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153B1 -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 Google Patents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153B1
KR101617153B1 KR1020140174295A KR20140174295A KR101617153B1 KR 101617153 B1 KR101617153 B1 KR 101617153B1 KR 1020140174295 A KR1020140174295 A KR 1020140174295A KR 20140174295 A KR20140174295 A KR 20140174295A KR 101617153 B1 KR101617153 B1 KR 101617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otor bracket
housing
rotor
switch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혁
허원영
Original Assignee
(주)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4017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1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59/20Kick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ck 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which provides a kick down operation feel generated when an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during driving a vehicle to a driver to increase recognition with respect to rapid acceleration, thereby inducing eco-driving to improve fue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kick 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comprises: a switch housing wherein an operation space is formed; a switch lever inserted into the operation space; a pair of rotor brackets assembled in the switch lever; a tension plate install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switch lever;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rotor brackets.

Description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0001]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0002]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 가속페달 조작시에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을 제공하면서 급가속에 대한 인지성을 높일 수 있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ck-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which can enhance a driver's perception of rapid acceleration while providing a kick-down operation feeling to the driver during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급가속이 필요한 상황에서 차량은 신속하게 주행을 할 수 있어야만 교통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되고 타 차량과의 접촉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Generally, in a situation where a rapid acceleration is required, the vehicle must be able to travel quickly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raffic flow and to prevent accidental contact with other vehicles.

이를 위해, 자동변속기 차량에는 킥 다운(kick down) 기능이 부여되고 있는 데, 킥 다운 기능이란 급가속이 필요한 상황에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힘껏 밟으면(kick) 스로틀 밸브가 활짝 개방되고 이후의 변속이 저단으로 자동 변속되면서(down) 급가속이 진행되는 상황을 의미하며, 수동변속기 차량에서는 시프트 다운(shift down)으로 급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To this end,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is provided with a kick down function. In the kick-down function, when the driver de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in a state in which a rapid acceleration is required, the throttle valve is opened wide, (Down) rapid acceleration, and in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a rapid downshift occurs due to a shift down.

한편, 최근의 모든 자동변속기 차량에는 상기와 같은 킥 다운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반면,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을 부여하는 기능은 미비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all the recent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s are provided with the kick dow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but the function of giving the kick-down operation feeling to the driver through the accelerator pedal is insufficient and research is actively proceeding.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5084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50848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 가속페달 조작시에 발생하는 킥 다운 조작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해서 급가속에 대한 인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에코드라이빙의 유도를 통해 연비향상을 도모하며, 운전자의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er with a feeling of kick-down operation that occurs during operation of an accelerator pedal during a vehicle driving operation, thereby enhancing the perception of rapid acceleration, promoting eco-driving to improve fuel efficiency, And a kick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that can reduce fatigue and further satisfy stability and economy.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는,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스위치하우징; 상기 작동공간속에 삽입되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푸시로드가 구비된 스위치레버; 상기 스위치레버에 조립되면서 서로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레버가 상기 작동공간속으로 삽입되는 이동을 할 때에 상기 스위치하우징과 조립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떨어진 거리가 좁혀지도록 동작하는 한 쌍의 로터브라켓; 상기 스위치레버와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로터브라켓의 타단과 항상 접촉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로터브라켓의 회전 동작시에 상기 로터브라켓으로 탄력적인 반력을 제공해서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과 절도감을 부여하는 텐션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로터브라켓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로터브라켓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ick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comprising: a switch housing having an operation space formed therein; A switch lever which is inserted in the operating spac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is provided with a push rod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housing; A plurality of switch levers which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assembled to the switch lever, and a pair of switches, which are operat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being rotated about one end assembled with the switch housing when the switch lever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space Rotor bracket; A tension plate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witch lever and which provides a resilient reaction force to the rotor bracket during a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or bracket to give the driver a feeling of kick-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rotor brackets to provide a return force to the rotor bracket.

상기 텐션플레이트가 조립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레버와 로터브라켓 및 텐션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홀더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holder cover for preventing the release of the switch lever, the rotor bracket, and the tension plate by assembling the tension plate and being coupled to the switch housing.

상기 스위치하우징은 서로 대면하는 두 면 중에서 일면에 상기 푸시로드가 관통하는 로드구멍이 형성되고 타면이 개구되게 형성되며 개구된 타면을 상기 홀더커버가 밀폐시키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witch housing is formed with a rod hole through which the push rod penetrates on one surface of the two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the other surface is formed to be open,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witch housing is sealed to close the holder cover.

상기 스위치하우징에서 상기 로드구멍이 형성된 일면의 안쪽면에는 원호형상의 하우징홈이 상기 작동공간쪽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홈에 상기 로터브라켓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an arc-shaped hous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switch housing where the rod hole is formed, the housing groove being open to the working space; And one end of the rotor bracket is rotatably fitted in the housing groove.

상기 스위치레버는 상기 푸시로드가 돌출되게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 형성되어서 바디부와 함께 I자 모양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로터브라켓이 일단으로부터 끼워져서 조립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로터브라켓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witch leve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the push rod protruded and a pair of support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n I-shape together with the body portion; The rotor bracket is fitted to the body part from one end; And the pair of supports supports an outer surface of the rotor bracket.

