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778B1 - 제로 교차 검파 모듈,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제로 교차 검파 모듈,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778B1
KR101614778B1 KR1020150122968A KR20150122968A KR101614778B1 KR 101614778 B1 KR101614778 B1 KR 101614778B1 KR 1020150122968 A KR1020150122968 A KR 1020150122968A KR 20150122968 A KR20150122968 A KR 20150122968A KR 101614778 B1 KR101614778 B1 KR 101614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voltage
power source
zero crossing
ze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온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온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온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122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75Indicating the instants of passage of current or voltage through a given value, e.g. passage through zer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01R31/42AC power supp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로 교차 검파 모듈에 관한 것으로써, 교류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파지티브(Positive) 펄스인 제1펄스를 생성하는 제1소자부; 상기 교류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네거티브(Negative) 펄스인 제2펄스를 생성하는 제2소자부; 및 상기 제1펄스와 상기 제2펄스를 입력받아 연산함으로써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를 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펄스와 상기 제2펄스를 합산하여 제3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제3펄스의 상승 에지(Edge)와 상기 제3펄스의 하강 에지(Edge)의 중간 지점의 값을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입력되는 교류전원의 전압에 관계없이,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로 교차 검파 모듈,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ZERO CROSSING POSITION DETECTION MODULE, POWER REGULATORS HAVING ZERO CROSSING POSITION DETECTION MODULE, METHOD FOR DETECTING ZERO POINT}
본 발명은 제로 교차 검파 모듈,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교류전원으로부터 제1펄스와 제2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펄스와 제2펄스를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3펄스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교류전원의 전압에 관계없이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제로 교차 검파 모듈,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조정기(Thyristor Unit)란,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력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제어기기로써, 히터, 전기로 등 가열장치의 가열 및 냉각시에 전력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제로 크로싱 검출 방식의 전력조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제로 크로싱 검출 방식의 전력조정기를 이용하는 경우, 교류전원의 파형 및 펄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로 크로싱 검출 방식의 전력조정기는 검출기(1)와 제어기(2)와 스위칭기(3)와 외부장치(4)를 포함한다.
검출기(1)는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으로부터 펄스를 생성하며, 생성된 펄스를 이용하여 교류전원의 전압이 0전위와 교차되는 지점, 즉, 영점(Zero Point)을 검출하는 것이고, 제어기(2)는 검출기(1)에서 검출된 영점을 기초로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것이고, 스위칭기(3)는 제어기(2)로부터 스위칭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됨으로써, 외부장치(4)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술한 검출기(1)에서 검출되는 영점의 위치는 스위칭기(3)의 제어에 영향을 주어 외부장치(4)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정확하게 확정될 필요가 있다.
도 2의 (a)는 종래의 제로 크로싱 검출 방식의 전력조정기에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220V인 경우 검출기(1)에서 생성되는 펄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에서 사용된 종래의 제로 크로싱 검출방식의 전력조정기에 440V의 교류전원을 입력한 경우 검출기(1)에서 생성되는 펄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교류전원이 220V의 종래의 제로 크로싱 검출방식의 전력조정기에 440V의 교류전원을 입력하면, 검출기(1)에서 검출되는 영점의 위치가 변화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력조정기의 제조과정에서 전력조정기의 구성요소들이 220V의 교류전원에 맞추어 세팅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문제점에 따라, 종래의 제로 크로싱 검출 방식의 전력조정기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의 전압의 크기별로 각각 별도의 모델로 제조되었다. 