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960B1 -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960B1
KR101615960B1 KR1020150145396A KR20150145396A KR101615960B1 KR 101615960 B1 KR101615960 B1 KR 101615960B1 KR 1020150145396 A KR1020150145396 A KR 1020150145396A KR 20150145396 A KR20150145396 A KR 20150145396A KR 101615960 B1 KR101615960 B1 KR 101615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displacement
measuring
support
upp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현
Original Assignee
신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현 filed Critical 신종현
Priority to KR1020150145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56Gaug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e.g. conical cali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교각과 교량 거더 사이에 구비되어 교량 거더의 신축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는 받침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단 고정부재 및 하단 고정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연직조절부재의 양단이 상기 상단 고정부재 및 하단 고정부재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 및 하단 고정부재의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상단 고정부재 또는 하단 고정부재에는 가동눈금부재가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 또는 하단 고정부재의 후단에서 받침의 변위량이 측정되어 호환성이 증대되고,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증대되며, 복수 개의 측정 부재를 소지할 필요가 없어 분실 위험이 줄어들고, 휴대성이 증대되는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BRIDGE SEAT FOR THE PURPOSE OF SAFETY-CHECK}
이 발명은 안전진단을 위한 교량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교각과 교량 거더 사이에 구비되어 교량 거더의 신축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는 받침의 변위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구조적으로 상부에는 차량 또는 사람이 이동하는 교량 거더와, 하부에는 이러한 교량 거더를 받치기 위한 교대 또는 교각으로 구성된다. 또한, 교대 또는 교각과 교량 거더 사이에는 받침이 구비되어 상기 교량 거더의 고정 하중 및 이동 하중을 지지하면서, 온도의 변화나 풍력, 지진력 등의 충격에 의한 변위 및 신축으로 인한 교축 방향의 변위를 수용하여, 교량의 Life Cycle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받침은 주로 강한 탄성체로 제작되어 온도의 변화에 따라 교량 거더가 신축하게 되면 그에 따라 변형이 발생된다. 그 결과 받침은 상단이 교량 거더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변형된 형태를 이룬다. 이 경우, 탄성 한계점 내에서 신축한다면 구조적으로 크게 문제될 것이 없지만, 탄성 한계점을 초과하는 정도의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받침의 전단 파괴 현상으로 복원력이 상실됨과 동시에 교량 거더는 정상적으로 지지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의 변위량이 정기적으로 측정되어야 하는 것이고, 측정 결과 탄성 한계점에 다다른 받침은 교체되거나 보강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받침의 수평 변위량이 안전진단을 위한 주요한 요소이며, 부가적으로 받침의 변형 각도 등이 측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교각 상단의 받침에 접근하여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을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측정 방법으로는 정밀한 측정이 어렵고, 작업 환경에 비추어 안전성 및 편리성이 떨어지며, 다양한 측정부재가 요구되어 분실의 위험이 크고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받침의 측정과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00379호(2000.01.15. 공개)인 “교량받침 신축 측정계”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발명은 교각마다 고정용으로 설치되어 경제성 및 휴대성이 극히 낮으며, 눈 또는 비에 의한 외부적 환경의 영향으로 부식되거나 소실될 위험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교량 또는 교각에 따라 받침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 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호환성이 증대된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증대되도록, 받침이 구비된 협소한 공간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지점에서 사용자가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받침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단일화된 부재로 구성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여 분실 위험을 줄이고, 구조가 간단하고,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휴대성이 증대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인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는 교각와 교량 거더 사이에 구비되어 교량 거더의 신축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는 받침(S)의 변위량(D)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는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연직조절부재(300)의 양단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의 간격이 조절되되,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의 양단이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의 단부와 회동부(500)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와 결합된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가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와 