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686B1 - 장신구 고정용 기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고정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686B1
KR101616686B1 KR1020140118507A KR20140118507A KR101616686B1 KR 101616686 B1 KR101616686 B1 KR 101616686B1 KR 1020140118507 A KR1020140118507 A KR 1020140118507A KR 20140118507 A KR20140118507 A KR 20140118507A KR 101616686 B1 KR101616686 B1 KR 101616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delete delete
coupled
pi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278A (ko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1020140118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686B1/ko
Priority to PCT/KR2015/006500 priority patent/WO2015199465A1/ko
Publication of KR2016002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12Safety-p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장신구 고정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옷, 가방, 신체부위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부재와 일단이 제1부재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2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일면이 서로 맞닿고 있는 핀부재 및,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타단이 서로 맞닿는 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1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일단이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타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제1루프버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옷, 가방, 신체부위 중 일부분을 고정핀이 물고 있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피부착물에서 이탈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킹부재를 통해 다양한 장신구가 고정용 기구에 설치될 수 있어 사용자의 스타일 또는 환경에 맞게 다양한 장신구가 손쉽게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신구 고정용 기구{A apparatus for fixing accessorie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타일 또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장신구를 활용하기 위한 장신구 고정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 고정용 기구는 리본, 명찰, 브로치 등과 같은 장신구를 옷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옷매무새를 가다듬거나 스카프, 숄 등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여미기 위해 사용되는 옷핀 종류 또는 머리카락을 고정시키는 머리핀, 귀걸이, 피어싱, 반지, 열쇠고리 등 다양한 장신구 고정용 기구가 있다. 또한 산업이 고도로 발전되면서 발명된 각종 전자 칩이나 이동통신 단말기, 이어셋,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를 의복이나 가방과 같은 피부착물에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기구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용 기구는 의복이나 가방 등의 피부착물에 착용하거나 분리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기 위한 방안으로, 휴대형 전자기기에 고정된 걸이용 연결끈을 목에 걸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목에 걸린 휴대형 전자기기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거림으로써 외부물질에 부딪혀 기기가 손상되거나, 신체의 일부를 타격하여 타박상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 제10-1388700호를 제안한바 있으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발명 역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빠지는 문제가 있고, 다양한 장신구를 활용하는데 있어 쉽게 교체가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87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78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에 의해서 의복이나 가방 등의 피부착물에 쉽게 착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스타일 또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장신구가 교체 활용될 수 있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옷, 가방, 신체부위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부재와 일단이 제1부재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2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일면이 서로 맞닿고 있는 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타단이 서로 맞닿는 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1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일단이 제1부재 또는 제2부재의 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타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제1루프버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옷, 가방, 신체부위 중 일부분을 고정핀이 물고 있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피부착물에서 이탈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도킹부재를 통해 다양한 장신구가 고정용 기구에 설치될 수 있어 사용자의 스타일 또는 환경에 맞게 다양한 장신구가 손쉽게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루프버튼부 또는 푸쉬블럭에 의해서 장신구가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의복이나 가방 등과 같은 직물재질의 피부착물 및 신체부위에 착용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제1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서 제1루프버튼부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제1도킹부재에 제1도킹판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본원발명의 제1부재의 결합공에 제2,제4결합돌기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고정용 기구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에 제2도킹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 내지 도16은 도11에 결합되는 다양한 제2도킹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은 도11에 제3도킹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7의 제3도킹부재의 상세도이다.
도19는 도11에 푸쉬블럭과 제2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도20은 도19의 분리사시도이다.
도21은 도11에 푸쉬블럭과 제2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제2실시예이다.
도22는 도11에 푸쉬블럭과 제2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제3실시예이다.
도23은 도11의 제3부재에 제3루프버튼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고정용 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제1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서 제1루프버튼부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6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제1도킹부재에 제1도킹판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본원발명의 제1부재의 결합공에 제2,제4결합돌기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고정용 기구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본원발명인 고정용 기구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2는 도11에 제2도킹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 내지 도16은 도11에 결합되는 다양한 제2도킹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은 도11에 제3도킹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8은 도17의 제3도킹부재의 상세도이다.
