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156B1 -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156B1
KR101615156B1 KR1020140113878A KR20140113878A KR101615156B1 KR 101615156 B1 KR101615156 B1 KR 101615156B1 KR 1020140113878 A KR1020140113878 A KR 1020140113878A KR 20140113878 A KR20140113878 A KR 20140113878A KR 101615156 B1 KR101615156 B1 KR 10161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rmrest
bracket
hinge brack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388A (ko
Inventor
김기원
공용식
Original Assignee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1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일부에 일체로 성형되고,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을 관통하여 형성된 힌지공;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결합되도록 암레스트 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된 중공형 힌지축; 상기 힌지공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의 각 단부에 끼워지는 힌지볼트; 상기 힌지브라켓의 둘레 일부가 라운드 가공되어 형성된 안내부; 상기 암레스트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를 따라 접촉 이동되는 궤적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의 마주보는 안쪽면의 힌지공에는 상기 암레스트 프레임의 일단인 'ㅕ' 형상의 단부가 끼워지는 안내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레스트의 구조 개선을 통해 힌지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어 체결 작업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으면서 별도의 부품을 많이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량화가 가능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ARMREST HINGE ASSEMBLY OF TWO ROW SEAT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브라켓을 시트에 일체로 형성하여 중량을 줄이면서 회전동작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다양한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2열 시트(여기에서 '시트'란 시트백(seat back)을 의미한다)에는 암레스트(Arm rest), 즉 팔걸이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암레스트는 주로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구비되는 차실내 인테리어 구조물 중 하나거나 혹은 2열 시트에 장착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암레스트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 제0468375호, 등록특허 제1008889호, 공개특허 제2010-0079772호 등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음료 문화를 충족시키기 위해 암레스트 상에 컵 홀더를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그런데, 도 1 및 도 2의 예시와 같이, 암레스트가 시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폴딩되면서 회동하기 위해서는 힌지구조를 가져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힌지구조는 별체로 구성되어 시트(10)에 볼트 고정되는 힌지브라켓(20)을 구비해야 하고, 힌지브라켓(20)을 조립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특히, 힌지브라켓(20)에는 힌지핀(32)이 끼워지는 힌지공(22)이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암레스트의 회전궤적으로 규제하는 안내홈(24)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 안내홈(24)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암레스트 프레임(40)의 단부 양측에는 안내핀(34)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중량 증대 요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도 3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안내홈(24)이 힌지공(22)과 근접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지 흐름성이 나빠 웰드 라인(Weld Line)(WL)이 생기는 문제와, 이로 인해 조그마한 충격에도 웰드 라인(WL)을 타고 쉽게 파단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여기에서, 웰드 라인이란 수지 흐름이 두 방향 이상으로 분기하여 일정한 거리를 흐른 뒤 다시 만나면서 생기는 실모양의 선을 말하며, 수지온도가 낮을 때 혹은 사출 속도가 낮을 때, 정체 공기 또는 금형내 수분이 함유되어 있을 때 주로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암레스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 구조 중 힌지브라켓을 시트에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함으로써 힌지브라켓 체결 조립 공정을 단축하고, 강도를 높여 비용상승을 막고, 공수 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트의 일부에 일체로 성형되고,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을 관통하여 형성된 힌지공;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결합되도록 암레스트 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된 중공형 힌지축; 상기 힌지공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의 각 단부에 끼워지는 힌지볼트; 상기 힌지브라켓의 둘레 일부가 라운드 가공되어 형성된 안내부; 상기 암레스트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를 따라 접촉 이동되는 궤적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의 마주보는 안쪽면의 힌지공에는 상기 암레스트 프레임의 일단인 'ㅕ' 형상의 단부가 끼워지는 안내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안내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궤적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상단스토퍼와 하단스토퍼가 각각 호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레스트의 구조 개선을 통해 힌지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어 체결 작업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으면서 별도의 부품을 많이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량화가 가능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암레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회전용 힌지브라켓의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 회전용 힌지 조립체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는 힌지브라켓(100)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브라켓(100)은 시트(S)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시트(S)를 성형할 때 금형에 캐비티를 구성하여 동시 성형되도록 구성되며, 간격을 둔 한 쌍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싱기 힌지브라켓(100)에는 암레스트 프레임(200)에 구비된 힌지축(21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공(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공(110)은 후가공을 통해 천공하여 구멍을 내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성형시 경사금형을 이용하여 금형 자체에서 곧바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조립의 용이성과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210)을 중공형인 파이프 형상으로 만들고, 상기 내경에는 상기 힌지공(110)을 관통한 힌지볼트(120)가 끼워지는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립 작업시 힌지브라켓(100) 내부에 힌지축(210)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힌지볼트(120)를 힌지공(110)에 끼운 후 힌지축(210)의 각 단부에 끼워지기만 하면 쉽고 빠르게 힌지 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힌지브라켓(100)의 마주보는 안쪽면의 힌지공(110)에는 상기 암레스트 프레임(200)의 일단에 끼움되는 안내돌기(132)가 더 형성되면 힌지 결합을 더 쉽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암레스트 프레임(200)의 일단은 'ㅕ'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를 안내돌기(13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 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회전볼트(120)를 힌지공(110)에 끼운 후 힌지축(210)에 체결하게 되면 매우 쉽게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기존과 달리 암레스트 프레임(200)의 궤적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힌지공(110) 주변에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웰드 라인 발생이 없어 강도 향상은 물론 파단 위험성이 없어진다.
다만, 본 발명에서도 암레스트 프레임(200)의 회전 궤적을 안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힌지브라켓(100)의 상단 둘레 일부를 호형상으로 가공하여 안내부(130)를 구성한다.
즉, 상기 안내부(130)는 상기 힌지브라켓(100)의 일부가 깍인 형태로 형성되며, 안내부(13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직각형태로 구성되어 궤적핀(220)이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안내부(1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궤적핀(220)의 직경만큼의 거리를 두고 상단스토퍼(L1)와 하단스토퍼(L2)가 각각 돌출된다.
상기 상단스토퍼(L1)와 하단스토퍼(L2)는 약간 돌출되며, 호형상의 돌기와 같은 것이다.
때문에, 상기 궤적핀(220)은 최상단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상단스토퍼(L1)에 걸려 쉽게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일정한 힘이 가해져 상단스토퍼(L1)를 타고 넘을 정도가 되면 그때 고정위치를 벗어나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ㅏ.
반대로, 최하단으로 궤적핀(220)이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하단스토퍼(L2)에 갇혀 쉽게 상승하지 못하지만,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이를 타고 넘어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힌지브라켓(100)을 시트(S)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로 힌지브라켓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 비용과 시간을 줄이며, 조립공수도 절약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힌지축(210)의 체결방식도 간단한 볼트 체결방식이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궤적을 안내하는 안내부(130)가 안내홈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힌지공(110)에 영향을 주지 않아 웰드 라인 생성이 없으므로 충격시 파단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 성형 및 가공하기 쉽고, 비용도 줄일 수 있으면서 암레스트 시험 항목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어 향후 차량 연비 향상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기대된다.
100: 힌지브라켓 110: 힌지공
120: 힌지볼트 130: 안내부
200: 암레스트 프레임 210: 힌지축
220: 궤적핀

