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663B1 - 위치 이탈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이탈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663B1
KR101615663B1 KR1020150012209A KR20150012209A KR101615663B1 KR 101615663 B1 KR101615663 B1 KR 101615663B1 KR 1020150012209 A KR1020150012209 A KR 1020150012209A KR 20150012209 A KR20150012209 A KR 20150012209A KR 101615663 B1 KR101615663 B1 KR 101615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lave
master terminal
master
teth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찬희
민준기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2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이탈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위치 이탈 감지 장치의 한 특징은 테더링용 비밀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제1 저장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전송된 비밀 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테더링용 비밀 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로 임시 IP 주소를 생성해 전송하고, 상기 임시 IP 주소를 이용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수신신호 세기값과 맥 주소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수신신호 세기값이 설정값 이하일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로 그룹 이탈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이탈 감지 장치{APPARATUS FOR SENSING LOCATION SECESSION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위치 이탈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동호회 등과 같이 그룹을 지어 복수의 구성원들(예, 회원들)이 정해진 장치로 이동할 경우, 그룹의 리더(leader)와 같은 책임자들은 그룹에 속한 구성원들이 정해진 시간에 낙오나 이탈 없이 무사히 도착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이처럼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는 그룹을 관리하기 위해 책임자들은 가장 전통적인 방식으로 일정 시간마다 뒤따라오거나 뒤처지는 회원들에게 수신호나 음성으로 경고나 독력을 한다.
그러나 최근 단말기와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무선 통신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개인 휴대 단말을 갖고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개인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정치가 탑재된 개인 휴대 단말이 주변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설정 범위를 개인 휴대 단말이 이탈하였을 시 설정 범위를 벗어난 해당 개인 휴대 단말에게 범위를 벗어남을 문자 등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책임자들은 해당 사람과 반드시 대면하지 않고 개인 휴대 단말을 통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나 파일을 전송하게 되었다.
그러나 저전력 소비가 관건인 모바일 환경에서, 해당 그룹에서 구성원의 위치 이탈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정보나 파일을 송수신시켜 전송 속도로 거리를 측정하므로 추가적인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과의 연결이 필수이거나 개인 휴대 단말과 개인 휴대 단말 사이의 1:1관계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이 초래되었고, 전파 간섭과 같은 방해 요인들이 많은 야외 환경에서의 무선 통신(예, Wi-Fi)의 유효 거리가 충분히 넓지 않은 문제가 발생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39728(등록일자: 2013년 02월 276일, 발명의 명칭: 와이파이를 이용한 도난분실방지장치)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인터넷과의 접속 없이 테더링(tethering) 접속을 통해 복수의 구성원의 위치 이탈 여부를 판정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위치 이탈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에 소비되는 전력 크기로 인해 개인 휴대 단말에 미치는 악영향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아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장치는 테더링용 비밀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제1 저장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전송된 비밀 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테더링용 비밀 번호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로 임시 IP 주소를 생성해 전송하고, 상기 임시 IP 주소를 이용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수신신호 세기값과 맥 주소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수신신호 세기값이 설정값 이하일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로 그룹 이탈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은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과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이 존재할 경우,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의 맥 주소가 전송되는지 판정하여, 설정 시간 내에 상기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의 맥 주소가 상기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전송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을 위치 이탈 슬레이브 단말로 판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특징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장치는 상기 제1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위치 이탈 슬레이브 단말의 정보를 출력하는 제1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장치는 테더링 접속 가능한 단말을 검색하고, 검색된 테더링 접속 가능한 단말 중 하나를 선택하여 테더링용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마스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임시 IP 주소가 전송되면, 상기 임시 IP 주소를 이용해 상기 마스터 단말로 수신신호 세기값과 맥 주소를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그룹 이탈 경고 신호가 전송되면, 그룹 이탈 위험 경고 문자를 출력하는 제2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2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그룹 이탈 위험 경고 문자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단말과의 테더링 연결이 끊기면,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맥 주소를 내장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생성해 전송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 내에 저장된 가장 최근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자신의 마스터 식별자가 동일한지 판정하여, 상기 가장 최근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자신의 마스터 식별자가 동일할 경우, 전송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 내에 저장된 맥 주소를 상기 마스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이 전송된 상기 맥 주소를 갖는 슬레이브 단말이 제2 제어부와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마스터 단말에서 제공하는 테더링 연결을 이용하여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은 마스터 단말로 자신의 위치 상태를 알려준다.
