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499B1 - 3d 금속 조형품의 석출경화를 위한 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3d 금속 조형품의 석출경화를 위한 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499B1
KR101616499B1 KR1020150113399A KR20150113399A KR101616499B1 KR 101616499 B1 KR101616499 B1 KR 101616499B1 KR 1020150113399 A KR1020150113399 A KR 1020150113399A KR 20150113399 A KR20150113399 A KR 20150113399A KR 101616499 B1 KR101616499 B1 KR 10161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itanium
printing
heat treatment
fe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수
김형균
김건희
박형기
김경훈
이창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1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16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other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18High-melting or refractory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 C22F1/183High-melting or refractory metals or alloys based thereon of tita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05Sintering only by using electric current other than for infrared radiant energy, laser radiation or plasma ;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2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in inert or controlled atmosphere or vacu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재료를 3D 프린팅 방법으로 성형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을 Ti(티타늄)의 상 변태점 미만의 온도이면서 동시에 미세 FeTi 석출물의 분포 밀도를 증가시키는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Ti(티타늄)과 Fe(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부터 제조한 금속 조형품의 미세 FeTi 석출경화를 촉진하고, 인장 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3D 금속 조형품의 석출경화를 위한 열처리 방법{Heat treatment method for precipitation hardening of metal product manufactured by 3D printing}
본 발명은 금속 조형품의 석출경화를 위한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소정의 조건으로 열처리하여 미세한 금속간 화합물 조직의 석출을 촉진하고 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 재료로부터 소정의 형상을 가진 금속 조형품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금속 재료의 용해 단계 → 주조 단계 → 열간 압연 단계 → 재결정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단계를 거쳐 제조된 금속 조형품은 조대한 금속 조직을 갖게 되어 소정 범위의 기계적 성질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을 용해, 주조, 열간 압연 및 재결정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은 280~345 ㎫ 의 항복 강도(Yield Strength), 340~434 ㎫ 의 인장 강도 및 25~28%의 연신율을 보인다. 티타늄 소재와 관련된 열처리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3809호에는 a) (α+ β)티타늄 합금을 시효처리하여 α2(Ti3Al) 상을 α상 내부에 석출시키는 단계; 및 b) a)단계에서 얻어진 (α+ β)티타늄 합금을 급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효처리는 400-700℃에서 50-500 시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물성 및 동적 파괴 특성이 개선된 (α+ β)티타늄 합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4505호에는 티타늄 합금 제조를 위해 재료 및 장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재료를 베타 변태온도 이상에서 열처리한 후, 수냉시켜서 층상조직(마르텐사이트조직)의 티타늄 합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층상조직의 티타늄 합금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친 후 상기 티타늄 합금을, 변형률이 2.5 이하인 저변형률의 조건하에서, 소성불안정 온도이상에서 성형을 시작해서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성형온도를 단계적으로 낮추어서 소성불안정 온도 이하에서 성형을 마쳐서 초미세 결정립으로 변화시키는 압연단계;를 포함하는 고강도 및 고성형성을 가지는 티타늄 합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4087호에는 (1) 알루미늄(Al) 