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454B1 - 스풀 밸브 - Google Patents

스풀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454B1
KR101614454B1 KR1020140041187A KR20140041187A KR101614454B1 KR 101614454 B1 KR101614454 B1 KR 101614454B1 KR 1020140041187 A KR1020140041187 A KR 1020140041187A KR 20140041187 A KR20140041187 A KR 20140041187A KR 101614454 B1 KR101614454 B1 KR 101614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spool
discharg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793A (ko
Inventor
요시히로 후카노
다카유키 무라이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65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flat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3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acted upon by the circulat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servo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스풀 밸브(10)는, 밸브 바디(22)와, 입력 포트(40) 및 출력 포트(42)가 연통하는 제1 위치와 입력 포트(40) 및 출력 포트(42)의 연통이 차단되는 제2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한 상태에서 밸브 챔버(24)에 배치되고 설치되는 스풀(28)과, 밸브 바디(22)에 설치되어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작용시켜 스풀(28)을 축선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시키는 파일럿 밸브 기구(14)와, 스풀(28)을 축선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밀어 붙이는 스프링(3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풀 밸브{SPOOL VALVE}
본 발명은,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가 형성된 밸브 바디의 밸브 챔버에 스풀을 배치하고 설치한 스풀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씨줄[緯絲]을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날리는 에어제트 직조기 등에 있어서, 2방 밸브가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에어제트 직조기에서는, 대유량의 고속 밸브를 적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2방 밸브를 사용한 경우, 순간적으로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2방 밸브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대형화함과 동시에 소비 전력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2방 밸브에서는, 배출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없다.
배출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서 스풀 밸브가 알려져 있다. 스풀 밸브는 예를 들면, 복수의 포트가 형성된 밸브 바디의 밸브 챔버에 스풀을 배치하고 설치하여, 이러한 스풀을 축선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시킴으로써, 각 포트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스풀 밸브로서, 밸브 바디에 설치된 비례제어 솔레노이드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스풀을 직접 위치 변경시켜 스풀의 2차측 압력을 정상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적 사상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특개평8-285123호 공보 참조).
일본공개특허 특개평8-285123호 공보
위에서 서술한 일본공개특허 특개평8-28512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스풀 밸브는, 전자기력으로 스풀을 움직이는 솔레노이드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대유량의 압력 유체를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대형화함과 동시에 소비 전력이 증대되는 문제점은 해소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배출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대유량의 압력 유체를 배출시키는 경우라도 소형화 및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스풀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풀 밸브는, 밸브 챔버와, 상기 밸브 챔버를 구성하는 벽면에 개방되어 압력 유체가 흐르는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가 형성된 밸브 바디와,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출력 포트가 연통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출력 포트의 연통이 차단되는 제2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 챔버에 배치되고 설치된 스풀과, 상기 밸브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의 일측 끝면에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작용시켜 해당 스풀을 축선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시키는 파일럿 밸브 기구와, 상기 스풀을 축선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풀 밸브에 의하면,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스풀을 축선 방향으로 위치 변경시키므로, 배출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있고, 대유량의 압력 유체를 배출시키는 경우라도 솔레노이드 방식인 종래의 스풀 밸브와 비교하여 스풀 밸브의 소형화 및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스풀의 일측 끝면에 직접 작용시키기 때문에,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받아들이는 피스톤 등을 스풀에 연결할 필요가 없이, 스풀 밸브의 고속 응답화 및 컴팩트화를 적절히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스풀 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밸브 기구는, 상기 스풀의 일측 끝면에 상기 파일럿 유체를 공급하는 파일럿 유체 공급로와, 상기 파일럿 유체를 배출하는 파일럿 유체 배출로와, 상기 파일럿 유체 공급로에 설치된 비례제어 밸브를 가지며, 상기 스풀은, 상기 비례제어 밸브의 개방 정도에 대응하여 위치 변경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비례제어 밸브의 개방 정도에 대응하여 스풀을 위치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출력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비례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스풀 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일측 끝면에 작용하는 상기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취득하는 제1 압력 취득수단과, 상기 출력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압력 유체의 압력을 취득하는 제2 압력 취득수단과, 상기 제1 압력 취득수단에서 취득된 압력과 상기 제2 압력 취득수단에서 취득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비례제어 밸브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출력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소망하는 압력(유량)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스풀 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밸브 기구는, 상기 스풀의 일측 끝면에 상기 파일럿 유체를 공급하는 파일럿 