따라서 슬레이브 단말은 별도로 인터넷 접속이 불필요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며 슬레이브 단말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력이 감소한다.
더욱이,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이용한 인접한 두 슬레이브 단말간의 통신을 이용하여 마스터 단말과의 통신 범위를 벗어나 슬레이브 단말을 자신의 위치 상태를 마스터 단말로 알릴 수 있으므로, 위치 이탈 감지 범위가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 간의 통신 범위보다 훨씬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마스터 단말의 사용자는 자신의 그룹에 속한 구성원들의 위치나 위치 이탈 상태를 좀더 용이하게 파악하게 된다.
도 1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데이터 흐름도로서, 마스터 단말의 테더링을 이용한 그룹핑 동작과 동일한 그룹에 속한 슬레이브 단말과 마스터 단말 간의 위치 이격 정도를 판정하는 동작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데이터 흐름도로서, 마스터 단말과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 간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장치의 동작에서 슬레이브 단말이 위치 이탈 슬레이브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마스터 단말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장치에서,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 간의 위치에 따른 위치 이탈 여부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이탈 감지 장치는 하나의 마스터 단말(10)과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21-2n)(여기서, n은 자연수이다)로 이루어져 있고,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21-2n)은 마스터 단말(10)이 제공하는 테더링(tethering)을 이용하여 해당 테더링에서 제공하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어 즉, 마스터 단말(10)과 테더링 연결되어 있어, 마스터 단말(10)과 복수의 슬레이브(21-2n)는 하나의 그룹(group)을 형성한다.
이때, 마스터 단말(10)의 사용자는 책임자일 수 있고, 복수의 슬레이브(21-2n)는 그룹의 구성원일 수 있다.
도 1의 경우, 슬레이브 단말(21-2n)의 개수는 한 예로서 복수 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개 일 수 있다.
마스터 단말(10)은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테블릿(smart tablet)과 같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개인 단말기로서,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입력부(예, 제1 입력부)((11), 입력부(11)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예, 제1 제어부)(12), 제어부(12)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예, 제1 저장부)(13), 제어부(12)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예, 제1 통신부)(14), 그리고 제어부(12)와 연결되어 있는 표시부(예, 제1 표시부)(15)와 경고부(예, 제1 경고부)(16)일 수 있다.
입력부(11)는 마스터 단말(10)의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와 명령어 등을 입력하는 장치이다.
제어부(120는 마스터 단말(10)의 동작을 제어하여 테더링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슬레이브 단말(21-2n)로부터 전송되는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슬레이브 단말(21-2n)과 마스터 단말(10)과의 이격 정도를 판정해 슬레이브 단말(21-2n)의 위치 이탈 상태를 판정한다.
저장부(13)는 큐(queque)와 같은 메모리로서, 제어부(12)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통신부(14)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21-2n)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와이파이(Wi-Fi) 통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등을 제공한다.
표시부(15)는 제어부(12)의 제어 동작에 따라 제어부(1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표시부(15)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고부(16)는 제어부(12)의 제어 동작에 따라 동작하여 경고음과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21-2n)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마스터 단말(10)과 같이 스마트폰, 스마트 테블릿과 같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개인 단말기이다.