상기 로터브라켓은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하우징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원형단면 형상의 회전중심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중심돌기가 형성된 일단에서부터 타단을 향해 절개되어서 상기 스위치레버의 바디부에 끼워지는 조립홈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텐션플레이트와 항상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의 외측면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rotor bracket is formed at one end with a rotation center projection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which is rotatably fitted in the housing groove of the switch housing; An assembly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of the switch lever so as to be cut from one end of the rotation center projection toward the other end; The other end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tension plate; And the outer side surfac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widens toward the other end from the one end to the other end.

상기 텐션플레이트는 상기 홀더커버에 밀착되도록 조립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로터브라켓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로터브라켓의 타단과 항상 접촉되는 부위로 상기 로터브라켓의 회전 동작시에 상기 로터브라켓으로 탄력적인 반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tension plate includes: a base portion assemb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der cover; And a pair of tension parts protruding from the base part toward the rotor bracket to provide a resilient reaction force to the rotor bracket during a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or bracket to a part alway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

상기 베이스부는 평판모양으로 상기 홀더커버와의 조립을 위한 조립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커버에는 상기 조립구멍을 관통해서 조립구멍의 테두리에 걸려지는 후크모양의 조립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base portion has a plate-like shape and has an assembly hole for assembly with the holder cover; The holder cover is formed with a hook-shaped assembly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assembly hole through the assembly hole.

상기 텐션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끝에서 상기 홀더커버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와 상기 절곡부의 연결부는 상기 로터브라켓을 향해 최대로 돌출된 최대돌출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tension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base portion; And a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holder cover at an end of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is a maximum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maximally toward the rotor bracket.

상기 절곡부와 상기 최대돌출부사이의 구간은 운전자에게 킥 다운 시작시점 및 복귀시점을 부여하는 구간이고; 상기 로터브라켓의 타단이 상기 최대돌출부를 통과할 때에 운전자에게 절도감이 부여되며; 상기 로터브라켓의 타단이 상기 최대돌출부를 통과해서 상기 경사부에 접촉할 때에 킥 다운 최대시점임을 운전자에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tion between the bending section and the maximum protrusion section is a section for giving a kick-start start point and a return point to the driver; The driver is given an overtight feeling when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passes through the maximum protruding portion; And when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passes through the maximum protruding portion and contacts the inclined portion, the driver is given a kick down maximum point.

상기 로터브라켓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 대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프링돌기에 양단이 끼워지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로터브라켓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브라켓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Spr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tor bracket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elastic member is a compression spring which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protrusion so a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rotor bracket so that the rotor bracket can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상기 푸시로드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한 쌍의 로터브라켓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텐션플레이트의 탄성력과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동시에 제공받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브라켓은 외측면이 스위치하우징의 내벽면에 접촉했을 때 회전이 스톱되고; 상기 스위치레버의 지지부가 로터브라켓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중심돌기쪽으로 이동해서 스위치레버의 지지부 또는 바디부가 스위치하우징의 안쪽면에 접촉했을 때 스위치레버의 초기위치 또는 아이들(idle)상태의 위치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ir of rotor brackets being simultaneously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plate and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pair of rotor brackets rotate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The rotor brackets rotating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stop rotating when the outer surface contact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witch housing; The initial position or the idle position of the switch lever is restricted when the support portion of the switch lever moves toward the rotation center projection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or bracket and the support portion or the body of the switch lever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housing .

상기 푸시로드에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스위치레버는 지지부가 로터브라켓의 경사면과 접촉한 상태로 홀더커버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스위치레버가 홀더커버를 향해 이동할 때에 한 쌍의 로터브라켓은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스위치레버가 홀더커버를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바디부가 조립홈의 바닥면과 접촉할 때에 상기 스위치레버의 풀 스트로크(full stroke)상태의 위치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push rod, the switch lever moves toward the holder cover with the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or bracket; When the switch lever moves toward the holder cover, the pair of rotor brackets rot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otor brackets becomes narrower; And the position of the switch lever in the full stroke state is regulated when the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witch lever toward the holder cover.

상기 가속페달은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 및 운전자의 조작으로 상기 페달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는 페달암 또는 페달패드의 회전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은 상기 회전부품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레버의 푸시로드는 상기 회전부품의 회전시에 상기 페달하우징과 접촉해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celerator pedal includes a pedal housing fixedly mounted on a vehicle body and a rotating part of a pedal arm or a pedal pad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pedal housing by operation of a driver; The switch housing being fixedly attached to the rotating part; And the push rod of the switch lever operates in contact with the pedal housing when the rotating part rotates.

