 결정형 태양 전지 모듈을 얻기 위해서는 태양 전지 모듈용 보호 시트(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태양 전지 밀봉재/결정형 태양 전지 소자/태양 전지 밀봉재/태양 전지 모듈용 보호 시트(이면측 보호 부재)의 순서대로 적층한다.
한편, 박막계 태양 전지 모듈을 얻기 위해서는 박막형 태양 전지 소자/태양 전지 밀봉재/태양 전지 모듈용 보호 시트(이면측 보호 부재)의 순서대로 적층한다. 그 후, 이들을 진공 흡인하여 가열 압착하는 라미네이션 방법 등을 이용함으로써, 태양 전지 모듈이 제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태양 전지 모듈은 내후성을 갖고, 건물의 지붕 부분 등의 옥외에서의 사용에도 적합한 것이 되고 있다.
태양 전지 밀봉재로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막은 투명성, 유연성 및 접착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EVA 조성물을 태양 전지 밀봉재의 구성 재료로서 사용할 경우, EVA가 분해하여 발생하는 아세트산 가스 등의 성분이 태양 전지 소자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염려되었다.
이에 대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10-258439호 공보)에는 밀도나 분자량, 용융 점도 등이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용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최근의 태양광 발전 보급에 수반하여, 메가 솔라 등 발전 시스템의 대규모화가 진행되고 있고, 전송 손실을 낮추는 등의 목적으로, 시스템 전압의 고전압화의 움직임도 있다. 시스템 전압이 상승함으로써, 태양 전지 모듈에서는 프레임과 셀 간의 전위차가 커지게 된다. 즉, 태양 전지 모듈의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접지되어 있고, 태양 전지 어레이의 시스템 전압이 600V 내지 1000V가 되면, 가장 전압이 높아지는 모듈에서는 프레임과 셀간의 전위차가 그대로 시스템 전압의 600V 내지 1000V가 되고, 고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낮 동안 발전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유리는 밀봉재와 비교하여 전기 저항이 낮고, 프레임을 개재하여 유리와 셀간에도 고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즉, 낮 동안 발전하고 있는 상황 하에서, 직렬 접속된 모듈은 셀과 모듈 간 및 셀과 유리면과의 전위차가 접지측에서 순차 커지고, 가장 큰 곳에서는 거의 시스템 전압의 고전압의 전위차가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된 태양 전지 모듈 중에는 출력이 크게 저하되고, 특성 열화가 일어나는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의 약자) 현상이 발생한 결정계 발전 소자를 사용한 모듈의 예도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태양 전지 소자에 직접 접해 있는 태양 전지 밀봉재에는 더욱 높은 체적 고유 저항률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58439호 공보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는 접착성이나 내열성 등의 특성은 충족하는 것이었지만, 체적 고유 저항률이 낮고, 절연성의 점에서 충족하는 것이 아님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절연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밀봉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불소 원소의 함유량을 특정량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절연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밀봉재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태양 전지 밀봉재가 제공된다.
[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이며,
연소법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불소 원소의 함유량이 30ppm 이하인 태양 전지 밀봉재.
[2]
연소법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상기 불소 원소의 함유량이 3.0ppm 이하이고,
ICP 발광 분석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알루미늄 원소의 함유량이 20ppm 이하인, [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3]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이하의 요건 a1) 내지 a4)를 만족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1) 에틸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80 내지 90mol%이며,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10 내지 20mol%이다.
a2)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MFR이 0.1 내지 50g/10분이다.
a3) ASTM D1505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밀도가 0.865 내지 0.884g/cm3이다.
a4) ASTM D224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쇼어A 경도가 60 내지 85이다.
[4]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이 10 내지 50g/10분인, [3]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5]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이 0.1g/10분 이상 10g/10분 미만인, [3]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6]
유기 과산화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기 과산화물의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00 내지 170℃이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중량부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7]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8]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인계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가교 보조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더 포함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9]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용융 혼련한 후, 시트 형상으로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10]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용융 혼련한 후, 시트 형상으로 캘린더 성형하여 얻어진,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11]
시트 형상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12]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와,
이면측 보호 부재와,
태양 전지 소자와,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를 가교시켜 형성된, 상기 태양 전지 소자를 상기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와 상기 이면측 보호 부재 사이에 밀봉하는 밀봉층
을 구비한 태양 전지 모듈.
[13]
[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이며,
a) 메탈로센 화합물과, 상기 메탈로센 화합물과 반응하여 이온 쌍을 형성하는 하기 일반식[V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II)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을 행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과
b) 증류 조작,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한 탈재 조작, 빈용매에 의한 재침전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법에 의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처리하여, 연소법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불소 원소의 함유량을 30ppm 이하로 하는 공정과
c) 얻어진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압출 성형 또는 캘린더 성형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의 제조 방법.
Figure 112014100247665-pct00001
식[VI] 중, Re +는 H+, 카르베늄 양이온, 옥소늄 양이온, 암모늄 양이온, 포스포늄 양이온, 시클로헵틸트리에닐 양이온, 또는 전이 금속을 갖는 페로세늄 양이온이다. Rf 내지 Ri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불소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이다.
[14]
증류 조작,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한 탈재 조작, 빈용매에 의한 재침전 조작으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법에 의해, 연소법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불소 원소의 함유량을 3.0ppm 이하로 하고,
ICP 발광 분석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알루미늄 원소의 함유량을 20ppm 이하로 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3]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밀봉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태양 전지 밀봉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여러 특성 밸런스가 우수하다는 것 외에, 태양 전지 모듈의 사용시에 온도가 상승해도, 밀봉재가 변형되거나 하는 등의 트러블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태양 전지의 외관을 손상시키지도 않고, 비용 등의 경제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 및 그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또한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모듈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태양 전지 소자의 수광면과 이면의 일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내지(∼)」는 특별히 언급이 없으면, 이상으로부터 이하를 나타낸다.
1. 태양 전지 밀봉재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연소법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량되는 불소 원소 함유량이 30pp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pp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p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ppm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ppm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ppm 이하이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불소 원소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얻어지는 태양 전지 밀봉재의 체적 고유 저항률이 높아지고, 절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통상 불소 원소를 필수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고, 불소 원소 함유량은 예를 들어, 0.1ppm 이상이며, 통상은 1ppm 이상이다.
본 발명자들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가 체적 고유 저항률이 낮고 절연성이 떨어지는 요인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하기와 같은 지식이 얻어졌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후술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제조할 때의 중합 촉매로서 사용되는 (II-2)메탈로센 화합물(I)과 반응하여 이온 쌍을 형성하는 화합물 등의 불소 원소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 불소 원소 함유 화합물은 중합 후에도 이온 쌍을 형성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에 남아있고, 전하를 걸었을 때에 이온에 의한 전하의 이동을 야기해버린다. 즉, 이 화합물이 태양 전지 밀봉재 중의 체적 고유 저항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인 것이 밝혀졌다.
즉, 본 발명자들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제조할 때에 혼입되는 불소 원소 함유 화합물이 태양 전지 밀봉재 중의 체적 고유 저항률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 중 불소 원소의 함유량은 상기 불소 원소 함유 화합물의 함유량의 지표를 나타내고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에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α-올레핀으로서는 통상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을 1종류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서는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α-올레핀,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3-디메틸-1-부텐,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가 10 이하인 α-올레핀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탄소수가 3 내지 8인 α-올레핀이다. 입수가 용이한 점에서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블록 공중합체일 수도 있지만, 유연성의 관점에서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에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과 비공액 폴리엔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α-올레핀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며, 비공액 폴리엔으로서는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ENB), 5-비닐-2-노르보르넨(VNB), 디시클로펜타디엔(DCPD)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공액 폴리엔을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에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예를 들어,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o,p-디메틸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비닐벤조산, 비닐벤조산메틸, 비닐벤질아세테이트, 히드록시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디비닐벤젠 등의 스티렌류; 3-페닐프로필렌, 4-페닐프로필렌, α-메틸스티렌, 탄소수가 3 내지 20인 환상 올레핀류, 예를 들어, 시클로펜텐, 시클로헵텐, 노르보르넨, 5-메틸-2-노르보르넨 등을 병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이하의 요건 a1) 내지 a4)를 또한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건 a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에틸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mol%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88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82 내지 88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82 내지 87mol%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이하, 「α-올레핀 단위」로도 기재함)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mol%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8mol%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α-올레핀 단위의 함유 비율이 10mol% 이상이면 높은 투명성이 얻어진다. 또한, 저온에서의 압출 성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30℃ 이하에서의 압출 성형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유기 과산화물을 이겨 넣을 경우에도, 압출기 내에서의 가교 반응이 진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태양 전지 밀봉재의 시트에 겔 상태의 이물이 발생하여, 시트의 외관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당한 유연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성형시에 태양 전지 소자의 깨짐이나, 박막 전극의 결함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α-올레핀 단위의 함유 비율이 20mol% 이하이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결정화 속도가 적당해지기 때문에, 압출기에서 압출된 시트가 끈적거리지 않고, 냉각 롤에서의 박리가 용이하고, 시트 형상을 갖는 태양 전지 밀봉재의 시트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에 끈적거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고, 시트의 조출성이 양호하다. 또한, 내열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요건 a2)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통상 0.1 내지 5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g/10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g/10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g/1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7g/1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g/10분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은 후술하는 중합 반응시의 중합 온도, 중합 압력, 및 중합계 내의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단량체 농도와 수소 농도의 몰 비율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캘린더 성형)
MFR이 0.1g/10분 이상 10g/10분 미만이면, 캘린더 성형에 의해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MFR이 0.1g/10분 이상 10g/10분 미만이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낮기 때문에, 시트를 전지 소자와 라미네이팅할 때에 밀려나온 용융 수지에 의한 라미네이팅 장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압출 성형)
또한, MFR이 2g/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0g/10분 이상이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향상하고, 시트 압출 성형 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MFR이 50g/10분 이하이면, 분자량이 커져, 냉각 롤 등의 롤 면에 대한 부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박리를 불필요로 하고, 균일한 두께의 시트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강성」이 있는 수지 조성물이 되기 때문에, 0.1mm 이상의 두꺼운 시트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성형시의 가교 특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충분히 가교시켜, 내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MFR이 27g/10분 이하이면, 또한, 시트 성형시의 드로우 다운을 억제할 수 있어 폭 넓은 시트를 성형할 수 있고, 또한 가교 특성 및 내열성이 더욱 향상하고, 가장 양호한 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팅 공정에서 수지 조성물의 가교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용융 압출 공정에서 유기 과산화물의 분해의 영향이 작기 때문에, MFR이 0.1g/10분 이상 10g/10분 미만, 바람직하게는 0.5g/10분 이상 8.5g/10분 미만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압출 성형에 의해 시트를 얻을 수도 있다. 수지 조성물의 유기 과산화물 함유량이 0.15 중량부 이하일 경우에는, MFR이 0.1g/10분 이상 10g/10분 미만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실란 변성 처리 또는 미 가교 처리를 행하면서 170 내지 250℃의 성형 온도에서 압출 성형에 의해 시트를 제조할 수도 있다. MFR이 이 범위에 있으면, 시트를 태양 전지 소자와 라미네이팅 할 때에 밀려나온 용융 수지에 의한 라미네이팅 장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요건 a3)
ASTM D1505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865 내지 0.884g/cm3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66 내지 0.883g/cm3, 더욱 바람직하게는 0.866 내지 0.880g/cm3, 특히 바람직하게는 0.867 내지 0.880g/cm3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과 α-올레핀 단위의 함유 비율과의 밸런스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즉,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을 높게 하면 결정성이 높아지고, 밀도가 높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을 낮게 하면 결정성이 낮아지고, 밀도가 낮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가 0.884g/cm3 이하이면, 결정성이 낮아져, 투명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저온에서의 압출 성형이 용이하게 되고, 예를 들어, 130℃ 이하에서 압출 성형을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유기 과산화물을 이겨 넣어도, 압출기 내에서의 가교 반응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태양 전지 밀봉재의 시트에 겔 상태의 이물 발생을 억제하고, 시트의 외관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이 높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성형시에 태양 전지 소자인 셀의 깨짐이나 박막 전극의 결함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가 0.865g/cm3 이상이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결정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출기에서 압출된 시트가 끈적거리기 어렵고, 냉각 롤에서의 박리가 용이하게 되고, 태양 전지 밀봉재의 시트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에 끈적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므로 블로킹의 발생을 억제하고, 시트의 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분히 가교시키기 때문에, 내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요건 a4)
ASTM D224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쇼어A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2 내지 83, 더욱 바람직하게는 62 내지 80,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쇼어A 경도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이나 밀도를 상술한 수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즉,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이 높고, 밀도가 높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쇼어A 경도가 높아진다. 한편,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이 낮고, 밀도가 낮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쇼어A 경도가 낮아진다. 또한, 쇼어A 경도는 시험편 시트에 하중 후, 15초 이상 경과하고 나서 측정한다.