0.8~2.2 중량%; 지르코늄(Zr) 0.8~2.2 중량%; 산소(O) 0.06~0.10 중량%; 및 팔라듐(Pd) 0.03~0.22 중량%, 니켈(Ni) 0.02~0.08 중량%, 크롬(Cr) 0.02~0.08 중량%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 및 잔부(殘部) 티타늄(Ti)으로 구성된 조성을 갖는 혼합물을 용해하여 주괴를 제조하는 공정; (2) 상기 주괴를 1,015~1,075℃에서 합금 조성을 균질화하기 위해 β영역에서 용체화 열처리를 수행한 후 냉각시키는 β-소입 공정; (3) β-소입 재료물을 850±2℃에서 15 분 동안 예열한 후 열간가공을 수행하는 공정; (4) 열간가공품을 진공상태(1×10-5 토르(torr) 이하)에서 850±2℃에서 30±2 분 동안 열처리를 실시하는 진공열처리 공정; (5) 실온에서 수행되는 냉간가공 공정; 및 (6) 냉간가공품을 650±2℃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하는 최종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내식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티타늄 합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5091호에는 (a) Nb 10~15중량%와, Zr 10~15중량%와, 나머지 Ti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티타늄 합금을 베타변태온도 이상으로 열처리하는 단계; (b) 열처리된 티타늄 합금을 수랭하는 단계; (c) 수랭된 티타늄 합금을 공형압연가공을 통해 500~700℃에서 단면 감소율 기준 80% 이상의 변형량을 가하는 소성가공 단계; 및 (d) 소성 가공된 티타늄 합금을 수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타늄 합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금속 조형품의 제조 기술로 3D 프린팅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3D 프린팅은 기존의 깎아서 가공하는 방식(subtractive manufacturing method)이 아닌 3D모델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받아 한 층씩 쌓아가는 방식으로 대상물을 가공하는 방식으로서, 공식적인 기술용어는 적층가공(Additive Manufacturing)이다. 3D 프린팅 공정은 파우더 베드위에 임의 형상의 최하위 레이어의 단면을 프린팅 하고, 프린팅 된 단면 위에 다시 일정량의 파우더를 적층한 뒤 다음 레이어의 단면을 프린팅 한다. 이러한 과정을 최상위 레이어까지 반복함으로서 3차원 형상을 제작하기 때문에 세밀한 부분까지 구현해 낼 수 있다. 공업 분야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좀 더 세밀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에 시제품을 Mock-up으로 제작하고 테스트까지의 진행시간이 3D 프린터를 이용함으로서 5~10배 이상 빨라진다. 따라서 제품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3D 프린팅은 시제품의 제작 비용 및 시간 절감, 다품종 소량 생산, 개인 맞춤형 제작 용이, 복잡한 형상 제작 및 재료비 절감 우위, 완제품 제작 시의 제작 공정 간소화 등과 같은 장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항공산업과 의료분야 부품 제작 등에 이용되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의 연구는 주로 3D 프린팅의 원료 내지 시스템 설계에 집중되어 있고,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의 고유한 특성 내지 문제점에 기반하여 이를 개선하는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된 금속 조형품의 미세 금속간 화합물 석출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인장 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철을 불순물로 포함하는 티타늄 금속 분말을 3D 프린팅 방법 중 하나인 전자빔 용해 방법으로 적층가공 하여 금속 조형품을 제조할 때 3D 프린팅에 의한 금속 재료의 고온 용해 및 급속 응고 때문에 FeTi가 미세하고 균일하게 석출되는 점을 발견하였고, 소정의 조건에서 금속 조형품을 열처리하는 경우 미세 FeTi 석출경화를 촉진하여 금속 조형품의 인장 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 재료를 3D 프린팅 방법으로 성형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을 Ti(티타늄)의 상 변태점 미만의 온도이면서 동시에 미세 FeTi 석출물의 분포 밀도를 증가시키는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금속 재료는 Ti(티타늄)과 Fe(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금속 재료는 Fe(철)을 불순물로 포함하는 순수 Ti(티타늄) 또는 Fe(철)을 포함하는 Ti(티타늄) 합금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수 Ti(티타늄)에 포함되는 Fe(철) 함량은 FeTi 석출물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0.1~0.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i(티타늄) 합금은 Ti(티타늄) 및 Fe(철) 외에 알루미늄(Al), 탄탈륨(Ta), 니오븀(Nb), 바나듐(V), 지르코늄(Zr), 플래티늄(Pt), 마그네슘(Mg) 및 나트륨(N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i(티타늄) 합금에는 Ti-Fe 합금, Ti-Al-Fe 합금, Ti-Fe-Sn 합금, Ti-Fe-Ni-Al 합금, Ti-Al-Fe-Si 합금, Ti-Cr-V-Fe 합금, Ti-Mo-Fe 합금 등이 있다.