도19는 도11에 푸쉬블럭과 제2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이고, 도20은 도19의 분리사시도이다.
도21은 도11에 푸쉬블럭과 제2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제2실시예이다. 도22는 도11에 푸쉬블럭과 제2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제3실시예이다.
도23은 도11의 제3부재에 제3루프버튼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은 장신구(20) 고정용 기구(1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옷, 가방, 신체부위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부재(110)와 일단이 제1부재(11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2부재(1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일면이 서로 맞닿고 있는 핀부재(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타단이 서로 맞닿는 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1부재(110)의 타단에 결합되는 고정핀(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핀부재(100) 또는 핀부재(100)와 고정핀(20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옷, 가방, 신체부위 중 일부분을 핀부재(100) 자체의 고정력 또는 고정핀(200)이 물고 있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피부착물에서 이탈되지 않고,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의복이나 가방 등과 같은 직물재질의 피부착물에 착용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장신구(20) 고정용 기구(1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 고정용 기구는 리본, 명찰, 브로치 등과 같은 장신구를 옷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옷매무새를 가다듬거나 스카프, 숄 등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여미기 위해 사용되는 옷핀 종류 또는 머리카락을 고정시키는 머리핀, 귀걸이, 피어싱, 반지, 열쇠고리 등 다양한 장신구 고정용 기구가 있다. 또한 산업이 고도로 발전되면서 발명된 각종 전자 칩이나 이동통신 단말기, 이어셋,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를 의복이나 가방과 같은 피부착물에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기구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용 기구는 의복이나 가방 등의 피부착물에 착용하거나 분리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기 위한 방안으로, 휴대형 전자기기에 고정된 걸이용 연결끈을 목에 걸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목에 걸린 휴대형 전자기기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거림으로써 외부물질에 부딪혀 기기가 손상되거나, 신체의 일부를 타격하여 타박상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 제10-1388700호를 제안한바 있으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발명 역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빠지는 문제가 있고, 다양한 장신구를 활용하는데 있어 쉽게 교체가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에 의해서 의복이나 가방 등의 피부착물에 쉽게 착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스타일 또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장신구(20)가 교체 활용될 수 있는 장신구(20) 고정용 기구(10)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옷, 가방, 신체부위 중 일부분을 고정핀이 물고 있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피부착물에서 이탈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킹부재를 통해 다양한 장신구가 고정용 기구에 설치될 수 있어 사용자의 스타일 또는 환경에 맞게 다양한 장신구가 손쉽게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루프버튼부 또는 푸쉬블럭에 의해서 장신구가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의복이나 가방 등과 같은 직물재질의 피부착물 및 신체부위에 착용될 수 있고,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핀부재(100)는 장신구(20) 고정용 기구(10)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옷, 가방, 신체부위 등에 장신구(20) 고정용 기구(1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재(110)는 옷핀, 머리핀, 넥타이핀, 귀걸이, 집게, 클립 등의 통상의 구조 중 일측 부재를 의미한다. 제2부재(120)는 제1부재(110)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부재로 일단이 제1부재(11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어 핀부재(100)를 이루는 부재이다.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는 일단이 서로 힌지 결합된 구조로 양 부재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일면이 서로 맞닿고 있다. 또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는 자체적으로 탄성이 있어서 인위적으로 힘을 가하여 두 부재 사이를 벌리면 양 부재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일단이 서로 이격되고, 힘을 제거하면 다시 일면이 서로 맞닿도록 동작된다. 핀부재(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부재(120)는 타단 일측을 관통하는 제1관통공(12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관통공(121)은 제1부재(110)의 움직임에 따라 뒤에서 설명하는 고정핀(200)의 타단이 삽입되는 곳이다. 