쇼어A 경도가 60 이상이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끈적거리기 어려워져,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밀봉재를 시트 형상으로 가공할 때는, 시트의 조출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내열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쇼어A 경도가 85 이하이면, 결정성이 낮아져, 투명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이 높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성형시에 태양 전지 소자인 셀의 깨짐이나, 박막 전극의 결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이하의 요건을 또한 만족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융해 피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기초하는 융해 피크는 30 내지 90℃의 범위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3 내지 90℃의 범위에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3 내지 88℃의 범위에 존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융해 피크가 90℃ 이하이면, 결정화도가 낮아져, 얻어지는 태양 전지 밀봉재의 유연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을 라미네이트 성형할 때에, 셀의 깨짐이나 박막 전극의 결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융해 피크가 30℃ 이상이면,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을 적절하게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출 성형으로 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트의 끈적거림에 의한 블로킹을 방지하여, 시트의 조출성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체적 고유 저항)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JIS K6911에 준거하여, 온도 100℃, 인가 전압 500V에서 측정되는 체적 고유 저항이 1.0×1013 내지 1.0×1018Ω·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체적 고유 저항이 큰 태양 전지 밀봉재는 PID 현상의 발생을 억제한다는 특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 또한, 태양광이 조사되는 시간대에는 종래의 태양 전지 모듈에서는 모듈 온도가 예를 들어, 70℃ 이상이 되는 것이 있어서, 장기 신뢰성의 관점에서 종래 보고되어 있는 상온(23℃)에서의 체적 고유 저항보다 고온 조건 하에서의 체적 고유 저항이 요구되고 있어, 온도 100℃에서의 체적 고유 저항이 중요해진다.
JIS K6911에 준거하여, 온도 100℃, 인가 전압 500V에서 측정되는 체적 고유 저항(이하, 간단히 「체적 고유 저항」이라고도 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14 내지 1.0×1018Ω·c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14 내지 1.0×1018Ω·c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015 내지 1.0×1018Ω·cm이다. 체적 고유 저항이 1.0×1013Ω·cm 이상이면, 85℃, 85%rh에서의 항온 항습 시험에서 1일 정도의 단기간 PID 현상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체적 고유 저항이 1.0×1018Ω·cm 이하이면, 시트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려워지므로, 티끌의 흡착을 방지할 수 있고, 태양 전지 모듈 내에 티끌이 혼입되어, 발전 효율이나 장기 신뢰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체적 고유 저항이 5.0×1014Ω·cm 이상이면, 85℃, 85%rh에서의 항온 항습 시험에서 PID 현상의 발생이 또한 장기화할 수 있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다.
체적 고유 저항은 밀봉재 시트로 성형한 후, 진공 라미네이터, 열 프레스, 가교 로 등에서 가교 및 평탄한 시트로 가공된 후에 측정된다. 또한, 모듈 적층체중의 시트는 다른 층을 제거하여 측정한다.
(알루미늄 원소의 함유량)
또한, 촉매 성분에 스캐빈저로서, 트리에틸알루미늄이나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등의 알킬알루미늄 화합물이나 유기 알루미늄옥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알루미늄 원소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알루미늄 원소(이하, 「Al」로도 기재함)의 함유량(잔사량)이 바람직하게는 20pp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ppm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ppm 이하이다. Al 함유량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중합 과정에서 첨가하는 유기 알루미늄옥시 화합물이나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농도에 의존한다.
Al 함유량이 20ppm 이하인 경우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투명성이 보다 양호한 태양 전지 밀봉재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의 Al 함유량은 통상 0.5ppm 이상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이하에 나타내는 다양한 메탈로센 화합물을 촉매로서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탈로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0772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3126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14680호 공보 등에 기재된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들 특허문헌에 기재된 메탈로센 화합물과는 다른 구조의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메탈로센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는 중합 반응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형태를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종래 공지된 메탈로센 화합물과, (II)상기 메탈로센 화합물(I)과 반응하여 이온 쌍을 형성하는 화합물 및 (III-1)유기 알루미늄 옥시 화합물과 (III-2)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존재 하에, 에틸렌과 α-올레핀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량체를 공급한다.
(II)상기 메탈로센 화합물(I)과 반응하여 이온 쌍을 형성하는 화합물 및 (III-1)유기 알루미늄옥시 화합물과 (III-2)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서도,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0772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31265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1468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08619호 공보 등에 기재된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들 특허문헌에 기재된 메탈로센 화합물과는 다른 구조의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화합물은 개별로, 또는 미리 접촉시켜서 중합 분위기에 투입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14680호 공보 등에 기재된 미립자 형상의 무기 산화물 담체에 담지하여 사용해도 된다.
(II)상기 메탈로센 화합물(I)과 반응하여 이온 쌍을 형성하는 화합물(이하, 「이온성 화합물(II)」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1-50195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50203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3-1790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3-1790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3-20770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3-207704호 공보, USP5321106호 등에 기재된 루이스산, 이온성 화합물, 보란 화합물 및 카르보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채용되는 이온성 화합물(II)(불소 원소 함유 화합물이라고도 칭함)는 하기 일반식[V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4100247665-pct00002
식[VI] 중, Re +로서는 H+, 카르베늄 양이온, 옥소늄 양이온, 암모늄 양이온, 포스포늄 양이온, 시클로헵틸트리에닐 양이온, 전이 금속을 갖는 페로세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Rf 내지 Ri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불소 치환기를 갖는 유기기, 바람직하게는 불소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불소 치환기를 갖는 아릴기이다.
이온성 화합물(II)의 구체예로서는 트리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트리스(4-메틸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스(3,5-디메틸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n-부틸)암모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에틸암모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프로필암모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n-부틸)암모늄테트라키스(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트리(n-부틸)암모늄테트라키스(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디옥타데실메틸암모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디옥타데실메틸암모늄테트라키스(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디옥타데실메틸암모늄테트라키스(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디옥타데실메틸암모늄, N,N-디메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N,N-디에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에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3,5-디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 N,N-2,4,6-펜타메틸아닐리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디(1-프로필)암모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II)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중합은 종래 공지된 기상중합법 및 슬러리 중합법, 용액 중합법 등의 액상중합법의 어느 것이라도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법 등의 액상중합법에 의해 행하여진다. 상기와 같은 메탈로센 화합물을 사용하여,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을 행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I)의 메탈로센 화합물은 반응 용적 1리터당, 통상 10-9 내지 10- 1몰,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0- 2몰이 되는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II)는 메탈로센 화합물(I)과 반응하여 이온 쌍을 형성해 촉매 활성화하는데, 이온성 화합물(II)는 중합계 중에 미량 존재하는 물이나 극성 화합물과 반응하여 이온 쌍 형성능을 상실하기 쉽다. 또한, 촉매 성분에 스캐빈저로서, 트리에틸알루미늄이나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등의 알킬알루미늄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이 알킬알루미늄과의 접촉에 의해서도 이온 쌍 형성능을 상실하기 쉽다. 이온성 화합물(II)가 메탈로센 화합물(I)과 반응하기 전에 분해하면, 메탈로센 화합물(I)의 중합 활성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포장재 등 통상의 용도용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서는 생산성을 감안하여 이온성 화합물(II)를 메탈로센 화합물(I)에 비하여 대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통상이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의 태양 전지 밀봉재에 있어서, 화합물(II)는 화합물(I) 중의 전체 전이 금속(M)과의 몰비[(II)/M]가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이 되는 양으로 사용된다.
화합물(II)의 사용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불소 원소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체적 고유 저항률의 태양 전지 밀봉재를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화합물(III-1) 또는 (III-2)는 중합 용적 1리터당, 통상 0.01 내지 2.0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1.0밀리몰이 되는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탈로센 화합물(I)의 중합 활성이 높으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수량에 대한 메탈로센 화합물(I)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병용하는 이온성 화합물(II)의 공중합체 중에 잔존하는 함유량도 저감할 수도 있다.
또한, 메탈로센 화합물(I)의 중합 활성이 낮은 경우에는, 화합물(II)와 화합물(I) 중의 전체 전이 금속(M)과의 몰비[(II)/M]를 가능한 한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메탈로센 화합물의 존재 하에,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을 행함으로써, 공단량체 함량이 높고, 조성 분포가 좁고, 분자량 분포가 좁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의 투입 몰비는 통상 에틸렌:α-올레핀=10:90 내지 99.9:0.1,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30:70 내지 99.9:0.1,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50:50 내지 99.9:0.1이다.
「용액 중합법」이란, 후술하는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 중에 중합체가 용해한 상태에서 중합을 행하는 방법의 총칭이다. 용액 중합법에서의 중합 온도는 통상 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90℃, 또한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80℃이다. 용액 중합법에서는 중합 온도가 0℃에 미치지 않을 경우, 그의 중합 활성은 극단적으로 저하되고, 중합 열의 제열도 곤란해져 생산성의 점에서 실용적이지 않다. 또한, 중합 온도가 200℃를 초과하면, 중합 활성이 극단적으로 저하되므로 생산성의 점에서 실용적이지 않다.
