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281B1 -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 Google Patents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281B1
KR101616281B1 KR1020150162193A KR20150162193A KR101616281B1 KR 101616281 B1 KR101616281 B1 KR 101616281B1 KR 1020150162193 A KR1020150162193 A KR 1020150162193A KR 20150162193 A KR20150162193 A KR 20150162193A KR 101616281 B1 KR101616281 B1 KR 101616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pair
guide plate
cutting blade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만선
Original Assignee
(주)우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우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6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02Hand devices for scraping or peel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재료를 절단하는 절단날이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절단날의 후방으로 고정판이 형성된 채칼본체와, 상기 절단날의 전방으로 이격되면서 채칼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식재료를 상기 절단날로 안내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저면 좌우 양쪽에 구비되되, 가이드판 저면으로부터의 하향 돌출된 높이가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복수의 조정핀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한쌍의 핀배열부와, 상기 한쌍의 핀배열부 하측 위치에서 상기 채칼본체에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좌우 양쪽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 조정핀의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 조정되면서 한쌍의 핀배열부 각각의 복수의 조정핀을 선택적으로 받쳐 지지함으로써 상기 절단날과 가이드판 상호간의 높이차를 조정하는 한쌍의 조정받침편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지료의 절단되는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균일한 두께로 음식재료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Chef´s knife for uniform thickness control}
본 발명은 음식재료를 썰거나 절단하는 채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재료의 절단되는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균일한 두께로 음식재료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칼은 음식을 요리할 때, 파, 당근, 감자, 고구마, 무 등 각종 야채나 채소와 같은 음식재료를 잘게 썰거나 절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요리기구이다.
야채나 채소 등을 일정한 두께로 얇게 썰기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채칼이 널리 사용되고 있음과 함께, 전문적인 요리사의 경우에도 야채나 채소를 써는 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채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채칼은 몸체부에 칼날부가 고정되게 구성된 상태로 제작되어 두께 조절을 위한 위치 변화가 불가능하고, 또한, 몸체부의 단차진 높이가 불변하는 구조로서, 채칼 가공시 설정된 두께나 칼날모양에 따라, 변함없이 항상 똑같은 두께로 음식재료를 절단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102-0003813호에는 칼날의 전방에 틸팅플레이트(1)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하부 양쪽에 한쌍의 높이조절나사(2)를 체결시켜, 높이조절나사(2)의 정, 역회전에 따라 상기 틸팅플레이트(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음식재료의 절단되는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이 게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게시된 종래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의 경우, 좌우 양쪽에 설치된 높이조절나사(2)의 회전을 통해 승강시킴으로써 음식재료의 절단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사용자가 양쪽의 높이조절나사(2)를 완전히 동일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어려운 바, 대부분의 경우 양쪽 높이조절나사(2)의 회전수에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으며, 그에 따라 도 7에 일 예시된 것처럼, 틸팅플레이트(1)의 좌우 양쪽의 높이가 상이해져(ha ≠ hb) 틸팅플레이트(1)가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됨으로써 절단되는 음식재료 또한 일측은 얇고 타측은 두껍게, 즉 비스듬하게 절단되면서 전체적으로 음식재료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3813호 :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조절나사의 회전을 통한 높이조절구조가 아니라 돌출높이가 상이한 복수의 조정핀을 선택적으로 받쳐 지지하는 구조를 통하여, 좌우 양쪽이 항상 동일하게 높이조정이 되도록 함으로써 음식재료를 균일한 두께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음식재료를 절단하는 절단날이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절단날의 후방으로 고정판이 형성된 채칼본체와, 상기 절단날의 전방으로 이격되면서 채칼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식재료를 상기 절단날로 안내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저면 좌우 양쪽에 구비되되, 가이드판 저면으로부터의 하향 돌출된 높이가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복수의 조정핀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한쌍의 핀배열부와, 상기 한쌍의 핀배열부 하측 위치에서 상기 채칼본체에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좌우 양쪽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 조정핀의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 조정되면서 한쌍의 핀배열부 각각의 복수의 조정핀을 선택적으로 받쳐 지지함으로써 상기 절단날과 가이드판 상호간의 높이차를 조정하는 한쌍의 조정받침편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의 좌우 양쪽에는 상기 복수 조정핀의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눈금홈이 각각 배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조정받침편은 좌우 양쪽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눈금홈에 탄성끼움편이 각각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위치가 조정되는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이 개시된다.