또한, 상기 3D 프린팅 방법은 금속 원료의 적층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레이저를 이용한 적층가공 방법, 전자빔을 이용한 적층가공 방법, 초음파를 이용한 적층가공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3D 프린팅 방법은 금속 원료가 주로 분말 형태인 점을 고려할 때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법, 선택적 레이저 용해(Selective Laser Melting, SLM) 방법, 선택적 레이저 소결(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방법 또는 직접 금속 레이저 소결(Direct Metal Laser Sintering, DMLS)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법은 고진공 상태에서 전자빔을 활용하여 금속 분말을 용해하는 방식으로 적층가공 하는 기술이고, 상기 선택적 레이저 용해(Selective Laser Melting, SLM) 방법은 베드에 도포된 금속 분말에 선택적으로 고출력 레이저를 조사하여 용융시키는 방식으로 적층가공 하는 기술이고, 상기 선택적 레이저 소결(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방법은 베드에 도포된 금속 분말에 선택적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소결하고, 금속 분말의 도포 공정을 반복하여 적층가공 하는 기술이고, 상기 직접 금속 레이저 소결(Direct Metal Laser Sintering, DMLS) 방법은 직접적으로 금속 분말을 레이저로 소결하여 적층가공 하는 기술이다. 상기 3D 프린팅 방법의 미세한 차이점은 공지된 선행문헌에 잘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온도는 Ti(티타늄)의 상 변태점 온도인 882℃ 미만이고 동시에 미세 FeTi 석출물의 분포 밀도를 증가시키는 온도 범위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열처리된 금속 조형품 내 미세 FeTi 석출물의 분포 밀도를 고려할 때 400~8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6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시간은 미세 FeTi 석출물의 분포 밀도 증가를 충분히 담보하는 측면에서 30분 내지 3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40분 내지 2시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금속 조형품은 열처리에 의해 미세 FeTi 석출물의 분포 밀도가 증가하고, 인장 강도가 개선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처리된 금속 조형품의 미세 FeTi 석출물의 분포 밀도는 금속 조형품 면적 10000㎛2 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0개 이상(예를 들어 20~300개), 더 바람직하게는 50~250 개이다. 또한, 상기 열처리된 금속 조형품의 인장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570~650 ㎫, 더 바람직하게는 590~650 ㎫ 이다. 본 발명에서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는 응력-변형률 곡선(Stress-Strain Curve)에서 파악되는 극한 강도(Ultimate Strength)과 동일한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Ti(티타늄)과 Fe(철)을 포함하는 금속 재료로부터 제조한 금속 조형품의 미세 FeTi 석출경화를 촉진하고, 인장 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조 및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금속 조형품을 제조하는 과정을 단계별(A→B→C→D 순서)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의 금속 미세조직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5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 금속 미세조직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8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 금속 미세조직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10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 금속 미세조직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에 따른 인장 강도 변화를 응력-변형률 곡선(Stress-Strain Curve)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한 것 일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3D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 조형품의 제조
2등급의 순수 티타늄(평균 입도 : 73㎛) 분말을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터(모델명 : A2X; 제조사 : Arcam AB, 스웨덴)로 적층가공 하여 금속 조형품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베드 위에 금속 분말을 도포하고 금속 분말을 약 650℃로 예열한 후 전자빔을 특정 위치에 조사하여 금속 분말을 용해하여 두께가 약 50~80㎛인 최하위 레이어(layer)를 형성하였다. 다시 최하위 레이어 위에 금속 분말을 도포하고 예열 및 전자빔 조사를 통해 다음 레이어를 형성하였다. 상기 과정을 최상위 레이어 형성까지 반복하여 3차원 형상의 금속 조형품을 제조하였다. 도 1은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조 및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금속 조형품을 제조하는 과정을 단계별(A→B→C→D 순서)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하기 표 1은 2등급의 순수 티타늄에 함유된 성분들 및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성분 C Fe H N O Ti
함량(Wt. %) <0.1 <0.3 <0.015 <0.03 <0.25 99.2
상기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은 2등급의 순수 티타늄을 용해, 주조, 열간 압연 및 재결정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에 비해 인장 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의 인장 강도 증가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금속 조직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2는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의 금속 미세조직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철을 불순물로 포함하는 순수 티타늄을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 방법으로 성형하여 금속 조형품을 제조하는 경우 미세한 FeTi가 균일하게 석출되고 그로 인해 인장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앞에서 제조한 금속 조형품을 소정의 조건으로 열처리하여 미세한 FeTi 석출의 촉진 여부 및 그로 인한 기계적 특성의 향상 여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금속 조형품을 가열로에 넣고 3×10-5 torr의 고진공 및 Ar 가스 분위기에서 약 15~18℃/min의 속도로 금속 조형품을 열처리 온도(500℃, 800℃, 1000℃)까지 가열한 후 1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가 끝난 후, 열처리된 금속 조형품을 약 3~5℃/min의 속도로 100℃ 까지 노냉(furnace cooling)하고 대기 분위기에서 급냉하였다.