중합 압력은 통상 상압 내지 10MPa 게이지압, 바람직하게는 상압 내지 8MPa 게이지압의 조건 하이다. 공중합은 회분식, 반연속식, 연속식의 어느 방법으로도 행할 수 있다. 반응 시간(공중합 반응이 연속법으로 실시될 경우에는, 평균 체류시간)은 촉매 농도, 중합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서도 상이하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1분간 내지 3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간 내지 2.5시간이다. 또한, 중합을 반응 조건이 다른 2단계 이상으로 나누어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얻어지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중합계 중의 수소 농도나 중합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화합물(II)의 양에 의해 조절할 수도 있다. 수소를 첨가하는 경우, 그 양은 생성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kg당 0.001 내지 5,000NL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얻어지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분자 말단에 존재하는 비닐기 및 비닐리덴기는 중합 온도를 높게 함으로써, 수소 첨가량을 최대한 적게 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용액 중합법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통상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이며, 바람직하게는 상압 하에서의 비점이 50℃ 내지 200℃인 포화 탄화수소이다. 구체적으로는,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노난, 데칸, 운데칸, 도데칸, 등유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이소헥산, 이소펜탄, 이소옥탄, 이소데칸, 이소도데칸 등의 분지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펜탄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또한,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나, 에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메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도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의 범주에 들어가고, 그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액 중합법에서는 종래 빈번히 사용되어 온 방향족 탄화수소에 용해하는 유기 알루미늄옥시 화합물뿐만 아니라, 지방족 탄화수소나 지환족 탄화수소에 용해하는 MMAO와 같은 수식 메틸알루미녹산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액 중합용 용매로서 지방족 탄화수소나 지환족 탄화수소를 채용하면, 중합계 내나 생성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에 방향족 탄화수소가 혼입될 가능성을 거의 완전히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용액 중합법은 환경 부하를 경감화할 수 있고,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특징도 갖는다. 또한, 물성값의 편차를 억제하기 때문에, 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원한다면 첨가되는 다른 성분은 임의의 방법으로 용융시키고, 혼련, 조립 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에, 상술한 이온성 화합물(II)나 유기 알루미늄옥시 화합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이 잔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한 탈재 조작이나, 빈용매에 의한 재침전 조작 등의 정제를 행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의 상기 잔존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작을 함으로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불소 원소의 함유량 및 알루미늄 원소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한 탈재 조작이나, 빈용매에 의한 재침전 조작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비점이 110℃ 이상인 옥탄, 노난, 데칸, 운데칸, 도데칸, 등유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이소도데칸, 혼합 이소파라핀 등의 분지 지방족 탄화수소 등의 단체 또는 혼합한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을 행하고, 용매를 제거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얻으면, 고비점 용매와 이온성 화합물(II)가 공비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의 상기 잔존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유기 과산화물)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유기 과산화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유기 과산화물은 실란 커플링제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의 그래프트 변성 시의 라디칼 개시제로서,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태양 전지 모듈 라미네이트 성형할 때의 가교 반응시의 라디칼 개시제로서 사용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실란 커플링제를 그래프트 변성함으로써,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이면측 보호 부재, 셀, 전극과의 접착성이 양호한 태양 전지 모듈이 얻어진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가교함으로써, 내열성, 접착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모듈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유기 과산화물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실란 커플링제를 그래프트 변성하거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가교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압출 시트 성형에서의 생산성과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성형시의 가교 속도의 밸런스에서, 유기 과산화물의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00 내지 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과산화물의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00℃ 이상이면, 압출 시트 성형시에 수지 조성물에서 얻어지는 태양 전지 밀봉 시트에 겔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므로, 압출기의 토크 상승을 억제해 시트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출기 내에서 발생한 겔물에 의해 시트의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압을 걸었을 때, 시트 내부에서의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 파괴 전압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습성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팅 가공시에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셀, 전극, 이면측 보호 부재와의 밀착성이 양호해지고, 접착성도 향상된다. 압출 시트 성형의 압출 온도를 90℃ 이하로 내리면 성형은 가능하지만, 생산성이 대폭 저하된다. 유기 과산화물의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70℃ 이하이면,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성형시 가교 속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의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밀봉재의 내열성, 접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00 내지 170℃의 범위에 있는 유기 과산화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디라우로일 퍼옥시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벤조일퍼옥시드, t-아밀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t-부틸퍼옥시말레산, 1,1-디(t-아밀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디(t-아밀퍼옥시)시클로헥산, t-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t-아밀퍼옥시노르말옥토에이트, 1,1-디(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실카르보네이트,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t-아밀-퍼옥시벤조에이트,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2,2-디(t-부틸퍼옥시)부탄,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라우로일퍼옥시드,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실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전술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3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내지 2.5중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이 0.1중량부 이상이면, 태양 전지 밀봉재의 가교 정도나 가교 속도 등의 가교 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실란 커플링제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주쇄에의 그래프트 반응을 양호하게 해서, 내열성, 접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이 3.0중량부 이하이면, 압출 시트 성형시에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태양 전지 밀봉 시트에 겔의 발생이 없고, 압출기의 토크를 억제할 수 있고, 시트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시트도, 압출기 내에서 겔물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시트의 표면에 요철이 없어, 외관이 양호하다. 또한, 겔이 없기 때문에, 전압을 걸어도 시트 내부의 겔물에 기인하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절연 파괴 저항이 양호하다. 또한, 투습성도 양호하다. 또한, 시트 표면에 요철이 없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가공시에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셀, 전극, 이면측 보호 부재와의 접착성도 양호하다.
(실란 커플링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또한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부이다.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이 0.1중량부 이상이면 접착성이 향상된다. 한편,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이 5 중량 이하이면, 태양 전지 밀봉재의 비용과 성능의 밸런스가 좋고, 또한, 실란 커플링제를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팅 시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그래프트 반응시키기 위한 유기 과산화물 첨가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태양 전지 밀봉재를 압출기에서 시트 형상으로 하여 얻을 때에 겔화를 억제할 수 있고, 압출기의 토크를 억제할 수 있고, 압출 시트 성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압출기 내에서 발생한 겔물에 의해 시트의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압을 걸었을 때, 시트 내부에서의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 파괴 전압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습성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가공시에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셀, 전극, 이면측 보호 부재와의 밀착성이 양호해지고, 접착성도 향상된다.
실란 커플링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성이 양호한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성이 양호한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트리에톡시실란을 들 수 있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를 포함함으로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유해한 라디칼종을 보충하고, 새로운 라디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등의 힌더드 아민계, 힌더드 피페리딘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일반식(1)의 저분자량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4100247665-pct00003
상기 일반식(1) 중, R1, R2는 수소, 알킬기 등을 나타낸다. R1 과 R2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어느 쪽이나 좋다. R1과 R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다. R3은 수소, 알킬기, 알케닐기 등을 나타낸다. R3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다.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4-아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아크릴로일옥시-1,2,2,6,6-펜타메틸피페리딘, 4-아크릴로일옥시-1-에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아크릴로일옥시-1-프로필-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아크릴로일옥시-1-부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메타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메타크릴로일옥시-1,2,2,6,6-펜타메틸페리딘, 4-메타크릴로일옥시-1-에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메타크릴로일옥시-1-부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크로토노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크로토노일옥시-1-프로필-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고분자량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도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량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란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의 것을 말한다.
Figure 112014100247665-pct00004
Figure 112014100247665-pct00005
Figure 112014100247665-pct00006
Figure 112014100247665-pct00007
Figure 112014100247665-pct00008
Figure 112014100247665-pct00009
Figure 112014100247665-pct00010
Figure 112014100247665-pct00011
Figure 112014100247665-pct00012
Figure 112014100247665-pct00013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 중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상술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6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6중량부이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0.01중량부 이상이면, 내후성 및 내열성이 양호하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2.0중량부 이하이면, 유기 과산화물에서 발생한 라디칼의 소멸을 억제할 수 있고, 접착성, 내열성, 가교 특성이 양호하다.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를 포함함으로써, 산소 존재 하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유해한 라디칼 종을 보충하고, 새로운 라디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산화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4,4'-부틸리덴비스- (3-메틸-6-t-부틸페놀), 2,2-티오비스(4-메틸-6-t-부틸페놀), 7-옥타데실-3-(4'-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4-비스(n-옥틸티오)-6-(4-히드록시-3,5-디-t-부틸아닐리노)-1,3,5-트리아진,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2-티오-디에틸렌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아미드, 2,4-비스[(옥틸티오)메틸]-o-크레졸,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디에틸에스테르,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메탄,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에스테르, 3,9-비스[2-{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 중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의 함유량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1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6중량부이다.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의 함유량이 0.005중량부 이상이면, 내열성이 양호하고, 예를 들어, 120℃ 이상의 고온에서의 내열 노화 시험에서, 태양 전지 밀봉재의 황변을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의 함유량이 0.1중량부 이하이면, 태양 전지 밀봉재의 가교 특성이 양호하고, 내열성, 접착성이 양호하다.
또한, 항온 항습 하에서는 염기성을 갖는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와 병용하면, 힌더드 페놀 안정제의 수산기가 염을 형성하고, 퀴논화 및 이량화한 공액 비스퀴논메티드 화합물을 형성하고, 태양 전지 밀봉재의 황변을 일으키기 쉬운 경향이 있지만,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가 0.1중량부 이하이면, 태양 전지 밀봉재의 황변을 억제할 수 있다.
(인계 안정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인계 안정제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계 안정제를 포함하고 있으면, 압출 성형시의 유기 과산화물 분해를 억제할 수 있고, 외관이 양호한 시트를 얻을 수 있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를 포함하고 있으면, 발생한 라디칼을 소멸하고, 외관이 양호한 시트를 생산할 수도 있지만, 시트 압출 공정에서 안정제를 소비해버려, 내열성, 내후성 등의 장기 신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인계 안정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비스(1,1-디메틸에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아인산,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1,1-비페닐]-4,4'-디일비스포스포나이트 및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 중의 인계 안정제의 함유량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5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2중량부이다. 인계 안정제의 함유량이 0.005중량부 이상이면, 압출 성형시의 유기 과산화물 분해를 억제할 수 있고, 외관이 양호한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내열성이 양호하고, 예를 들어, 120℃ 이상의 고온에서의 내열 노화 시험에서, 태양 전지 밀봉재의 황변을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인계 안정제의 함유량이 0.5중량부 이하이면, 태양 전지 밀봉재의 가교 특성이 양호하고, 내열성, 접착성이 양호하다. 또한, 인계 안정제의 분해로 발생하는 산에 의한 영향이 보이지 않고, 금속 부식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동일 분자 내에 아인산 에스테르 구조와 힌더드 페놀 구조를 갖는 안정제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와 같이 유기 과산화물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조성물에 있어서는, 압출 성형 시에 유기 과산화물의 분해를 억제하는 성능이 불충분해지고, 겔을 생성하여 외관이 양호한 시트가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자외선 흡수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자외선 흡수제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내후 안정성, 가교 특성의 밸런스가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히드록시-4-노르말-옥틸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카르복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2- (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페닐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 에스테르계의 것이 사용된다.
(기타의 첨가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이상 상세히 설명한 모든 성분 이외의 각종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이외의 각종 폴리올레핀, 스티렌계나 에틸렌계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태양 전지 밀봉재 중 각종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0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40중량부이다. 또한, 폴리올레핀 이외의 각종 수지, 및/또는 각종 고무, 가소제, 충전제, 안료, 염료, 대전 방지제, 항균제, 방미제, 난연제, 가교 보조제,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및 인계 안정제 이외의 기타 내열 안정제 및 분산제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및 인계 안정제 이외의 기타 내열 안정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3-히드록시-5,7-디-tert-부틸-푸란-2-온과 o-크실렌의 반응 생성물 등의 락톤계 내열 안정제, 디미리스틸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트리데실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β-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2-머캅토벤조이미다졸, 2-머캅토벤조이미다졸의 아연염, 2-머캅토메틸벤조이미다졸, 2-머캅토메틸벤조이미다졸의 아연염, 4,4'-티오비스(6-t-부틸-3-메틸페놀), 2,6-디-t-부틸-4-(4,6-비스(옥틸티오)-1,3,5-트리아진-2-일아미노)페놀 등의 황계 내열 안정제; 아민계 내열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가교 보조제를 함유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 중 가교 보조제의 함유량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부이다. 가교 보조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적당한 가교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내열성, 기계 물성, 접착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가교 보조제로서는 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 보조제는 분자 내에 이중 결합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t-부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세틸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 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세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의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의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디-i-프로페닐벤젠 등의 디비닐 방향족 화합물;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시아누레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등의 디알릴 화합물; 트리알릴 화합물; p-퀴논디옥심, p-p'-디벤조일퀴논디옥심 등의 옥심; 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를 들 수 있다.
이 가교 보조제 중에서 보다 바람직한 것은 디아크릴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 방향족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의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시아누레이트, 디알릴프탈레이트 등의 디알릴 화합물; 트리알릴 화합물; p-퀴논디옥심, p-p'-디벤조일퀴논디옥심 등의 옥심; 페닐 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이다. 또한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이며, 라미네이팅 후 태양 전지 밀봉재의 기포 발생이나 가교 특성의 밸런스가 가장 우수하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상술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이 0.1 내지 3중량부이며,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의 함유량이 0.005 내지 0.1중량부이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0.01 내지 2.0중량부이며, 인계 안정제의 함유량이 0.005 내지 0.5중량부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상술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이 0.2 내지 2.5중량부이며,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의 함유량이 0.01 내지 0.06중량부이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0.05 내지 1.6중량부이며, 인계 안정제의 함유량이 0.02 내지 0.2중량부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 형태이다.
