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847B1 -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 - Google Patents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847B1
KR101615847B1 KR1020150006639A KR20150006639A KR101615847B1 KR 101615847 B1 KR101615847 B1 KR 101615847B1 KR 1020150006639 A KR1020150006639 A KR 1020150006639A KR 20150006639 A KR20150006639 A KR 20150006639A KR 101615847 B1 KR101615847 B1 KR 101615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cooking plate
infrared ray
cooker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재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35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적외선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적외선 조리기는 균일하게 이격된 다수의 개구를 갖는 조리판; 상기 조리판의 하부에서 상기 조리판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발생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발생 장치는, 적외선을 발산하는 적외선 램프; 상기 적외선 램프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을 조리대상물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상기 적외선 램프의 측방과 후방을 둘러싸면서 상기 조리판을 향해 열린 포물면 형태를 갖는 반사판; 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의 단면에서, 포물선의 최저점(s)과 상기 적외선 램프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ℓ)은 상기 조리판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적외선 발생 장치가 조리판의 하부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적외선을 조사하여 적외선 조리기의 높이를 최소로 유지할 수 있고, 포물면의 형태를 갖는 반사판에 의해 적외선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이 손실없이 모두 조리대상물로 조사될 수 있어, 강하고 균일한 적외선 투사가 가능한 적외선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 {infrared ray cooker having paraboloidal reflector}
본 발명은 적외선을 이용하여 조리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적외선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직화 구이 방식의 육류 조리법과 관련하여 건강 및 실내 환경 차원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근래 적외선 조리기가 개발되고 있다.
적외선 조리기는 육류 등의 조리대상물에 적외선을 투사하여 구워 익히는 장치이다. 적외선 조리기는 조리대상물을 올려놓는 구이판과, 이러한 구이판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의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적외선 램프 및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적외선 조리기는 구이판과 적외선 램프 사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결부가 있고, 적외선 램프의 적외선이 구이판의 직상부로부터 조사되어, 적외선 조리기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적외선 조리기는 숯불 화덕과 같은 연기 발생이 전혀 없어 비교적 쾌적한 실내 환경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조리대상물 전체에 대한 강하고도 균일한 적외선 투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육류를 굽는 경우를 예로 들면, 열원으로서의 적외선 램프로부터 사방으로 발산된 빛, 즉 적외선은 반사판에 반사된 다음 상당히 넓은 범위로 확산됨과 동시에 약화된다. 또한, 적외선 램프 바로 아래와 다른 부분 간에 적외선 투사량에 차이가 발생하는 결과, 육류, 즉 조리대상물에 투사되는 적외선의 세기가 균일하지 못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적외선 조리기에서 골고루 제대로 익은 구이 요리를 맛보기 위해서는 조리대상물의 위치를 이리저리 옮겨가며 자주 뒤집어 주어야 하는 수고 또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적외선 조리기의 경우, 적외선 발생 장치에 의한 전방 가림 현상, 말하자면, 적외선 발생 장치 부분이 높게 위치되어 사용자의 눈앞을 가로막는 현상으로 인하여 마주 앉은 사람과의 대화에 상당한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39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대상물에 대해 강하고도 균일한 적외선 투사가 이루어지는 한편 적외선 발생 장치에 의한 전방 가림 현상이 없는 적외선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적외선 조리기는 균일하게 이격된 다수의 개구를 갖는 조리판; 상기 조리판의 하부에서 상기 조리판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발생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발생 장치는, 적외선을 발산하는 적외선 램프; 상기 적외선 램프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을 조리대상물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상기 적외선 램프의 측방과 후방을 둘러싸면서 상기 조리판을 향해 열린 포물면 형태를 갖는 반사판; 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의 단면에서, 포물선의 최저점(s)과 상기 적외선 램프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ℓ)은 상기 조리판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반사판의 단면에서, 상기 포물선은 xy 평면 상에서 y=x2/(4p)의 관계식을 따르고(여기서, p는 상기 포물선의 초점의 y 좌표값이 된다), 상기 적외선 램프의 중심은 상기 포물선의 초점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 램프 및 상기 반사판은 상기 조리판의 수직투영면의 외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 발생 장치를 감싸면서 단부에는 상기 조리판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된 케이스; 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 램프는 원형 링 또는 사각 링의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판이 포물면의 형태를 갖고, 적외선 램프는 포물면의 초점에 위치되므로, 적외선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이 손실없이 모두 조리대상물로 조사될 수 있어, 강하고 균일한 적외선 투사가 가능한 적외선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발생 장치가 조리판의 하부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적외선 조리기의 높이를 최소로 유지할 수 있어 적외선 발생 장치 부분이 사용자의 눈앞을 가로막는 전방 가림 현상의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소된 결과, 적외선 조리기로 인하여 마주 앉은 사람들 간의 시선을 방해할 염려가 없는 적외선 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적외선 조리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적외선 조리기에서 조리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적외선 조리기에서 포물면 반사판의 윤곽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외선 발생 장치에서 적외선이 발산되는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7의 적외선 조리기에서 적외선 발생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의 적외선 조리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적외선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적외선 조리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적외선 조리기에서 조리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적외선 조리기에서 포물면 반사판의 윤곽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외선 발생 장치에서 적외선이 발산되는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이하, 적외선 조리기)(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적외선 조리기(100)는 케이스(101), 프레임(110), 조리판(120), 적외선 발생 장치(130), 기름받이(140)를 포함한다.