Claims (3)

  1. 삭제
  2. 시트의 일부에 일체로 성형되고,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힌지브라켓; 상기 힌지브라켓을 관통하여 형성된 힌지공;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결합되도록 암레스트 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된 중공형 힌지축; 상기 힌지공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의 각 단부에 끼워지는 힌지볼트; 상기 힌지브라켓의 둘레 일부가 라운드 가공되어 형성된 안내부; 상기 암레스트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를 따라 접촉 이동되는 궤적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의 마주보는 안쪽면의 힌지공에는 상기 암레스트 프레임의 일단인 'ㅕ' 형상의 단부가 끼워지는 안내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궤적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상단스토퍼와 하단스토퍼가 각각 호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KR1020140113878A 2014-08-29 2014-08-29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KR101615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878A KR101615156B1 (ko) 2014-08-29 2014-08-29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878A KR101615156B1 (ko) 2014-08-29 2014-08-29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388A KR20160027388A (ko) 2016-03-10
KR101615156B1 true KR101615156B1 (ko) 2016-04-26

Family

ID=5553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878A KR101615156B1 (ko) 2014-08-29 2014-08-29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1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766A (ja) * 1998-12-18 2000-06-27 Ikeda Bussan Co Ltd シートバックのアームレスト取付構造
JP2001112576A (ja) 1999-10-19 2001-04-24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アームレスト構造
JP2011183878A (ja) 2010-03-05 2011-09-22 Ts Tech Co Ltd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766A (ja) * 1998-12-18 2000-06-27 Ikeda Bussan Co Ltd シートバックのアームレスト取付構造
JP2001112576A (ja) 1999-10-19 2001-04-24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アームレスト構造
JP2011183878A (ja) 2010-03-05 2011-09-22 Ts Tech Co Ltd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388A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484B2 (en) Vehicle member attachment structure and rear spoiler attachment structure
CN107323527B (zh) 车辆及其后副车架、后副车架的制造方法
US9156525B2 (en) Front derailleur
TWI568627B (zh) Front derailleur
CN203920477U (zh) 一种座椅滑轨组件
JP2014008335A (ja) ヘッドレスト支持構造
CN104015634A (zh) 一种座椅滑轨组件
KR101488016B1 (ko) 자동차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EP2921351B1 (en) Door mirror of vehicle
KR101615156B1 (ko)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JP6397487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CN102139725A (zh) 两轮机动车的后部结构
KR101517144B1 (ko)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KR101552529B1 (ko)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KR101572457B1 (ko) 차량용 2열 시트의 암레스트 힌지 조립체
CN210026940U (zh) 一种后减震弹簧安装结构及车辆
KR102253159B1 (ko) 차량의 서스펜션 로어암
JP6287258B2 (ja) 自動二輪車のスイングアーム
KR20130033786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용 결합구조
KR101805868B1 (ko) 차량 시트의 토션스프링 조립장치
US10081269B2 (en) Bushing assembly and vehicle seat assembly employing the same
CN208360282U (zh) 内球头总成与汽车
JP2013049329A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CN204978816U (zh) 转向装置
KR102249767B1 (ko) 자동차용 도어 그립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