평행하게 접히며,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에는 가동눈금부재(400)가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의 후단에서 받침(S)의 변위량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회동부(500)는 손잡이(511)가 구비된 고정 레버(510)의 회동에 의하여 탄성 패드(520)가 가압 고정되거나 가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레버(510)는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520)는 내주면(520a)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 일측에는 수평조절수포(H)가 구비되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직조절부재(300)는 볼트부(310) 양단에 길이가 조절되도록 너트부(320)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에는 관통홈(110)(210)이 마련되어 상기 가동눈금부재(400)가 상기 관통홈(110)(210)을 관통하여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홈(110)(210)에는 가이드홈(110a)(210a)이 마련되고, 상기 가동눈금부재(400)에는 상기 가이드홈(110a)(210a) 내에서 상기 가동눈금부재(400)가 슬라이드되도록 스토퍼(430)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눈금부재(400)가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으로부터 이탈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눈금부재(400)는 3단 접이식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의 일면에는 레일홈(120)(220)이 마련되어 접혀진 상기 가동눈금부재(400)의 눈금부(410)가 상기 레일홈(120)(220)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에는 접이식 지침(330)이 구비되고,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의 일면에는 각도눈금판(130)이 마련되어 받침(S)의 변형 각도(A)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교량 또는 교각에 따라 받침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 이에 맞추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호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단 고정부재 또는 고정부재의 후단에서 받침의 변위량이 측정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받침이 구비된 협소한 공간에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여 변위량을 측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받침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측정 부재를 소지할 필요가 없어 분실 위험이 줄어든다. 나아가,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방법을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칩이나 센서 등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경제적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교량의 안전점검을 위하여 접혀진 단일의 측정장치만 지니면 되므로, 휴대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순하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상단 고정부재 및 하단 고정부재를 접거나 펼 수 있어 작업시간이 절약되고 휴대성이 증대된다. 나아가, 가동눈금부재(400)는 3단 접이식 구조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휴대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평조절수포가 구비되어 상단 고정부재 및 하단 고정부재의 수평을 정확하게 조정함으로써, 받침의 변위량에 있어서 오차가 현저히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단 고정부재 또는 하단 고정부재에는 관통홈이 마련되어 이탈할 가능성이 줄어들고, 부재의 분실 위험이 적어진다. 또한, 일 방향으로 정밀하게 슬라이드되므로, 변위량 측정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오차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임.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임.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인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의 접이식 구조에 대한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임.
도 4의 (a) 및 (b)는 이 발명의 회동부 동작에 따른 사용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임
도 5의 (a) 및 (b)는 각각 이 발명의 회동부 동작에 따른 도 4의 (a) 및 (b)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임.
도 6은 이 발명의 연직조절부재의 길이조절에 따른 사용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임.
도 7은 이 발명의 가동눈금부재가 관통홈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사용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임.
도 8은 이 발명의 관통홈 및 레일홈이 마련된 상단 고정부재의 일측 단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임.
도 9는 이 발명의 가동눈금부재의 접이식 구조에 대한 사용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임.
도 10은 이 발명의 각도눈금판이 마련된 상단 고정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임.