케이스(101)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도록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1)는 적외선 발생 장치(130)를 감싸서 보호하고, 적외선 발생 장치(130)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적외선 발생 장치(130)는 연결부(도시안됨)에 의해 케이스(101)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101)의 단부에는 조리판(12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01')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조리판(120)이 위치 이동없이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조리판(120)은 케이스(101)의 안착부(101') 위에 안착되어 조리판(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적외선 발생 장치(130)로부터 적외선을 조사받게 된다. 조리판(120)에는 예를 들어, 석쇠와 같이 균일하게 이격된 다수의 개구(121)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121)를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적외선 발생 장치(130)로부터 적외선이 통과되어 조리판(120) 위에 위치하는 조리대상물(M)로 조사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적외선 조리기(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체로 기능한다. 프레임(110)은 예를 들어, 케이스(101)와 같은 부분이 프레임(110)의 역할을 대신할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프레임(110)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111)과, 이러한 하부 프레임(111)의 가운데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112)과, 하부 프레임(111)의 위에 위치하고 수직 프레임(112)과 교차되는 상부 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한쌍이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되고, 마주보는 양쪽의 하부 프레임(111)은 연결부재(11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12)의 단부에는 조리판(120)을 안착시키기 위한 조리판 받침대(115)가 체결부재(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101)의 안착부(101')가 조리판 받침대(115)의 역할을 대신할 경우, 조리판 받침대(115)는 생략될 수 있다.
조리판(120)은 조리판 받침대(115) 위에 안착되어, 양쪽의 프레임(110) 사이에 수평으로 놓일 수 있다. 조리판(120)에는 적외선 발생 장치(130)로부터 적외선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121)가 형성된다.
조리판(120)의 하부에는 기름받이(140)가 위치될 수 있다. 기름받이(140)는 프레임(110)와 연결될 수 있다. 기름받이(140)는 조리판(120)의 하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기름이 경사를 따라 기름받이(140)의 하부에 고이도록 할 수 있다. 기름받이(140)의 하부에는 서랍식의 미닫이부(141)가 배치될 수 있다. 기름받이(140)에 저장된 기름을 배출할 때는, 미닫이부(141)를 기름받이(140)에서 빼서 기름을 배출하고 다시 기름받이(140)에 삽입하면 된다. 미닫이부(141)는 탄 고기 등을 버리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적외선 발생 장치(130)는 조리판(1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조리판(120)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적외선을 조사한다. 적외선 발생 장치(130)는 전원 인가시 적외선을 발산하는 적외선 램프(131)와, 이러한 적외선 램프(131)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조리판(120) 위에 위치되는 조리대상물(M)로 반사하도록 적외선 램프(131)의 측방과 후방을 둘러싸는 반사판(132)을 포함한다. 반사판(132)의 단부에는 적외선 램프(131)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차폐하여 조리판(120)으로 더 많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차폐판(133)이 설치될 수 있다. 차폐판(133)의 역할은 반사판(132)이 확장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적외선 램프(131)는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132)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은 조리판(120)의 하부에서 조리판(120)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조사한다. 반사판(132)의 윤곽선(132')은 조리판(120)을 향해 열린 포물선의 형태를 갖는다.