상기 가속페달은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 및 운전자의 조작으로 상기 페달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는 페달암 또는 페달패드의 회전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은 상기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레버의 푸시로드는 상기 회전부품의 회전시에 상기 회전부품과 접촉해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ccelerator pedal includes a pedal housing fixedly mounted on a vehicle body and a rotating part of a pedal arm or a pedal pad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pedal housing by operation of a driver; The switch housing being fixedly mounted to the pedal housing; And the push rod of the switch lever operates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part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주행 중 가속페달 조작시에 발생하는 킥 다운 조작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해서 급가속에 대한 인지성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에코드라이빙을 유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iver with a feeling of kick-down operation generated when the accelerator pedal is operated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ereby enhancing the perception of rapid acceleration, thereby leading to eco-driv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은 급가속에 따른 페달 조작시에 향상된 조작감을 운전자에게 부여할 됨으로써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며, 특히 운전자가 킥 다운의 최대시점을 느낀 이후부터는 필요이상의 더 큰 답력을 페달에 가해주지 않게 됨으로써 페달조작에 따른 피로감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er with an improved operational feeling at the time of operating the pedal according to rapid acceleration, it can satisfy stability and economy at the same time. Especially, after the driver feels the maximum point of kick-down, So that the fatigue feeling due to the pedal operation can be greatly reduced.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가 장착된 펜던트 타입 가속페달의 측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레버와 로터브라켓 및 탄성부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의 작동 전 상태의 도면,
도 9는 가속페달의 풀 스트로크 상태시 도면이다.
1 and 2 are side views of a pendent type accelerator pedal equipped with a kick dow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view of a coupled state of the kick-dow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ick-dow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ate of the switch lever, the rotor bracket, and the elastic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of Fig. 5,
8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kick-dow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full stroke state of the accelerator peda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kick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차량의 가속페달은 장착구조에 따라 대시패널에 매달아 설치하는 펜던트 타입(pendant type)과 플로어패널에 설치하는 오르간 타입(organ type)이 있다.The accelerator pedal of the vehicle has a pendant type which is hung from the dash panel according to the mounting structure and an organ type which is installed on the floor panel.

상기 펜던트 타입 가속페달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를 이루는 대시패널(1)에 페달하우징(2)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64209호 기재된 바와 같이 차체를 이루는 플로어패널에 페달하우징이 고정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pendant type accelerator pedal is provided with a pedal housing 2 fixed to a dash panel 1 constituting a vehicle body, and the organ type accelerator pedal is provided as describ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64209 Similarly, the pedal housing is fixedly mounted on a floor panel constituting the vehicle body.

상기 페달하우징(2)에는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하우징(2)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부품(3)이 결합되는 바, 펜던트 타입 가속페달의 경우 상기 회전부품(3)은 페달암이 되고,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인 경우 상기 회전부품(3)은 페달패드가 된다.In the case of a pendant type accelerator pedal, the rotary part 3 is a pedal arm. The rotary part 3 is an organ type In the case of an accelerator pedal, the rotary part 3 becomes a pedal pa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4)는 도 1과 같이 회전부품(3)에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도 2와 같이 상기 페달하우징(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이 페달하우징(2)에 킥 다운 스위치(4)가 설치된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한다.Here, the kick-down switch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xed to the rotary part 3 as shown in Fig. 1 or may be fixed to the pedal housing 2 as shown in Fig. 2. In the present invention, A kick-down switch 4 is provided in the pedal housing 2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는 도 3 내지 도 9와 같이 내부에 작동공간(11)이 형성된 스위치하우징(10); 상기 작동공간(11)속에 삽입되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된 푸시로드(21)가 구비된 스위치레버(20); 상기 스위치레버(20)에 조립되면서 서로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레버(20)가 상기 작동공간(11)속으로 삽입되는 이동을 할 때에 상기 스위치하우징(10)과 조립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떨어진 거리가 좁혀지도록 동작하는 한 쌍의 로터브라켓(30); 상기 스위치레버(20)와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로터브라켓(30)의 타단과 항상 접촉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로터브라켓(30)의 회전 동작시에 상기 로터브라켓(30)으로 탄력적인 반력을 제공해서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과 절도감을 부여하는 텐션플레이트(40); 상기 한 쌍의 로터브라켓(30)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로터브라켓(30)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 및 상기 텐션플레이트(40)가 조립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레버(20)와 로터브라켓(30) 및 텐션플레이트(40)의 이탈을 방지하는 홀더커버(60);을 포함한다.The kick-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housing 10 having an operation space 11 formed therein as shown in Figs. 3 to 9; A switch lever 20 which is inserted into the operating space 11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has a push rod 21 protruding outside the switch housing 10; The switch lever 20 is mounted on the switch lever 20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switch lever 20 is inserted into the operating space 11, A pair of rotor brackets (30) which are operated so as to narrow distances away from each other while rotating;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30) at a position opposed to the switch lever (20), thereby providing a resilient reaction force to the rotor bracket (30) A tension plate (40) for imparting a feeling of kick-down feeling and a thrill to the knee; An elastic member (50) connecting the pair of rotor brackets (30) to provide a return force to the rotor bracket (30); And a holder cover 60 for preventing detachment of the switch lever 20, the rotor bracket 30 and the tension plate 40 by assembling the tension plate 40 and being coupled to the switch housing 10, .

한편, 페달하우징(2)에는 상기 회전부품(3)이 회전동작을 할 때에 회전부품(3)과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가 존재하게 되는 바, 페달하우징(2)에서 회전부품(3)과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하우징(10)이 고정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pedal housing 2 is provided with a position where the pedal housing 2 faces the rotary part 3 when the rotary part 3 performs a rotary operation. In the pedal housing 2, The switch hous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installed.