(태양 전지 밀봉재)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체적 고유 저항률이 우수하고, 또한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이면측 보호 부재, 박막 전극, 알루미늄, 태양 전지 소자 등의 각종 태양 전지 부재와의 접착성, 내열성, 압출 성형성 및 가교 특성의 밸런스, 투명성, 유연성, 외관, 내후성, 전기 절연성, 투습성, 전극 부식성, 프로세스 안정성의 밸런스가 우수하다. 이로 인해, 종래 공지된 태양 전지 모듈의 태양 전지 밀봉재로서 적절하게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니이더, 밴버리 믹서, 압출기 등에 의해 용융 블렌드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속 생산이 가능한 압출기에서의 제조가 바람직하다.
태양 전지 밀봉재는 그의 전체 형상이 시트 형상인 것도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하나이다. 또한, 상술한 수지 조성물로서 이루어진 시트를 적어도 1층 갖는, 다른 층과 복합화된 태양 전지 밀봉재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태양 전지 밀봉재의 층 두께는 통상 0.01 내지 2mm,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2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9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mm이다. 두께가 이 범위 내이면, 라미네이트 공정에서의,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태양 전지 소자, 박막 전극 등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충분한 광선 투과율을 확보함으로써 높은 광발전량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저온에서의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성형을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의 성형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공지된 각종 성형 방법(캐스트 성형, 압출 시트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사출 성형, 압축 성형, 캘린더 성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압출기 중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필요에 따라 유기 과산화물, 실란 커플링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인계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가교 보조제 및 기타 첨가제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봉지 등의 주머니 중에서 인력으로 하는 블렌드나, 헨쉘 믹서, 텀블러, 슈퍼 믹서 등의 교반 혼합기를 사용하여 블렌드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각종 첨가제를 배합한 수지 조성물을, 압출 시트 성형의 호퍼에 투입하고, 용융 혼련을 행하면서 압출 시트 성형을 행하고, 시트 형상의 태양 전지 밀봉재를 얻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이다.
또한, 배합한 수지 조성물로 한번 압출기에서 펠릿화를 행하고, 또한 압출 성형이나 프레스 성형으로 시트화를 행할 때는, 일반적으로 수층을 빠져나가게 하거나, 또는 언더 워터 커터식 압출기를 사용하여 스트랜드를 냉각하고, 커팅하여 펠릿을 얻고 있다. 그로 인해, 수분이 부착되므로 첨가제, 특히 실란 커플링제의 열화가 일어나고, 예를 들어, 다시 압출기에서 시트화를 행할 때에, 실란 커플링제끼리의 축합 반응이 진행하고,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유기 과산화물이나 실란 커플링제를 제외한 첨가제(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인계 안정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안정제)를 사전에 압출기를 사용하여 마스터 배치화한 후, 유기 과산화물이나 실란 커플링제를 블렌드하고, 다시 압출기 등에서 시트 성형할 경우에도,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인계 안정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안정제는 두번 압출기를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제가 열화되어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의 장기 신뢰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압출 온도 범위로서는 압출 온도가 100 내지 130℃이다. 압출 온도를 100℃ 이상으로 하면, 태양 전지 밀봉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압출 온도를 130℃ 이하로 하면,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에서 시트화하여 태양 전지 밀봉재를 얻을 때에 겔화를 일으키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압출기의 토크 상승을 방지하고, 시트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트의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압을 걸었을 때 시트 내부에서의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 파괴 전압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습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시트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가공시에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셀, 전극, 이면측 보호 부재와의 밀착성이 양호해지고, 접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이 예를 들어, 10g/10분 이하인 경우에는, 용융 수지를 가열한 금속 롤(캘린더 롤)로 압연함으로써 원하는 두께의 시트나 필름을 제작하는 캘린더 성형기를 사용하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실란 커플링제, 유기 과산화물,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내열 안정제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의 용융 혼련을 행하면서 캘린더 성형을 행하여, 시트 형상의 태양 전지 밀봉재를 얻을 수도 있다.
캘린더 성형기로서는 공지된 각종 캘린더 성형기를 사용할 수 있고, 믹싱 롤, 3본 캘린더 롤, 4본 캘린더 롤을 사용할 수 있다. 4본 캘린더 롤로서는 특히, I형, S형, 역L형, Z형, 경사Z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캘린더 롤에 걸기 전에, 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을 적당한 온도까지 뜨겁게 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밴버리 믹서, 니이더, 압출기 등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하나이다. 캘린더 성형의 온도 범위는 롤 온도를 통상 40 내지 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 전지 밀봉재의 시트(또는 층)의 표면에는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도 된다. 태양 전지 밀봉재의 시트 표면을, 엠보스 가공에 의해 장식함으로써, 밀봉재 시트끼리 또는 밀봉재 시트와 다른 시트 등과의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엠보스가 태양 전지 밀봉재(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의 저장 탄성률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와 태양 전지 소자를 라미네이팅할 때에 태양 전지 소자 등에 대한 쿠션이 되고, 태양 전지 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의 단위 면적당 오목부의 합계 체적(VH)과, 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의 겉보기 체적(VA)의 백분비(VH/VA×100)로 표시되는 공극률P(%)가 1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의 겉보기 체적(VA)은 단위 면적에 태양 전지 밀봉재의 최대 두께를 곱함으로써 얻어진다. 공극률P가 10% 이상이면, 태양 전지 밀봉재의 탄성률을 충분히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쿠션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듈의 제조 공정에서, 2단계로 라미네이트 가공(가압 공정)할 때에 결정계 태양 전지에서는 실리콘 셀이나 실리콘 셀과 전극을 고정하는 땜납의 깨짐을 방지하고, 박막계 태양 전지에서는 은 전극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의 공극률이 10% 이상이면, 태양 전지 밀봉재에 국소적으로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압력이 가해진 볼록부가 찌부러지게 변형된다. 이로 인해, 라미네이트 가공시에, 예를 들어, 실리콘 셀 등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큰 압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실리콘 셀이 깨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밀봉재의 공극률이 10% 이상이면, 공기의 통과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라미네이트 가공시에 양호하게 탈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태양 전지 모듈에 공기가 잔류하여 외관이 악화되거나, 장기 사용시에는 잔류한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전극의 부식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미네이팅 시에, 유동한 수지 조성물에 발생하는 공극이 적어지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의 각 피착체의 외부에 밀려나와, 라미네이터를 오염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공극률P가 80% 이하이면, 라미네이트 가공의 가압시에 공기를 양호하게 탈기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 내에 공기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태양 전지 모듈의 외관 악화를 방지하고, 장기 사용시에는 잔류한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전극의 부식이 일어날 일도 없다. 또한, 라미네이트 가공의 가압시에 공기를 양호하게 탈기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 전지 밀봉재와 피착체와의 접착 면적이 증가하여,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공극률P는 다음과 같은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엠보스 가공이 실시된 태양 전지 밀봉재의 겉보기 체적VA(mm3)는 태양 전지 밀봉재의 최대 두께tmax(mm)와 단위 면적(예를 들어, 1m2=1000×1000=106mm2)의 곱에 의해 하기 식(12)와 같이 하여 산출된다.
VA(mm3)=tmax(mm)×106(mm2) (12)
한편, 이 단위 면적의 태양 전지 밀봉재의 실제 체적V0(mm3)은 태양 전지 밀봉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비중ρ(g/mm3)과 단위 면적(1m2)당의 태양 전지 밀봉재의 실제 무게W(g)를 하기 식(13)에 적용시킴으로써 산출된다.
V0(mm3)=W/ρ (13)
태양 전지 밀봉재의 단위 면적당 오목부의 합계 체적VH(mm3)는 하기 식(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 전지 밀봉재의 겉보기 체적VA」로부터 「실제의 체적V0」을 차감함으로써 산출된다.
VH(mm3)=VA-V0=VA- (W/ρ) (14)
따라서, 공극률(%)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공극률P(%)=VH/VA×100
=(VA- (W/ρ))/VA×100
=1-W/(ρ·VA)×100
=1-W/(ρ·tmax·106)×100
공극률P(%)는 상기의 계산식에 의해 구할 수 있지만, 실제의 태양 전지 밀봉재의 단면이나 엠보스 가공이 실시된 면을 현미경 촬영하고, 화상 처리 등을 함으로써 구할 수도 있다.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의 깊이는 태양 전지 밀봉재의 최대 두께의 20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9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 내지 9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시트의 최대 두께tmax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D의 백분비를, 오목부의 「깊이율」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엠보스 가공의 오목부 깊이란, 엠보스 가공에 의한 태양 전지 밀봉재의 요철면에 있는 볼록부의 최정상부와 오목부의 최심부와의 고저차D를 나타낸다. 또한, 태양 전지 밀봉재의 최대 두께tmax란, 태양 전지 밀봉재의 한쪽 면에 엠보스 가공이 되어 있을 경우, 한쪽 면의 볼록부 최정상부로부터 다른 쪽 면까지의(태양 전지 밀봉재 두께 방향의) 거리를 나타내고, 태양 전지 밀봉재의 양쪽 면에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쪽 면의 볼록부 최정상부로부터 다른 쪽 면의 볼록부 최정상부까지의(태양 전지 밀봉재 두께 방향의) 거리를 나타낸다.
엠보스 가공은 태양 전지 밀봉재의 편면에 실시되어 있어도, 양면에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엠보스 가공의 오목부 깊이를 크게 하는 경우에는, 태양 전지 밀봉재의 편면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스 가공이 태양 전지 밀봉재의 편면에만 실시되어 있을 경우, 태양 전지 밀봉재의 최대 두께tmax는 0.01mm 내지 2mm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1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9mm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9mm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mm이다. 태양 전지 밀봉재의 최대 두께tmax가 이 범위 내이면, 라미네이트 공정에서의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태양 전지 소자, 박막 전극 등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고, 비교적 저온에서도 태양 전지 모듈의 라미네이트 성형을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 전지 밀봉재는 충분한 광선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고, 그것을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은 높은 광발전량을 갖는다.
또한, 그 시트는 태양 전지 모듈 사이즈에 맞추어 재단된 낱장 형식 또는 태양 전지 모듈을 제작하기 직전에 사이즈에 맞추어 재단가능한 롤 형식으로 태양 전지 밀봉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인 시트 형상의 태양 전지 밀봉재(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는 태양 전지 밀봉재를 포함하는 층을 적어도 한층 갖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를 포함하는 층의 수는 1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구조를 단순히 하여 비용을 줄이는 관점 및 층간에서의 계면 반사를 최대한 작게 하고, 광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관점 등에서는 1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는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를 포함하는 층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태양 전지 밀봉재를 함유하는 층 이외의 층(이하, 「기타 층」이라고도 기재함)을 가져도 된다. 기타 층의 예로서는 목적으로 분류하면, 표면 또는 이면 보호를 위한 하드 코팅층, 접착층, 반사 방지층, 가스 배리어층, 방오층 등을 들 수 있다. 재질로 분류하면,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 카르복실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층, 불소 함유 수지를 포함하는 층,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층, 무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를 포함하는 층과, 기타 층과의 위치 관계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본 발명의 목적과의 관계에서 바람직한 층 구성이 적절히 선택된다. 즉, 기타 층은 2 이상의 태양 전지 밀봉재를 포함하는 층 사이에 형성되어도 되고, 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의 최외층에 형성되어도 되고, 그 이외의 개소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태양 전지 밀봉재를 포함하는 층의 편면에만 기타 층이 형성되어도 되고, 양면에 기타 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기타 층의 층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임의의 수의 기타 층을 형성할 수 있고, 기타 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된다.
