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910B1 - 오븐형 압력솥 - Google Patents

오븐형 압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910B1
KR101615910B1 KR1020150167129A KR20150167129A KR101615910B1 KR 101615910 B1 KR101615910 B1 KR 101615910B1 KR 1020150167129 A KR1020150167129 A KR 1020150167129A KR 20150167129 A KR20150167129 A KR 20150167129A KR 101615910 B1 KR101615910 B1 KR 10161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pace
steam
main body
ric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소이
안세희
임성은
Original Assignee
현소이
안세희
임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소이, 안세희, 임성은 filed Critical 현소이
Priority to KR1020150167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은 전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에 단열수단을 설치하여 내부공간이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상하로 구분되고 상기 제2공간의 바닥면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블럭을 하부면에 설치한 이동판을 마련하여 제2공간에서 이동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 및 내부공간에 가열코일이 설치되어 전기를 통해 가열되어 밥솥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부와, 상기 이동부 상면에 안착되어 연동하는 밥솥 및 상기 밥솥을 개구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압력패널로 이루어진 조리부와, 상기 발열부를 통해 밥솥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정 압력 이상의 증기는 배출하는 압력추가 마련되고 음식물 조리가 완료되면 압력배출수단을 통해 본체 전면으로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오븐형 압력솥{OVEN FOR ELECTRIC INDUCTION HEATING TYPE RICE COOKER}
본 발명은 오븐형 압력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형 형태로 음식물을 담아 증기압을 통해 조리하는 밥솥을 본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반입 및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오븐형 압력솥 내부로 밥솥의 손쉬운 수납을 가능하도록 하는 오븐형 압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밥솥은 내솥 내부를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여기서,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됨으로 인해 폭발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솥 내부에서 음식물의 조리 시 발생된 고온 및 고압의 증기를 배출하여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을 일정압력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압력밥솥은 취사가 완료되면 뚜껑부에 장착된 개폐추를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하여 개폐추와 개폐추증기배출관 사이의 증기배출 통로를 만들어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거나, 별도의 자동증기배출용 솔레노이드밸브를 뚜껑에 장착하여 취사 완료시 제어기의 전기적 제어로 인해 밸브를 개방하여 내부 증기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개폐추를 사용하는 경우와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의 종래기술에 따른 압력밥솥 및 그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개폐추를 사용하여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밥솥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개폐추가 열리고 닫힌 경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압력밥솥은 본체 10, 내솥 20, 뚜껑 30, 상기 내솥 20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패킹 33, 개폐추 31, 개폐추증기배출관 32, 상기 개폐추 31와 연동되도록 장착된 증기배출장치 40, 상기 증기배출장치 40와 연동되도록 장착된 본체의 솔레노이드 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물의 조리 중에는 상기 내솥 20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개폐추 31가 개폐추증기배출관 32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도록 함으로써 내솥 20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내솥 20 내부의 압력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압력밥솥의 내솥 20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제어부 11에서 솔레노이드 13를 제어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작동봉 14이 상기 압력밥솥 뚜껑 30의 일측에 장착된 증기배출장치 40에 형성된 레버 60의 끝단에서 하강되어 상기 레버 60의 끝단이 하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증기배출장치 40의 장착대 62에 회동축 61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60의 선단이 상기 레버 60의 끝단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승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레버 60의 선단이 상승됨과 더불어 상기 레버 60의 선단이 접촉된 개폐추 31의 일측단이 상승되어 상기 개폐추 31가 상기 증기배출관 32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증기배출관 32의 상측 개구부에 끼워진 개폐추 31의 첨단부가 상기 개구부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증기배출관 32의 상면 개구부가 개방되어 상기 내솥 20에 충진된 잔류증기가 음식물의 조리완료와 더불어 자동으로 배출된다. 상기 증기배출관 32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는 개폐추 31 내부의 공간을 지나서 뚜껑의 상측방향으로 방향이 바뀌어져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증기의 방향은 뚜껑 30의 상면을 향하므로, 뚜껑 상면의 오염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증기의 배출방향이 일정치 않아 사용자의 오사용시 화상의 우려를 안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내부 증기의 배출관로가 한 개로 한정되므로, 상기 배출관로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는 경우 증기가 배출되지 못함에 따른 내솥 내부에 과도한 압력이 형성됨으로써 폭발위험과 같이 제품의 안전성에 큰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여 증기를 배출시키는 압력밥솥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린 경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압력밥솥은 본체 110, 뚜껑 130, 내솥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패킹 133, 개폐추 131, 증기배출관 132, 제어기 111, 연결전선 112, 증기배출용 솔레노이드밸브 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압력밥솥의 뚜껑 130에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 140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내솥 120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도록한다.