그리고,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은 상기 페달하우징(2)에 마련된 수용공간(미도시)으로 삽입되어서 장착된 구조가 된다.The switch housing 10 is inserted into a receiving space (not shown) provided in the pedal housing 2 to be mounted thereon.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은 외관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면하는 두 면 중에서 일면에는 상기 푸시로드(21)가 관통하는 로드구멍(12)이 형성되며, 로드구멍(12)에 대면하는 타면은 외부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개구된 타면을 상기 홀더커버(60)가 밀폐시키도록 결합된 구조이다.The switch housing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rod hole 12 through which the push rod 21 passes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wo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 holder cover 60 is formed to be open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holder cover 60 is closed.

상기 스위치하우징(10)에서 상기 로드구멍(12)이 형성된 일면의 안쪽면에는 원호형상의 하우징홈(13)이 상기 작동공간(11)쪽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홈(13)에 상기 로터브라켓(3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서 조립된 구조가 된다.An arc-shaped housing groove 1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switch housing 10 where the rod hole 12 is formed and is open to the working space 11, One end of the bracket 30 is rotatably fitted and assembled.

상기 스위치레버(20)는 상기 푸시로드(21)가 돌출되게 형성된 바디부(23) 및 상기 바디부(23)의 양단에 형성되어서 바디부(23)와 함께 I자 모양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부(22)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23)에는 상기 로터브라켓(30)이 일단으로부터 끼워져서 조립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22)는 상기 로터브라켓(3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설치된다.The switch lever 20 includes a body portion 23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ush rod 21 and a pair of protrusions 23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23 to form an I- A support (22); The rotor bracket (30) is assembled to the body part (23) from one end thereof;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22 are installed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rotor bracket 30.

상기 로터브라켓(30)은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의 하우징홈(1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원형단면 형상의 회전중심돌기(34)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중심돌기(34)가 형성된 일단에서부터 타단을 향해 절개되어서 상기 스위치레버(20)의 바디부(23)에 끼워지는 조립홈(31)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텐션플레이트(40)와 항상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의 외측면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진 경사면(32)으로 형성된 구조이다.The rotor bracket 30 is formed at one end with a rotation center projection 34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rotatably fitted in the housing groove 13 of the switch housing 1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tension plate 40. The other end of the assembly groove 3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witch lever 20,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er side surface is formed by an inclined surface 32 which widen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상기 하우징홈(13)에 끼워진 회전중심돌기(34)는 로터브라켓(30)을 지지역할 및 회전중심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rotation center protrusion 34 fitted in the housing groove 13 serves as a supporting role and a rotation center of the rotor bracket 30. [

상기 텐션플레이트(40)는 상기 홀더커버(60)에 밀착되도록 조립되는 베이스부(41); 및 상기 베이스부(41)로부터 상기 로터브라켓(3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로터브라켓(30)의 타단과 항상 접촉되는 부위로 상기 로터브라켓(30)의 회전 동작시에 상기 로터브라켓(30)으로 탄력적인 반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텐션부(42);를 포함한다.The tension plate (40) includes a base part (41) assemb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der cover (60); And a rotor bracket 30 which protrudes from the base portion 41 toward the rotor bracket 30 and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30. The rotor bracket 30, And a pair of tensioning portions 42 for providing a resilient reaction force to the tensioning portion 42.

상기 베이스부(41)는 평판모양으로 상기 홀더커버(60)와의 조립을 위한 조립구멍(41a)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커버(60)에는 상기 조립구멍(41a)을 관통해서 조립구멍(41a)의 테두리에 걸려지는 후크모양의 조립돌기(6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The base portion 41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with an assembly hole 41a for assembly with the holder cover 60; The holder cover 6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hook-shaped assembly protrusion 61 which passes through the assembly hole 41a and is hooked on the edge of the assembly hole 41a.

상기 텐션부(42)는 상기 베이스부(41)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42a); 및 상기 경사부(42a)의 끝에서 상기 홀더커버(60)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42b)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42a)와 상기 절곡부(42b)의 연결부는 상기 로터브라켓(30)을 향해 최대로 돌출된 최대돌출부(42c)가 된다.The tension portion 42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42a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base portion 41; And a bent portion (42b) bent toward the holder cover (60) at an end of the inclined portion (42a);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inclined portion 42a and the bent portion 42b becomes the maximum protruding portion 42c protruding to the rotor bracket 30 to the maximum.

여기서, 상기 절곡부(42b)와 상기 최대돌출부(42c)사이의 구간(C1)은 운전자에게 킥 다운 시작시점 및 복귀시점을 부여하는 구간이고; 상기 로터브라켓(30)의 타단이 상기 최대돌출부(42c)를 통과할 때에 운전자에게 절도감이 부여되며; 상기 로터브라켓(30)의 타단이 상기 최대돌출부(42c)를 통과해서 상기 경사부(42a)에 접촉할 때에 킥 다운 최대시점임을 운전자에게 부여하게 된다.A section C1 between the bent portion 42b and the maximum protruding portion 42c is a period for giving a kick start point and a return point to the driver; When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30) passes the maximum protruding portion (42c), the driver is given a sense of relief; When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30 passes through the maximum protruding portion 42c and contacts the inclined portion 42a, the driver is given the kick-down maximum point.