유체 공급로와, 상기 파일럿 유체를 배출하는 파일럿 유체 배출로와, 상기 파일럿 유체 공급로를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로 절환하는 공급 밸브와, 상기 파일럿 유체 배출로를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로 절환하는 배출 밸브와, 상기 공급 밸브를 제어하는 공급 밸브 제어부와, 상기 배출 밸브를 제어하는 배출 밸브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급 밸브와 배출 밸브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스풀의 일측 끝면에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상기의 스풀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는 개방시간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급 밸브 제어부는, 상기 개방시간 설정부로 설정된 개방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밸브를 개폐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개방시간 설정부에서 설정된 공급 밸브의 개방 시간에 대응하여 스풀을 위치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출력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스풀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절환하여 상기 배출 밸브가 개방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대기시간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밸브 제어부는, 상기 공급 밸브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절환하여 상기 대기시간 설정부로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사이, 상기 배출 밸브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급 밸브를 차단시켜 배출 밸브가 개방될 때까지의 사이의 대기 시간을 대기시간 설정부에서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압력 유체가 출력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시간을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스풀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 제어부는, 복수회 연속하여 상기 공급 밸브를 개폐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간단한 구성으로, 출력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단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스풀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 제어부는, 복수회 연속하여 상기 배출 밸브를 개폐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간단한 구성으로, 출력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단계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의 스풀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 제어부는, 상기 공급 밸브의 열림 상태에서 상기 배출 밸브를 개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급 밸브를 차단한 상태에서 배출 밸브를 개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출력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서서히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의 스풀 밸브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밸브 기구는, 상기 파일럿 유체 공급로에 설치된 비례제어 밸브를 가지며, 상기 공급 밸브 제어부는, 상기 비례제어 밸브의 열림 상태에서 상기 공급 밸브를 개폐하고, 상기 배출 밸브 제어부는, 상기 비례제어 밸브의 열림 상태에서 상기 배출 밸브를 개폐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출력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소망하는 압력(유량)으로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스풀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에는, 상기 밸브 챔버를 구성하는 벽면에 개방되는 배출 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출력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가 연통하고, 상기 스풀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출력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연통이 차단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의 연통이 차단된 상태에서 출력 포트와 배출 포트가 연통되므로, 출력 포트의 압력 유체를 출력 포트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포트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해당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빨리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스풀을 축선 방향으로 위치 변경시키므로, 배출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대유량의 압력 유체를 배출시키는 경우라도 솔레노이드 방식의 종래 스풀 밸브와 비교하여 스풀 밸브의 소형화 및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스풀의 일측 끝면에 직접 작용시키므로,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받아들이는 피스톤 등을 스풀에 연결할 필요가 없이, 스풀 밸브의 고속 응답화 및 컴팩트화를 적절히 도모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실제예를 통하여 설명되는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풀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스풀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스풀 밸브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스풀 밸브를 구성하는 스풀이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 스풀 밸브의 제어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풀 밸브의 제어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풀 밸브의 제어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3 변형예에 따른 스풀 밸브의 제어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풀 밸브의 제어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5 변형예에 따른 스풀 밸브의 제어 방법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풀 밸브에 관하여 그 제어 방법과의 관계에서 적절한 실시 형태를 예시하고,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풀 밸브(10)는, 스풀 밸브 본체(12)와 스풀 밸브 본체(12)에 설치된 파일럿 밸브 기구(14)와, 파일럿 밸브 기구(14)를 둘러싸 감싸는 커버부(18)와,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과 같이, 스풀 밸브 본체(12)는, 블록 형상의 밸브 바디(22)와, 밸브 바디(22)의 일측 끝면에 개방된 밸브 챔버(24)에 배치되고 설치된 원통 형상의 슬리브(26)와, 슬리브(26)의 축선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 가능(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서 슬리브(26) 내에 배치되고 설치된 스풀(28, 메인 밸브)과, 스풀(28)을 일단측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30)과, 슬리브(26)의 축선 방향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원형 링 형상인 엔드 플레이트(32, 34)와, 밸브 바디(22)의 일측 끝면에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36)를 가지고 있다.