이러한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21-2n) 각각은 마스터 단말(10)과 같이 입력부(예, 제2 입력부)(211), 제어부(예, 제2 제어부)(212), 제어부(212)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예, 제2 저장부)(213), 제어부(212)와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예, 제2 통신부)(214), 그리고 제어부(212)와 연결되어 있는 표시부(예, 제2 표시부)(215) 및 경고부(예, 제2 경고부)(216)를 구비한다.
제어부(212)는 테더링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단말(10)로 주기적으로 자신의 무선신호 세기값(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마스터 단말(10)과의 테더링 접속 시 부여받은 임시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와 자신의 맥 주소(MAC address)를 전송하여, 마스터 단말(10)이 해당 슬레이브 단말(21-2n)과의 위치 이격 정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12)는 마스터 단말(10)과의 테더링 접속이 끊길 경우, 주변으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전송하여 해당 마스터 단말(10)에게 자신의 위치 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213), 통신부(214), 표시부(215) 및 경고부(216)는 각각 마스터 단말(10)의 저장부(13), 통신부(14), 표시부(15) 및 경고부(16)와 각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위치 이탈 감지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마스터 단말(10)은 테더링을 제공하는 단말, 예를 들어 책임자의 단말이고, 복수의 슬레이브(21-2n)는 마스터 단말(10)이 제공하는 테더링에 의해 마스터 단말(10)과 테더링 연결이 행해지는 단말로서 마스터 단말(10)과 함께 동일한 그룹에 속해 있는 구성원의 단말이다.
마스터 단말(10)이 테더링을 이용하여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21-2n)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grouping)하기 위해, 마스터 단말(10)은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21-2n)로 문자, 전화 또는 구두로 테더링 시 사용되는 자신의 식별자(즉, SSID, service set Identifier)와 자신과의 테더링 접속 시 필요한 테더링용 비밀번호를 알려준다.
따라서, 마스터 단말(10)과 동일한 그룹의 구성원인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21-2n)은 마스터 단말(10)이 제공하는 마스터 단말(10)의 식별자(즉, 마스터 식별자)와 테더링용 비밀 번호를 미리 알고 있게 된다.
도 2에서,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21-2n)에 대한 동작은 동일하므로,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21-2n) 중에서 제1 슬레이브 단말(21)을 한 예로 하여 슬레이브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고로 하여, 마스터 단말(10)의 테더링을 이용한 그룹핑 동작과 동일한 그룹에 속한 슬레이브 단말(21-2n)과 마스터 단말(10) 간의 위치 이격 정도를 판정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마스터 단말(10)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의 기능 중 하나인 테더링 기능을 실행하면,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는 통신부(14)를 이용하여 주변으로 테더링(예, Wi-Fi 테더링)을 실행한다(S11).
따라서, 마스터 단말(10)과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구성원의 단말인 슬레이브 단말(25)은 통신부(214)에 의해 사용이 가능한 테더링 접속 가능한 단말, 즉 테더링 접속 가능 단말을 탐색한다(S12).
다음, 슬레이브 단말(25)의 제어부(212)는 테더링 접속 가능 단말 중에서 자신이 알고 있는 마스터 식별자를 갖고 있는 테더링 접속 가능 단말을 선택하여 테더링 접속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211)를 통해 입력된 비밀 번호를 통신부(213)을 거쳐 마스터 단말(10)로 전송한다(S13).
마스터 단말(10)은 슬레이브 단말(25)로부터 전송된 비밀 번호와 저장부(13)에 저장된 테더링용 비밀 번호가 동일할 경우(S14), 자신이 제공한 테더링 접속을 허락하여 슬레이브 단말(25)과 슬레이브 단말(25)과의 테더링 연결을 완료한다(S15).
하지만, 슬레이브 단말(25)로부터 전송된 비밀 번호와 저장부(13)에 저장된 테더링용 비밀 번호가 상이할 경우(S14), 마스터 단말(10)은 해당 슬레이브 단말(25)이 마스터 단말(10)과 동일한 그룹에 속한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따라서, 마스터 단말(10)은 단계(S14)로 넘어가 슬레이브 단말(25)로부터 전송되는 테더리용 비밀 번호를 판정한다.