상기 로터브라켓(30)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 대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돌기(33)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스프링돌기(33)에 양단이 끼워지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로터브라켓(3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브라켓(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ring protrusions 33 are protrud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rotor bracket 30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50 is a compression spring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rotor bracket 30 so that the rotor bracket 30 can be moved away from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푸시로드(2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한 쌍의 로터브라켓(30)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텐션플레이트(40)의 탄성력과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동시에 제공받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브라켓(30)은 외측면이 스위치하우징(10)의 내벽면에 접촉했을 때 회전이 스톱되고; 상기 스위치레버(20)의 지지부(22)가 로터브라켓(30)의 경사면(32)을 따라 회전중심돌기(34)쪽으로 이동해서 스위치레버(20)의 지지부(22) 또는 바디부(23)가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면에 접촉했을 때 스위치레버(20)의 초기위치 또는 아이들(idle)상태의 위치가 규제된다.When the push rod 21 is not acted on by an external force, the pair of rotor brackets 30 are urged by the resilient force of the tension plate 40 and the elastic member 50 ) At the same time; The rotor bracket 30, which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stops rotating when the outer surface thereof contact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witch housing 10;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switch lever 20 is moved toward the rotation center projection 34 along the inclined surface 32 of the rotor bracket 30 so that the support portion 22 or the body portion 23 of the switch lever 20 The initial position or the idle position of the switch lever 20 is regulated when the switch lever 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housing 10.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푸시로드(21)에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스위치레버(20)는 지지부(22)가 로터브라켓(30)의 경사면(32)과 접촉한 상태로 홀더커버(60)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스위치레버(20)가 홀더커버(60)를 향해 이동할 때에 한 쌍의 로터브라켓(30)은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스위치레버(20)가 홀더커버(60)를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바디부(23)가 조립홈(31)의 바닥면(31a)과 접촉할 때에 상기 스위치레버(20)의 풀 스트로크(full stroke)상태의 위치가 규제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rod 21, the switch lever 20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22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2 of the rotor bracket 30, (60); When the switch lever (20) moves toward the holder cover (60), the pair of rotor brackets (30) rot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m becomes narrower; The full stroke of the switch lever 20 when the body portion 23 contacts the bottom surface 31a of the mounting groove 31 during the movement of the switch lever 20 toward the holder cover 60 stroke position is regulated.

한편,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이 도 1과 같이 회전부품(3)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레버(20)의 푸시로드(21)는 상기 회전부품(3)의 회전시에 상기 페달하우징(2)과 접촉해서 작동하게 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10)이 도 2와 같이 페달하우징(2)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레버(20)의 푸시로드(21)는 상기 회전부품(3)의 회전시에 상기 회전부품(3)과 접촉해서 작동하는 구조가 된다.
1, the pushrod 21 of the switch lever 2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pedal housing 3 when the rotary part 3 is rotated, The push rod 21 of the switch lever 20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part 3 when the switch housing 10 is fixed to the pedal housing 2 as shown in FIG. The rotary part 3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part 3,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킥 다운 스위치(4)가 작동하기 전의 상태로서, 이때 회전부품(3)은 푸시로드(21)와 이격된 상태이고, 한 쌍의 로터브라켓(30)은 텐션플레이트(40)의 탄성력과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동시에 제공받아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해서 스위치하우징(10)의 내벽면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이 스톱된 상태이고, 상기 스위치레버(20)의 지지부(22)가 로터브라켓(30)의 경사면(32)을 따라 회전중심돌기(34)쪽으로 이동해서 스위치레버(20)의 지지부(22) 또는 바디부(23)가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면에 접촉함에 따라 스위치레버(20)의 초기위치 또는 아이들(idle)상태의 위치가 규제된다.8 shows a state before the kick-down switch 4 is operated, in which the rotating part 3 is separated from the push rod 21 and the pair of rotor brackets 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plate 40 And the rota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22 of the switch lever 20 is stopped by th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witch housing 10, As the supporting portion 22 or the body portion 23 of the switch lever 20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housing 10 by moving to the rotation center projection 34 along the inclined surface 32 of the rotor bracket 30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witch lever 20 or the position of the idle state is regulated.

상기와 같이 스위치레버(20)의 초기위치가 규제된 상태일 때, 로터브라켓(30)의 타단(도시상태에서 하단)은 텐션플레이트(40)의 절곡부(42b)에 걸려진 상태가 된다.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30 is engaged with the bent portion 42b of the tension plate 40 wh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witch lever 20 is restricted as described above.

도 8의 상태에서 회전부품(3)에 운전자의 답력이 가해지고, 회전부품(3)이 페달하우징(2)에 대해 회전해서 푸시로드(21)와 접촉하고, 푸시로드(21)가 하강이동을 하게 되면(화살표 M1), 스위치레버(20)의 지지부(22)가 로터브라켓(30)의 외측 경사면(32)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스위치레버(20)도 함께 하강 이동하게 된다.The pressing force of the driver is applied to the rotary part 3 in the state of Fig. 8 and the rotary part 3 rotates with respect to the pedal housing 2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push rod 21, The support lever 22 of the switch lever 20 moves along the outer inclined surface 32 of the rotor bracket 30 so that the switch lever 20 also moves downward.