적외선 램프(131)와 반사판(132)은 조리판(120)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동시에 조리판(120)의 수직투영면(P)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의 적외선 조리기에서 적외선 램프가 조리판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동시에 수직투영면 내부에 위치되어, 조리판과 적외선 램프 사이의 일정한 거리 유지 문제로 인해 적외선 조리기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고, 사용자들의 젖가락이 조리판 위로 접근할 때 적외선 램프와의 간섭 문제, 식사하는 사용자들 간의 시선을 방해해는 전방 가림 현상을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적외선 발생 장치(130)는 조리판(120)의 하부에서 조리판(120)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적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적외선 램프(131)와 반사판(132)은 조리판(120)의 수직투영면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적외선 발생 장치가 조리판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종래의 적외선 조리기와 비교하여, 적외선 발생 장치(130)에 의해 조사되는 면적을 넓게 하여 조리대상물(M)로 열을 골고루 전달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적외선 발생 장치(130)와 조리판(120) 사이의 거리를 대폭 줄일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적외선 조리기(100)의 전체 높이를 줄이면서 조리판(120)의 상부에는 다른 간섭되는 부분이 없어 사용자들이 젖가락을 사용하여 조리판(120) 위의 조리대상물(M)을 쉽게 조리하거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xy 평면 상에서 반사판(132)의 단면의 윤곽선(132')을 이루는 각 점들의 x좌표와 y좌표 사이에는 y=x2/(4p)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p는 포물선의 초점(Q)의 y 좌표값이 되고, 포물선의 초점(Q)의 x 좌표값은 0이 된다.
즉, 제작하고자 하는 적외선 조리기(100)의 크기에 맞춰 초점(Q)의 y 좌표값(p)을 먼저 결정한 다음, 관계식 y=x2/(4p) 을 만족하는 xy좌표의 점들을 연결해 나가면 반사판(132)의 윤곽선(132')이 그려진다는 의미이다. 그에 따라, 반사판(132)은 포물면의 형태이고, 적외선 램프(131)의 중심은 포물면(또는 포물선)의 초점에 위치하게 된다.
반사판(132)과 적외선 램프(131)가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결과, 적외선 램프(131)로부터 사방으로 발산되는 모든 적외선은 도 5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포물선의 최저점(s)과 초점(Q)[또는 적외선 램프(131)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ℓ)과 평행하게 진행한다. 여기서, 포물선의 최저점(s)과 초점을 연결한 직선(ℓ)은 바람직하게는 조리판(120)의 중간 부위로 연장된다. 그에 따라, 적외선 램프(131)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은 모두 조리대상물(M) 쪽으로 진행하므로, 외부로 손실되는 열량없이 조리대상물(M)을 향해 강하고도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다.
적외선 램프(131)로부터 사방으로 발산된 적외선, 즉 광선들이 반사판(132)에 반사된 다음 평행 광선 형태로 모아져 집결되는 것은, 포물면 반사판에 반사된 광선들이 최저점-초점 연결선에 대하여 평행으로 반사되는 원리에 따른 것이다.
이와 같이, 포물면 형태의 반사판(132)을 채택하고, 반사판(132)의 단면 상에서 포물선의 초점 위치에 적외선 램프(131)를 위치시킴으로써, 적외선 램프(131)로부터 발산되는 모든 적외선이 조리대상물(M)을 향해 진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강하고 균일한 적외선 조사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적외선 조리기(200)는 케이스(201), 프레임(210), 조리판(220), 적외선 발생 장치(230), 기름받이(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프레임(210), 조리판(220), 적외선 발생 장치(230)는 제1 실시예의 프레임(110), 조리판(120), 적외선 발생 장치(130)의 구성과 대체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스(201)는 적외선 조리기(200)의 외부를 둘러싸면서 적외선 발생 장치(230)를 감싸서 보호한다. 적외선 발생 장치(230)는 테이블(T)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에 따라, 적외선 발생 장치(230)와 테이블(T) 사이에는 상당한 여유 공간이 형성된다.