도 3은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5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 금속 미세조직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8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 금속 미세조직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10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 금속 미세조직을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500~800℃에서 열처리하는 경우 미세 FeTi 석출물이 증가하였고, 미세 FeTi 석출물의 분포 밀도는 금속 조형품 면적 10000㎛2 을 기준으로 20개 이상(약 100 ~ 200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1000℃에서 열처리하는 경우 미세 FeTi 석출물이 오히려 감소하였고 금속 조직이 조대화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에 따른 인장 강도 변화 분석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 및 이를 다양한 조건에서 열처리하여 얻은 최종 금속 조형품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 2등급의 순수 티타늄을 용해, 주조, 열간 압연 및 재결정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에 대해서도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금속 조형품 제조시 3D 프린팅의 적층 방향(build direction, BD)과 평행한 방향[θ=0°(//BD)]의 시편, 적층 방향과 45° 틀어진 방향[θ=45°]의 시편 및 적층 방향과 수직 방향[θ=90°(⊥BD)]의 시편을 금속 조형품으로부터 ASTM E8 규격에 맞게 제작하였다. 이후, 인장 시험 장치(모델명 : ASG-X; 제조사 : Shimazu, 일본)를 이용하여 시편에 수직 응력(Nominal stress)을 가하면서 수직 변형률(Nominal strain)을 측정하였다.
도 6은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에 따른 인장 강도 변화를 응력-변형률 곡선(Stress-Strain Curve)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As-cast"는 2등급의 순수 티타늄을 용해, 주조, 열간 압연 및 재결정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을 나타내고, "As-built"는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나타내고, "As-annealed at 500℃"는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5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것을 나타내고, "As-annealed at 800℃"는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8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것을 나타내고, "As-annealed at 1000℃"는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10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것을 나타낸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식의 3D 프린팅에 의해 2등급의 순수 티타늄으로부터 제조된 금속 조형품을 500~800℃에서 열처리하는 경우 인장 강도가 증가하였으나, 1000℃에서 열처리하는 경우 인장 강도가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금속 재료를 3D 프린팅 방법으로 성형하여 제조한 금속 조형품을 Ti(티타늄)의 상 변태점 미만의 온도이면서 동시에 미세 FeTi 석출물의 분포 밀도를 증가시키는 온도 범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재료는 Fe(철)을 불순물로 포함하는 순수 Ti(티타늄) 또는 Fe(철)을 포함하는 Ti(티타늄) 합금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수 Ti(티타늄)에 포함되는 Fe(철) 함량은 0.1~0.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팅 방법은 전자빔 용해(Electron Beam Melting, EBM) 방법, 선택적 레이저 용해(Selective Laser Melting, SLM) 방법, 선택적 레이저 소결(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방법 또는 직접 금속 레이저 소결(Direct Metal Laser Sintering, DMLS) 방법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온도는 400~8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시간은 30분 내지 3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된 금속 조형품의 미세 FeTi 석출물의 분포 밀도는 금속 조형품 면적 10000㎛2 을 기준으로 20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된 금속 조형품의 인장 강도는 570~6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형품의 열처리 방법.
KR1020150113399A 2015-08-11 2015-08-11 3d 금속 조형품의 석출경화를 위한 열처리 방법 KR10161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399A KR101616499B1 (ko) 2015-08-11 2015-08-11 3d 금속 조형품의 석출경화를 위한 열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399A KR101616499B1 (ko) 2015-08-11 2015-08-11 3d 금속 조형품의 석출경화를 위한 열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499B1 true KR101616499B1 (ko) 2016-04-29

Family

ID=5591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399A KR101616499B1 (ko) 2015-08-11 2015-08-11 3d 금속 조형품의 석출경화를 위한 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4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5455A (zh) * 2018-06-15 2019-12-24 天津大学 一种钛合金cmt—脉冲—热处理复合增材制造方法
KR102091001B1 (ko) * 2019-01-14 2020-03-19 주식회사 이엠엘 메탈 3d 프린팅을 이용한 합금 타겟의 제조 및 리페어링 방법
KR102094954B1 (ko) 2020-01-20 2020-03-30 (주)쓰리디테크놀로지 자동제어가 가능한 3d 프린팅 제조물 경화장치