상기와 같이 스위치레버(20)가 하강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로터브라켓(30)은 탄성부재(50)의 힘을 이기고 회전하면서(화살표 R1)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로터브라켓(30)의 타단은 텐션플레이트(40)의 텐션부(42)와 접촉한 상태로 절곡부(42b)와 최대돌출부(42c)사이의 구간(C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바, 이때 운전자는 탄성부재(50)의 반력과 텐션부(42)의 반력을 회전부품(3)을 통해 동시에 전달받게 됨으로써 킥 다운(kick down) 시작시점임을 알 수 있게 된다.When the switch lever 20 is moved downward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rotor brackets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0 (arrow R1) Is moved along the section C1 between the bent portion 42b and the maximum protruding portion 42c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tension portion 42 of the tension plate 40. At this time, 50 and the reaction force of the tension unit 42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hrough the rotary part 3,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kick-down time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kick-down.

그리고, 운전자의 답력이 더 커져서 스위치레버(20)가 더 많이 하강 이동하고, 로터브라켓(30)의 간격이 더 좁아져서 로터브라켓(30)의 타단이 텐션부(42)와 접촉한 상태로 최대돌출부(42c)를 통과하는 순간이 될 때 운전자는 로터브라켓(30)의 하단이 최대돌출부(42c)를 통과하는 순간에서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The switch lever 20 moves further downwar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otor brackets 30 becomes narrowe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30 is in contact with the tension portion 42, The driver can feel a sense of theft when the lower end of the rotor bracket 30 passes through the maximum protruding portion 42c at the moment when the rotor 42 passes through the protruding portion 42c.

계속해서, 운전자의 답력이 더 커져서 스위치레버(20)가 더 많이 하강 이동하고, 로터브라켓(30)의 간격이 더 좁아져서 로터브라켓(30)의 타단이 텐션부(42)와 접촉한 상태로 최대돌출부(42c)를 통과한 후 도 9와 같이 경사부(42a)와 접촉한 상태가 되면, 이때 운전자는 최대로 압축된 탄성부재(50)의 최대 반력 및 텐션플레이트(40)의 최대 반력을 회전부품(3)을 통해 동시에 전달받게 됨으로써 킥 다운 최대시점임을 알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the driver's pressing force is further increased to cause the switch lever 20 to move further downward, the gap of the rotor bracket 30 becomes narrower, and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ension portion 42 After passing through the maximum protruding portion 42c, as shown in FIG. 9, the driv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 42a. At this time, the driver presses the maximum reaction force of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50 and the maximum reaction force of the tension plate 40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kick-down time point is the maximum point.

킥 다운 최대시점은 스위치레버(20)의 풀 스트로크(full stroke)상태와 동일한 의미로서, 스위치레버(20)가 홀더커버(60)를 향해 하강 이동하는 과정에서 바디부(23)가 조립홈(31)의 바닥면(31a)과 접촉하게 되면, 스위치레버(20)의 풀 스트로크(full stroke)상태의 위치가 규제되고, 이때가 킥 다운 최대시점이 된다.The kick-down maximum time point is the same as the full stroke state of the switch lever 20. When the switch lever 20 is moved downward toward the holder cover 60, 31, the position of the full stroke position of the switch lever 20 is regulated, and this time becomes the kick-down maximum point.

그리고, 도 9의 상태에서 운전자의 답력이 제거되면 회전부품(3)은 도 8과 같이 푸시로드(21)와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복귀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로터브라켓(30)의 타단은 도 8과 같이 텐션부(42)와 접촉한 상태로 최대돌출부(42c)를 타고 넘어간 후 최종적으로 절곡부(42b)와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복귀하게 되는 바, 이 과정에서 운전자는 회전부품(3)을 통해 절도감을 부여받게 됨으로써 킥 다운의 복귀시점임을 알 수 있게 된다.9, the rotary part 3 is returned to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push rod 21 as shown in FIG. 8. In the course of this process,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30 8 in the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tension member 42 and finally returning to contact with the bent portion 42b. In this process, the driver rotates the rotary member 3, It is possible to know that it is the return time of the kick-down.

킥 다운의 복귀시점은 스위치레버(20)의 초기위치 또는 아이들(idle)상태의 위치와 동일한 의미로서, 스위치레버(20)의 지지부(22)가 로터브라켓(30)의 경사면(32)을 따라 회전중심돌기(34)쪽으로 이동한 후 스위치레버(20)의 지지부(22) 또는 바디부(23)가 스위치하우징(10)의 안쪽면에 접촉하게 되면 스위치레버(20)의 초기위치 또는 아이들(idle)상태의 위치가 규제되고, 이때가 킥 다운의 복귀시점이 된다.The returning point of the kickdown is equivalent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witch lever 20 or the position of the idle state so that the support portion 22 of the switch lever 20 is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32 of the rotor bracket 30 When the support portion 22 or the body portion 23 of the switch lever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housing 10 after moving to the rotation center protrusion 34,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witch lever 20, the position of the idle state is regulated, and this time becomes the return time of the kickdow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 스위치(4)는, 차량 주행 중 가속페달 조작시에 발생하는 킥 다운 조작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해서 급가속에 대한 인지성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에코드라이빙을 유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kick-down switch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driver with a feeling of kick-down operation that occur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during the vehicle running, thereby increasing the perception of rapid acceler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fuel economy.

또한, 본 발명은 급가속에 따른 페달 조작시에 향상된 조작감을 운전자에게 부여할 됨으로써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operational feeling to a driver when operating a pedal according to a rapid acceleration, thereby achieving both stability and economy.

