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411B1 -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 Google Patents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411B1
KR101616411B1 KR1020140075534A KR20140075534A KR101616411B1 KR 101616411 B1 KR101616411 B1 KR 101616411B1 KR 1020140075534 A KR1020140075534 A KR 1020140075534A KR 20140075534 A KR20140075534 A KR 20140075534A KR 101616411 B1 KR101616411 B1 KR 101616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gas
propeller
pad
hull
gas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530A (ko
Inventor
김진학
박형길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411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15Propellers having vibration damp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은, 프로펠러에 인접된 선체에 결합되며, 프로펠러의 회전 시 발생되는 입사파와 상쇄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 현상을 일으키기 위한 반사파를 발생시키는 작업기체가 일측에 수용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 및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통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선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A ship for reducing vibromotive force}
본 발명은,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후미에 마련되는 프로펠러가 수중에서 회전되면 물이 프로펠러의 날개 표면으로 흐르면서 프로펠러 날개 표면의 앞면과 뒷면에 수압 차이를 발생시키고, 그 수압 차이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추진력에 의해 선박이 해상에서 운항될 수 있다.
한편, 선박의 운항을 위해 프로펠러가 동작되면, 즉 프로펠러가 수중에서 회전되면 회전체로서의 프로펠러로 인해 수중에 변동압력이 발생되며, 이렇게 발생된 변동압력은 선체로의 기진력을 증가시켜 선체에 진동(소음 포함)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프로펠러에 의하여 수중에 공동현상(cavitation)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기진력이 더더욱 증가되기 때문에 선체의 진동이 심하게 발생된다.
이는 수중에서 압력이 낮은 곳이 생기면 물에 포함되어 있는 기체가 물에서 빠져나와 압력이 낮은 곳에 모이게 됨으로써 수중에 기포가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기포가 압력이 높은 부분에 이르면 급격히 부서짐으로써 수중에 강한 변동압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변동압력에 의한 기진력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펠러 날개 자체의 모양이나 크기를 다르게 설계하거나, 선박 후미의 모양을 개선하거나, 소음과 진동을 차단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강재를 덧대거나, 선수에서 흘러들어오는 물의 유동(flow)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장치를 부착하거나, 프로펠러의 사이즈를 줄이거나 하는 등의 여러 방법을 적용하거나 적용을 시도해 보고 있으나 기진력을 저감시키는 데에 실질적으로 큰 효과를 얻기 어렵다.
이처럼 프로펠러의 동작 시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로 전달되는 소음을 포함한 진동 문제는 예컨대, 크루즈선처럼 유람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이나 군함처럼 조용한 운항이 전제되어야 하는 선박인 경우에 있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사항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프로펠러에 이웃된 선체의 표면에 일정량의 공기방울 형태인 에어 레이어(air layer)를 형성시켜 기진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많은 기술을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한 바 있다.
그런데, 지난번 출원된 기술을 비롯하여 에어 레이어를 사용하려 하는 종래기술들의 대부분은 에어 레이어의 형성을 위해 압축기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공기를 분사해야 하기 때문에 압축기를 비롯한 그 관련 부품의 설치, 그리고 운용에 따른 에너지 소모 등의 부담이 따르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압축기를 비롯한 그 관련 부품의 설치, 그리고 운용에 따른 에너지 소모 등의 부담을 근원적으로 방지하면서 프로펠러의 동작 시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예컨대 작업기체가 일측에 수용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선체에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다만,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선체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선체가 항상 물에 잠겨 있어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고 편리하지 않으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적용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하나의 대안으로서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통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적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_1 ;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8-188192 선행기술_2 ;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74705 선행기술_3 ;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7-0050013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압축기를 비롯한 그 관련 부품의 설치, 그리고 운용에 따른 에너지 소모 등의 부담을 근원적으로 방지하면서도 프로펠러의 동작 시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특히,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통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선체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로펠러에 인접된 선체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시 발생되는 입사파와 상쇄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 현상을 일으키기 위한 반사파를 발생시키는 작업기체가 일측에 수용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 및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상기 선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를 포함하는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에 의해 상기 선체에 결합되는 패드 바디; 및 상기 패드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작업기체가 밀폐되어 수용되는 작업기체 