삭제
또한, 상기 지지대의 폭 중간에는 상기 조정핀과의 간섭방지를 위해 하향 요입된 레일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에 의하면,
한쌍의 조정받침편을 동일한 위치의 눈금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주면서 위치변경을 시켜주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가 간편하면서 용이하게 좌우 양쪽의 높이조정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두께조정을 통해 다양한 두께로 음식재료를 절단할 수 있음과 함께, 항상 균일한 두께로 음식재료를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가이드판이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채칼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 및 조정받침편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조정받침편의 위치이동을 통해 가이드판의 높이가 조정되는 상태를 각각 일 예시한 도면들이며,
도 7은 종래의 채칼에서 높이가 조정되는 것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형성, 설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의 구성 및 작용이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100, 이하, “채칼”이라 약칭함.)은 채칼본체(10)와, 가이드판(20)과, 핀배열부(30)와, 지지대(40)와, 조정받침편(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채칼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채칼(100)의 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사각틀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채칼본체(10)의 중간부분에는 음식재료를 절단하는 절단날(11)이 설치되며, 상기 절단날(11)의 후방으로는 고정판(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2)은 음식재료가 상기 절단날(11)을 통과하면서 절단될 수 있도록 음식재료를 받쳐주게 된다.
상기 가이드판(20)은 상기 절단날(11)의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채칼본체(10)에 상하방향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판(20)은 음식재료가 상기 절단날(11)을 통과하면서 절단될 수 있도록 음식재료를 받쳐 상기 절단날(11)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판(20)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상태에서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판(20)의 높이조절에 따라 상기 절단날(11)과 가이드판(20) 상호간의 높이차가 증감되면서 음식재료의 절단두께가 조절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판(20)의 높이조절은 상기 핀배열부(30), 지지대(40), 조정받침편(50)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핀배열부(30)는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가이드판(20)의 저면에서 돌출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조정핀(31)으로 구성된다.
이 때, 배열된 복수의 조정핀(31)은 가이드판(30)의 저면으로부터의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변화되게 형성된다.
즉, 도 2와 도 4 내지 도 6에 일 예시된 것처럼 배열된 복수의 조정핀(31)은 가이드판(20)의 저면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반대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복수의 조정핀(31)으로 구성된 상기 핀배열부(30)는 한쌍을 이루어 상기 가이드판(20)의 저면 좌우 양쪽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핀배열부(30)는 복수 조정핀(31)의 배열이 서로 대칭이 되거나 동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좌우의 정확한 균형을 위해, 도면들에 일 예시된 것처럼 복수 조정핀(31)의 배열이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한쌍의 핀배열부(30)를 구성하는 조정핀(31)의 갯수 및 각 조정핀(31)의 돌출높이 차이는 설계변경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한쌍의 핀배열부(30) 하측 위치에서 상기 채칼본체(10)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조정받침편(5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이러한 지지대(40)의 좌우 양쪽, 즉 상기 한쌍의 핀배열부(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좌우 양쪽에는 복수의 눈금홈(41)이 배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눈금홈(41)은 상기 복수 조정핀(31)의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 형성이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40)의 폭 중간에는 하향 요입된 형태의 레일홈(4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홈(42)은 상기 복수의 조정핀(31)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 후술하는 조정받침편(50)이 복수의 조정핀(31) 중 최소 돌출높이의 조정핀(31)을 받칠 때, 설계에 따라서는 최대 돌출높이의 조정핀(31)이 지지대(40)와 간섭될 수도 있는 바, 조정핀(31)이 대면하는 지지대(40)의 중간부분에 하향 요입된 레일홈(42)이 형성되면 이러한 조정핀(31)과의 간섭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조정받침편(50)은 도 2와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대(40)를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쌍을 이루어 지지대(40)의 좌우 양쪽에 설치된다.