즉, 고정핀(200)이 제1관통공(121)에 삽입되면서 옷 또는 가방 등의 일부분을 관통하면서 핀부재(100)가 옷, 가방, 신체부위 등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1관통공(121)은 고정핀(200)의 타단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일례로 제2부재(120)의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는 것으로 관통공 주위에 선 모양으로 다수개가 절개되어 있거나, 또는 좁은 입구가 탄성으로 늘어나도록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부재(120)는,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부재(120)의 타단에 결합되는 결합루프버튼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루프버튼부(150)는 양측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뒤에서 설명하는 고정핀(200)의 타단이 내측 공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즉, 고정핀(200)의 타단이 결합루프버튼부(150)의 내측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양측면에 힘을 가해 변형되도록 하고, 고정핀의 타단이 삽입된 후에는 양측면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여 결합루프버튼부(150)가 고정핀(200)의 타단을 꽉 물도록 하여 핀부재(100)가 옷, 가방, 신체부위 등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루프버튼부(150)는 조립의 편리성과 경제성을 감안하여 제2부재(1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결합루프버튼부(15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것이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탄성 재질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탄성력이 양호하고 제조가 용이한 폴리 프로필렌(PP)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핀(200)은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타단이 서로 맞닿는 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1부재(110)의 타단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고정핀(200)은 핀부재(100)가 옷, 가방, 신체부위 등에 고정될 때 옷 또는 가방 등의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서 핀부재(10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도와주는 부재이다. 일례로 끝이 뾰족한 바늘 형태의 부재가 제1부재(110)에 1개 이상이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인 클립 같은 핀부재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쉽게 옷 등의 물체에서 이탈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고정핀(200)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과 직교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어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고정핀(200)은 제1부재(110)의 움직임에 따라 타단이 제2부재(120)의 제1관통공(121) 또는 결합루프버튼부(15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200)은 타단에 형성된 고정턱(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턱(210)은 고정핀(200)이 제1관통공(121) 또는 결합루프버튼부(150)의 내측에 삽입된 후 제1관통공(121) 또는 결합루프버튼부(150)의 주위면에 걸려 안착되도록 하여 고정핀(200)이 제2부재(1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고정핀(2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부재(110) 또는 상기 제2부재(120)의 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상기 제1부재(110)와 상기 제2부재(120)의 타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제1루프버튼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루프버튼부(30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타단에 힘을 가하면 자연스럽게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 사이가 벌어지도록 하는 부재이다. 즉, 제1루프버튼부(300)는 사용자가 두손으로 핀부재(100) 사이를 벌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한손으로 타단을 눌러 핀부재(100) 사이를 용이하게 벌릴 수 있다. 일례로 제1루프버튼부(300)는 일단이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의 측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오픈돌기(3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오픈돌기(302)가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맞닿는 면 사이로 들어가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타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제1루프버튼부(300)의 타단에 힘을 가하여 제1루프버튼부(300)가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제1루프버튼부(300)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오픈돌기(3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오픈돌기(302)가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맞닿는 면 사이로 들어가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타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제1루프버튼부(300)의 중앙부분 즉, 오픈돌기(302) 부분에 힘을 가하여 제1루프버튼부(300)가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오픈돌기(302)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맞닿는 면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오픈돌기(302)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맞닿는 면이 이루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에 의해서 제1루프버튼부(300)에 힘이 가해지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맞닿는 면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타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오픈돌기(302)는 반원의 돌기 형상이나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의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제1루프버튼부(300)는 조립의 편리성과 경제성을 감안하여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루프버튼부(3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것이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탄성 