주머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는,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가 배치될 상기 선체에 마련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터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터널에는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보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나사의 결합을 위한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드 바디에는 상기 패드 바디를 보강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딩 터널에 슬라이딩 출입되는 보강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체에 결합되는 바텀 소켓(bottom socket)과, 상기 바텀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텀 플러그(bottom plug)를 구비하는 바텀 플러그 모듈(bottom plug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 터널에 슬라이딩 삽입된 후, 상기 바텀 플러그 모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러그는, 상기 바텀 소켓의 소켓 관통부에 결합되는 플러그 헤드; 및 상기 플러그 헤드에 연결되되 상기 바텀 소켓을 통해 상기 선체의 외벽으로 노출되며,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바깥쪽에서 상기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에 체결되어 상기 패드 바디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 및 상기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에 밀착되어 해당 영역을 밀봉하는 밀봉 개스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재질은 음향 임피던스(Acoustic impedance)가 해수(water)와 유사한 고무(rubber)일 수 있으며, 상기 작업기체는 공기(air)일 수 있다.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는 상기 프로펠러를 기준으로 하여 선수 방향으로 상기 프로펠러의 0.5직경(D)과, 선미 방향으로 상기 프로펠러의 0.5직경(D)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는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심을 기준으로 하여 우현 방향으로 상기 프로펠러의 1직경(D)과, 좌현 방향으로 상기 프로펠러의 1직경(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를 비롯한 그 관련 부품의 설치, 그리고 운용에 따른 에너지 소모 등의 부담을 근원적으로 방지하면서도 프로펠러의 동작 시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특히,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통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선체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의 프로펠러 영역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물, 고무 및 공기의 임피던스를 측정한 도표이다.
도 5는 입사파와 반사파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수학식 1]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도면이다.
도 7은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프로펠러 직상방 우현 영역에 설치한 상태의 도면으로서, 다수의 변동압력 측정지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프로펠러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효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대응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에 대한 150Hz 대역의 결과를 요약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에 적용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바텀 플러그 모듈과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 간의 결합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의 프로펠러 영역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 그리고 도 3은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은 압축기를 비롯한 그 관련 부품의 설치, 그리고 운용에 따른 에너지 소모 등의 부담을 근원적으로 방지하면서도 프로펠러(120)의 동작 시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11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특히, 간단한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통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20)를 선체(110)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20)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선체(110), 선체(110)에 결합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 그리고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통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를 선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150)라는 간단하면서고 효율적인 구조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를 선체(110)에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와 관련된 비용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특히, 선체(110)의 바닥은 늘 물에 잠겨 있기 때문에 오랜 시간 잠수를 한 상태에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를 선체(110)의 바닥에 설치하기는 곤란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실시예처럼 간단하면서고 효율적인 구조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를 선체(110)의 바닥에 설치하는 방법은 상당히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본다. 우선, 선체(110)의 후미에는 선체(110)의 추진을 위한 프로펠러(120)가 마련된다.
프로펠러(120)의 주변에는 선박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러더(125, rudder)가 마련된다. 러더(125)는 일반 러더일 수도 있고, 아니면 벌브 러더(bulb rudder)일 수도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선박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크루즈선 및 특수 작업선 등을 비롯하여 부유식 해상 구조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선박에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프로펠러(120)가 동작되면, 즉 프로펠러(120)가 수중에서 회전되면 회전체로서의 프로펠러(120)로 인해 수중에 변동압력이 발생되며, 이렇게 발생된 변동압력은 선체(110)로의 기진력을 증가시켜 선체에 진동(소음 포함)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선체(110)에 전달되는 진동은 예컨대, 크루즈선처럼 유람을 목적으로 하는 선박이나 군함처럼 조용한 운항이 전제되어야 하는 선박인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예방시켜야 한다.