구조를 단순히 하여 비용을 줄이는 관점 및 계면 반사를 최대한 작게 해 광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관점 등에서는 기타 층을 형성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를 포함하는 층만으로 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를 제작하면 된다. 단, 목적과의 관계에서 필요 또는 유용한 기타 층이 있으면, 적절히 그러한 기타 층을 형성하면 된다. 기타 층을 형성할 경우에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를 포함하는 층과 다른 층과의 적층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캐스트 성형기, 압출 시트 성형기, 인플레이션 성형기, 사출 성형기 등의 공지된 용융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하여 적층체를 얻는 방법, 또는 미리 성형된 한쪽 층 위로 다른 쪽 층을 용융 또는 가열 라미네이팅하여 적층체를 얻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당한 접착제(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미쯔이 가가꾸사제의 상품명 「아드머(등록 상표)」, 미쯔비시 가가꾸사제의 상품명「모딕(등록 상표)」 등), 불포화 폴리올레핀 등의 저(비)결정성 연질 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무수 말레산 3원 공중합체(스미까 씨디에프 가가꾸사제의 상품명 「본다인(등록 상표)」 등)를 비롯한 아크릴계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등)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팅법, 또는 히트 라미네이팅법 등에 의해 적층해도 된다. 접착제로서는 120 내지 150℃ 정도의 내열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등이 적합한 것으로서 예시된다. 또한, 양층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실란계 커플링 처리, 티타늄계 커플링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사용해도 된다.
2. 태양 전지 모듈에 대해서
태양 전지 모듈은 예를 들어, 통상 다결정 실리콘 등에 의해 형성된 태양 전지 소자를 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 사이에 끼워 적층하고, 또한 표리 양면을 보호 시트로 커버한 결정형 태양 전지 모듈을 들 수 있다. 즉, 전형적인 태양 전지 모듈은 태양 전지 모듈용 보호 시트(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태양 전지 밀봉재/태양 전지 소자/태양 전지 밀봉재/태양 전지 모듈용 보호 시트(이면측 보호 부재)라는 구성이 되어 있다. 단, 본 실시 형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하나인 태양 전지 모듈은 상기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각 층의 일부를 적절히 생략하거나, 또는 상기 이외의 층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외의 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접착층, 충격 흡수층, 코팅층, 반사 방지층, 이면 재반사층 및 광 확산층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층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각 층을 형성하는 목적이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결정 실리콘계 태양 전지 모듈)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모듈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결정 실리콘계 태양 전지 모듈(20)의 구성에 관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태양 전지 모듈(20)은 인터커넥터(29)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결정 실리콘계 태양 전지 소자(22)와, 그것을 협지하는 한 쌍의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24)와 이면측 보호 부재(26)를 갖고, 이들 보호 부재와 복수의 태양 전지 소자(22) 사이에, 밀봉층(28)이 충전되어 있다. 밀봉층(28)은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용 밀봉재를 접합한 후, 가열 압착되어서 얻어지고, 태양 전지 소자(22)의 수광면 및 이면에 형성된 전극과 접해 있다. 전극이란, 태양 전지 소자(22)의 수광면 및 이면에 각각 형성된 집전 부재이며, 후술하는 집전 선, 탭 부착용 모선 및 이면 전극층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태양 전지 소자의 수광면과 이면의 일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태양 전지 소자(22)의 수광면(22A)과 이면(22B)의 구성에 관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 전지 소자(22)의 수광면(22A)에는 라인 형상으로 다수 형성된 집전 선(32)과, 집전 선(32)으로부터 전하를 수집하는 동시에, 인터커넥터(29)(도 1)와 접속되는 탭 부착용 모선(버스 바)(3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 전지 소자(22)의 이면(22B)에는 전체 면에 도전층(이면 전극)(36)이 형성되고, 그 위에 도전층(36)으로부터 전하를 수집하는 동시에, 인터커넥터(29)(도 1)와 접속되는 탭 부착용 모선(버스 바)(34B)이 형성되어 있다. 집전 선(32)의 선 폭은 예를 들어, 0.1mm 정도이며; 탭 부착용 모선(34A)의 선 폭은 예를 들어, 2 내지 3mm 정도이며; 탭 부착용 모선(34B)의 선 폭은 예를 들어, 5 내지 7mm 정도이다. 집전 선(32), 탭 부착용 모선(34A) 및 탭 부착용 모선(34B)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 내지 50 ㎛ 정도이다.
집전 선(32), 탭 부착용 모선(34A) 및 탭 부착용 모선(34B)은 도전성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전성이 높은 금속의 예에는 금, 은, 구리 등이 포함되지만, 도전성이나 내부식성이 높은 점 등에서, 은이나 은 화합물, 은을 함유하는 합금 등이 바람직하다. 도전층(36)은 도전성이 높은 금속뿐만 아니라, 수광면에서 받은 광을 반사시켜서 태양 전지 소자의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킨다는 관점 등에서, 광 반사성이 높은 성분,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전 선(32), 탭 부착용 모선(34A), 탭 부착용 모선(34B) 및 도전층(36)은 태양 전지 소자(22)의 수광면(22A) 또는 이면(22B)에, 상기 도전성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는 도전재 도료를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에 의해 50 ㎛의 도막 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하고,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어, 600 내지 700℃로 베이킹함으로써 형성된다.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24)는 수광면측에 배치되는 점에서, 투명할 필요가 있다.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24)의 예에는 투명 유리판이나 투명 수지 필름 등이 포함된다. 한편, 이면측 보호 부재(26)는 투명할 필요는 없고, 그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면측 보호 부재(26)의 예에는 유리 기판이나 플라스틱 필름 등이 포함되지만, 내구성이나 투명성의 관점에서 유리 기판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태양 전지 모듈(20)은 임의의 제조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태양 전지 모듈 (20)은 예를 들어, 이면측 보호 부재(26), 태양 전지 밀봉재, 복수의 태양 전지 소자(22),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24)를 이 순서대로 적층한 적층체를 얻는 공정; 해당 적층체를 라미네이터 등에 의해 가압해 접합하고,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가열하는 공정; 상기 공정 후, 또한 필요에 따라 적층체를 가열 처리하고, 상기 밀봉재를 경화하는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태양 전지 소자에는 통상 발생한 전기를 취출하기 위한 집전 전극이 배치된다. 집전 전극의 예에는 버스 바 전극, 핑거 전극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집전 전극은 태양 전지 소자의 표면과 이면의 양면에 배치한 구조를 취하는데, 수광면에 집전 전극을 배치하면, 집전 전극이 광을 차단해버리기 때문에 발전 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광면에 집전 전극을 배치할 필요가 없는 백 콘택트형 태양 전지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백 콘택트형 태양 전지 소자의 일 형태에서는 태양 전지 소자의 수광면 반대측에 설치된 이면측에, p 도프 영역과 n 도프 영역을 교대로 형성한다. 백 콘택트형 태양 전지 소자의 다른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스루홀)을 형성한 기판에 p/n 접합을 형성하고, 스루홀 내벽 및 이면측의 스루홀 주변부까지 표면(수광면)측의 도프층을 형성하고, 이면측에서 수광면의 전류를 취출한다.
일반적으로 태양 전지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태양 전지 모듈을 직렬 몇대에서 몇십대로 연결하고 있어, 주택용의 소규모인 것이라도 50V 내지 500V, 메가 솔라라고 불리는 대규모의 것에서는 600 내지 1000V에서의 운용이 이루어진다. 태양 전지 모듈의 외측 프레임에는 강도 유지 등을 목적으로 알루미늄 프레임 등이 사용되고, 안전상의 관점에서 알루미늄 프레임은 접지(接地)될 경우가 많다. 그 결과 태양 전지가 발전함으로써, 밀봉재와 비교하여 전기 저항이 낮은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면과 태양 전지 소자 사이에는, 발전에 의한 전압 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발전 셀과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또는 알루미늄 프레임 사이에 밀봉되는, 태양 전지 밀봉재에는 높은 전기 절연성, 고저항 등이 양호한 전기 특성이 요구된다.
(박막 실리콘계(아몰퍼스 실리콘계) 태양 전지 모듈)
박막 실리콘계 태양 전지 모듈은 (1)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유리 기판)/박막태양 전지 소자/밀봉층/이면측 보호 부재를 이 순서대로 적층한 것; (2)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밀봉층/박막 태양 전지 소자/밀봉층/이면측 보호 부재를 이 순서대로 적층한 것 등일 수 있다.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이면측 보호 부재 및 밀봉층은 전술한 「결정 실리콘계 태양 전지 모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1)의 양태에서의 박막 태양 전지 소자는 예를 들어, 투명 전극층/pin형 실리콘층/이면 전극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한다. 투명 전극층의 예에는 In2O3, SnO2, ZnO, Cd2SnO4, ITO(In2O3에 Sn을 첨가한 것) 등의 반도체계 산화물이 포함된다. 이면 전극층은 예를 들어, 은 박막층을 포함한다. 각 층은 플라즈마 CVD(케미컬·베이퍼·데포지션)법이나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된다. 밀봉층은 이면 전극층(예를 들어, 은 박막층)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투명 전극층은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상에 형성되므로,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와 투명 전극층 사이에 밀봉층은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2)의 양태에서의 박막 태양 전지 소자는 예를 들어, 투명 전극층/pin형 실리콘층/금속박 또는 내열성 고분자 필름상에 배치된 금속 박막층(예를 들어, 은 박막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한다. 금속박의 예에는 스테인레스 스틸 박 등이 포함된다. 내열성 고분자 필름의 예에는 폴리이미드 필름 등이 포함된다. 투명 전극층 및 pin형 실리콘층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CVD법이나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된다. 즉, pin형 실리콘층은 금속박 또는 내열성 고분자 필름상에 배치된 금속 박막층에 형성되고; 또한 투명 전극층은 pin형 실리콘층에 형성된다. 또한, 내열성 고분자 필름상에 배치되는 금속 박막층도 CVD법이나 스퍼터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밀봉층은 투명 전극층과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사이; 및 금속박 또는 내열성 고분자 필름과 이면측 보호 부재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이, 태양 전지 밀봉재로부터 얻어지는 밀봉층은 태양 전지 소자의 집전 선, 탭 부착용 모선 및 도전층 등의 전극과 접해 있다. 또한, (2)의 양태에서의 박막 태양 전지 소자는 실리콘층이 결정 실리콘계 태양 전지 소자에 비하여 얇기 때문에, 태양 전지 모듈 제조 시의 가압이나 상기 모듈 가동시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어렵다. 이로 인해, 결정 실리콘계 태양 전지 모듈에 사용되는 것보다도, 박막 태양 전지 모듈에 사용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의 유연성은 낮아도 된다. 한편, 상기 박막 태양 전지 소자의 전극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박막층이기 때문에, 부식에 의해 열화된 경우, 발전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기타의 태양 전지 모듈로서, 태양 전지 소자에 실리콘을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이 있다. 태양 전지 소자에 실리콘을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에는 결정 실리콘과 아몰퍼스 실리콘을 적층한 하이브리드형(HIT형) 태양 전지 모듈, 흡수 파장 영역이 다른 실리콘층을 적층한 다접합형(탠덤형)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소자의 수광면 반대측에 설치된 이면측에 p 도프 영역과 n 도프 영역을 교대로 형성한 백 콘택트형 태양 전지 모듈, 무수한 구상 실리콘 입자(직경 1mm 정도)와 집광 능력을 올리는 직경 2 내지 3mm의 오목 거울(전극을 겸함)을 조합한 구상 실리콘형 태양 전지 모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소자에 실리콘을 사용한 태양 전지 모듈에는 종래의 pin 접합 구조를 갖는 아몰퍼스 실리콘형의 p형 창층의 역할을, 「절연된 투명 전극」에서 「전계 효과에 의해 유기되는 반전층」으로 치환한 구조를 갖는 전계 효과형 태양 전지 모듈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소자에 단결정의 GaAs를 사용한 GaAs계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소자로서 실리콘 대신에 Cu, In, Ga, Al, Se, S 등을 포함하는 캘코파이라이트계라고 불리는 I-III-VI족 화합물을 사용한 CIS 또는 CIGS계(캘코파이라이트계)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소자로서 Cd 화합물 박막을 사용한 CdTe-CdS계 태양 전지, Cu2ZnSnS4(CZTS) 태양 전지 모듈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이들 모든 태양 전지 모듈의 태양 전지 밀봉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태양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광기전력 소자 밑에 적층하는 밀봉재층은 광기전력 소자의 상부에 적층되는 밀봉재층·전극·이면 보호층과의 접착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광기전력 소자로서의 태양 전지 소자의 이면 평활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열가소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광기전력 소자로서의 태양 전지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내스크래치성, 충격 흡수성 등이 우수한 것이 필요하다.