도 11의 (a)는 이 발명이 받침의 변위량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의 (b)는 이 발명이 받침의 변형 각도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인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이 발명인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는 상단 고정부재(100)와 하단 고정부재(20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들과 결합된 연직조절부재(300)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 고정부재(200)(또는, 상단 고정부재(100))를 관통하는 가동눈금부재(40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들과 결합된 연직조절부재(300)의 양단에는 회동부(500)가 구비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가동눈금부재(400)는 접이식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하단 고정부재(200)(또는, 상단 고정부재(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2인 이 발명의 분해도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발명은 교각와 교량 거더 사이에 구비되어 교량 거더의 신축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는 받침(S)의 변위량(D)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는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연직조절부재(300)의 양단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의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에는 가동눈금부재(400)가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의 후단에서 받침(S)의 변위량이 측정된다.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연직조절부재(300)가 구비됨으로써, 교량 또는 교각에 따라 받침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 이에 맞추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호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에는 가동눈금부재(400)가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의 후단에서 받침(S)의 변위량이 측정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즉, 받침(S)이 구비된 협소한 공간에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여 변위량을 측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받침(S)의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측정 부재를 소지할 필요가 없어 분실 위험이 줄어든다. 즉, 측정장치가 단일화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방법을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칩이나 센서 등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경제적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눈금부재(400)는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의 후단에서 받침(S)의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받침(S)이 교각의 연단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상기 가동눈금부재(400)에 의한 눈금 읽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되면(도 11의 (a) 참조), 하단 고정부재(200)에서 가동눈금부재(400)를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드시켜 받침(S)의 하단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단 고정부재(100)의 후단에서 눈금을 읽어 받침(S)의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로써, 받침(S)이 교각의 연단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상기 가동눈금부재(400)에 의한 눈금 읽는 것이 어렵더라도 받침(S)의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이 발명의 접이식 구조에 대한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의 양단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의 단부와 회동부(500)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와 결합된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가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와 평행하게 접힐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평소에는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가 연직조절부재(300)와 평행하게 접혀 휴대하기 용이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받침(S)의 변위량을 측정하고자 한다면, 하단 고정부재(200)의 단부를 기준으로 90도 회동시키고, 상단 고정부재(100)의 단부를 기준으로 90도 회동시켜 전체적으로 ‘ㄷ’형상이 되도록 펼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교량의 안전점검을 위하여 접혀진 단일의 측정장치만 지니면 되므로, 휴대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는 단면이 수평방향으로 연속된 스틱(Stick)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한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여 휴대성이 더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대응되도록 곡률을 지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상기 회동부(500)의 동작에 따른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a) 및 (b)는 각각 도 4의 (a) 및 (b)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회동부(500)는 손잡이(511)가 구비된 고정 레버(510)의 회동에 의하여 탄성 패드(520)가 가압 고정되거나 가압 해제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고정 레버(510)의 회동 조작만으로 고정 및 해제되는 것으로, 단순하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를 접거나 펼 수 있어 작업시간이 절약되고 휴대성이 증대된다.
즉,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의 양단에 구비된 상기 회동부(500)의 고정 레버(510)를 회동시켜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와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와 하단 고정부재(200)를 고정 상태 또는 회동 가능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서, 부가적인 고정 수단이 불필요하고, 구조가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 레버(510)는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520)는 내주면(520a)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520)를 감싸는 밀림 방지 패드(530)가 구비되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에 삽입된 상기 탄성 부재(520)가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밀림 방지 패드(530)는 고무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와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와 하단 고정부재(200)를 회동 가능하도록, 도 4의 (a)와 같이, 상기 고정 레버(510)를 타원 형상의 장축이 내주면(520a)의 장축과 일치되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와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와 하단 고정부재(200)가 고정되도록, 도 4의 (b)와 같이, 상기 고정 레버(510)를 타원 형상의 장축이 내주면(520a)의 장축과 직교되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즉, 회동 가능 상태에서 상기 고정 레버(510)를 90도 회동시키면 고정 상태가 되고, 다시 동일한 방향으로 90도 회동시키면 회동 가능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 일측에는 수평조절수포(H)가 구비될 수 있다(도 1 및 2 참조). 