따라서, 전력조정기를 제조하는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의 크기별로 별도의 생산라인을 구축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크게 문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교류전원으로부터 제1펄스와 제2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펄스와 제2펄스를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3펄스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교류전원의 전압에 관계없이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제로 교차 검파 모듈,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교류전원에 연결되며, 교류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파지티브(Positive) 펄스인 제1펄스를 생성하는 제1소자부; 상기 교류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네거티브(Negative) 펄스인 제2펄스를 생성하는 제2소자부; 및 상기 제1펄스와 상기 제2펄스를 입력받아 연산함으로써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를 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펄스와 상기 제2펄스를 합산하여 제3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제3펄스의 상승 에지(Edge)와 상기 제3펄스의 하강 에지(Edge)의 중간 지점의 값을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교차 검파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소자부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소자부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교류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파지티브(Positive) 펄스인 제1펄스를 생성하는 제1소자부; 상기 교류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네거티브(Negative) 펄스인 제2펄스를 생성하는 제2소자부; 상기 제1펄스와 상기 제2펄스를 입력받아 연산함으로써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를 탐지하여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펄스와 상기 제2펄스를 합산하여 제3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제3펄스의 상승 에지(Edge)와 상기 제3펄스의 하강 에지(Edge)의 중간 지점의 값을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소자부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로 마련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제2소자부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파지티브(Positive) 펄스인 제1펄스를 생성하는 제1펄스생성단계;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네거티브(Negative) 펄스인 제2펄스를 생성하는 제2펄스생성단계; 상기 제1펄스와 상기 제2펄스를 합산하여 제3펄스를 생성하는 제1연산단계; 및 상기 제3펄스의 상승 에지(Edge)와 상기 제3펄스의 하강 에지(Edge)의 중간 지점의 값을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로 설정하는 제2연산단계를 포함하는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되는 교류전원의 전압에 관계없이,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스위칭부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스위칭부에 연결되는 외부장치에 적합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되는 교류전원의 전압에 관계없이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가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교류전원에 모두 대응되는 전력조정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제로 크로싱 검출 방식의 전력조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제로 크로싱 검출 방식의 전력조정기를 이용하는 경우, 교류전원의 파형 및 펄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교류전원의 파형 및 제1펄스와 제2펄스와 제3펄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의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교류전원의 파형 및 제1펄스와 제2펄스와 제3펄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100)은 제1소자부(110)와 제2소자부(1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제1소자부(110)는 교류전원(S)에 연결되는 것으로써, 교류전원(S)으로부터 제1펄스(P1)를 생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펄스(P1)는 교류전원(S)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될 때,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하며, 교류전원(S)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될 때,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한다. 즉, 이러한 제1펄스(P1)는 파지티브(Positive) 펄스로 정의된다.
이러한 제1소자부(110)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로 마련될 수 있다.
포토커플러란, 입력 전기 신호와 출력 전기 신호를 광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소자로써, 일반적으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하나의 패키지에 결합한 것이다. 이러한 포토커플러에 의하면, 입력과 출력 신호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광으로 신호가 전달된다. 따라서, 상술한 포토커플러에 의하면, 출력이 입력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신호전달에 있어 높은 신뢰성이 보장된다.
제2소자부(120)는 교류전원(S)에 연결되는 것으로써, 교류전원(S)으로부터 제2펄스(P2)를 생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펄스(P2)는 교류전원(S)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될 때,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하며, 교류전원(S)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될 때,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한다. 즉, 이러한 제2펄스(P2)는 네거티브(Negative) 펄스로 정의된다.
이러한 제2소자부(120)는 상술한 제1소자부(110)와 마찬가지로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펄스(P1)와 제2펄스(P2)를 입력받는 것으로써, 제1펄스(P1)와 제2펄스(P2)를 연산함으로써 교류전원(S)의 제로 교차 위치를 탐지한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교류전원(S)의 제로 교차 위치, 즉, 교류전원(S)의 전압이 0전위와 교차되는 지점인 영점을 탐지하기 위해 제1펄스(P1)와 제2펄스(P2)를 합산하여 제3펄스(P3)를 생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펄스(P3)는 제1펄스(P1)와 제2펄스(P2)를 합산함으로써 생성된다. 한편, 교류전원(S)의 전압의 진폭이 변화되면, 제1펄스(P1)와 제2펄스(P2)의 에지가 변화되는데, 에지의 변화량은 교류전원(S)의 전압의 진폭에 비례하여 변화된다. 따라서, 제3펄스(P3)의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의 중간 시점에 해당되는 위치는 교류전원(S)의 전압의 진폭의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교류전원(S)의 전압의 파형의 영점에 해당된다.