그런 다음, 마스터 단말(10)은 임시 IP 주소를 생성해(S16) 자신과 테더링 연결된 해당 슬레이브 단말(25)로 생성된 임시 IP 주소를 전송한다(S17).
마스터 단말(10)로부터 임시 IP 주소를 전송 받은 슬레이브 단말(25)은 전송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자신의 무선신호 세기값과 맥 주소를 마스터 단말(10)로 전송한다(S18).
따라서, 마스터 단말(10)은 해당 슬레이브 단말(25)로부터 전송된 무선신호 세기값과 맥 주소를 해당 슬레이브 단말(25)에 대응되게 가상 IP 주소와 함께 저장부(13)에 저장한다(S19).
그런 다음, 마스터 단말(10)은 전송된 무선신호 세기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해당 슬레이브 단말(25)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 세기값이 설정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10). 이러한 무선신호 세기값과 설정값의 비교 동작은 정해진 시간마다 행해질 수 있다.
해당 슬레이브 단말(25)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 세기값이 설정값 이하일 경우,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는 마스터 단말(10)과 해당 슬레이브 단말(25)과의 이격 거리가 테더링 연결이 차단될 위험이 있는 그룹 이탈 경고 거리인 상태로 판정한다.
하지만, 해당 슬레이브 단말(25)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 세기값이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는 마스터 단말(10)과 해당 슬레이브 단말(25)과의 이격 거리가 그룹 이탈 위험이 없는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로 판정한다.
도 5에서, 도면 부호(A1)으로 도시된 범위는 마스터 단말(10)과 슬레이브 단말이 정상적으로 테더링 연결되어 무선신호 세기값이 마스터 단말(10)로 정상적으로 전송되는 통신 가능 범위로서, Wi-Fi 통신을 이용하여 테더링을 실시할 경우 Wi-FI 통신 범위일 수 있다.
이때, 도면 부호(A11)에 의해 표시된 범위는 통신 가능 범위 내에서 마스터 단말(10)과 해당 슬레이브 단말 간의 통신이 끊길 염려가 없는 안전 범위이다.
도 5의 도면 부호(A11)와 도면 부호(A1) 사이의 범위(A2)는 마스터 단말(10)과의 이격 거리가 좀더 증가하면 마스터 단말(10)과의 테더링 연결이 끊기는 그룹 이탈 위험 범위이다. 이때, 그룹 이탈 위험 범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그룹 이탈 위험 범위의 최소값은 설정값에 의해 정해지며, 이 최소값은 필요에 따라 증감된다.
따라서, 해당 슬레이브 단말(25)로부터 전송된 무선신호 세기값이 설정값 이할 경우, 마스터 단말(10)은 해당 슬레이브 단말(25)이 그룹 이탈 위험 범위 내에 위치한 상태로 판정한다.
이로 인해, 마스터 단말(10)은 저장부(12)에 저장된 임시 IP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슬레이브 단말(25)로 그룹 이탈 경고 신호를 전송한다(S111).
마스터 단말(10)로부터 그룹 이탈 경고 신호가 전송되면(S111), 해당 슬레이브 단말(25)은 표시부(215)로 그룹 이탈 위험이 있다는 경고 문자(즉, 그룹 이탈 위험 경고 문자)를 출력하고(S113) 또한 경고부(216)를 동작시킨다(S114). 따라서, 해당 슬레이브 단말(25)의 사용자가 다른 사람들과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어 그룹 이탈 위험 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슬레이브 단말(25)의 사용자는 표시부(215)나 경고부(216)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마스터 단말(10)과의 이격 거리를 줄이게 된다.
도 5에서, 슬레이브 단말(21, 23, 24)은 안전 범위에 위치하고 있고, 슬레이브 단말(25)은 그룹 이탈 위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 다음, 슬레이브 단말(25)은 마스터 단말(10)과의 테더링 접속이 완료된 후 마스터 단말(10)로부터 가상 IP 주소를 수신한 후 경과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하면(S115), 다시 무선신호 세기값과 맥 주소를 마스터 단말(10)로 전송한다.