이러한 압력밥솥에서, 음식물 조리시에는 상기 개폐추 131는 압력밥솥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음식물의 조리 완료시에는 상기 본체 110에 구비된 제어기 111와 연결전선 112으로 연결된 뚜껑 130의 증기배출용 솔레노이드밸브 140가 제어기 111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내솥에 충진된 증기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되어져 있다.
상기의 솔레노이드밸브 140는 뚜껑 130의 상면에 고정구 168로 고정되어 장착되며, 본체 110에 구비된 제어기 111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결전선 112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기 111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140는 내솥 120 내부의 증기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압력밥솥은 연결전선 112으로 연결되어진 뚜껑 130과 본체 110를 완전히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뚜껑 130에 별도의 충전부가 구비되므로 뚜껑 130 자체를 물 세척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분리 및 물세척 불가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기 뚜껑 130에 장착된 증기배출용 솔레노이드밸브 140 연결부의 틈새 또는 커버패킹 133, 개폐추 131 및 증기배출관 132의 틈새 등과 같이 뚜껑에 존재하는 틈새에 오물 기타 음식물이 퇴적되어 변질되는 우려가 있어, 상시 조리음식물과 직접 접촉하는 뚜껑 130의 위생에 큰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787호.(2006.07.1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2440호.(2010.03.09)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은 오븐형 형태로 음식물을 담아 증기압을 통해 조리하는 밥솥을 본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반입 및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오븐형 압력솥 내부로 밥솥의 손쉬운 수납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본체의 전면으로 배출토록 하여 증기에 의한 주방가구의 손상을 방지 및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조리 완료시 방출되는 증기의 온도를 저하시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은 전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에 단열수단을 설치하여 내부공간이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상하로 구분되고 상기 제2공간의 바닥면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블럭을 하부면에 설치한 이동판을 마련하여 제2공간에서 이동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 및 내부공간에 가열코일이 설치되어 전기를 통해 가열되어 밥솥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부와, 상기 이동부 상면에 안착되어 연동하는 밥솥 및 상기 밥솥을 개구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압력패널로 이루어진 조리부와, 상기 발열부를 통해 밥솥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정 압력 이상의 증기는 배출하는 압력추가 마련되고 음식물 조리가 완료되면 압력배출수단을 통해 본체 전면으로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리부가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압력패널에 형성시킨 제1배출공과 상기 단열수단에 형성시킨 제1압력공이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1배출공과 연결시킨 제1관로가 제1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전면에 설치된 압력추와 연결되어 밥솥에서 발생하는 일정 압력 이상의 증기가 제1관로를 거쳐 압력추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밥솥의 내부 압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리부가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압력패널에 형성시킨 제2배출공과 상기 단열수단에 형성시킨 제2압력공이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2배출공과 연결시킨 제2관로가 제1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전면에 설치된 증기배출구와 연결되어 밥솥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본체에 설치된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밥솥의 증기 압력을 증기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리부가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압력패널에 형성시킨 제2배출공과 상기 단열수단에 형성시킨 제2압력공이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2배출공과 연결시킨 제2관로가 제1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공간에는 금속의 냉각판이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에서 구획된 냉각공간을 형성하여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밥솥에서 발생한 증기가 제2관로와 냉각공간을 거쳐 상기 본체 전면에 설치된 증기배출구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관로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제2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통시키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은 전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에 단열수단을 설치하여 내부공간이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상하로 구분되고 상기 제2공간의 바닥면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블럭을 하부면에 설치한 이동판을 마련하여 제2공간에서 이동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 및 내부공간에 가열코일이 설치되어 전기를 통해 가열되어 밥솥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부와, 상기 이동부 상면에 안착되어 연동하는 밥솥 및 상기 밥솥을 개구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압력패널로 이루어진 조리부와, 상기 발열부를 통해 밥솥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정 압력 이상의 증기는 배출하는 압력추가 마련되고 음식물 조리가 완료되면 압력배출수단을 통해 본체 전면으로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부로 구성하여 오븐형 형태로 음식물을 담아 증기압을 통해 조리하는 밥솥을 본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반입 및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오븐형 압력솥 내부로 밥솥의 손쉬운 수납을 가능하도록 하여 요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은 본체 전면에 설치된 압력추가 제1관로와 연결되어 밥솥에서 발생하는 일정 압력 이상의 증기가 제1관로를 거쳐 압력추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밥솥의 내부 압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 전면에 설치된 증기배출구와 제2관로가 연결되어 밥솥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본체에 설치된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밥솥의 증기 압력을 증기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하여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본체의 전면으로 배출토록 하여 증기에 의한 주방가구의 손상을 방지 및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은 제1관로와 제2관로가 지나가는 공간에 금속의 냉각판을 밀착되게 설치하거나, 냉각판으로 구분된 냉각공간으로 증기를 유입시켜 증기의 온도를 낮추도록 함으로서, 음식물 조리 완료시 방출되는 증기의 온도를 저하시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개폐추가 적용된 증기배출장치를 갖는 압력솥의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개폐추가 적용된 증기배출장치를 갖는 압력솥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가 적용된 증기배출장치를 갖는 압력솥의 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가 적용된 증기배출장치를 갖는 압력솥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의 음식물 조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의 음식물 조리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6은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9는 도 6은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의 음식물 조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의 음식물 조리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은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은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 10은 본체 100와, 이동부 200와, 발열부 300와, 조리부 500 및 압력부 400로 구성한다.