재질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탄성력이 양호하고 제조가 용이한 폴리 프로필렌(PP)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발명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루프버튼부(300)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301)가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301)는 제1루프버튼부(300)가 작아 사용자가 용이하게 힘을 가할 수 없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루프버튼부(300)의 타단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제1루프버튼부(300)에 힘을 가하여 제1루프버튼부(300)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원발명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120)의 일단 부분 일측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122) 및, 'ㄱ'자 형상의 부재로 모서리 부분이 상기 제2관통공(122)의 내측면 일측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제2관통공(122)에 설치되는 제2루프버튼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외부의 힘에 의해서 제2루프버튼부(350)의 하부에 힘이 가해지면 제2루프버튼부(350)가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부면이 제1부재(110)의 하면을 들어올려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타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타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장신구(20) 고정용 기구(10)가 옷, 가방, 신체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제2부재(120)에 제2루프버튼부(350)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 사이를 서로 벌릴 수 있다. 제2관통공(122)은 제2루프버튼부(350)가 설치되는 개수에 따라 1개 이상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루프버튼부(350)는 'ㄱ'자 형상의 부재로 모서리 부분이 제2관통공(122)의 내측면 일측에 결합되어 모서리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부재로서 모서리 일부분이 힌지 결합되어 있거나 모서리 부분에 회전을 위한 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회전시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 사이를 벌리는 부재이다. 즉, 제2루프버튼부(350)는 하부에 힘이 가해지면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부가 움직이면서 지렛대처럼 상부면이 들어 올려져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 사이를 벌리고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면 바로 제자리로 복원되는 부재이다. 제2루프버튼부(35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일단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1탄성체(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탄성체(400)는 핀부재(100)가 옷, 가방, 신체부위 등에 결합시 좀 더 강한 결합력을 핀부재(100)에 가하기 위하여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결합된 일단 외측면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즉, 제1탄성체(400)는 핀부재(100)가 옷, 가방, 신체부위 등에 고정될 때 핀부재(10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핀부재(100)에 더 강한 결합력 주는 부재로서 다양한 형태의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1탄성체(400)가 고무줄 같은 탄성부재인 경우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일단 외측면을 다수번 감는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탄성체(400)가 판형 탄성부재인 경우 일단이 제1부재(110)의 일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2부재(120)의 타단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핀부재(100)에 좀 더 강한 결합력을 주는 부재이다. 또한, 때에 따라서 제1탄성체(400)는 고무줄과 판형 탄성부재가 동시에 핀부재(100)의 일단에 설치되어 핀부재(100)에 좀 더 강한 결합력을 줄 수 있다.
본원발명은 피부착물에 부착된 고정용 기구(10)를 분리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악세사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1도킹부재(500)가 더 포함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피부착물에 부착된 고정용 기구(10)에 제1도킹부재(500)만 분리 또는 결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악세사리를 활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본원발명은,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일측에 제1결합돌기(501)가 1개 또는 2개가 돌출되어 있는 제1도킹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결합돌기(501)가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의 측면 일측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제1도킹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도킹부재(500)는 판 형상, 링 형상 등 장신구(20)를 고정용 기구(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사각형의 판부재에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의 측면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1결합돌기(501)가 1개 또는 2개가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제1도킹부재(5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1핀부재(110)와 동일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제1도킹부재(500)와 같이 피부착물에 부착된 고정용 기구(10)를 분리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악세사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2도킹부재(550)가 더 포함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피부착물에 