상술한 제어부(130)는 탐지된 영점을 기초로 스위칭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스위칭신호는 스위치부로 전달되며, 스위치부는 스위칭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외부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한다.
제1소자부(110)와 제2소자부(1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100)에 의하면, 입력되는 교류전원(S)의 전압에 관계없이, 교류전원(S)의 제로 교차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스위칭부(240)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따라서, 외부장치(h)가 적합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200)는 제1소자부(110)와 제2소자부(120)와 제어부(130)와 스위칭부(24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1소자부(110)와 제2소자부(120)와 제어부(13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100)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240)는 스위칭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장치(h)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써, 제어부(130)와 외부장치(h)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스위칭부(240)는 제어부(130)에서 생성되는 스위칭신호에 의해 제어되는데, 스위칭신호는 제어부(130)에서 탐지된 영점에 의해 그 정확성이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류전원(S)의 영점은 제1소자부(110)에서 생성되는 제1펄스(P1)와 제2소자부(120)에서 생성되는 제2펄스(P2)를 기초로 제어부(130)에서 연산되어 정확하게 탐지된다.
이러한 스위칭부(240)는 사이리스터(thyristor) 또는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위칭신호에 의해 ON / OFF 됨으로써, 외부장치(h)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외부장치(h)는 히터, 전기로 등 가열장치를 의미하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위칭부(240)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상술한바와 같이, 제1소자부(110)와 제2소자부(120)와 제어부(130)와 스위칭부(2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200)에 의하면, 입력되는 교류전원(S)의 전압에 관계없이, 교류전원(S)의 제로 교차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스위칭부(240)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따라서, 외부장치(h)가 적합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의 순서도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S100)은 제1펄스생성단계(S110)와 제2펄스생성단계(S120)와 제1연산단계(S130)와 제2연산단계(S140)를 포함한다.
제1펄스생성단계(S110)는 교류전원(S)으로부터 제1펄스(P1)를 생성하는 단계로써, 제1소자부(110)에 의해 실시된다. 제1펄스(P1)는 교류전원(S)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될 때,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하며, 교류전원(S)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될 때,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한다. 즉, 이러한 제1펄스(P1)는 파지티브(Positive) 펄스로 정의된다.
제2펄스생성단계(S120)는 교류전원(S)으로부터 제2펄스(P2)를 생성하는 단계로써, 제2소자부(120)에 의해 실시된다. 제2펄스(P2)는 교류전원(S)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될 때,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하며, 교류전원(S)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될 때,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한다. 즉, 이러한 제1펄스(P1)는 네거티브(Negative) 펄스로 정의된다.
제1연산단계(S130)는 제1펄스(P1)와 제2펄스(P2)를 합산하여 제3펄스(P3)를 생성하는 단계로써, 제어부(130)에 의해 실시된다.
제2연산단계(S140)는 상술한 제1연산단계(S130)에 의해 생성된 제3펄스(P3)에 기초하여 교류전원(S)의 제로 교차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로써, 제어부(130)에 의해 실시된다.