다시 말해, 프로펠러(120)의 동작 시 수중에 발생된 변동압력으로 인해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11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를 적용하고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선박에 적용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는 기존의 공기방울 형태인 에어 레이어(air layer)를 형성시키던 구조들과는 전혀 다른 형태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는 공기(air)를 가둬둔 형태의 구조물에 불과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되어야만 했던 압축기를 비롯한 그 관련 부품을 설치하거나 운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압축기를 비롯한 그 관련 부품의 설치, 그리고 운용에 따른 에너지 소모 등의 부담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프로펠러(120)에 인접된 선체(110)에 결합되며, 프로펠러(120)의 회전 시 발생되어 선체(110)로 향하는 입사파를 상쇄시키기 위해 반사파를 발생시키되 일측에 작업기체가 수용되는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는 프로펠러(120)를 기준으로 하여 선수 방향으로 프로펠러(120)의 0.5직경(D)과, 선미 방향으로 프로펠러(120)의 0.5직경(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펠러(120)의 직경이 50cm인 경우, 프로펠러(120)를 기준으로 하여 선수와 선미 방향으로 25cm 지점 사이에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는 프로펠러(120)의 회전축심을 기준으로 하여 우현 방향으로 프로펠러(120)의 1직경(D)과, 좌현 방향으로 프로펠러(120)의 1직경(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펠러(120)의 직경이 50cm인 경우, 프로펠러(120)의 회전축심을 기준으로 하여 우현과 좌현 방향으로 50cm 지점 사이에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는 선체(110) 벽면에 결합되어 선체(11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가 프로펠러(120)의 직상방에 부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의 도면에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는 다수의 패드 바디 홀(131a)을 구비하는 패드 바디(131)와, 패드 바디(13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작업기체가 밀폐되어 수용되는 작업기체 주머니(1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재질은 고무(rubber)일 수 있으며, 작업기체는 공기(air)일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재질이 고무와 유사한 재질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며, 작업기체 역시, 액체만 아니라면 다양한 기체로 변경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를 형성하는 패드 바디(131)는 고무 재질로 된 평평한 구조물로서, 선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패드 바디(131)는 여러 다양한 구조와 방식을 통해 선체(110)에 결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바텀 플러그 모듈(150)을 통해 선체(110)에 결합되고 있다.
도면에는 패드 바디(131)가 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패드 바디(131)의 형상은 사각 형상을 비롯하여 원 형상, 삼각형 형상 등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 바디(131)의 형상에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패드 바디(131)에는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패드 바디(131)를 보강하는 한편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150)에 슬라이딩 출입되는 보강 플레이트(133)가 마련된다.
보강 플레이트(133)는 작업기체 주머니(132)를 제외한 패드 바디(131) 전체에 마련될 수도 있고 아니면 패드 바디(131)의 둘레를 따라 일부분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강 플레이트(133)는 패드 바디(131) 내에 마련될 수도 있고, 아니면 패드 바디(131)의 일측에 부착될 수도 있다.
작업기체 주머니(132)는 패드 바디(131)의 내부에 형성되며, 패드 바디(131)의 일측으로 부풀어 오른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기체 주머니(132)는 원형의 형상을 갖지만 작업기체 주머니(132)의 형상 역시, 삼각 형상, 사각 형상 등 다양한 다각 형상이 될 수 있으므로 도면의 형상에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작업기체 주머니(132) 내에는 작업기체로서 공기(air)가 충전된다.
작업기체 주머니(132) 내에 충전되는 작업기체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제조 시 일체로 들어 있게 형성된 것으로서, 작업기체 주머니(132)가 절개되지 않는 한 작업기체 주머니(132) 내에서 누설되지 않는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주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150)는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통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를 선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150)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가 배치될 선체(110)에 마련되는 제1 내지 제3 슬라이딩 터널(150a~150b)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슬라이딩 터널(150a~150b)은 한글 'ㄱ'자 형상의 금속 브래킷 구조물일 수 있으며, 도 3처럼 입구를 제외한 3면에 마련됨으로써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내지 제3 슬라이딩 터널(150a~150b)의 단부는 선체(110)에 용접됨으로써, 선체(110)에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슬라이딩 터널(150a~150b)에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보강 플레이트(133)에 체결되는 나사(미도시)의 결합을 위한 통공(H)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내지 제3 슬라이딩 터널(150a~150b) 상에 하나씩의 통공(H)이 마련되고 있으나 통공(H)의 개수는 도시된 것보다 많을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패드 바디(131)에는 보강 플레이트(133)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133)는 구겨지거나 뒤틀릴 수 있는 패드 바디(131)를 보강하는 역할을 겸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선체(110)의 벽면에 제1 내지 제3 슬라이딩 터널(150a~150b)을 포함하는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150)가 마련되기 때문에, 설사 선체(110)의 바닥이 물에 잠긴 상태일지라도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패드 바디(131)를 제1 내지 제3 슬라이딩 터널(150a~150b)에 끼운 후, 나사 결합시키면 간편하게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지 않다.