KR20220035628A (ko) *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싸이노스 레이저빔 및 금속분말을 이용한 반도체 장비용 코팅방법 및 이에 의한 코팅층을 갖는 반도체 증착공정용 반도체 장비
KR20230034016A (ko) 2021-09-02 2023-03-0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우수한 생산성을 갖는 Ti-6Al-4V 합금 적층 조형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Ti-6Al-4V 합금 적층 조형물
US11802320B2 (en) 2020-12-28 2023-10-31 Alloy Enterprises, Inc. Homogenizing heterogeneous foils for light alloy metal par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282A (ko) * 2012-08-21 2014-03-04 알스톰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3차원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5579839B2 (ja) * 2010-05-25 2014-08-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粉末焼結積層用金属粉末、それを用いた三次元形状造形物の製造方法および得られる三次元形状造形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9839B2 (ja) * 2010-05-25 2014-08-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粉末焼結積層用金属粉末、それを用いた三次元形状造形物の製造方法および得られる三次元形状造形物
KR20140025282A (ko) * 2012-08-21 2014-03-04 알스톰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3차원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5455A (zh) * 2018-06-15 2019-12-24 天津大学 一种钛合金cmt—脉冲—热处理复合增材制造方法
KR102091001B1 (ko) * 2019-01-14 2020-03-19 주식회사 이엠엘 메탈 3d 프린팅을 이용한 합금 타겟의 제조 및 리페어링 방법
KR102094954B1 (ko) 2020-01-20 2020-03-30 (주)쓰리디테크놀로지 자동제어가 가능한 3d 프린팅 제조물 경화장치
KR20220035628A (ko) * 2020-09-14 2022-03-22 주식회사 싸이노스 레이저빔 및 금속분말을 이용한 반도체 장비용 코팅방법 및 이에 의한 코팅층을 갖는 반도체 증착공정용 반도체 장비
KR102409707B1 (ko) 2020-09-14 2022-06-16 주식회사 싸이노스 레이저빔 및 금속분말을 이용한 반도체 장비용 코팅방법 및 이에 의한 코팅층을 갖는 반도체 증착공정용 반도체 장비
US11802320B2 (en) 2020-12-28 2023-10-31 Alloy Enterprises, Inc. Homogenizing heterogeneous foils for light alloy metal parts
US11807912B2 (en) 2020-12-28 2023-11-07 Alloy Enterprises, Inc. Homogenizing heterogeneous foils for light alloy metal parts
US11859261B2 (en) 2020-12-28 2024-01-02 Alloy Enterprises, Inc. Homogenizing heterogeneous foils for light alloy metal parts
KR20230034016A (ko) 2021-09-02 2023-03-09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우수한 생산성을 갖는 Ti-6Al-4V 합금 적층 조형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Ti-6Al-4V 합금 적층 조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499B1 (ko) 3d 금속 조형품의 석출경화를 위한 열처리 방법
KR101736228B1 (ko) 3d 프린팅 금속 조형품의 기계적 성질 향상을 위한 열처리 방법
US11555229B2 (en) High-strength aluminum alloy laminated mold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Dadbakhsh et al. Effect of SLM parameters on transformation temperatures of shape memory nickel titanium parts
RU2729569C2 (ru) Материалы с оцк-структурой на основе титана, алюминия, ванадия и железа и изделия, полученные из них
KR102075751B1 (ko) 체심입방구조 고엔트로피 합금 구상 분말의 제조방법
CN111945089A (zh) 一种增材制造钛制件及其热处理工艺
EP3578674B1 (en) Powdered titanium alloy composition and article formed therefrom
EP3449024B1 (en) Bcc materials of titanium, aluminum, niobium, vanadium, and molybdenum, and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id materials
US20170306448A1 (en) Alpha-beta titanium alloys having aluminum and molybdenum, and products made therefrom
US11421303B2 (en) Titanium alloy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ei et al. Laser powder bed fusion additive manufacturing of NiTi shape memory alloys: A review
EP3903971A1 (en) Auto-tempering steels for additive manufacturing
WO2020158945A1 (ja) チタン合金積層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46808B1 (ko) 기계적 성질이 개선된 티타늄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522659A (zh) 合金粉體及應用其之雷射積層製程
KR102578988B1 (ko) 계층적 NiAl/Ni2TiAl 석출물을 포함하는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889812B (zh) 一种增材制造高强塑钛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185799B2 (ja) Cu−Ti系銅合金および製造方法
JP2013185249A (ja) 鉄合金
WO2023182416A1 (ja) 積層造形用マルエージング鋼粉末、マルエージング鋼積層造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50990A (ja) コバルト基合金造形物およびコバルト基合金製造物の製造方法
WO2019099719A1 (en) Cobalt-chromium-aluminum alloy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CN117043371A (zh) 形状记忆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