부착된 고정용 기구(10)에 제2도킹부재(550)만 분리 또는 결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악세사리를 활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본원발명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일측에 제2결합돌기(551)가 돌출되어 있는 제2도킹부재(5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2결합돌기(551)가 결합공(130)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제2도킹부재(5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도킹부재(550)는 판 형상, 링 형상 등 장신구(20)를 고정용 기구(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결합돌기(551)는 일단에 형성된 제2걸림턱(551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2걸림턱(551a)은 상기 제2결합돌기(551)가 상기 결합공(130)에 삽입된 후 상기 결합공(130) 주위면에 걸려 안착되도록 하여 제2도킹부재(55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제2결합돌기(551)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2개의 부재로 만들되 2개의 부재가 일정간격의 유격이 생기도록 절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결합돌기(551)가 2개의 부재로 되어 있는 경우 2개의 부재를 눌러서 상기 결합공(13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결합공(130)이 일반적인 관통공 형태로 되어 있어도 단순히 제2결합돌기(551)의 2개 부재를 눌렀다 놓는 방법으로 제2도킹부재(550)를 견고히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도킹부재(550)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돌기(551)가 상면 중앙에 1개와 상면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2개가 돌출되어 있되, 상면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제2결합돌기(551)가 상기 결합공(130)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2도킹부재(550)의 상면 일측에 일정간격을 돌출되어 있는 2개의 제2결합돌기(551)가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의 측면 라운드 홈에 2중으로 결합되는 방법으로 제2도킹부재(55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도킹부재(550)는 제2결합돌기(551)가 상면에 3개가 돌출되어 있어서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에 이중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결합력을 높인 부재로서 상세하게는 상면 중앙에 돌출된 제2결합돌기(551)는 결합공(130)에 삽입되고 동시에 양 옆의 돌출된 2개의 제2결합돌기(551)가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의 측면에 끼움결합되는 방법으로 제2도킹부재(550)가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본원발명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도킹부재(550) 또는 제3도킹부재(57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부재(110) 또는 상기 제2부재(120)의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는 결합공(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결합공(130)은 제2도킹부재(550) 또는 제3도킹부재(57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일례로 상기 제1부재(110) 또는 상기 제2부재(120)의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는 것으로 관통공 주위에 선 모양으로 다수개가 절개되어 있거나, 또는 좁은 입구가 탄성으로 늘어나도록 생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결합공(130)은 제2,4결합돌기가 2개부재로 절단되어 있는 형상인 경우 단순한 관통공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원발명은 제1도킹부재(500) 또는 제2도킹부재(550)의 하면 일측에 물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1도킹판(503,553)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고리부재(590) 또는 도킹돌기(595)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다양한 형태로 장신구(20)가 제1도킹부재(500) 또는 제2도킹부재(5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도7, 도12,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킹부재(500) 또는 제2도킹부재(550)의 하면 일측에 일정물체(장신구(20), 선 등)가 고정될 수 있도록 다양한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킹판(503,553)의 일단이 제1도킹부재(500) 또는 제2도킹부재(550)의 하면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 일정물체가 제1도킹부재(500) 또는 제2도킹부재(550)의 하면에서 다양한 각도로 설치되어 움직일 수 있다. 제1도킹판(503,553)은 큰 장신구가 결합된 핀부재를 손쉽게 옷, 신체부위 등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장신구(20)가 결합된 제1도킹판(503,553)을 회전시켜 핀부재(100)가 드러나게 하고, 핀부재(100)를 눌러 손쉽게 옷, 신체부위 등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즉, 제1도킹판(503,553)이 결합된 고정용 기구(10)가 옷, 신체부위 등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은 장신구(20)가 결합된 제1도킹판(503,553)이 회전되어 1차 분리과정을 거치고, 그 다음으로 핀부재(100)가 옷, 신체부위 등으로부터 제거되는 2차 분리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친다. 옷, 신체부위 등에 핀부재(100)의 결합은 반대의 과정을 거치면 된다. 