만약, 작업기체 주머니(132)가 찢어져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전술한 역순으로 작업하여 찢어진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빼내고 다시 새로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제자리에 끼워 넣으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지는 않다.
한편, 이하에서는 작업기체가 밀폐되어 수용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로 인해 기진력이 저감되는 원리에 대해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물, 고무 및 공기의 임피던스를 측정한 도표, 도 5는 입사파와 반사파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수학식 1]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도면, 도 7은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프로펠러 직상방 우현 영역에 설치한 상태의 도면으로서, 다수의 변동압력 측정지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프로펠러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효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도 7에 대응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에 대한 150Hz 대역의 결과를 요약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재질인 고무(rubber)의 음향 임피던스(Acoustic impedance, 음향학적인 저항을 의미함)가 해수(water)와는 대략적으로 유사한데 반해, 공기(air)보다는 무한히 큰 것을 알 수 있다.
통상적으로 특정 매질 내에서 음파가 진행하면서 임피던스가 다른 매질을 만나게 되면 투과 현상과 반사 현상이 발생하는데, 해수와 고무의 임피던스가 유사하므로 해수와 고무의 경계면에서는 반사 없이 투과 현상만이 발생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프로펠러(120)의 동작 시 발생하는 입사파는 그대로 작업기체 주머니(132)의 벽면인 고무층을 통과한 후, 작업기체 주머니(132) 내에 충전된 작업기체, 즉 공기에 의해 입사파 대비 반대 위상으로 반사되어 즉 반사파로 형성되어 나오게 된다. 이 반사파가 입사파와 상쇄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 현상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프로펠러(120)의 동작 시 발생하는 입사파가 상쇄된다.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해 기진력이 저감되어 선체(110) 진동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다시 부연 설명한다. 프로펠러(120) 동작 시 캐비테이션에 의해 발생되는 구면 압력파, 즉 입사파는 전방위로 전파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처럼 프로펠러(120) 주변의 선체(110) 표면에 공기가 충전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를 설치할 경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작업기체 주머니(132)로 입사하는 입사파는 그대로 작업기체 주머니(132)의 벽면인 고무층을 통과하지만 작업기체 주머니(132) 내에 충전된 작업기체, 즉 공기에 의해 입사파 대비 반대 위상으로 반사되어 즉 반사파로 형성되어 나온다.
이처럼 입사파가 공기에 부딪혀 반대 위상으로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파로 형성되면 이 반사파가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 쪽으로 입사되는 입사파와 만나서 입사파와 상쇄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결국,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외측에서 선체(110)로 전달되는 변동압력이 감소하게 되며, 이처럼 변동압력이 감소하게 되면 기진력이 저감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선체(1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저감 성능은 아래의 [수학식1]처럼 프로펠러(120)의 특정 주파수 대역에만 제한된다. 다시 말해, 프로펠러(120)의 특정 회전수(RPM)에 대응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만 제한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14057722664-pat00001
여기서, f는 프로펠러의 저감 주파수 대역, ca(=340m/s)와 cw(=1500m/s)는 각각 공기 및 해수음속 ρa(=1.02 kg/m3),ρw(=1024kg/m3)는 공기 및 해수의 밀도를 의미하며, a와 b는 도 6처럼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a~130c)를 등가화된 구로 간주할 때 내경, 외경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사항들의 검증을 위하여 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BD 영역 쪽의 선체(110)의 벽면에 150Hz 주파수 대역에서 저감효과가 있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 1개를 설계(또는 부착)하였으며, 이후, P1, P2, P3, P4 위치에서 변동압력을 계측하였고, 뿐만 아니라 선체(110)의 선미부의 위쪽을 지지하는 강판인 트랜섬(transom) 영역에서 진동을 계측하였다.