따라서, 슬레이브 단말(25)은 마스터 단말(10)과 테더링 접속을 하고 있는 동안 설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무선신호 세기값과 맥 주소를 자신의 가상 IP 주소를 이용하여 마스터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
본 예의 경우, 마스터 단말(10)은 각 슬레이브 단말(21-2n)로부터 무선신호 세기값이 전송될 때마다 전송된 해당 무선신호 세기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해당 슬레이브 단말(21-2n)의 현재 위치가 그룹 이탈 위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마스터 단말(10)은 정해진 설정 시간마다 각 슬레이브 단말(21-2n)로부터 전송된 해당 무선신호 세기값과 설정값의 비교 동작을 실시하여 해당 슬레이브 단말(21-2n)의 현재 위치가 그룹 이탈 위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다음, 도 3을 참고로 하여, 통신 가능 범위(A1)를 벗어난 곳에 위치하여 마스터 단말(10)과 테더링 연결이 끊긴 슬레이브 단말[이하, 마스터 단말(10)과의 테더링 연결이 끊긴 슬레이브 단말을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이라 함]에 의해 행해지는 위치 알림 기능을 설명한다.
도 3에서 제2 슬레이브 단말(22)은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이고, 제1 슬레이브 단말(21)은 정성적으로 마스터 단말(10)과 테더링 연결되어 있는 슬레이브 단말(이하, 이 단말을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이라 함)이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이 마스터 단말(10)과 테더링 연결이 끊기면, 해당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은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의 정보와 자신의 맥 주소가 저장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생성하여(S21), 통신부(213)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예, Wi-Fi 통신)으로 생성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S22).
이때, 마스터 단말(10)과 테더링 연결 상태를 유지했던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은 마스터 단말(10)과의 테더링 연결 상태일 때 주기적으로 테더링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마스터 단말(10)과 행하고 있으므로, 마스터 단말(10)로부터 설정 시간 내에 테더링 연결 상태 확인 동작을 위한 확인 알림 신호(예, ACK 신호) 등이 전송되지 않을 경우, 제2 슬레이브 단말(22)은 마스터 단말(10)과의 테더링 접속이 끊긴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임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 프로브 요청 프레임의 전송 범위(즉, 통신 범위)(B1)는 통신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이처럼,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전송되면,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을 기준으로 해당 범위(B1)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로부터 전송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범위(B1) 내에 위치하고 정상적으로 마스터 단말(10)과 테더링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제1 슬레이브 단말, 즉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21) 역시 접속 차단 슬레이브 단말(22)로부터 전송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게 된다(S22).
이처럼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로부터 전송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21)은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이 자신이 속한 그룹과 동일한 그룹에 속한 단말인지를 판정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21)은 전송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내장된 서비스 세트 식별자의 정보를 읽어와 가장 최근에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기록된 서비스 세트 식별자(즉, 가장 최근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판정한다(S23).
그런 다음,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21)은 판정된 가장 최근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자신이 현재 사용중인 서비스 세트 식별자(즉, 마스터 식별자)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24).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의 가장 최근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자신의 마스터 식별자가 서로 동일할 경우,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21)은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을 자신과 동일한 그룹에 속한 단말로 판정한다.
따라서,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의 가장 최근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자신의 마스터 식별자가 서로 동일할 경우,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21)은 전송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서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의 맥 주소를 검색하여(S25) 마스터 단말(10)로 전송한다(S26).
따라서,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는 자신의 그룹에 속한 슬레이브 단말(21)로부터 다른 단말(22)의 맥 주소가 전송되면 저장부(13)에 저장되어 있는 맥 주소를 이용하여, 전송된 맥 주소에 해당하는 슬레이브 단말이 자신과 테더링 연결이 끊긴 제2 슬레이브 단말(22)로 판정한다(S27).