또 다른 예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재(590)가 제1도킹부재(500) 또는 제2도킹부재(550)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물체가 고리형상의 부재에 걸리게 하여 다양한 형상의 물체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돌기(595)가 제1도킹부재(500) 또는 제2도킹부재(550)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물체에 구멍이 있는 경우 상기 구멍에 도킹돌기(595)가 삽입되는 방법으로 일정물체를 손쉽게 제1도킹부재(500) 또는 제2도킹부재(550)의 하면 일측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와 같이 제1도킹부재(500) 또는 제2도킹부재(550)의 하면 일측에 다양한 구성이 결합되어 다양한 장신구(20)가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제2도킹부재(550)와 같이 피부착물에 부착된 고정용 기구(10)를 분리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악세사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3도킹부재(570)가 더 포함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피부착물에 부착된 고정용 기구(10)에 제3도킹부재(570)만 분리 또는 결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악세사리를 활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본원발명은,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도킹몸체(575)의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여 생성된 도킹공(572)과 상면 일측에 1개 또는 2개가 돌출되어 있는 제3결합돌기(571)와 일단에 제3도킹몸체(575)의 하면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2도킹판(573)과 제2도킹판(573)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제4결합돌기(574)로 구성되는 제3도킹부재(5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결합공(130)과 도킹공(572)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제3결합돌기(571)가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의 측면 일측에 결합되고, 제2도킹판(573)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4결합돌기(574)가 도킹공(572)과 결합공(130)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제3도킹부재(570)가 설치될 수 있다. 제3도킹몸체(575)는 제3도킹부재(570)의 몸체에 해당하는 부재로 일정한 형태의 판 부재이다. 도킹공(572)은 제3도킹몸체(575)의 일측에 뚫려 있는 구멍으로 사용 상태에 따라 일단 또는 중간 등 다양한 위치에 뚫려 있을 수 있다. 제3결합돌기(571)는 제3도킹몸체(575)의 상면 일측에 1개 또는 2개가 돌출되어 있는 부재로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의 측면 라운드에 끼움 결합되는 부재이다. 제2도킹판(573)은 장신구(20)가 설치되는 판으로 일단이 제3도킹몸체(575)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다양한 각도로 장신구(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3도킹몸체(575)의 하면 방향으로 회전되는 부재이다. 제2도킹판(573)은 상기 위에서 설명한 제1도킹판(503,553)과 같은 역할을 한다. 제4결합돌기(574)는 제2도킹판(573)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부재로 제2도킹판(573)이 제3도킹몸체(575)의 하면 방향으로 회전되어 결합될 때 일단이 도킹공(572)과 결합공(130)에 삽입되는 부재이다. 즉 결합공(130)과 도킹공(572)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뚫려 있어 제2도킹판(573)이 제3도킹몸체(575)의 하면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4결합돌기(574)가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하여 제3도킹부재(570)가 손쉽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제3도킹부재(570)는 제3결합돌기(571)와 제4결합돌기(574)가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의 측면에 2중으로 결합되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제4결합돌기(574)는 일단에 형성된 제4걸림턱(574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4걸림턱(574a)은 상기 제4결합돌기(574)가 상기 결합공(130)과 도킹공(572)에 삽입된 후 상기 결합공(130) 주위면에 걸려 안착되도록 하여 제3도킹부재(57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제4결합돌기(574)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2개의 부재로 만들되 2개의 부재가 일정간격의 유격이 생기도록 절단되어 있을 수 있다. 제4결합돌기(574)가 2개의 부재로 되어 있는 경우 2개의 부재를 눌러서 상기 결합공(130)과 도킹공(572)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결합공(130)과 도킹공(572)이 일반적인 관통공 형태로 되어 있어도 단순히 제4결합돌기(574)의 2개 부재를 눌렀다 놓는 방법으로 제3도킹부재(570)를 견고히 부착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의 핀부재(100)는 단순히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일단이 서로 힌지 결합될 수도 있으나 다양한 형태의 결합을 위해서 힌지 부분이 일정한 형태의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핀부재(100)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되, 힌지 부분의 단면 형상이 라운드 형상의 제3부재(140)로 구성될 수 있다. 제3부재(140)는 양단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부재로 단면이 'C'형태의 부재이다. 제3부재(140)는 복원력이 있어 양단에 각각 결합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이격을 조절할 수 있는 부재이다. 또한, 제3부재(140)는 큰 장신구(20)가 설치될 때 방해되지 않도록 외주면 일측이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20)의 면과 동일한 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장신구(20)가 핀부재(100)보다 큰 경우 제3부재(140)가 장신구(20)가 설치될 면에 돌출되어 있으면 설치에 방해가 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신구(20)가 설치될 면에 높이는 제3부재(140)의 중심을 다른 면으로 움직여 장신구(20)가 설치될 면이 외부에서 보기에 평면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핀부재(100)가 옷 등에 설치될 때 옷보다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여 디자인적으로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핀부재(100)는 제3부재(140)가 이루는 단면 형상에 맞추어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라운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핀부재(100)는 전체적으로 단면이 'C'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제3부재(140)의 