이로써,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조절수포(H)는 수포를 이용하며, 정해진 눈금에 위치하게 되면 수평이 되는 측정부재를 의미한다.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의 수평을 정확하게 조정함으로써, 오차가 현저히 줄어든 상태에서 받침(S)의 변위량(D)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이 발명의 연직조절부재의 길이조절에 따른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연직조절부재(300)는 볼트부(310) 양단에 길이가 조절되도록 너트부(32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받침(S)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가 간단하게 상기 너트부(320)를 회동함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7은 상기 가동눈금부재(400)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에는 관통홈(110)(210)이 마련되어 상기 가동눈금부재(400)가 상기 관통홈(110)(210)을 관통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가동눈금부재(400)가 슬라이드되므로,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줄어들고, 부재의 분실 위험이 적어진다. 또한, 일 방향으로 정밀하게 슬라이드되므로, 변위량(D) 측정에 있어서 오차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관통홈(110)(210)에는 가이드홈(110a)(210a)이 마련되고, 상기 가동눈금부재(400)에는 상기 가이드홈(110a)(210a) 내에서 상기 가동눈금부재(400)가 슬라이드되도록 스토퍼(4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동눈금부재(400)가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으로부터 이탈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관통홈(110)(210)이 마련된 상단 고정부재의 일측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9는 상기 가동눈금부재(400)의 접이식 구조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동눈금부재(400)는 3단 접이식 구조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후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눈금이 마련된 눈금부(410)가 구비되고, 전단에는 슬라이딩부(420)가 구비되며, 상기 눈금부(410)와 슬라이딩부(420)는 연결부의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소에는 눈금부(410) 및 슬라이딩부(420)가 연결부(300)와 직각이 되도록 접혀 휴대하기 용이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의 휴대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받침(S)의 변위량을 측정하고자 한다면, 눈금부(410)를 90도 회동시키고, 다시 연결부와 눈금부(410)를 동시에 90도 회동시켜 전체적으로 일자 형상이 되도록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의 일면에는 레일홈(120)(220)이 마련되어 접혀진 상기 가동눈금부재(400)의 눈금부(410)가 상기 레일홈(120)(22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동눈금부재(420)가 접혀진 상태에서도 눈금부(410)가 이탈하거나 돌출되어 사용자의 휴대에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상기 가동눈금부재(400)가 펼쳐진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눈금부(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마련되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의 후단에 표시된 기준 화살표에 위치한 눈금을 읽기만 하면 받침(S)의 변위량(D)을 쉽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눈금부(410)의 일단 측면에는 돌부(410a)가 형성되고, 상기 돌부(410a)에 대응되도록 상기 레일홈(120)(220)에는 안착홈(120a)(220a)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에는 접이식 지침(330)이 구비되고,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의 일면에는 각도눈금판(13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받침(S)의 변형 각도(A)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부가적인 측정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에는 지침(330)이 접혀진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는 지침홈(330a)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침(330)은 바람직하게는 붉은 색으로 도색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각도눈금판(130)을 읽을 수 있다.