그런 다음,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는 표시부(15)로 제2 슬레이브 단말(22)이 제1 슬레이브 단말(21)과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음을 알려준다(S28).
하지만,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의 가장 최근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자신의 마스터 식별자가 서로 상이할 경우,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21)은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을 자신과 동일한 그룹에 속한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이로 인해, 마스터 단말(10)의 사용자는 표시부(15)로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과 테더링 연결이 끊긴 제2 슬레이브 단말(22)의 위치를 인지하고, 다른 슬레이브 단말(21, 23-2n)의 사용자에게 제2 슬레이브 단말(22)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등 필요한 후속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전거 동호화나 등산 동호회와 같은 동일 그룹에 속한 구성원이 위치 이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또한, 비록 슬레이브 단말(21-2n)의 위치가 마스터 단말(10)과의 통신 범위(A1)를 벗어나더라고 자신과 인접하게 위치한 다른 슬레이브 단말(21-2n)과의 통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다른 슬레이브(21-2n)와 마스터 단말(10)로 알릴 수 있으므로, 위치 이탈 감지 범위가 확장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다음, 도 4를 참고로 하여, 슬레이브 단말(21-2n)이 마스터 단말(10)뿐만 아니라 다른 슬레이브 단말(21-2n)과도 통신이 가능한 범위를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는 자신과 테더링 연결이 끊긴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1-2n)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1).
슬레이브 단말의 경우와 같이, 마스터 단말(10)은 테더링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슬레이브 단말(21-2n)과 주기적으로 테더링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그룹 내에 속한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21-2n) 중에서 설정 시간 내에 테더링 연결 상태 확인 동작을 위한 확인 알림 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슬레이브 단말(21-2n)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마스터 단말(10)은 그 슬레이브 단말(21-2n)을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로 판정한다.
다음,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는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이 아닌 정성적으로 마스터 단말(10)과 테더링 연결을 하고 있는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2)에 해당하는 맥 주소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한다(S32)
따라서,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는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전송된 맥 주소에 대응하는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도 5에서 제2 슬레이브 단말(22)]을 해당 맥 주소를 전송한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도 5에서 제1 슬레이브 단말(21)]과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한다.
하지만,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 중에서 설정 시간 동안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해당 맥 주소가 전송되지 않은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예를 들어, 도 5에서 제6 슬레이브 단말(26)]이 존재할 경우(S32, S33),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는 해당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6)이 마스터 단말(10)뿐 아니라 다른 정상 슬레이브 단말(21-2n)과도 통신이 되지 않은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는 설정 시간 동안 정상 접속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해당 맥 주소가 전송되지 않은 접속 단절 슬레이브 단말(26)을 위치 이탈 슬레이브 단말로 판정한다(S34).
다음,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는 표시부(15)와 경고부(16)를 통해 위치 이탈 슬레이브 단말(26)이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35). 이때, 마스터 단말(10)의 제어부(12)는 저장부(13)에 저장된 그룹 구성원들의 맥 주소를 이용하여 위치 이탈 슬레이브 단말(26)이 어느 것인지 표시하여, 마스터 단말(10)의 사용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위치 이탈 슬레이브 단말(26)의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하여 위치 이탈된 구성원이 누구인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위치 이탈 슬레이브 단말이 발생할 경우, 그룹의 책임자인 마스터 단말(10)의 사용자는 다른 구성원들에게 위치 이탈된 구성원의 위치 파악을 지시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그룹의 모든 구성원들이 하나의 마스터 단말(10)에 복수의 슬레이브 단말(21-2n)이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그룹의 책임자는 각 구성원들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확인하게 된다.