제3펄스(P3)는 제1펄스(P1)와 제2펄스(P2)를 합산함으로써 생성된다. 한편, 교류전원(S)의 전압의 진폭이 변화되면, 제1펄스(P1)와 제2펄스(P2)의 에지가 변화되는데, 에지의 변화량은 교류전원(S)의 전압의 진폭에 비례하여 변화된다. 따라서, 제3펄스(P3)의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의 중간 시점에 해당되는 위치는 교류전원(S)의 전압의 진폭의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교류전원(S)의 전압의 파형의 영점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연산단계(S130) 및 제2연산단계(S140)에 의해서, 교류전원(S)의 제로 교차 위치, 즉, 교류전원(S)의 전압이 0전위와 교차되는 지점인 영점이 정확하게 탐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제1펄스생성단계(S110)와 제2펄스생성단계(S120)와 제1연산단계(S130)와 제2연산단계(S1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S100)에 의하면, 입력되는 교류전원(S)의 전압에 관계없이, 교류전원(S)의 제로 교차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스위칭부(240)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따라서, 외부장치(h)가 적합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검출기 2 : 제어기
3: 스위칭기 4 : 외부장치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
110 : 제1소자부 120 : 제2소자부
130 : 제어부 S : 교류전원
P1 : 제1펄스 P2 : 제2펄스
P3 : 제3펄스
2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240 : 스위칭부 h : 외부장치
S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
S110 : 제1펄스생성단계 S120 : 제2펄스생성단계
S130 : 제1연산단계 S140 : 제2연산단계

Claims (9)

  1. 교류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파지티브(Positive) 펄스인 제1펄스를 생성하는 제1소자부;
    상기 교류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네거티브(Negative) 펄스인 제2펄스를 생성하는 제2소자부; 및
    상기 제1펄스와 상기 제2펄스를 입력받아 연산함으로써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를 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펄스와 상기 제2펄스를 합산하여 제3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제3펄스의 상승 에지(Edge)와 상기 제3펄스의 하강 에지(Edge)의 중간 지점의 값을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교차 검파 모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소자부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로 마련되는 제로 교차 검파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소자부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로 마련되는 제로 교차 검파 모듈.
  5. 교류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파지티브(Positive) 펄스인 제1펄스를 생성하는 제1소자부;
    상기 교류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네거티브(Negative) 펄스인 제2펄스를 생성하는 제2소자부;
    상기 제1펄스와 상기 제2펄스를 입력받아 연산함으로써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를 탐지하여 스위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펄스와 상기 제2펄스를 합산하여 제3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제3펄스의 상승 에지(Edge)와 상기 제3펄스의 하강 에지(Edge)의 중간 지점의 값을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소자부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로 마련되는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소자부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로 마련되는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9.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파지티브(Positive) 펄스인 제1펄스를 생성하는 제1펄스생성단계;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양전압에서 음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하강 에지(Edge)를 형성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이 음전압에서 양전압으로 변화되는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전에 상승 에지(Edge)를 형성함에 따라 생성되는 네거티브(Negative) 펄스인 제2펄스를 생성하는 제2펄스생성단계;
    상기 제1펄스와 상기 제2펄스를 합산하여 제3펄스를 생성하는 제1연산단계; 및
    상기 제3펄스의 상승 에지(Edge)와 상기 제3펄스의 하강 에지(Edge)의 중간 지점의 값을 상기 교류전원의 제로 교차 위치로 설정하는 제2연산단계를 포함하는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
KR1020150122968A 2015-08-31 2015-08-31 제로 교차 검파 모듈,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 KR101614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68A KR101614778B1 (ko) 2015-08-31 2015-08-31 제로 교차 검파 모듈,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68A KR101614778B1 (ko) 2015-08-31 2015-08-31 제로 교차 검파 모듈,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778B1 true KR101614778B1 (ko) 2016-04-25