양단에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일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본원발명은 제3부재(140)에 인위적으로 힘이 가해져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를 이격시킬 수 있으나 양단에 푸쉬블럭(600)을 설치하여 단순히 사용자가 푸쉬블럭(600)을 누르는 방법으로 손쉽게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푸쉬블럭(600)에 힘이 가해지면 푸쉬블럭(600)이 제3부재(140)의 양측면으로 삽입되어 제3부재(140)의 크기가 커지게 하여 자연스럽게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이격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도19 내지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형상의 부재로 제3부재(140)의 라운드 형상에 의해서 생성된 내측 공간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푸쉬블럭(600) 및, 2개의 푸쉬블럭(600)을 서로 연결하여 제3부재(14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탄성체(6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푸쉬블럭(600)은 제3부재(14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힘을 가할 수 있는 형태면 다양한 형태의 블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블럭(600)은 외주면이 제3부재(140)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형태의 블럭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 옷 등에 설치될 때 옷의 일부분이 들어갈 수 있도록,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 형태의 블럭에서 양쪽을 잘라낸 형태의 블럭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제2탄성체(610)는 제3부재(140)의 양측면에 설치된 푸쉬블럭(600)을 연결하여 푸쉬블럭(600)이 제3부재(1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서 푸쉬블럭(600)의 운동을 제어하는 탄성체이다. 즉, 제2탄성체(610)는 푸쉬블럭(600)에 힘이 가해지면 길이방향으로 압축력이 가해지고 힘이 제거되면 핀부재(100)의 복원력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지는 부재이다. 제2탄성체(610)는 자체 탄성력이 있는 부재로서 여러가지 형태의 자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2탄성체(61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루프 구조는 단순히 푸쉬블럭(600) 사이를 연결하는 판형 형태일 수 있고, 원형링 형태의 루프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루프 구조가,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링 형태인 경우 푸쉬블럭(600)에 압력이 가해지면 원형링이 눌러지면서 원형링의 외주면이 제3부재(140)의 내측면에 맞닿아 힘을 가하여 제3부재(140)의 크기가 자연스럽게 커지게 하는 구조이다. 즉, 제3부재(140)는 양측면과 내측의 상,하면에서 동시에 힘을 받아 자연스럽게 크기가 커져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탄성체(610)는 고무줄 또는 스프링인 형태일 수 있다.
본원발명은,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부재(140)의 라운드 형상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제3루프버튼부(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루프버튼부(370)는 제3부재(140)의 내측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부재이다. 제3루프버튼부(370)는 양측면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해 변형되어 제3부재(140)의 내측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힘이 전달되고, 이 힘에 의해 제3부재(140)가 벌어져 양단에 결합되어 있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서로 이격된다. 물론 제3루프버튼부(370)는 가압되는 힘이 상쇄되는 경우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제3부재(140)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줄어들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제3루프버튼부(370)는 제3부재(140)와 일체로 연결되게 제작될 수 있는데 이때는 연결부위를 아주 얇게 제작하여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3루프버튼부(37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것이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탄성 재질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탄성력이 양호하고 제조가 용이한 폴리 프로필렌(PP)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고정용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고정용 기구
20 : 장신구 21 : 고정부재
100 : 핀부재
110 : 제1부재 120 : 제2부재
121 : 제1관통공 122 : 제2관통공
130 : 결합공 140 : 제3부재
150 : 결합루프버트부
200 : 고정핀 210 : 고정턱
300 : 제1루프버튼부
301 : 손잡이 302 : 오픈돌기
350 : 제2루프버튼부
370 : 제3루프버튼부
400 : 제1탄성체
500 : 제1도킹부재 501 : 제1결합돌기
550 : 제2도킹부재 503, 553 : 제1도킹판
551 : 제2결합돌기 551a: 제2걸림턱
570 : 제3도킹부재 571 : 제3결합돌기
572 : 도킹공 573 : 제2도킹판
574 : 제4결합돌기 574a: 제4걸림턱
575 : 제3도킹몸체
590 : 고리부재 595 : 도킹돌기
600 : 푸쉬블럭 610 : 제2탄성체

Claims (28)

  1. 옷, 가방, 신체부위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부재(110)와 일단이 상기 제1부재(11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2부재(1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110)와 상기 제2부재(120)의 일면이 서로 맞닿고 있는 핀부재(100); 및,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루프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1부재(110) 또는 상기 제2부재(120)의 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상기 제1부재(110)와 상기 제2부재(120)의 타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제1루프버튼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옷, 가방, 신체부위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부재(110)와 일단이 상기 제1부재(11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2부재(1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110)와 상기 제2부재(120)의 일면이 서로 맞닿고 있는 핀부재(100);