도 8에 나타낸 계측결과를 보면 수평축(x축)은 프로펠러(120)의 회전수(RPM)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의미하며, 수직축(y축)은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 부착 전 대비 부착 후의 증감량을 나타내고 있는데, 공진 영역인 135Hz 근방에서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 설치 전 대비 설치 후 변동압력 및 진동이 증가하지만 설계주파수인 150Hz 대역 근방에서 현저한 감소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150Hz 대역의 결과를 요약하여 도시하고 있는데, 도 9를 참조하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외측에 위치된 P2, P3, P4 위치에서의 변동압력이 평균 70% 가량 감소되며, 결과적으로 진동수준 역시, 70% 이상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선체(11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를 선체(110)에 적용, 즉 설치함에 있어 바텀 플러그 모듈(150)을 활용함으로써, 선체(110)의 바닥이 물에 잠긴 상태일지라도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를 비롯한 그 관련 부품의 설치, 그리고 운용에 따른 에너지 소모 등의 부담을 근원적으로 방지하면서도 프로펠러(120)의 동작 시 기진력이 증가되어 선체(11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특히,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통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20)를 선체(110)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20)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에 적용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바텀 플러그 모듈과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 간의 결합 구조도,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230)는 선체(210)에 마련되는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150), 즉 제1 내지 제3 슬라이딩 터널(150a~150b)로 적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15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230)가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15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후에는 선체(210)에 마련되는 바텀 플러그 모듈(250)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선체(210)에 이미 적용되어 있는 바텀 플러그 모듈(250)을 활용하여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15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230)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과 더불어 비용 감소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2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바텀 플러그 모듈(250)에 대해 먼저 알아본다.
바텀 플러그 모듈(250)은 선체(210)의 벽면 곳곳에 장착되는 부품으로서, 선체(210) 내로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마개의 역할을 수행한다. 바텀 플러그 모듈(250)은 제거되는 부품이 아니다.
이러한 바텀 플러그 모듈(250)은 선체(210)에 결합되는 바텀 소켓(260, bottom socket)과, 바텀 소켓(2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텀 플러그(270, bottom plug)를 포함한다.
바텀 소켓(260)이 해당 위치에 결합되기 위해 선체(210)에는 바텀 소켓(260)의 결합을 위한 소켓 결합부(211)가 형성된다.
소켓 결합부(211)의 외벽에는 제1 경사면(212)과 제1 수평면(213)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게 바텀 소켓(260)에도 제2 경사면(261)과 제2 수평면(26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바텀 소켓(260)은 소켓 결합부(2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바텀 소켓(260)이 소켓 결합부(211)에 나사 방식으로 조립되거나 아니면 압입되는 것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바텀 플러그(270)는 바텀 소켓(2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바텀 플러그(270)는 바텀 소켓(260)의 소켓 관통부(263)에 결합되는 플러그 헤드(271)와, 플러그 헤드(271)에 연결되며, 바텀 소켓(260)을 통해 선체(210)의 외벽으로 노출되는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272)를 포함한다.
플러그 헤드(271)와 바텀 소켓(260)에는 볼트(Bolt)가 체결되도록 상호간 연통되는 다수의 제1 및 제2 통공(271a,260a)이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230)는 바텀 플러그(270)의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27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230)의 패드 바디(231)가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27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고정너트(281), 밀봉 개스킷(282), 그리고 보강 플레이트(283) 등의 구조물이 요구된다.
고정너트(281)는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272)에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230)의 패드 바디(231), 밀봉 개스킷(282), 그리고 보강 플레이트(283)가 차례로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너트(281)는 선체(210)의 바깥쪽에서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272)에 체결되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230)의 패드 바디(231), 밀봉 개스킷(282), 그리고 보강 플레이트(283)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너트(281)는 임으로 풀리지 않는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너트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개스킷(282)은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272)로 삽입되는 개스킷 홀(251a)을 구비하며,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272)에 밀착되어 패드 바디 홀(231a)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밀봉 개스킷(282)은 약간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283)는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272)로 삽입되는 플레이트 홀(283a)을 구비하며, 밀봉 개스킷(282)과 고정너트(281) 사이에 배치되어 패드 바디(231)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보강 플레이트(283)는 패드 바디(231)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230)가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15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 후에, 선체(210)에 마련되는 바텀 플러그 모듈(250)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지 않다. 만약, 작업기체 주머니(232)가 찢어져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230)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 전술한 역순으로 작업하여 찢어진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빼내고 다시 새로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제자리에 끼워 넣으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지는 않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는데, 장시간 선박 운항 시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230)에 이물질 등의 파울링(Fouling)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130,230)에 파울링 방지용 페인트(또는 어노드(Anode) 포함)가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선체 120 : 프로펠러