상기 본체 100는 전면이 개구된 내부공간 110에 단열수단 140을 설치하여 내부공간 110이 제1공간 120과 제2공간 130이 상하로 구분되고 상기 제2공간 130의 바닥면에 가이드레일 131을 형성한다.
상기 이동부 200는 상기 가이드레일 131에 안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블럭 211을 하부면에 설치한 이동판 210을 마련하여 제2공간 130에서 이동판 210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열부 300는 이동부 200에 가열코일 310이 설치되어 전기를 통해 가열되어 밥솥 510에 열을 전달한다.
상기 조리부 500는 상기 이동부 200 상면에 안착되어 연동하는 밥솥 510 및 상기 밥솥 510을 개구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압력패널 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부 400는 상기 발열부 300를 통해 밥솥 510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정 압력 이상의 증기는 배출하는 압력추 420가 마련되고 음식물 조리가 완료되면 압력배출수단 410을 통해 본체 100 전면으로 증기를 배출한다.
상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본체 100는 대략 4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된 내부공간 110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 100의 전면에는 커버 111를 설치하여 내부공간 1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본체 100는 전면이 개구된 내부공간 110에 단열수단 140을 설치하여 내부공간 110이 제1공간 120과 제2공간 130이 상하로 구분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공간 130은 전면이 개구되어 내부가 빈 공간이고, 상기 제1공간 120은 제2공간 130 및 외부와 밀폐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공간 120의 외부 전면에는 조작패널 140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패널 140은 밥솥 510 내부의 가열 온도 및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조리법을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공간 130의 바닥면 양측에는 가이드레일 131을 설치한다.
그리고, 이동부 200는 평판 형태의 이동판 210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판 210 하부면 양측에 가이드블럭 211을 설치하여 본체 100의 상기 가이드레일 131에 안착되어 구름 회전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 300는 이동판 210의 상부면에 가열코일 310을 설치하거나, 본체 100의 내부공간 110 측면에 가열코일 31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공간 110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밥솥 510으로 열을 전달 수 있도록 하여 밥솥 510에 담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리부 500는 밥솥 510과 압력패널 520로 구성된다.
밥솥 510 내부에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밥솥 510은 열의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밥솥 510의 개구된 상부에는 압력패널 520을 설치한다.
상기 압력패널 520은 밥솥 510에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즉, 상기 밥솥 510에 음식물을 담아 조리를 위해 본체 100 내부로 수납하기 전에 압력패널 520을 밥솥 510 상부에 결합한 다음 본체 100의 내부공간 110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압력패널 520의 상부가 단열수단 140의 하부면과 밀착되면서 밥솥 510과 압력패널 520이 상호 압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밥솥 510의 상부 외주연과 압력패널 520의 외주연에는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의 패킹이 상호 각각 결합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리부 500가 본체 100의 내부공간 110에 수납되면, 상기 압력패널 520에 형성시킨 제1배출공 530과 상기 단열수단 140에 형성시킨 제1압력공 141이 상호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배출공 530과 연결시킨 제1관로 430가 제1공간 120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100 전면에 설치된 압력추 420와 연결되어 밥솥 510에서 발생하는 일정 압력 이상의 증기가 제1관로 430를 거쳐 압력추 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밥솥 510의 내부 압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리부 500가 본체 100의 내부공간 110에 수납되면, 상기 압력패널 520에 형성시킨 제2배출공 540과 상기 단열수단 140에 형성시킨 제2압력공 142이 상호 연통된다.