상기 밀봉재층으로서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태양 전지 모듈 제조시, 진공 흡인하여 가열 압착하는 라미네이션법 등에서의 가열 작용이나, 태양 전지 모듈 등의 장기간 사용에서 태양광 등의 열의 작용 등에 의해, 밀봉재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변질되거나, 열화 내지 분해하거나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해당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 등이 용출하거나, 분해물이 생성하거나 하면, 그들이 태양 전지 소자의 기전력면(소자면)에 작용하고, 그의 기능, 성능 등을 열화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내열성은 태양 전지 모듈의 밀봉재층이 갖는 특성으로서 필요 불가결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밀봉재층은 방습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태양 전지 모듈의 이면 측으로부터의 수분 투과를 방지할 수 있고, 태양 전지 모듈의 광기전력 소자의 부식,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봉재층은 광기전력 소자 상에 적층하는 충전제층과 상이하고, 반드시 투명성을 갖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상기 특성을 가지며, 결정형 태양 전지 모듈의 이면측의 태양 전지 밀봉재, 수분 침투에 약한 박막형 태양 전지 모듈의 태양 전지 밀봉재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모듈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부재를 적절히 가져도 된다. 전형적으로는, 접착층, 충격 흡수층, 코팅층, 반사 방지층, 이면 재반사층, 광 확산층 등을 형성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층을 형성하는 위치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그러한 층을 형성하는 목적 및 그러한 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태양 전지 모듈용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
태양 전지 모듈에 사용되는 태양 전지 모듈용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태양 전지 모듈의 최표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후성, 발수성, 내오염성, 기계 강도를 비롯하여, 태양 전지 모듈의 옥외 폭로에서 장기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광을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서, 광학 손실이 작은, 투명성이 높은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 전지 모듈용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의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불소 수지, 아크릴 수지,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이나 유리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강도, 비용 등의 점에서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나, 내후성이 좋은 불소 수지 등이다. 불소 수지의 예로서는 사불화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불화비닐 수지(PVF),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PVDF), 폴리사불화에틸렌 수지(TFE), 사불화에틸렌-육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폴리3불화염화에틸렌 수지(CTFE)가 있다. 내후성의 관점에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가 우수한데, 내후성 및 기계적 강도의 양립에서는 사불화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가 우수하다. 또한, 밀봉재층 등의 다른 층을 구성하는 재료와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를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적 강도 향상을 위하여 연신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시트, 예를 들어, 2축 연신의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태양 전지 모듈용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로서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유리 기판은 파장 350 내지 1400nm를 갖는 광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리 기판으로서는 적외부의 흡수가 적은 백판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청판 유리이어도 두께가 3mm 이하라면 태양 전지 모듈의 출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적다. 또한, 유리 기판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열처리에 의해 강화 유리를 얻을 수 있지만, 열처리 없음의 플로트 판유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유리 기판의 수광면측에 반사를 억제하기 위하여 반사 방지의 코팅을 해도 된다.
(태양 전지 모듈용 이면측 보호 부재)
태양 전지 모듈에 사용되는 태양 전지 모듈용 이면측 보호 부재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태양 전지 모듈의 최표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술한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와 마찬가지로, 내후성, 기계 강도 등의 여러 특성을 요구한다. 따라서,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와 마찬가지인 재질로 태양 전지 모듈용 이면측 보호 부재를 구성해도 된다. 즉,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로서 사용되는 상술한 각종 재료를, 이면측 보호 부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유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면측 보호 부재는 태양광의 통과를 전제로 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에서 요구되는 투명성은 반드시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태양 전지 모듈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하기 위해서, 또는 온도 변화에 의한 왜곡, 휨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강판을 붙여도 된다. 보강판은 예를 들어, 강판, 플라스틱판, FRP(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판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가 태양 전지 모듈용 이면측 보호 부재와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태양 전지 밀봉재와 태양 전지 모듈용 이면측 보호 부재를 일체화시킴으로써, 모듈 조립시에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태양 전지 모듈용 이면측 보호 부재를 모듈 사이즈로 재단하는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태양 전지 밀봉재와 태양 전지 모듈용 이면측 보호 부재를 각각 레이업 하는 공정을 일체화된 시트로 레이업하는 공정으로 함으로써, 레이업 공정을 단축·생략할 수도 있다. 태양 전지 밀봉재와 태양 전지 모듈용 이면측 보호 부재를 일체화시킬 경우에 태양 전지 밀봉재와 태양 전지 모듈용 이면측 보호 부재의 적층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적층 방법에는 캐스트 성형기, 압출 시트 성형기, 인플레이션 성형기, 사출 성형기 등의 공지된 용융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하여 적층체를 얻는 방법이나; 미리 성형된 한쪽 층 상에 다른 쪽 층을 용융 또는 가열 라미네이팅하여 적층체를 얻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당한 접착제(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미쯔이 가가꾸사제의 상품명 「아드머(등록 상표)」, 미쯔비시 가가꾸사제의 상품명 「모딕(등록 상표)」 등), 불포화 폴리올레핀 등의 저(비)결정성 연질 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무수 말레산 3원 공중합체(스미까 씨디에프 가가꾸사제의 상품명 「본다인(등록 상표)」 등)를 비롯한 아크릴계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등)를 사용한 드라이 라미네이팅법, 또는 히트 라미네이팅법 등에 의해 적층해도 된다.
접착제로서는 120 내지 150℃ 정도의 내열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개 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한쪽 층에, 예를 들어, 실란계 커플링 처리, 티타늄계 커플링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실시해도 된다.
(태양 전지 소자)
태양 전지 모듈에 사용되는 태양 전지 소자는 반도체의 광기전력 효과를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태양 전지 소자는 예를 들어, 실리콘(단결정계, 다결정계, 비결정(아몰퍼스)계) 태양 전지, 화합물 반도체(III-III족, II-VI족, 기타) 태양 전지, 습식 태양 전지, 유기 반도체 태양 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발전 성능과 비용과의 밸런스 등의 관점에서, 다결정 실리콘 태양 전지가 바람직하다.
실리콘 태양 전지 소자, 화합물 반도체 태양 전지 소자도, 태양 전지 소자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지만, 외부로부터의 응력,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태양 전지 소자에의 응력, 충격 등을 흡수하여, 태양 전지 소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크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모듈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를 포함하는 층이 태양 전지 소자와 직접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 전지 밀봉재가 열가소성을 갖고 있으면, 일단, 태양 전지 모듈을 제작한 후에도, 비교적 용이하게 태양 전지 소자를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리사이클성이 우수하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를 구성하는 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을 갖기 때문에, 태양 전지 밀봉재 전체로서도 열가소성을 갖고 있으며, 리사이클성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금속 전극)
태양 전지 모듈에 사용되는 금속 전극의 구성 및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인 예에서는 투명 도전막과 금속막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투명 도전막은 SnO2, ITO, ZnO 등을 포함한다. 금속막은 은, 금, 구리, 주석, 알루미늄, 카드뮴, 아연, 수은, 크롬, 몰리브덴, 텅스텐, 니켈, 바나듐 등의 금속을 포함한다. 이들 금속막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합화된 합금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투명 도전막과 금속막은 CVD, 스퍼터,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금속 전극은 예를 들어, 통상 잘 알려진 로진계 플럭스나 수용성 플럭스의 IPA(이소프로필알코올)나 물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전극 표면에 플럭스를 도포한 후에, 히터나 온풍으로 건조하고, 그 후 땜납 융해 조에서 융해된 땜납 융액을 통해서, 금속 전극의 표면에 땜납을 코팅하고, 재가열해 태양 전지 소자와 금속 전극 또는 금속 전극끼리를 접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접합 개소에 직접 플럭스 및 땜납 또는 땜납만을 도포하고, 태양 전지 소자와 금속 전극 또는 금속 전극끼리를 접합하는 방법도 채용하고 있다.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모듈 제조 방법은 (i)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와,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와, 태양 전지 소자(셀)와, 태양 전지 밀봉재와, 이면측 보호 부재를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ii)얻어진 적층체를 가압 및 가열하여 일체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정(i)에 있어서, 태양 전지 밀봉재의 요철 형상(엠보스 형상)이 형성된 면을 태양 전지 소자측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ii)에 있어서, 공정(i)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진공 라미네이터 또는 열 프레스를 사용하여, 가열 및 가압하여 일체화(밀봉)한다. 밀봉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쿠션성이 높기 때문에, 태양 전지 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기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공기의 휩쓸림도 없고, 고품질의 제품을 수율 좋게 제조할 수 있다.
태양 전지 모듈을 제조할 때에, 태양 전지 밀봉재를 구성하는 에틸렌·α-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가교 경화시킨다. 이 가교 공정은 공정(ii)와 동시에 행해도 되고, 공정(ii) 후에 행해도 된다.
가교 공정을 공정(ii) 후에 행하는 경우, 공정(ii)에서 온도 125 내지 160℃, 진공압 10Torr 이하의 조건으로 3 내지 6분간 진공·가열하고; 계속해서, 대기압에 의한 가압을 1 내지 15분간 정도 행하여, 상기 적층체를 일체화한다. 공정(ii) 후에 행하는 가교 공정은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터널식의 연속식 가교 로를 사용해도 되고, 선반식의 배치식 가교 로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가교 조건은 통상 130 내지 155℃에서 20 내지 60분 정도이다.
한편, 가교 공정을 공정(ii)와 동시에 행하는 경우, 공정(ii)에서의 가열 온도를 145 내지 170℃로 하고, 대기압에 의한 가압 시간을 6 내지 30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가교 공정을 공정(ii) 후에 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는 특정한 유기 과산화물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가교 특성을 갖고 있으며, 공정(ii)에서 2단계의 접착 공정을 거칠 필요는 없고, 고온에서 단시간에 완결할 수 있고, 공정(ii) 후에 행하는 가교 공정을 생략해도 되고, 모듈의 생산성을 현저히 개량할 수 있다.
어떻든 간에,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는 가교제가 실질적으로 분해하지 않고,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밀봉재가 용융하는 바와 같은 온도에서, 태양 전지 소자나 보호재에 태양 전지 밀봉재를 가접착하고, 계속하여 승온하여 충분한 접착과 밀봉재의 가교를 행하면 된다. 여러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첨가제 처방을 선택하면 되고, 예를 들어, 상기 가교제 및 상기 가교 보조제 등의 종류 및 함침량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상기 가교는 가교 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겔 분율이 50 내지 95%가 되는 정도로까지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 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가장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0%이다. 겔 분율의 산출은 하기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 모듈보다 밀봉재 시트의 샘플을 1g 채취하고, 비등 톨루엔에서의 속슬렛 추출을 10시간 행한다. 추출액을 30 메쉬에서의 스테인리스 메쉬로 여과하고, 메쉬를 110℃에서 8시간 감압 건조를 행한다. 메쉬 상에 잔존한 잔존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처리 전의 샘플량(1g)에 대한, 메쉬 상에 잔존한 잔존물의 중량비(%)를 겔 분율로 한다.