이러한 한쌍의 조정받침편(50)에는 탄성끼움편(5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40)의 좌우 양쪽에 배열 형성된 복수의 눈금홈(41)에 상기 탄성끼움편(51)이 각각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위치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한쌍의 조정받침편(50)은 복수 조정핀(31)의 배열간격에 대응하여 위치조정이 되면서 한쌍의 핀배열부(30) 각각의 복수의 조정핀(31)을 선택적으로 받쳐 지지하게 되며, 그에 따라 한쌍의 조정받침편(50)에 의해 지지되는 조정핀(31)의 돌출높이에 의해서 가이드판(20)의 높이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한쌍의 조정받침편(50)은 좌우에 형성된 복수의 눈금홈(41) 중 동일한 눈금홈(41)에 끼워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한쌍의 핀배열부(30)의 동일한 조정핀(31)을 받쳐 지지하게 되므로, 가이드판(30)은 좌우가 동일한 높이로 지지되면서 기울어짐 없이 정확하게 좌우 수평을 이룰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균일한 두께로 음식재료의 절단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채칼(100)의 구성을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그 작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가이드판(20)을 수평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이 때,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좌우 한쌍의 조정받침편(50)에 의해 한쌍의 핀배열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정핀(31) 중 특정 돌출높이를 갖는 동일한 조정핀(31)이 받쳐진 상태가 되며, 이 때의 가이드판(20) 높이를 h1이라 한다.), 채를 썰기 위한 음식재료를 가이드판(20) 위에 올려놓고 절단날(11)쪽으로 밀어주면, 음식재료가 가이드판(20)의 상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절단날(11)을 통과하면서 가이드판(20)과 절단날(11) 상호간의 높이차이에 대응하는 두께로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절단되는 음식재료의 두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판(20)을 상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좌우 한쌍의 조정받침편(50)의 위치를 변경시켜 준 후, 다시 가이드판(20)을 수평한 상태로 복귀시킨다.
그러면, 좌우 한쌍의 조정받침편(50)이 위치변경됨에 따라 기존과 돌출높이가 상이한 다른 조정핀(31)이 조정받침편(50)에 받쳐지게 되므로, 조정핀(31)의 상이해진 돌출높이만큼 수평상태가 된 가이드판(20)의 높이가 증감되면서 가이드판(20)과 절단날(11) 상호간의 높이차이도 변경되고, 그에 따라 절단되는 음식재료의 두께도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절단되는 음식재료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조정하고자 할 경우, 도 5에 일 예시된 것처럼, 좌우 한쌍의 조정받침편(50)의 위치를 동일하게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주면, 한쌍의 조정받침편(50)에 의해 기존보다 돌출높이가 증가된 조정핀(31)이 각각 받쳐지므로, 그에 대응하는 만큼 가이드판(20)의 위치가 높아지게 되고(h2 〉h1), 그에 따라 가이드판(20)과 절단날(11) 상호간의 높이차이는 감소되면서 절단되는 음식재료의 두께도 상대적으로 얇아지게 된다.
여기서, 이렇게 한쌍의 조정받침편(50)의 위치를 조정할 때, 사용자는 좌우양쪽 동일한 순서의 눈금홈(41)에 한쌍의 조정받침편(50)을 간단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렇게 한쌍의 조정받침편(50)이 동일한 순서의 눈금홈(41)에 위치만 되면 한쌍의 핀배열부(30)는 동일한 돌출높이의 조정핀(31)이 받쳐지게 되므로, 가이드판(20)은 높이조정에도 불구하고 좌우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면서 좌우로 기울어짐 없이 정확하게 수평을 이룰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면서도 균일한 두께로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절단되는 음식재료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에 일 예시된 것처럼, 한쌍의 조정받침편(50)의 위치를 동일하게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기존보다 돌출높이가 감소된 조정핀(31)이 각각 받쳐지도록 하면 되며, 그에 따라 가이드판(20)의 위치가 낮아지게 되면서(h3〈 h1), 가이드판(20)과 절단날(11) 상호간의 높이차이는 증가되어 상대적으로 두꺼우면서도 균일한 두께로 음식재료의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칼의 경우에는 상이한 돌출높이를 갖는 좌우 양쪽의 복수 조정핀을 한쌍의 조정받침편이 동일한 위치변경을 통해 받쳐줌으로써 가이드판의 높이를 조정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간편하면서 용이하게 좌우 양쪽의 높이조정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절단되는 음식재료의 두께조정과 함께 항상 균일한 두께로 음식재료의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채칼본체 11: 절단날
12: 고정판 20: 가이드판
30: 핀배열부 31: 조정핀
40: 지지대 41: 눈금홈
42: 레일홈 50: 조정받침편
51: 탄성끼움편

Claims (3)

  1. 삭제