상기 제2배출공 540과 연결시킨 제2관로 440가 제1공간 120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100 전면에 설치된 증기배출구 150와 연결되어 밥솥 510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본체 100에 설치된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밥솥 510의 증기 압력을 증기배출구 150를 통해 배출시킨다.
또는, 상기 조리부 500 본체 100의 내부공간 110에 수납되면 상기 압력패널 520에 형성시킨 제2배출공 540과 상기 단열수단 140에 형성시킨 제2압력공 14이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2배출공 540과 연결시킨 제2관로 440가 제1공간에 120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공간 120에는 금속의 냉각판 121이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120에서 구획된 냉각공간 122을 형성하여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밥솥 510에서 발생한 증기가 제2관로와 냉각공간 122을 거쳐 상기 본체 100 전면에 설치된 증기배출구 150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관로 440에는 개폐밸브 411가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밸브 412에 의해 제2관로 440를 선택적으로 개통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할 경우 커버 111를 본체 100에서 개방시킨 후 이동부 200의 이동판 210을 외부로 반출시키면 가이드블럭 211이 가이드레일 131에서 구름 회전하여 이동한다.
이후, 밥솥 510 내부에 음식물을 담은 후 압력패널 520을 밥솥 510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밥솥 510을 이동판 210 상부면에 안착시킨 다음 이동부 200를 본체 100의 내부공간 110 방향으로 밀어 조리부 500를 반입시킨다.
이때, 상기 조리부 500의 압력패널 520은 내부공간 110으로 반입되는 과정에서 단열수단 140의 하부면에 압력패널 520 상부가 밀착되면서 가압된다.
여기서, 밥솥 510과 압력패널 520은 패킹을 통해 탄력적인 가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패킹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조리부 500가 내부공간 110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조리부 500를 본체 100의 내부공간 110에 수납이 완려되면 압력패널 520의 제1배출공 530과 제2배출공 540이 단열수단 140의 제1압력공 141과 제2압력공 142과 상호 연통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조리부 500를 본체 100의 내부공간 110에 수납한 후 커버 111를 닫아 내부공간 110을 밀폐시키고, 상기 본체 100 전면에 설치된 상기 조작패널 140을 통해 발열부 300의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입력하여 발열부 300를 통해 조리부 500의 밥솥 510으로 열을 전도한다.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밥솥 510 내부에 증기압력이 발생하면 제1배출공 530과 제1압력공 141 및 제1관로 430를 거쳐 압력추 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밥솥 510의 내부 압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음식물 조리가 완료되면 조작패널 140의 최초 입력신호에 맞추어 제2관로 440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 412를 동작시켜 상기 개폐밸브 411를 통해 제2관로 440를 밀폐한 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를 통해 밥솥 510 내부의 증기압력은 제2관로 440 거쳐 증기배출구 150로 배출된다.