상기 겔 분율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태양 전지 밀봉재의 내열성이 양호해지고, 예를 들어, 85℃×85%RH에서의 항온 항습 시험, 블랙 패널 온도 83℃에서의 고강도 크세논 조사 시험, -40℃ 내지 90℃에서의 히트 사이클 시험, 내열 시험에서의 접착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겔 분율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높은 유연성을 갖는 태양 전지 밀봉재가 되고, -40℃ 내지 90℃에서의 히트 사이클 시험에서의 온도 추종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박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발전 설비)
본 실시 형태의 태양 전지 모듈은 생산성, 발전 효율, 수명 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이와 같은 태양 전지 모듈을 사용한 발전 설비는 비용, 발전 효율, 수명 등이 우수하고, 실용상 높은 가치를 갖는다. 상기 발전 설비는 가옥의 지붕에 설치하고, 캠프 등의 아웃 도어에 적합한 이동 전원으로서 이용하고, 자동차 배터리의 보조 전원으로서 이용하는 등, 옥외, 옥내를 막론하고 장기간 사용에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측정 방법
[에틸렌 단위 및 α-올레핀 단위의 함유 비율]
시료 0.35g을 헥사클로로부타디엔 2.0ml에 가열 용해시켜서 얻어진 용액을 유리 필터(G2)로 여과한 후, 중수소화 벤젠 0.5ml를 첨가하고, 내경 10mm의 NMR 튜브에 장입하였다. 니혼덴시사제의 JNM GX-400형 NMR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120℃에서 13C-NMR 측정을 행하였다. 적산 횟수는 8000회 이상으로 하였다. 얻어진 13C-NMR 스펙트럼에서, 공중합체 중 에틸렌 단위의 함유 비율 및 α-올레핀 단위의 함유 비율을 정량하였다.
[MFR]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 조건에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을 측정하였다.
[밀도]
ASTM D1505에 준거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쇼어A 경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190℃, 가열 4분, 10MPa로 가압한 후, 10MPa로 상온까지 5분간 가압 냉각하여 3mm 두께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를 사용하여, ASTM D2240에 준거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쇼어A 경도를 측정하였다.
[불소 원소의 함유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약 2g을 석영제 시료 보드에 정밀 칭량하고, 아르곤/산소 기류 중에서 연소로 설정 온도 900℃에서 연소 분해하였다. 발생한 가스를 흡수 캔에 흡수시켜, 순수로 정용(定容)하고, 해당 용액 중의 불소 원소를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량하였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프: ICS-1600(Dionex사제)
칼럼: IonPac AS22(Dionex사제)
[알루미늄 원소의 함유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습식 분해한 후, 순수로 정용(定容)하고, ICP 발광 분석 장치(시마즈 세이사꾸쇼사제, ICPS-8100)에 의해, 알루미늄을 정량하고, 알루미늄 원소의 함유량을 구하였다.
[체적 고유 저항]
얻어진 시트를 10cm×10cm 사이즈로 재단한 후, 150℃, 진공 3분, 가압 15분으로 라미네이팅 장치(NPC사제, LM-110X160S)로 라미네이팅하여 측정용 가교 시트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가교 시트의 체적 고유 저항(Ω·cm)을 JIS K6911에 준거하여, 인가 전압 500V로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시, 고온 측정 챔버「12708」(어드밴스트사제)을 사용하여 온도 100±2℃로 하고, 미소 전류계「R8340A」(어드밴스트사제)를 사용하였다.
(2)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합성
(합성예 1A)
교반 블레이드를 구비한 내용적 50L의 연속중합기의 한쪽 공급구에, 공촉매로서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의 톨루엔 용액을 0.05mmol/hr, 주 촉매로서 [디메틸(t-부틸아미드)(테트라메틸-η5-시클로펜타디에닐)실란]티타늄디클로라이드의 헥산 용액을 0.012mmol/hr,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의 헥산 용액을 0.4mmol/hr의 비율로 공급하고, 촉매 용액과 중합 용매로서 사용하는 탈수 정제한 노르말 헥산의 합계가 20L/hr이 되게 탈수 정제한 노르말 헥산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동시에 중합기의 다른 공급구에 에틸렌을 3kg/hr, 1-부텐을 4.2kg/hr, 수소를 120NL/hr의 비율로 연속 공급하고, 중합 온도 90℃, 전체압 3MPaG, 체류 시간 1.0시간의 조건 하에서 연속 용액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기에서 생성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은 중합기의 저부에 설치된 배출구를 개재하여 연속적으로 배출시키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이 150 내지 190℃가 되게, 재킷부가 3 내지 25kg/cm2 스팀으로 가열된 연결 파이프에 유도하였다. 또한, 연결 파이프에 이르기 직전에는 촉매 실활제인 메탄올이 주입되는 공급구가 부설되어 있고, 약 0.75L/hr의 속도로 메탄올을 주입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에 합류시켰다. 스팀 재킷이 있는 연결 파이프 내에서 약 190℃로 보온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은 약 4.3MPaG를 유지하도록, 연결 파이프 종단부에 설치된 압력 제어 밸브의 개방도 조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플래시 조에 송액되었다. 또한, 플래시 조 내에의 이송에 있어서는 플래시 조 내의 압력이 약 0.1MPaG, 플래시 조 내의 증기부의 온도가 약 180℃를 유지하도록 용액 온도와 압력 조정 밸브 개방도 설정이 행하여졌다. 그 후, 다이스 온도를 180℃로 설정한 단축 압출기를 통과시키고, 수조에서 스트랜드를 냉각하고, 펠릿 커터로 스트랜드를 절단하여, 펠릿으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얻었다. 수량은 1.3kg/hr이었다. 물성을 표 1A에 나타내었다.
(합성예 2A)
주 촉매로서 비스(p-톨릴)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1,1,4,4,7,7,10,10-옥타메틸-1,2,3,4,7,8,9,10-옥타히드로디벤즈(b,h)-플루오레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의 헥산 용액을 0.003mmol/hr, 공촉매로서의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의 톨루엔 용액을 0.03mmol/hr,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의 헥산 용액을 0.5mmol/hr의 비율로 각각 공급한 것; 1-옥텐을 6.2kg/hr의 비율로 공급한 것; 1-옥텐과 촉매 용액과 중합 용매로서 사용하는 탈수 정제한 노르말 헥산의 합계가 20L/hr이 되게 탈수 정제한 노르말 헥산을 연속적으로 공급한 것; 수소를 10NL/hr의 비율로 공급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얻었다. 수량은 3kg/hr이었다. 물성을 표 1A에 나타내었다.
(합성예 3A)
주 촉매로서의 [디메틸(t-부틸아미드)(테트라메틸-η5-시클로펜타디에닐)실란]티타늄디클로라이드의 헥산 용액을 0.011mmol/hr, 공촉매로서의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의 톨루엔 용액을 0.11mmol/hr의 비율로 각각 공급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합성예 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얻었다. 수량은 1.3kg/hr이었다. 물성을 표 1A에 나타내었다.
(합성예 1B)
교반 블레이드를 구비한 내용적 50L의 연속중합기의 한쪽 공급구에, 공촉매로서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의 톨루엔 용액을 0.05mmol/hr, 주 촉매로서 [디메틸(t-부틸아미드)(테트라메틸-η5-시클로펜타디에닐)실란]티타늄디클로라이드의 헥산 용액을 0.012mmol/hr,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의 헥산 용액을 0.4mmol/hr의 비율로 공급하고, 촉매 용액과 중합 용매로서 사용하는 탈수 정제한 노르말 헥산의 합계가 20L/hr이 되게 탈수 정제한 노르말 헥산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동시에 중합기의 다른 공급구에, 에틸렌을 3kg/hr, 1-부텐을 4.2kg/hr, 수소를 120NL/hr의 비율로 연속 공급하고, 중합 온도 90℃, 전체압 3MPaG, 체류 시간 1.0시간의 조건 하에서 연속 용액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기에서 생성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은 중합기의 저부에 설치된 배출구를 개재하여 연속적으로 배출시키고, 또한 저장 탱크에서 탈압 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 1L에 대하여 0.1N의 염산을 5ml, 증류수 1L를 첨가해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분액 로트에서 수상을 분리하고, 잔존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에 대하여 증류수 1L를 또한 첨가하고, 교반, 수상 분리를 수상이 중화될 때까지 반복해 행하였다. 얻어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노르말 헥산/톨루엔 혼합 용액에 대하여 혼합 용매를 교반하면서 메탄올 3L를 첨가하고, 석출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채취하여, 130℃, 10Torr 감압 하에서 12시간 건조하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채취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분쇄하여, 다이스 온도를 180℃로 설정한 단축 압출기를 통과시키고, 수조에서 스트랜드를 냉각하고, 펠릿 커터로 스트랜드를 절단하여, 펠릿으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얻었다. 물성을 표 1B에 나타내었다.
(합성예 2B)
주 촉매로서 비스(p-톨릴)메틸렌(시클로펜타디에닐)(1,1,4,4,7,7,10,10-옥타메틸-1,2,3,4,7,8,9,10-옥타히드로디벤즈(b,h)-플루오레닐)지르코늄디클로라이드의 헥산 용액을 0.003mmol/hr, 공촉매로서의 트리페닐카르베늄(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의 톨루엔 용액을 0.03mmol/hr,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의 헥산 용액을 0.5mmol/hr의 비율로 각각 공급한 것; 1-옥텐을 6.2kg/hr의 비율로 공급한 것; 1-옥텐과 촉매 용액과 중합 용매로서 사용하는 탈수 정제한 혼합 이소파라핀(ISOPAR E)의 합계가 20L/hr이 되게 탈수 정제한 혼합 이소파라핀을 연속적으로 공급한 것; 수소를 10NL/hr의 비율로 공급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B와 마찬가지로 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 이소파라핀/톨루엔 혼합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 이소파라핀/톨루엔 혼합 용액을 로터리 증발기에서 110℃의 조건 하에 증류하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채취하였다.
펠릿화는 합성예 1B와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물성을 표 1B에 나타내었다.
(합성예 3B)
합성예 2B의 중합 용매를 노르말 헥산으로 하고, 로터리 증발기의 온도를 60℃로 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2B와 마찬가지로 하여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펠릿을 얻었다.
물성을 표 1B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00247665-pct00014
Figure 112014100247665-pct00015
(3) 태양 전지 밀봉재(시트)의 제조
(실시예 1A)
합성예 1A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 과산화물로서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66℃의 t-부틸퍼옥시-2-에틸헥실카르보네이트를 1.0중량부, 실란 커플링제로서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0.5중량부, 가교 보조제로서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를 1.2중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히드록시-4-노르말-옥틸옥시벤조페논을 0.4중량부,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서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를 0.2중량부,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로서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0.05중량부, 인계 안정제로서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를 0.1중량부 배합하였다.
서모·플라스틱사제의 단축 압출기(스크류 직경 20mmφ, L/D=28)에 코팅 행거식 T형 다이스(립 형상: 270×0.8mm)를 장착하고, 다이스 온도 100℃의 조건 하, 롤 온도 30℃, 권취 속도 1.0m/min으로, 냉각 롤에 엠보싱 롤을 사용하여 성형을 행하고, 최대 두께 500 ㎛의 엠보싱 시트(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의 공극률은 28%이었다. 얻어진 시트의 각종 평가 결과를 표 2A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A)
표 2A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엠보싱 시트(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의 공극률은 모두 28%이었다. 얻어진 시트의 각종 평가 결과를 표 2A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A)
표 2A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엠보싱 시트(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의 공극률은 모두 28%이었다. 얻어진 시트의 각종 평가 결과를 표 2A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B)
표 2B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엠보싱 시트(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의 공극률은 모두 28%이었다. 얻어진 시트의 각종 평가 결과를 표 2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B)
표 2B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엠보싱 시트(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의 공극률은 모두 28%이었다. 얻어진 시트의 각종 평가 결과를 표 2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B)
표 2B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전술한 실시예 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엠보싱 시트(태양 전지 밀봉재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의 공극률은 모두 28%이었다. 얻어진 시트의 각종 평가 결과를 표 2B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00247665-pct00016
Figure 112014100247665-pct00017

이 출원은 2012년 3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73949호 및 2012년 3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73951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의 개시 모두를 여기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형태를 포함한다.
[A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이며,
연소법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불소 원소의 함유량이 30ppm 이하인 태양 전지 밀봉재.