  2. 음식재료를 절단하는 절단날(11)이 중간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절단날(11)의 후방으로 고정판(12)이 형성된 채칼본체(10);
    상기 절단날(11)의 전방으로 이격되면서 채칼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식재료를 상기 절단날(11)로 안내하는 가이드판(20);
    상기 가이드판(20)의 저면 좌우 양쪽에 구비되되, 가이드판(20) 저면으로부터의 하향 돌출높이가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복수의 조정핀(31)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한쌍의 핀배열부(30);
    상기 한쌍의 핀배열부(30) 하측 위치에서 상기 채칼본체(10)에 형성되는 지지대(40);
    상기 지지대(40)의 좌우 양쪽에 설치되되, 복수 조정핀(31)의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 조정되면서 한쌍의 핀배열부(30) 각각의 복수의 조정핀(31)을 선택적으로 받쳐 지지함으로써 절단날(11)과 가이드판(20) 상호간의 높이차를 조정하는 한쌍의 조정받침편(5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40)의 좌우 양쪽에는 상기 복수 조정핀(31)의 배열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눈금홈(41)이 각각 배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조정받침편(50)은 좌우 양쪽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눈금홈(41)에 탄성끼움편(51)이 각각 선택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0)의 폭 중간에는 상기 조정핀(31)과의 간섭방지를 위해 하향 요입된 레일홈(42)이 길이방향을 따라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KR1020150162193A 2015-11-19 2015-11-19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KR101616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193A KR101616281B1 (ko) 2015-11-19 2015-11-19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193A KR101616281B1 (ko) 2015-11-19 2015-11-19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281B1 true KR101616281B1 (ko) 2016-04-28

Family

ID=5591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193A KR101616281B1 (ko) 2015-11-19 2015-11-19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2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765Y1 (ko) * 2001-12-24 2002-04-03 김흥식 채칼
KR20030005828A (ko) * 2001-07-10 2003-01-23 형진 채칼
KR20120003813U (ko) 2010-11-23 2012-06-01 양성복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KR20130004591U (ko) * 2012-01-17 2013-07-25 강경원 채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828A (ko) * 2001-07-10 2003-01-23 형진 채칼
KR200270765Y1 (ko) * 2001-12-24 2002-04-03 김흥식 채칼
KR20120003813U (ko) 2010-11-23 2012-06-01 양성복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KR20130004591U (ko) * 2012-01-17 2013-07-25 강경원 채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961B2 (en) Kitchen slicer
RU2671186C2 (ru) Ломтерезка
TW201703954A (zh) 曼陀林式食物切片機
TWI583313B (zh) 曼陀林型切片器
US20170106551A1 (en) Device for cutting foodstuffs
KR101616281B1 (ko) 균일한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NL2014960B1 (en) Slicer.
US4157048A (en) Cutting apparatus for trimming component leads projecting from the underside of a printed wiring board
DK2370235T3 (en) MANDOLIN IRON
US2088298A (en) Machine for cutting potatoes applicable to analogous purposes
KR101602206B1 (ko) 조정식 밥물지시기
JP2011156435A (ja) スライサー
KR200489046Y1 (ko) 식자재 커팅기
KR101149575B1 (ko) 주방용 식품 절단기
KR100447863B1 (ko) 채칼
KR20120003813U (ko) 두께조절이 가능한 채칼
JP2003305687A (ja) 野菜調理器
CN208319085U (zh) 一种刨丝器盖板及刨丝器
KR102551817B1 (ko) 칼집 형성기구
JP4861669B2 (ja) スライサー
CN210104403U (zh) 一种无纺布加工用边角修剪装置
KR20240048189A (ko) 모듈형 식자재 큐브 절단장치
CN208930363U (zh) 一种红薯切片装置
US2748907A (en) Positioning means for food-carrying platform of slicing machines
CN209599275U (zh) 一种手动果蔬切片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