또는, 상기 제1공간 120에는 금속의 냉각판 121이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120에서 구획된 냉각공간 122을 형성하여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밥솥 510에서 발생한 증기가 제2관로와 냉각공간 122을 거쳐 상기 본체 100 전면에 설치된 증기배출구 150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냉각공간 122에 의해 증기의 온도를 저하시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본체 100에서 커버 111를 개방시켜 이동판 210을 본체 100 외부로 이동시키면 밥솥 510과 압력패널 520은 연동하여 본체 100 외부로 반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븐형 압력솥 10은 오븐형 형태로 음식물을 담아 증기압을 통해 조리하는 밥솥 510을 본체 100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반입 및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오븐형 압력솥 10 내부로 밥솥 510의 손쉬운 수납을 가능하도록 하여 요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본체 100의 전면으로 배출토록 하여 증기에 의한 주방가구의 손상을 방지 및 청결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전기밥솥 100 : 본체
110 : 내부공간 111 : 커버
120 : 제1공간 121 : 냉각판
122 : 냉각공간 130 : 제2공간
131 : 가이드레일 140 : 조작패널
140 : 단열수단 141 : 제1압력공
142 : 제2압력공 150 : 증기배출구
200 : 이동부 210 : 이동판
211 : 가이드블럭 300 : 발열부
310 : 가열코일 400 : 압력부
410 : 압력배출수단 411 : 개폐밸브
412 : 솔레노이드밸브 420 : 압력추
430 : 제1관로 440 : 제2관로
500 : 조리부 510 : 밥솥
520 : 압력패널 530 : 제1배출공
540 : 제2배출공

Claims (5)

  1. 전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에 단열수단을 설치하여 내부공간이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상하로 구분되고 상기 제2공간의 바닥면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블럭을 하부면에 설치한 이동판을 마련하여 제2공간에서 이동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본체의 내부공간에서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가열코일이 설치되어 전기를 통해 가열되어 밥솥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부와,
    상기 이동부 상면에 안착되어 연동하는 밥솥 및 상기 밥솥을 개구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압력패널로 이루어진 조리부와,
    상기 발열부를 통해 밥솥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정 압력 이상의 증기는 배출하는 압력추가 마련되고 음식물 조리가 완료되면 압력배출수단을 통해 본체 전면으로 증기를 배출하는 압력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형 압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가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압력패널에 형성시킨 제1배출공과 상기 단열수단에 형성시킨 제1압력공이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1배출공과 연결시킨 제1관로가 제1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전면에 설치된 압력추와 연결되어 밥솥에서 발생하는 일정 압력 이상의 증기가 제1관로를 거쳐 압력추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밥솥의 내부 압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형 압력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가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압력패널에 형성시킨 제2배출공과 상기 단열수단에 형성시킨 제2압력공이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2배출공과 연결시킨 제2관로가 제1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전면에 설치된 증기배출구와 연결되어 밥솥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본체에 설치된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밥솥의 증기 압력을 증기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형 압력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가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압력패널에 형성시킨 제2배출공과 상기 단열수단에 형성시킨 제2압력공이 상호 연통되고,
    상기 제2배출공과 연결시킨 제2관로가 제1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공간에는 금속의 냉각판이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에서 구획된 냉각공간을 형성하여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밥솥에서 발생한 증기가 제2관로와 냉각공간을 거쳐 상기 본체 전면에 설치된 증기배출구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형 압력솥.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로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제2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통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형 압력솥.
KR1020150167129A 2015-11-27 2015-11-27 오븐형 압력솥 KR101615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29A KR101615910B1 (ko) 2015-11-27 2015-11-27 오븐형 압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29A KR101615910B1 (ko) 2015-11-27 2015-11-27 오븐형 압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910B1 true KR101615910B1 (ko) 2016-05-02

Family

ID=5602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129A KR101615910B1 (ko) 2015-11-27 2015-11-27 오븐형 압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37146A (zh) * 2021-06-14 2024-01-02 (株)酷晨 烹饪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460A (ja) 2000-09-01 2002-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460A (ja) 2000-09-01 2002-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37146A (zh) * 2021-06-14 2024-01-02 (株)酷晨 烹饪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25313A1 (en)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CN104706212A (zh) 一种智能电压力锅
CN105476462B (zh) 一种电压力锅烹饪方法
CN105011740A (zh) 一种蒸箱微波炉一体机
KR101615910B1 (ko) 오븐형 압력솥
CN204813366U (zh) 一种蒸箱微波炉一体机
KR20150081978A (ko) 스팀 조리기
JP5618621B2 (ja) 加圧過熱蒸気調理器
KR20170056741A (ko) 스팀노즐의 세척기능이 포함된 즉석식품 조리장치
CN204500336U (zh) 一种智能电压力锅
CN204146827U (zh) 烹饪装置
KR200417390Y1 (ko) 압력밥솥
CN209153102U (zh) 一种具有蒸汽食物盒的蒸汽烤箱
CN108143258B (zh) 烹饪器具
JP2016093401A (ja) 炊飯器
KR100671175B1 (ko) 수증기의 분위기압을 이용한 전열 취반 시스템
CN205197820U (zh) 电烤箱及电烤箱的炉腔
KR102246663B1 (ko) 음식물 조리기구
KR101905774B1 (ko) 증기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압력밥솥
KR102312024B1 (ko) 전기밥솥
KR20050032411A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29939B1 (ko) 즉석식품 가열 기능을 구비한 전기 압력 밥솥
KR101749052B1 (ko) 전기 압력솥의 뚜껑개폐장치
KR100674509B1 (ko) 전기압력솥의 증기배출밸브
US20150104753A1 (en) Oven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oven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