도 11의 (a)는 받침(S)의 변위량(D) 측정을 위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의 (b)는 상기 받침(S)의 변형 각도(A) 측정을 위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측정 방법을 설명하면, 교각(C2)의 상단에는 받침(S)이 구비되되, 상기 받침(S)과 교각(C2) 사이에는 하부 플레이트(P2)가 상기 받침(S)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받침(S)의 상단에는 교량 거더(C1)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P1)의 하단과 결합되도록 상부 플레이트(P1)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S)의 변위량(D)를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이 발명인 받침변위량 측정장치가 ‘ㄷ’자 형상이 되도록 펼친다. 그 다음, 상기 상부 플레이트(P1)와 하부 플레이트(P2) 내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연직조절부재(300)를 이용하여 상단 고정부재(100)와 하단 고정부재(200)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 다음, 하단 고정부재(200)에서 가동눈금부재(400)를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드시켜 받침(S)의 하단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단 고정부재(100)의 후단에서 눈금을 읽어 받침(S)의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받침(S)의 변형 각도(A)를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이 발명인 받침변위량 측정장치가 ‘ㄷ’자 형상이 되도록 펼친다. 그 다음, 상기 상부 플레이트(P1)와 하부 플레이트(P2) 내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연직조절부재(300)를 이용하여 상단 고정부재(100)와 하단 고정부재(200)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 다음,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에서 가동눈금부재(400)를 동일한 거리만큼 슬라이드시켜 받침(S)의 양단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단 고정부재(100)의 각도눈금판(130)을 읽어 받침(S)의 변형 각도(A)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상단 고정부재 200 : 하단 고정부재
110,210 : 관통홈 120,220 : 레일홈
130 : 각도눈금판 300 : 연직조절부재
310 : 볼트부 320 : 너트부
400 : 가동눈금부재 410 : 눈금부
420 : 슬라이딩부 430 : 스토퍼
500 : 회동부 510 : 고정 레버
520 : 탄성 패드 530 : 밀림 방지 패드
H : 수평조절수포 S : 받침
P1 : 상부 플레이트 P2 : 하부 플레이트
C1 : 교량 거더 C2 : 교각

Claims (10)


  1. 교각과 교량 거더 사이에 구비되어 교량 거더의 신축에 따라 변형이 발생되는 받침(S)의 변위량(D)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는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연직조절부재(300)의 양단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의 간격이 조절되되,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의 양단이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의 단부와 회동부(500)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와 결합된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가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와 평행하게 접히며,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에는 가동눈금부재(400)가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의 후단에서 받침(S)의 변위량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500)는 손잡이(511)가 구비된 고정 레버(510)의 회동에 의하여 탄성 패드(520)가 가압 고정되거나 가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버(510)는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520)는 내주면(520a)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 일측에는 수평조절수포(H)가 구비되어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및 하단 고정부재(20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조절부재(300)는 볼트부(310) 양단에 길이가 조절되도록 너트부(320)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에는 관통홈(110)(210)이 마련되어 상기 가동눈금부재(400)가 상기 관통홈(110)(210)을 관통하여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110)(210)에는 가이드홈(110a)(210a)이 마련되고, 상기 가동눈금부재(400)에는 상기 가이드홈(110a)(210a) 내에서 상기 가동눈금부재(400)가 슬라이드되도록 스토퍼(430)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눈금부재(400)가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으로부터 이탈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눈금부재(400)는 3단 접이식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의 일면에는 레일홈(120)(220)이 마련되어 접혀진 상기 가동눈금부재(400)의 눈금부(410)가 상기 레일홈(120)(220)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조절부재(300)에는 접이식 지침(330)이 구비되고, 상기 상단 고정부재(100) 또는 하단 고정부재(200)의 일면에는 각도눈금판(130)이 마련되어 받침(S)의 변형 각도(A)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KR1020150145396A 2015-10-19 2015-10-19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KR101615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96A KR101615960B1 (ko) 2015-10-19 2015-10-19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396A KR101615960B1 (ko) 2015-10-19 2015-10-19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960B1 true KR101615960B1 (ko) 2016-04-28

Family

ID=5591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396A KR101615960B1 (ko) 2015-10-19 2015-10-19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960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971B1 (ko) 2016-11-25 2017-02-03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교량 탄성받침의 전단변형량 측정장치
KR101779599B1 (ko) 2017-06-13 2017-09-18 다윤이엔씨 주식회사 교량 탄성받침 변위 측정장치
KR101841633B1 (ko) 2017-06-20 2018-03-23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
KR101841634B1 (ko) 2017-06-20 2018-03-23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안전진단용 길이확장형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