프레임(210)은 적외선 조리기(200)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체로 기능한다. 프레임(210)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211)과, 이러한 하부 프레임(211)의 가운데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212)과, 하부 프레임(211)의 위에 위치하고 수직 프레임(212)과 교차되는 상부 프레임(21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212)의 단부에는 조리판(220)을 안착시키기 위한 조리판 받침대(215)가 체결부재(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201)의 안착부(201')가 조리판 받침대(215)의 역할을 대신할 경우, 조리판 받침대(215)는 생략될 수 있다.
기름받이(240)는 하부 프레임(211)으로부터 상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수직 프레임(212)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경우 적외선 발생 장치(130)와 기름받이(140)가 테이블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적외선 발생 장치(230)와 기름받이(240)는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결과, 적외선 조리기(200)와 테이블(T) 사이에 상당한 여유 공간이 확보된다.
이는 테이블(T) 표면을 더욱 넓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외선 조리기(200)와 테이블(T) 사이의 공간에 수저통, 양념통 등의 조리 및 식사 관련 부자재를 배치함으로써 공간 활용의 최적화를 기할 수 있게 한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7의 적외선 조리기에서 적외선 발생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의 적외선 조리기에 사용될 수 있는 적외선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상기 적외선 조리기(300)는 케이스(301), 프레임(310), 조리판(320), 적외선 발생 장치(330), 기름받이(3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조리판(320), 기름받이(340)는 제1 실시예의 조리판(120), 기름받이(140)와 대체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레임(310)은 적외선 조리기(300)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체로 기능한다. 프레임(310)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311)과, 이러한 하부 프레임(311)의 가운데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312)과, 이러한 수직 프레임(312)의 중간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31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0)은 한쌍이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되고, 마주보는 양쪽의 하부 프레임(311)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312)에는 조리판(320)을 안착시키기 위한 조리판 받침대(315)가 체결부재(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적외선 발생 장치(330)는 상부 프레임(313)에 체결부재(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적외선 발생 장치(330)는 조리판(330)의 하부에서 조리판(330)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적외선을 조사한다. 적외선 발생 장치(330)는 전원 인가시 적외선을 발산하는 적외선 램프(331)와, 이러한 적외선 램프(331)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상부의 조리대상물(M)로 반사하도록 적외선 램프(331)의 측방과 후방을 둘러싸는 반사판(332)을 포함한다. 반사판(332)의 단면의 윤곽선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적외선 램프(331)도 포물선의 초점에 위치된다. 또한, 적외선 램프(331)와 반사판(332)도 조리판(320)의 수직투영면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301)는 적외선 조리기(300)의 외부를 둘러싸면서 적외선 발생 장치(320)를 감싸서 보호한다.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적외선 조리기를 구성하는 적외선 램프(131, 231)는 선형인 반면, 본 실시예의 적외선 램프(331)는 원형 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조리판(320)도 원형의 형태를 갖고, 적외선 램프(331)를 둘러싸는 반사판(332)도 포물면 형상을 갖는 링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러한 원형 링의 형태를 갖는 적외선 램프(331)에 대한 실시예는 적외선 조리기와 테이블(T)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제2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원형 링 형태의 적외선 램프(331)는 조리판(320)의 하부에서 조리판(320)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면서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어, 조리판(320)에 균일하면서 강한 열을 집약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빠른 시간 내에 조리대상물(M)의 조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적외선 발생 장치(33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원형 링 형태의 적외선 램프(331)에 의해 조사되는 적외선은 조리판(320)의 중앙부에는 잘 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 경우 중앙부는 주변보다 덜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는 결과, 너무 익어 탈 염려가 있는 조리대상물(M)을 조리판(320)의 중앙부에 일시적으로 밀어놓는 등, 실제 조리 시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8b는 원형 링 형태의 적외선 램프(331)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각 링 형태의 적외선 발생 장치(33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적외선 발생 장치(330')는 사각 링 형태의 적외선 램프(331')와, 이러한 적외선 램프(331')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상부의 조리대상물로 반사하는 사각 링 형태의 반사판(332')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조리판(320)도 사각형의 형태를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조리기에는 적외선 세기 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조리의 완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절 장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적외선 조리기