125 : 러더 130 :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
131 : 패드 바디 132 : 작업기체 주머니
133 : 보강 플레이트 150 :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

Claims (9)

  1. 프로펠러에 인접된 선체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시 발생되는 입사파와 상쇄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 현상을 일으키기 위한 반사파를 발생시키는 작업기체가 일측에 수용되는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 및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를 상기 선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에 의해 상기 선체에 결합되는 패드 바디; 및
    상기 패드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작업기체가 밀폐되어 수용되는 작업기체 주머니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식 패드 착탈 결합부는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가 배치될 상기 선체에 마련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터널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터널에는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보강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나사의 결합을 위한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 바디에는 상기 패드 바디를 보강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딩 터널에 슬라이딩 출입되는 보강 플레이트가 마련되는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결합되는 바텀 소켓(bottom socket)과, 상기 바텀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텀 플러그(bottom plug)를 구비하는 바텀 플러그 모듈(bottom plug module)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 터널에 슬라이딩 삽입된 후, 상기 바텀 플러그 모듈에 결합되는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플러그는,
    상기 바텀 소켓의 소켓 관통부에 결합되는 플러그 헤드; 및
    상기 플러그 헤드에 연결되되 상기 바텀 소켓을 통해 상기 선체의 외벽으로 노출되며,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를 포함하는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바깥쪽에서 상기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에 체결되어 상기 패드 바디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 및
    상기 나사식 플러그 샤프트에 밀착되어 해당 영역을 밀봉하는 밀봉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의 재질은 음향 임피던스(Acoustic impedance)가 해수(water)와 유사한 고무(rubber)이며,
    상기 작업기체는 공기(air)인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는 상기 프로펠러를 기준으로 하여 선수 방향으로 상기 프로펠러의 0.5직경(D)과, 선미 방향으로 상기 프로펠러의 0.5직경(D)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작업기체 수용 멤브레인 패드는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심을 기준으로 하여 우현 방향으로 상기 프로펠러의 1직경(D)과, 좌현 방향으로 상기 프로펠러의 1직경(D) 사이에 배치되는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20140075534A 2014-06-20 2014-06-20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1616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534A KR101616411B1 (ko) 2014-06-20 2014-06-20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534A KR101616411B1 (ko) 2014-06-20 2014-06-20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30A KR20150145530A (ko) 2015-12-30
KR101616411B1 true KR101616411B1 (ko) 2016-04-28

Family

ID=5508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534A KR101616411B1 (ko) 2014-06-20 2014-06-20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4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4894A (ja) * 2001-03-07 2002-09-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尾部の船底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8192A (ja) 1995-01-10 1996-07-23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プロペラ変動圧力吸収装置
KR970050013A (ko) 1995-12-19 1997-07-29 이종광 정적인 광고화면을 동적으로 보이게 하는 광고방법
JPH1071993A (ja) * 1996-08-30 1998-03-17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振動防止装置
JP4183048B1 (ja) 2008-04-17 2008-11-19 有限会社ランドエンジニアリング 摩擦抵抗低減船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20100010353A (ko) * 2008-07-22 2010-0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이드 스러스터 개폐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4894A (ja) * 2001-03-07 2002-09-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尾部の船底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30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3570A (ko) 기포발생기를 구비하는 선박
JP6275872B2 (ja) プロペラキャビテーション誘起起振力低減型船舶
KR101767215B1 (ko) 아지무스 추진기의 추진력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추진력의 측정이 가능한 아지무스 추진기
KR101383115B1 (ko) 선박의 진동 저감 장치
KR101616418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1616992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1616411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Yan et al. Multi-functional tugboat for monitoring and cleaning bottom fouling
KR20100098687A (ko) 물갈퀴 추진을 위한 시일
KR101616419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1607876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1616409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20130057834A (ko) 극지운항용 선박
KR101616420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EP1512623B1 (en) Steering device
KR101616415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1616410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20150126452A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200382098Y1 (ko) 선박용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KR101607873B1 (ko) 프로펠러 캐비테이션 유기 기진력 저감형 선박
KR101167924B1 (ko) 선박의 문풀부 저항 감소구조
KR20090023060A (ko) 잠수정
NL1034333C2 (nl) Voortstuwingsinstallatie voor een vaartuig met schroef en straalbuis.
KR20150094820A (ko) 예비 실링 유닛을 갖는 선수추진기 실링장치
RU164111U1 (ru) Клинкет для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ой антен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