또한, 운전자가 킥 다운의 최대시점을 느낀 이후부터는 필요이상의 더 큰 답력을 페달에 가해주지 않게 됨으로써 페달조작에 따른 피로감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er feels the maximum point of the kick-down, the driver does not apply a larger steering force to the pedal than necessary,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fatigue of the pedal operation.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 스위치하우징 20 - 스위치레버
30 - 로터브라켓 40 - 텐션플레이트
50 - 탄성부재 60 - 홀더커버
10 - Switch housing 20 - Switch lever
30 - Rotor bracket 40 - Tension plate
50 - Elastic member 60 - Holder cover

Claims (15)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스위치하우징;
상기 작동공간속에 삽입되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푸시로드가 구비된 스위치레버;
상기 스위치레버에 조립되면서 서로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레버가 상기 작동공간속으로 삽입되는 이동을 할 때에 상기 스위치하우징과 조립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떨어진 거리가 좁혀지도록 동작하는 한 쌍의 로터브라켓;
상기 스위치레버와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로터브라켓의 타단과 항상 접촉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로터브라켓의 회전 동작시에 상기 로터브라켓으로 탄력적인 반력을 제공해서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과 절도감을 부여하는 텐션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로터브라켓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로터브라켓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A switch housing having a working space formed therein;
A switch lever which is inserted in the operating spac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is provided with a push rod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switch housing;
A plurality of switch levers which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assembled to the switch lever, and a pair of switches, which are operat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being rotated about one end assembled with the switch housing when the switch lever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space Rotor bracket;
A tension plate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witch lever and which provides a resilient reaction force to the rotor bracket during a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or bracket to give the driver a feeling of kick- And
And an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rotor brackets to provide a returning force to the rotor bra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션플레이트가 조립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레버와 로터브라켓 및 텐션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홀더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lder cover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switch lever, the rotor bracket, and the tension plate when the tension plate is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switch hou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은 서로 대면하는 두 면 중에서 일면에 상기 푸시로드가 관통하는 로드구멍이 형성되고 타면이 개구되게 형성되며 개구된 타면을 상기 홀더커버가 밀폐시키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witch housing is formed such that a rod hole through which the push rod passes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wo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the other surface is formed to be opened and the holder cover is hermetically sealed. Down switch.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에서 상기 로드구멍이 형성된 일면의 안쪽면에는 원호형상의 하우징홈이 상기 작동공간쪽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홈에 상기 로터브라켓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arc-shaped hous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switch housing where the rod hole is formed, the housing groove being open to the working space;
And wherein one end of the rotor bracket is rotatably fitted in the housing groove to assemble the kick-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레버는 상기 푸시로드가 돌출되게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 형성되어서 바디부와 함께 I자 모양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로터브라켓이 일단으로부터 끼워져서 조립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로터브라켓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witch lever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the push rod protruded and a pair of support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n I-shape together with the body portion;
The rotor bracket is fitted to the body part from one end;
And the pair of supports supports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rotor bracke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터브라켓은 상기 스위치하우징의 하우징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원형단면 형상의 회전중심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중심돌기가 형성된 일단에서부터 타단을 향해 절개되어서 상기 스위치레버의 바디부에 끼워지는 조립홈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텐션플레이트와 항상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의 외측면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or bracket is formed at one end with a rotation center projection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which is rotatably fitted in the housing groove of the switch housing;
An assembly groove formed in the body portion of the switch lever so as to be cut from one end of the rotation center projection toward the other end;
The other end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tension plate;
Wherein the outer side surface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widens from one end toward the other en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텐션플레이트는 상기 홀더커버에 밀착되도록 조립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로터브라켓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로터브라켓의 타단과 항상 접촉되는 부위로 상기 로터브라켓의 회전 동작시에 상기 로터브라켓으로 탄력적인 반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ension plate includes: a base portion assemb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der cover; And
And a pair of tension parts protruding from the base part toward the rotor bracket to provide a resilient reaction force to the rotor bracket during a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or bracket to a position where the rotor bracket is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Wherein the kick-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is a kick-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평판모양으로 상기 홀더커버와의 조립을 위한 조립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커버에는 상기 조립구멍을 관통해서 조립구멍의 테두리에 걸려지는 후크모양의 조립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se portion has a plate-like shape and has an assembly hole for assembly with the holder cover;
Wherein the holder cover is formed with a hook-shaped assembly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hole of the assembly through the ho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끝에서 상기 홀더커버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와 상기 절곡부의 연결부는 상기 로터브라켓을 향해 최대로 돌출된 최대돌출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ension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base portion; And
And a bent portion bent from an end of the inclined portion toward the holder cover;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is a maximum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maximally toward the rotor bracke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와 상기 최대돌출부사이의 구간은 운전자에게 킥 다운 시작시점 및 복귀시점을 부여하는 구간이고;
상기 로터브라켓의 타단이 상기 최대돌출부를 통과할 때에 운전자에게 절도감이 부여되며;
상기 로터브라켓의 타단이 상기 최대돌출부를 통과해서 상기 경사부에 접촉할 때에 킥 다운 최대시점임을 운전자에게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9,
A section between the bending section and the maximum protrusion section is a section for giving a kick-start start point and a return point to the driver;
The driver is given an overtight feeling when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passes through the maximum protruding portion;
And when the other end of the rotor bracket passes through the maximum protruding portion and contacts the inclined portion, the kick 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is given a kick down maximum poi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브라켓의 내측면에는 서로 마주 대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프링돌기에 양단이 끼워지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로터브라켓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브라켓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pr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tor bracket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compression spring which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protrusion so a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rotor bracket so that the rotor bracket can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한 쌍의 로터브라켓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텐션플레이트의 탄성력과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동시에 제공받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브라켓은 외측면이 스위치하우징의 내벽면에 접촉했을 때 회전이 스톱되고;
상기 스위치레버의 지지부가 로터브라켓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중심돌기쪽으로 이동해서 스위치레버의 지지부 또는 바디부가 스위치하우징의 안쪽면에 접촉했을 때 스위치레버의 초기위치 또는 아이들(idle)상태의 위치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pair of rotor brackets being simultaneously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plate and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pair of rotor brackets rotate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The rotor brackets rotating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stop rotating when the outer surface contact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witch housing;
The initial position or the idle position of the switch lever is restricted when the support portion of the switch lever moves toward the rotation center projection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or bracket and the support portion or the body of the switch lever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switch housing Wherein the kick-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is a kick-down switch for an accelerator ped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에 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스위치레버는 지지부가 로터브라켓의 경사면과 접촉한 상태로 홀더커버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스위치레버가 홀더커버를 향해 이동할 때에 한 쌍의 로터브라켓은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스위치레버가 홀더커버를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바디부가 조립홈의 바닥면과 접촉할 때에 상기 스위치레버의 풀 스트로크(full stroke)상태의 위치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6,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push rod, the switch lever moves toward the holder cover with the suppor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tor bracket;
When the switch lever moves toward the holder cover, the pair of rotor brackets rot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otor brackets becomes narrower;
Wherein the position of the switch lever in the full stroke state is regulated when the body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in the course of movement of the switch lever toward the holder co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은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 및 운전자의 조작으로 상기 페달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는 페달암 또는 페달패드의 회전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은 상기 회전부품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레버의 푸시로드는 상기 회전부품의 회전시에 상기 페달하우징과 접촉해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celerator pedal includes a pedal housing fixedly mounted on a vehicle body and a rotating part of a pedal arm or a pedal pad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pedal housing by operation of a driver;
The switch housing being fixedly attached to the rotating part;
Wherein the pushrod of the switch lever operates in contact with the pedal housing upon rotation of the rotating compon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페달은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 및 운전자의 조작으로 상기 페달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는 페달암 또는 페달패드의 회전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은 상기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레버의 푸시로드는 상기 회전부품의 회전시에 상기 회전부품과 접촉해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celerator pedal includes a pedal housing fixedly mounted on a vehicle body and a rotating part of a pedal arm or a pedal pad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pedal housing by operation of a driver;
The switch housing being fixedly mounted to the pedal housing;
Wherein the push rod of the switch lever operates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part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KR1020140174295A 2014-12-05 2014-12-05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KR101617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295A KR101617153B1 (en) 2014-12-05 2014-12-05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295A KR101617153B1 (en) 2014-12-05 2014-12-05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153B1 true KR101617153B1 (en) 2016-05-03