Family

ID=5591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968A KR101614778B1 (ko) 2015-08-31 2015-08-31 제로 교차 검파 모듈,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7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9160A (zh) * 2016-08-31 2016-12-07 杭州康奋威科技股份有限公司 电网电压过零点检测方法及检测装置
CN106301468A (zh) * 2016-07-21 2017-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电路、接收电路和串行信号传输系统
CN107656132A (zh) * 2017-09-30 2018-02-02 漳州科能电器有限公司 电力载波模块的交流电压过零点检测的矫正方法
CN113049872A (zh) * 2021-02-02 2021-06-29 厦门大学 一种用于多次低频电流纹波抑制的电信号零点检测方法
CN116735948A (zh) * 2023-08-14 2023-09-12 深圳市思远半导体有限公司 一种过零检测电路和开关电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7092A (ja) 2003-08-29 2005-03-24 Tokyo Univ Of Agriculture & Technology 商用電源波形の非同期計測方式
JP2005168163A (ja) * 2003-12-02 2005-06-23 Canon Inc ゼロクロス信号発生装置
JP2008064493A (ja) 2006-09-05 2008-03-21 Yokogawa Electric Corp 測定装置
JP2014149388A (ja) * 2013-01-31 2014-08-21 Canon Finetech Inc ゼロクロス点検知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ゼロクロス点検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7092A (ja) 2003-08-29 2005-03-24 Tokyo Univ Of Agriculture & Technology 商用電源波形の非同期計測方式
JP2005168163A (ja) * 2003-12-02 2005-06-23 Canon Inc ゼロクロス信号発生装置
JP2008064493A (ja) 2006-09-05 2008-03-21 Yokogawa Electric Corp 測定装置
JP2014149388A (ja) * 2013-01-31 2014-08-21 Canon Finetech Inc ゼロクロス点検知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ゼロクロス点検知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1468A (zh) * 2016-07-21 2017-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电路、接收电路和串行信号传输系统
CN106301468B (zh) * 2016-07-21 2019-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串行信号发送电路、接收电路和传输系统及方法
CN106199160A (zh) * 2016-08-31 2016-12-07 杭州康奋威科技股份有限公司 电网电压过零点检测方法及检测装置
CN107656132A (zh) * 2017-09-30 2018-02-02 漳州科能电器有限公司 电力载波模块的交流电压过零点检测的矫正方法
CN107656132B (zh) * 2017-09-30 2021-07-13 漳州科能电器有限公司 电力载波模块的交流电压过零点检测的矫正方法
CN113049872A (zh) * 2021-02-02 2021-06-29 厦门大学 一种用于多次低频电流纹波抑制的电信号零点检测方法
CN113049872B (zh) * 2021-02-02 2021-11-16 厦门大学 一种用于多次低频电流纹波抑制的电信号零点检测方法
CN116735948A (zh) * 2023-08-14 2023-09-12 深圳市思远半导体有限公司 一种过零检测电路和开关电源
CN116735948B (zh) * 2023-08-14 2023-12-15 深圳市思远半导体有限公司 一种过零检测电路和开关电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778B1 (ko) 제로 교차 검파 모듈,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조정기, 제로 교차 검파 모듈을 이용한 영점 검출방법
TWI565177B (zh) 逆變裝置及孤島運轉的偵測方法
KR101964470B1 (ko) 고주파 전력 공급 장치
JP7108825B2 (ja) レーザ駆動電源
EP2444191B1 (en) Welding power supply with DC reactor having two inductance conditions
KR101683354B1 (ko) 전력 공급 장치 및 전력 공급 전환 방법
WO2017221610A1 (ja) 電源システム、電源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161998B2 (ja) 電源装置及びアーク加工用電源装置
JP2013252019A (ja) 車載装置
US102368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control method of an inverter
KR101507412B1 (ko) 아날로그와 디지털 피드백 보상방식을 연계한 전력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040444A1 (en) Smart switch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switch box
JP2018191410A (ja) 電動機の制御装置
JP7181805B2 (ja) 半導体素子の過渡熱抵抗測定用電源回路
JP2018050297A (ja) Igbt型トランジスタの制御方法および関連する制御装置
JP2014052144A (ja) 電極昇降装置
CN110114948B (zh) 用于焊接和切割装置的智能功率监视
WO2018220933A1 (ja) アーク加工用電源装置およびアーク加工用電源装置の制御方法
JP2008041426A (ja) パルスヒート電源
US20160172968A1 (en) Compensation control circuit and method thereof
JP5637236B2 (ja) 単独運転検出装置、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分散型電源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単独運転検出方法
KR101198725B1 (ko) 파형손실 보상 방법 및 파형손실 보상을 구현하는 전력 공급 제어장치
JPH10144455A (ja) ウィンドウ・ヒータ制御装置
JP2003047296A (ja) エンジン発電機のインバータ装置
JP2016055306A (ja) 溶接電流測定装置、抵抗溶接監視装置及び抵抗溶接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