    상기 제2부재(120)의 일단 부분 일측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공(122); 및,
    'ㄱ'자 형상의 부재로 모서리 부분이 상기 제2관통공(122)의 내측면 일측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2관통공(122)에 설치되는 제2루프버튼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외부의 힘에 의해서 상기 제2루프버튼부(350)의 하부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2루프버튼부(350)가 모서리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부면이 상기 제1부재(110)의 하면을 들어올려 상기 제1부재(110)와 상기 제2부재(120)의 타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옷, 가방, 신체부위에 장신구를 부착하는 기구에 있어서,
    제1부재(110)와 일단이 상기 제1부재(11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는 제2부재(120)와 상기 제1부재(110)와 상기 제2부재(120)의 결합부분의 단면 형상이 라운드 형상의 제3부재(14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110)와 상기 제2부재(120)의 일면이 서로 맞닿고 있는 핀부재(100);
    블럭 형상으로 상기 제3부재(140)의 라운드 형상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푸쉬블럭(600); 및,
    2개의 상기 푸쉬블럭(600)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3부재(140)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탄성체(610)를 더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고정용 기구.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40118507A 2014-06-26 2014-09-05 장신구 고정용 기구 KR101616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507A KR101616686B1 (ko) 2014-09-05 2014-09-05 장신구 고정용 기구
PCT/KR2015/006500 WO2015199465A1 (ko) 2014-06-26 2015-06-25 장신구 고정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8507A KR101616686B1 (ko) 2014-09-05 2014-09-05 장신구 고정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278A KR20160029278A (ko) 2016-03-15
KR101616686B1 true KR101616686B1 (ko) 2016-04-28

Family

ID=5554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507A KR101616686B1 (ko) 2014-06-26 2014-09-05 장신구 고정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855A (ko) * 2017-10-23 2019-05-0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선이 자동 고정되는 납땜 보조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594Y1 (ko) * 2001-04-30 2001-10-12 박상철 견장용 고정클립
JP2003289917A (ja) * 2002-03-29 2003-10-14 Sato Corp リストバンド用クリップ
US20040159123A1 (en) * 2003-02-14 2004-08-19 Mohs Bruce B. Clip-on emblem holder
JP2010142387A (ja) * 2008-12-18 2010-07-01 Kiyohara Kk 装飾体取付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897B1 (ko) 2008-07-01 2011-04-07 이승철 장신구 고정용 옷핀
KR101388700B1 (ko) 2012-07-16 2014-04-24 이승철 장신구 고정용 옷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594Y1 (ko) * 2001-04-30 2001-10-12 박상철 견장용 고정클립
JP2003289917A (ja) * 2002-03-29 2003-10-14 Sato Corp リストバンド用クリップ
US20040159123A1 (en) * 2003-02-14 2004-08-19 Mohs Bruce B. Clip-on emblem holder
JP2010142387A (ja) * 2008-12-18 2010-07-01 Kiyohara Kk 装飾体取付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855A (ko) * 2017-10-23 2019-05-0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선이 자동 고정되는 납땜 보조 거치대
KR101991271B1 (ko) * 2017-10-23 2019-06-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선이 자동 고정되는 납땜 보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278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6691B (zh) 繩索固定具
TWI566717B (zh) 扣具
TWI655918B (zh) 錶扣、使用該錶扣的錶帶及扣件
KR200471390Y1 (ko) 액세서리 연결고리
KR101616686B1 (ko) 장신구 고정용 기구
KR101507279B1 (ko) 장신구 고정용 기구
KR200483882Y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101558126B1 (ko) 장신구 고정용 기구
KR200392447Y1 (ko) 장신구 연결구
JP2019520124A (ja) 髪留
AU2020201497A1 (en) Charm Bracelet Connector
JP3166723U (ja) 装身具用引き輪の装飾構造
KR200476998Y1 (ko) 스냅 단추
WO2007119979A1 (en) Binding tool
KR101226448B1 (ko)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
KR101402004B1 (ko) 넥타이 고정구
JP3223855U (ja) 衣服用ベルトの帯状体とバックルとを連結する連結具
KR200378949Y1 (ko) 휴대폰용 케이스 착탈형 클립 체결구조
CN220757972U (zh) 拼接玩具构件
US9259043B2 (en) Flexible fastener for removable attachment to fabric
KR20180002219U (ko) 장신구의 연결구
JP5819720B2 (ja) 装身具
JP3122408U (ja) 連結具
KR200409101Y1 (ko) 핑거 클리너
KR20090104958A (ko) 이어폰 줄 고정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