[A2]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이하의 요건 a1) 내지 a4)를 만족하는 [A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1) 에틸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80 내지 90mol%이며,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10 내지 20mol%이다.
a2)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 조건에서 측정되는 MFR이 10 내지 50g/10분이다.
a3) ASTM D1505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밀도가 0.865 내지 0.884g/cm3이다.
a4) ASTM D224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쇼어A 경도가 60 내지 85이다.
[A3]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 조건에서 측정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이 10 내지 27g/10분인, [A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4]
유기 과산화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기 과산화물의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00 내지 170℃이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중량부인, [A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5]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인, [A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6]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0.1중량부인, [A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7]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중량부인, [A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8]
인계 안정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인계 안정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0.5중량부인, [A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9]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중량부인, [A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10]
가교 보조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가교 보조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중량부인, [A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11]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용융 혼련한 후, 시트 형상으로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 [A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12]
시트 형상인, [A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13]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와,
이면측 보호 부재와,
태양 전지 소자와,
[A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를 가교시켜서 형성된, 상기 태양 전지 소자를 상기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와 상기 이면측 보호 부재 사이에 밀봉하는 밀봉층
을 구비한 태양 전지 모듈.
[B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이며,
연소법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불소 원소의 함유량이 3.0ppm 이하고,
ICP 발광 분석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알루미늄 원소의 함유량이 20ppm 이하인 태양 전지 밀봉재.
[B2]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이하의 요건 a1) 내지 a4)를 만족하는 [B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a1) 에틸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80 내지 90mol%이며,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10 내지 20mol%이다.
a2)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 조건에서 측정되는 MFR이 10 내지 50g/10분이다.
a3) ASTM D1505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밀도가 0.865 내지 0.884g/cm3이다.
a4) ASTM D224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쇼어A 경도가 60 내지 85이다.
[B3]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 조건에서 측정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이 10 내지 27g/10분인, [B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B4]
유기 과산화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기 과산화물의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00 내지 170℃이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중량부인, [B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B5]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인, [B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B6]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0.1중량부인, [B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B7]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중량부인, [B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B8]
인계 안정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인계 안정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0.5중량부인, [B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B9]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중량부인, [B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B10]
가교 보조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가교 보조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중량부인, [B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B11]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용융 혼련한 후, 시트 형상으로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 [B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B12]
시트 형상인, [B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
[B13]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와,
이면측 보호 부재와,
태양 전지 소자와,
[B1]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를 가교시켜서 형성된, 상기 태양 전지 소자를 상기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와 상기 이면측 보호 부재 사이에 밀봉하는 밀봉층
을 구비한 태양 전지 모듈.

Claims (12)

  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이며,
    연소법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불소 원소의 함유량이 30ppm 이하인 태양 전지 밀봉재.
  2. 제 1항에 있어서,
    연소법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상기 불소 원소의 함유량이 3.0ppm 이하이고,
    ICP 발광 분석에 의해 정량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중 알루미늄 원소의 함유량이 20ppm 이하인 태양 전지 밀봉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이하의 요건 a1) 내지 a4)를 만족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
    a1) 에틸렌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80 내지 90mol%이며,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에서 유래되는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이 10 내지 20mol%이다.
    a2)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MFR이 0.1 내지 50g/10분이다.
    a3) ASTM D1505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밀도가 0.865 내지 0.884g/cm3이다.
    a4) ASTM D224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쇼어A 경도가 60 내지 85이다.
  4. 제 3항에 있어서,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이 10 내지 50g/10분인 태양 전지 밀봉재.
  5. 제 3항에 있어서,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이 0.1g/10분 이상 10g/10분 미만인 태양 전지 밀봉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유기 과산화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기 과산화물의 1분간 반감기 온도가 100 내지 170℃이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중량부인 태양 전지 밀봉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고,
    당해 태양 전지 밀봉재 중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이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인 태양 전지 밀봉재.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인계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가교 보조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더 포함하는 태양 전지 밀봉재.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용융 혼련한 후, 시트 형상으로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 태양 전지 밀봉재.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용융 혼련한 후, 시트 형상으로 캘린더 성형하여 얻어진 태양 전지 밀봉재.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시트 형상인 태양 전지 밀봉재.
  12.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와,
    이면측 보호 부재와,
    태양 전지 소자와,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태양 전지 밀봉재를 가교시켜 형성된, 상기 태양 전지 소자를 상기 표면측 투명 보호 부재와 상기 이면측 보호 부재 사이에 밀봉하는 밀봉층
    을 구비한 태양 전지 모듈.
KR1020147029426A 2012-03-28 2013-03-13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태양 전지 모듈 KR101617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73949 2012-03-28
JP2012073951 2012-03-28
JPJP-P-2012-073949 2012-03-28
JPJP-P-2012-073951 2012-03-28
PCT/JP2013/001659 WO2013145602A1 (ja) 2012-03-28 2013-03-13 太陽電池封止材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841A KR20140135841A (ko) 2014-11-26
KR101617573B1 true KR101617573B1 (ko) 2016-05-02

Family

ID=4925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426A KR101617573B1 (ko) 2012-03-28 2013-03-13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태양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65752B2 (ko)
EP (1) EP2833415B1 (ko)
JP (1) JP5830600B2 (ko)
KR (1) KR101617573B1 (ko)
CN (1) CN104247042B (ko)
SG (1) SG11201406117PA (ko)
TW (1) TWI606068B (ko)
WO (1) WO20131456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8669B2 (en) * 2013-03-06 2017-08-08 Sino-American Silicon Products Inc.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229208B2 (ja) * 2013-11-05 2017-11-1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WO2016063825A1 (ja) * 2014-10-24 2017-08-0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示素子用封止剤及び表示素子用封止剤硬化体
EP3157065B1 (en) * 2015-10-12 2020-12-0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interconnector of solar cell panel
EA201800274A1 (ru) * 2015-11-04 2018-11-30 Бореалис Аг Фотогальванический модуль
JP2019527929A (ja) * 2016-07-15 2019-10-03 ボレアリス エージー 熱可塑性のエンボス加工したフィルム
US10026857B1 (en) * 2016-11-23 2018-07-17 Vanguard Space Technologies, Inc. Assembly and mounting of solar cells on airfoi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8439A (ja) 2009-03-31 2010-11-11 Japan Polyethylene Corp 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組成物
JP2012015402A (ja) * 2010-07-02 2012-01-19 Japan Polyethylene Corp 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封止材、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85097A (en) 1987-01-30 1992-02-16 Exxon Chemical Patents Inc Catalysts based on derivatives of a bis(cyclopentadienyl)group ivb metal compound,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polymerization processes
PL276385A1 (en) 1987-01-30 1989-07-24 Exxon Chemical Patents Inc Method for polymerization of olefines,diolefins and acetylene unsaturated compounds
US5155080A (en) 1988-07-15 1992-10-13 Fina Technology, Inc. Process and catalyst for producing syndiotactic polyolefins
CA2027145C (en) 1989-10-10 2002-12-10 Michael J. Elder Metallocene catalysts with lewis acids and aluminum alkyls
DE69026679T3 (de) 1989-10-30 2005-10-06 Fina Technology, Inc., Houston Addition von Alkylaluminium zum Verbessern eines Metallocenkatalysators
DE69018376T3 (de) 1989-10-30 2002-05-16 Fina Technology Herstellung von Metallocenkatalysatoren für Olefinpolymerisation.
JP2545006B2 (ja) 1990-07-03 1996-10-16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付加重合触媒
US5783638A (en) 1991-10-15 1998-07-21 The Dow Chemical Company Elastic substantially linear ethylene polymers
DE69317862T2 (de) 1992-12-03 1998-09-17 Mitsubishi Chem Corp Harzzusammensetzung für Laminate
JP2978387B2 (ja) 1992-12-03 1999-11-15 三菱化学株式会社 ラミネート用樹脂組成物
US5331047A (en) * 1993-02-17 1994-07-19 Himont Incorporated Olefin polymer films
US6812289B2 (en) * 1996-12-12 2004-11-0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ast stretch film of interpolymer compositions
CN1136264C (zh) * 1998-10-23 2004-01-28 三井化学株式会社 乙烯共聚物,其制造方法,含该共聚物的树脂组合物及其用途
JP2002111036A (ja) 2000-09-29 2002-04-12 Canon Inc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施工方法
CN102936304B (zh) * 2004-03-24 2014-10-22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乙烯共聚体及其生产方法、含有乙烯共聚体的组合物和电装置
CA2514263A1 (en) 2004-03-31 2005-09-30 Mitsui Chemicals, Inc. Process for producing olefin polymers
CN102061024B (zh) * 2004-12-28 2014-08-20 三井-杜邦聚合化学有限公司 太阳能电池密封材料
EP1863098B1 (en) 2005-03-08 2015-07-08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Sealing material for solar cell
JP2007067203A (ja) 2005-08-31 2007-03-15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TWI405842B (zh) 2005-11-25 2013-08-21 Mitsui Chemicals Inc 太陽電池密封材與其用途、及聚合體組成物
JP2006077261A (ja) 2005-12-02 2006-03-23 Mitsui Chemicals Inc エチレン系重合体
US8581094B2 (en) * 2006-09-20 2013-11-1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device module comprising polyolefin copolymer
JP2008231265A (ja) 2007-03-20 2008-10-02 Mitsui Chemicals Inc エチレン系共重合体よりなる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ならびに積層体
JP5226973B2 (ja) 2007-06-15 2013-07-03 三井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系共重合体、該共重合体を含む組成物ならびにその用途
US8697984B2 (en) 2009-03-31 2014-04-15 Japan Polyethylene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for solar cell encapsulant, solar cell encapsulant and solar cell module using the same
CN102414838B (zh) * 2009-04-30 2015-05-06 三菱树脂株式会社 太阳能电池用片及太阳能电池组件
WO2010140343A1 (ja) 2009-06-01 2010-12-09 三井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太陽電池封止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1012243A (ja) 2009-06-01 2011-01-20 Mitsui Chemicals Inc 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太陽電池封止材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323666B2 (ja) * 2009-09-29 2013-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剤、離型材および粘着テープ
JP5539063B2 (ja) 2010-06-25 2014-07-02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封止材、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781282B2 (ja) 2010-08-05 2015-09-16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太陽電池用封止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016153B2 (ja) * 2010-10-08 2012-09-05 三井化学株式会社 太陽電池封止材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MY170295A (en) 2010-11-02 2019-07-17 Mitsui Chemicals Inc Encapsulating material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JP5604335B2 (ja) * 2011-03-04 2014-10-0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太陽電池用封止膜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
US9362436B2 (en) * 2012-02-03 2016-06-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ilane-containing ethylene interpolymer formulation including films and electronic device module compris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8439A (ja) 2009-03-31 2010-11-11 Japan Polyethylene Corp 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組成物
JP2012015402A (ja) * 2010-07-02 2012-01-19 Japan Polyethylene Corp 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封止材、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5602A1 (ja) 2013-10-03
US9865752B2 (en) 2018-01-09
EP2833415A4 (en) 2015-08-12
JPWO2013145602A1 (ja) 2015-12-10
TWI606068B (zh) 2017-11-21
CN104247042B (zh) 2016-07-06
CN104247042A (zh) 2014-12-24
EP2833415A1 (en) 2015-02-04
SG11201406117PA (en) 2014-11-27
EP2833415B1 (en) 2018-05-02
KR20140135841A (ko) 2014-11-26
TW201341414A (zh) 2013-10-16
US20150075616A1 (en) 2015-03-19
JP5830600B2 (ja)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101B1 (ko)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태양 전지 모듈
US8772625B2 (en) Encapsulating material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US9349895B2 (en) Encapsulating material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KR101531807B1 (ko)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태양 전지 모듈
KR101632135B1 (ko) 태양 전지 밀봉용 시트 세트
KR101738797B1 (ko)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태양 전지 모듈
US9595630B2 (en) Solar cell sealing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sealing material, and solar cell module
KR101617573B1 (ko)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태양 전지 모듈
KR101522153B1 (ko) 태양 전지 밀봉재 및 태양 전지 모듈
JP594066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