Family

ID=5602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295A KR101617153B1 (en) 2014-12-05 2014-12-05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15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0985A (en) 2005-09-28 2007-04-12 Denso Corp Kick-down switch of accelerator device
KR101427822B1 (en) 2013-02-27 2014-08-08 (주)오앤케이테크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ion ped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0985A (en) 2005-09-28 2007-04-12 Denso Corp Kick-down switch of accelerator device
KR101427822B1 (en) 2013-02-27 2014-08-08 (주)오앤케이테크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ion ped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700B1 (en) Electronic type accelerator pedal for vehicle
KR100877200B1 (en) Kick down switch of accelerator pedal apparatus
JP2002542109A (en) Pedal value signal generator
KR101655679B1 (en) Safety apparatus of accelerator pedal for vehicle
JP4148553B2 (en) Accelerator pedal mechanism for vehicles
EP2548094A1 (e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and mounting rack therefor
JP2006210310A (en) Push-type vehicle switch
KR101509996B1 (en) Apparatus for reducing effort of clutch pedal
JPH08338513A (en) Shift lock mechanism of shift lever device
KR20150017395A (en) Inward Friction type Pedal
CN108027626B (en) Pedal device with actuation damping
KR101617153B1 (en)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KR101481345B1 (en) Apparatus for reducing effort of clutch pedal
KR101617154B1 (en)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JP3656929B2 (en) Composite switch structure
KR101051091B1 (en) Kickdown switch on accelerator pedal
KR101617155B1 (en)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KR101646448B1 (en)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JP2020032929A (en) Shift lever device
KR101535024B1 (en) Apparatus for reducing effort of clutch pedal
KR101338066B1 (en) Pedal effort adjusting apparatus of accelerator pedal
KR101649263B1 (en) Accelerator pedal apparatus with variable pedal effort
KR101439041B1 (en) Organ type accelerator pedal apparatus
KR101637810B1 (en)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KR101704207B1 (en) Kick down switch for accelerator ped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