101 : 케이스
110 : 프레임
120 : 조리판
130 : 적외선 발생 장치
131 : 적외선 램프
132 : 반사판
140 : 기름받이
B : 체결부재
M : 조리대상물

Claims (5)

  1. 적외선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조리기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체로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211)과, 상기 하부 프레임(211)의 가운데에 연결되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212)과, 상기 하부 프레임(211)의 위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212)과 교차되는 상부 프레임(213)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210);
    균일하게 이격된 다수의 개구를 갖는 조리판(220);
    상기 상부 프레임(213)에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조리판(220)의 하부에서 상기 조리판(220)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발생 장치(230);
    상기 적외선 발생 장치(230)를 감싸면서 단부에는 상기 조리판(22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201')가 형성된 케이스(201);
    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발생 장치(230)는, 적외선을 발산하는 적외선 램프; 상기 적외선 램프에서 발산되는 적외선을 조리대상물을 향해 반사시키도록 상기 적외선 램프의 측방과 후방을 둘러싸면서 상기 조리판을 향해 열린 포물면 형태를 갖는 반사판; 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의 단면에서, 포물선의 최저점(s)과 상기 적외선 램프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ℓ)은 상기 조리판(220)으로 연장되고,
    상기 반사판의 단면에서, 상기 포물선은 xy 평면 상에서 y=x2/(4p)의 관계식을 따르고(여기서, p는 상기 포물선의 초점의 y 좌표값이 된다), 상기 적외선 램프의 중심은 상기 포물선의 초점에 위치하고,
    상기 적외선 램프 및 상기 반사판은 상기 조리판(220)의 수직투영면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201)는 상기 안착부(201')로부터 상기 적외선 발생 장치(230)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곡선 형태로 연장된 후, 상기 조리판(220)의 수직투영면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 프레임(211)에 곡선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적외선 조리기는 테이블(T)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21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211)에 연결되는 상기 케이스(201)의 하단부는 상기 케이스(201)의 하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T) 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적외선 조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06639A 2015-01-14 2015-01-14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 KR101615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639A KR101615847B1 (ko) 2015-01-14 2015-01-14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639A KR101615847B1 (ko) 2015-01-14 2015-01-14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847B1 true KR101615847B1 (ko) 2016-04-26

Family

ID=55919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639A KR101615847B1 (ko) 2015-01-14 2015-01-14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8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66Y1 (ko) * 2019-05-30 2019-10-04 주식회사 에스티 적외선 전기조리기
CN112043170A (zh) * 2019-06-06 2020-12-0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572A (ja) * 2000-09-08 2002-03-29 Sharp Corp 電子レンジ
KR200395752Y1 (ko) * 2005-06-23 2005-09-1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할로겐 램프 구이기용 구이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572A (ja) * 2000-09-08 2002-03-29 Sharp Corp 電子レンジ
KR200395752Y1 (ko) * 2005-06-23 2005-09-1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할로겐 램프 구이기용 구이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66Y1 (ko) * 2019-05-30 2019-10-04 주식회사 에스티 적외선 전기조리기
CN112043170A (zh) * 2019-06-06 2020-12-0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1588B2 (en) Bidirectional heating cooker
KR101615893B1 (ko)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
KR20150013401A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101615847B1 (ko) 포물면 반사판을 구비한 적외선 조리기
CN108618649A (zh) 一种新型电加热烧烤炉
US20180070771A1 (en) Grill
CA2766529A1 (en) Electric oven with a heating element reflector
WO2018076179A1 (zh) 一种辐射式烘焙电烤箱
KR20160017496A (ko) 적외선 가열 조리장치
CN208677129U (zh) 一种新型电加热烧烤炉
US5653159A (en) Gas barbecue with variable cooking
JPH06154100A (ja) 魚焼き器
KR101698888B1 (ko) 구이용 숯불 직화 그릴 버너
EP2027417B1 (en) An oven
CN110179357A (zh) 一种烹调器漏油结构
KR200463874Y1 (ko) 꼬치 직화 구이기
KR101616649B1 (ko) 이동범위가 증대된 가열부를 구비하는 음식물 구이장치
US9784456B2 (en) Electric stove
KR101542687B1 (ko) 적외선 가열 조리기
CN108167882A (zh) 加热烹调器
JP2012077932A (ja) 加熱調理器
CN211484129U (zh) 烤盘组件及煎烤机
KR20160116684A (ko) 적외선 가열기를 구비한 조리기구
KR20100067397A (ko) 적외선 구이기
JP2003307319A (ja) 加熱こん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