또한, 각 구성원들은 인터넷 접속을 행하는 대신 마스터 단말(10)이 제공하는 테더링 연결을 통해 책임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가하며, 단말(21-2n)의 소비 전력 또한 크게 증가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마스터 단말 21-2n: 슬레이브 단말
11, 211: 입력부 12, 212: 제어부
13, 213: 저장부 14, 214: 통신부
15, 215: 표시부 16, 216: 경고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테더링 접속 가능한 단말을 검색하고, 검색된 테더링 접속 가능한 단말 중 하나를 선택하여 테더링용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마스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임시 IP 주소가 전송되면, 상기 임시 IP 주소를 이용해 상기 마스터 단말로 수신신호 세기값과 맥 주소를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 그룹 이탈 경고 신호가 전송되면 그룹 이탈 위험 경고 문자를 출력하고, 외부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프로브 요청 프레임 내에 저장된 가장 최근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자신의 마스터 식별자가 동일한지 판정하여, 상기 가장 최근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자신의 마스터 식별자가 동일할 경우, 전송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 내에 저장된 맥 주소를 상기 마스터 단말로 전송하여, 전송된 상기 맥 주소를 갖는 슬레이브 단말과 자신이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함을 상기 마스터 단말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2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그룹 이탈 위험 경고 문자를 출력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위치 이탈 감지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단말과의 테더링 연결이 끊기면,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맥 주소를 내장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생성해 전송하는 위치 이탈 감지 장치.
  6. 삭제
KR1020150012209A 2015-01-26 2015-01-26 위치 이탈 감지 장치 KR101615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209A KR101615663B1 (ko) 2015-01-26 2015-01-26 위치 이탈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209A KR101615663B1 (ko) 2015-01-26 2015-01-26 위치 이탈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663B1 true KR101615663B1 (ko) 2016-04-26

Family

ID=5591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209A KR101615663B1 (ko) 2015-01-26 2015-01-26 위치 이탈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351B1 (ko) * 2020-05-21 2021-11-17 주식회사 지니로봇 블루투스 기반의 스타 네트워크를 이용한 그룹핑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2548A (ko) * 2021-08-31 2023-03-07 명소연 여행객 통합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351B1 (ko) * 2020-05-21 2021-11-17 주식회사 지니로봇 블루투스 기반의 스타 네트워크를 이용한 그룹핑 방법 및 시스템
WO2021235809A1 (ko) * 2020-05-21 2021-11-25 주식회사 지니로봇 블루투스 기반의 스타 네트워크를 이용한 그룹핑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2548A (ko) * 2021-08-31 2023-03-07 명소연 여행객 통합관리 시스템
KR102569707B1 (ko) 2021-08-31 2023-08-22 명소연 여행객 통합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9740B2 (en) Establishing a connection based on position
US9497575B2 (en) First device, system and method to communicate with second device
KR101169659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인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그 시스템과 인증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9803275B (zh) 一种波束失败恢复请求发送、接收方法、装置及系统
US20090203349A1 (en) Wireless security system
US201101517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nnection of a Wireless Interface
US20190124194A1 (en) Near-field communication initiated bluetooth pairing between mobile device and gas detector
CN104921426A (zh) 智能拐杖、智能拐杖报警系统及智能拐杖报警方法
CN103891257B (zh) 用于监测至少一个传感器的中央处理器
CN101751753A (zh) 便携式电子装置
WO2007099743A1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CN105204632A (zh) 一种控制智能移动终端进入静音模式的方法及可穿戴设备
KR101615663B1 (ko) 위치 이탈 감지 장치
EP2457366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etection of a bluetooth device
JP2003273883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JP4506603B2 (ja) 端末自動設定システム、制御エリア情報発信装置、サーバ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6208418A (ja) 通信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5303465A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1002168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3236682B1 (en) Automatic calling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CN103281415A (zh) 分体式移动终端及移动终端私密数据的处理方法
JP2015195433A (ja) 端末装置、及び着信制御方法
JP2007172488A (ja) テレメータシステム、テレメータ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5167061A1 (ko)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66857B1 (ko) 블루투스 장치를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