KR101841637B1 (ko) 2017-09-25 2018-05-04 주식회사 디에스이앤씨 연결구조를 이용한 안전진단시 구조체 간격 확인 장치
KR101876828B1 (ko) * 2017-11-29 2018-08-07 대진컨설턴트 주식회사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 및 점검장치
KR101926827B1 (ko) 2018-03-16 2018-12-07 주식회사 디에스이앤씨 받침 지지와 연동한 길이확장 가능한 나사결합 방식 정밀 선형구동 타입 안전진단용 구조물 사이 간격 측정 장치
KR101926840B1 (ko) * 2018-03-16 2019-03-07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안전진단시 나선방식을 이용한 구조 간격 측정이 가능한 받침 지지 길이확장형 계측장치
KR101926839B1 (ko) * 2018-03-16 2019-03-07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받침 지지형 연결구조를 이용한 안전진단시 구조체 간격 확인 장치
KR102260624B1 (ko) * 2020-09-08 2021-06-03 이기철 탄성받침 변형량 측정장치
KR102333601B1 (ko) * 2021-05-21 2021-12-01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안전 진단을 위한 교량의 받침장치의 이동량 및 연단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337463B1 (ko) * 2021-06-10 2021-12-13 다윤이엔씨 주식회사 탄성받침 이동량 측정장치
KR102415563B1 (ko) 2021-12-29 2022-07-01 이상범 교량 탄성받침 변위 측정장치
KR102636519B1 (ko) * 2023-03-13 2024-02-14 (주)장맥엔지니어링 안전점검 및 진단용 탄성받침 변위 측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722A (ja) * 2001-09-20 2003-03-28 Nagano Keiki Co Ltd 変位計、変位調整器
KR100585339B1 (ko) * 2005-12-21 2006-05-30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교각수직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0786221B1 (ko) * 2007-08-16 2007-12-17 (주)다음기술단 강박스 거더교 슬래브의 안전진단 장치
KR101522193B1 (ko) * 2015-03-26 2015-05-21 한국시설기술단(주) 교량의 상부 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722A (ja) * 2001-09-20 2003-03-28 Nagano Keiki Co Ltd 変位計、変位調整器
KR100585339B1 (ko) * 2005-12-21 2006-05-30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교각수직부 안전진단용 계측장치
KR100786221B1 (ko) * 2007-08-16 2007-12-17 (주)다음기술단 강박스 거더교 슬래브의 안전진단 장치
KR101522193B1 (ko) * 2015-03-26 2015-05-21 한국시설기술단(주) 교량의 상부 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971B1 (ko) 2016-11-25 2017-02-03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교량 탄성받침의 전단변형량 측정장치
KR101779599B1 (ko) 2017-06-13 2017-09-18 다윤이엔씨 주식회사 교량 탄성받침 변위 측정장치
KR101841633B1 (ko) 2017-06-20 2018-03-23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안전진단용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
KR101841634B1 (ko) 2017-06-20 2018-03-23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안전진단용 길이확장형 교량상부구조 간격 측정장치
KR101841637B1 (ko) 2017-09-25 2018-05-04 주식회사 디에스이앤씨 연결구조를 이용한 안전진단시 구조체 간격 확인 장치
KR101876828B1 (ko) * 2017-11-29 2018-08-07 대진컨설턴트 주식회사 교량용 탄성받침의 변형량 측정 및 점검장치
KR101926827B1 (ko) 2018-03-16 2018-12-07 주식회사 디에스이앤씨 받침 지지와 연동한 길이확장 가능한 나사결합 방식 정밀 선형구동 타입 안전진단용 구조물 사이 간격 측정 장치
KR101926840B1 (ko) * 2018-03-16 2019-03-07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안전진단시 나선방식을 이용한 구조 간격 측정이 가능한 받침 지지 길이확장형 계측장치
KR101926839B1 (ko) * 2018-03-16 2019-03-07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받침 지지형 연결구조를 이용한 안전진단시 구조체 간격 확인 장치
KR102260624B1 (ko) * 2020-09-08 2021-06-03 이기철 탄성받침 변형량 측정장치
KR102333601B1 (ko) * 2021-05-21 2021-12-01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안전 진단을 위한 교량의 받침장치의 이동량 및 연단거리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337463B1 (ko) * 2021-06-10 2021-12-13 다윤이엔씨 주식회사 탄성받침 이동량 측정장치
KR102415563B1 (ko) 2021-12-29 2022-07-01 이상범 교량 탄성받침 변위 측정장치
KR102636519B1 (ko) * 2023-03-13 2024-02-14 (주)장맥엔지니어링 안전점검 및 진단용 탄성받침 변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960B1 (ko)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변위량 측정장치
KR101615962B1 (ko) 안전진단을 위한 받침연단거리 측정장치
CN102865887A (zh) 光电仪器全地形架设调校装置
CN109211068A (zh) 角度测量装置
CN101874193B (zh) 用于测量车辆的方法和装置
CN202494444U (zh) 量角型坡度尺
KR101617710B1 (ko) 검측선을 이용한 교량 신축량 측정장치
CN209745160U (zh) 一种汽车间隙和段差的测量工具
CN203772261U (zh) 高度可调的高精度水准测量标尺
CN214372136U (zh) 测量尺
GB2450162A (en) A combination measuring tool
CA2594041A1 (en)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measuring tool
CN103673826A (zh) 一种尺寸测量工具
CN208383019U (zh) 尺寸测量装置
CN109944282A (zh) 辅助旋挖桩的桩位复核设备
TWI618918B (zh) 長度量測裝置
US9163917B2 (en) Lever head
CN212721426U (zh) 一种工程测量快速放样辅助工具
KR20030077876A (ko) 터널의 내공변위와 천단침하 측정을 위한 센서시스템
CN202166401U (zh) 吸盘固定便调式应变测试装置
CN107717367B (zh) 一种飞机发动机吊挂接头的定位检验工装
CN104669883A (zh) 一种变形尺
CN2926298Y (zh) 数字显示轨道尺
ITFO940028A1 (it) Taglierina elettrica da cantiere per lavorare fuori squadro materiali duri.
CN219531879U (zh) 一种混凝土变形缝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