밸브 바디(22)에는 밸브 챔버(24)를 구성하는 벽면 중 스풀(28)의 일단측을 지향하여 엔드 플레이트(32)가 맞닿아 접하는 당접면(37)으로 개방된 호흡 포트(38)가 형성되어 있다. 호흡 포트(38)는, 스풀(28)의 타단측의 에어를 흡배기한다. 또한, 밸브 바디(22)에는, 밸브 챔버(24)를 구성하는 벽면에 개방된 입력 포트(40), 출력 포트(42) 및 배출 포트(44, 배기 포트)가 이러한 순번으로 스풀(28)의 축선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입력 포트(40)와 배출 포트(44) 사이에 출력 포트(42)가 위치하고 있다.
도 6으로부터 잘 알 수 있듯이, 입력 포트(40)는, 압력 유체 공급원(46)에 접속된 압력 유체 공급로(48)와 연통하고, 출력 포트(42)는, 노즐(50)에 접속된 압력 유체 배출로(52)와 연통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풀 밸브(10)는, 압력 유체를 노즐(50)로부터 분사시켜 씨줄을 분출하는 에어제트 직조기에 사용할 수 있다.
슬리브(26)에는, 입력 포트(40)와 연통하는 제1 홀부(54)와, 출력 포트(42)와 연통하는 제2 홀부(56)와, 배출 포트(44)와 연통하는 제3 홀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26)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32, 34)에 의하여 밀착 지지됨으로써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슬리브(26)의 외측 둘레면에는, 씰 부재(60)를 배치하고 설치하기 위한 복수(도시예에서는 4개)의 링 홈(6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링 홈(64)들은, 제1 내지 제3 홀부(54, 56, 58) 각각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스풀(28)은, 슬리브(26)의 전체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으며, 원기둥 부재의 축선 방향의 대략 중앙에 링 형상 오목부(66)를 형성한 것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스풀(28)은, 한 쌍의 대 직경부(68, 70)가 잘록부(72)를 통하여 연결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대 직경부(68, 70) 각각의 외측 둘레면은 슬리브(26)의 내면에 슬라이딩하여 접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28)의 타측 끝면이 슬리브(26)의 타단에 위치한 상태(스풀(28)이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입력 포트(40)와 출력 포트(42)가 링 형상 오목부(66)를 통하여 연통함과 동시에 출력 포트(42)와 배출 포트(44)의 연통이 차단된다(도 3 참조). 또한, 스풀(28)의 일측 끝면이 슬리브(26)의 일단에 위치한 상태(스풀(28)이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입력 포트(40)와 출력 포트(42)의 연통이 차단됨과 동시에 출력 포트(42)와 배출 포트(44)가 링 형상 오목부(66)를 통하여 연통된다(도 7 참조).
스프링(30)으로서는,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스프링(30)은, 그 일단부가 스풀(28)의 타측 끝면에 형성된 오목부(71)에 배치되어 설치됨과 동시에 그 타단부가 밸브 챔버(24)를 구성하는 상기 당접면(37)에 형성된 오목부(73)에 배치되고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풀(28)이 스프링(30)에 의하여 일단측으로 밀어붙여지게 된다.
지지 플레이트(36)는, 엔드 플레이트(34)가 장착된 상태에서 밸브 바디(22)에 볼트(74, 도 2 및 도 5 참조)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6)에는, 엔드 플레이트(34) 중심의 홀부(76)를 통하여 슬리브(26) 내(밸브 챔버(24))에 연통하는 연통로(78)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36)에는,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작용하는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취득하는 제1 압력 센서(80, 제1 압력 취득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압력 센서(80)는, 엔드 플레이트(34)에 형성된 관통홀(82)을 통하여 슬리브(26, 밸브 챔버(24))로부터 공급되는 파일럿 유체와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28)의 2차측 압력을 취득하는 제2 압력 센서(84, 제2 압력 취득수단)가 압력 유체 배출로(52)에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파일럿 밸브 기구(14)는,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것이며, 어댑터 플레이트(86), 비례제어 밸브(88), 공급 밸브(90) 및 배출 밸브(92)를 가지고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86)는, 지지 플레이트(36)의 일측 끝면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어댑터 플레이트(86)에는, 파일럿 유체를 스풀(28)의 일측 끝면으로 공급하기 위한 파일럿 유체 공급로(94)와, 파일럿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파일럿 유체 배출로(96)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파일럿 유체 공급로(94)는, 압력 유체 공급로(48)와 접속되어 있다. 파일럿 유체 공급로(94)와 파일럿 유체 배출로(96)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는 뒤에서 설명할 것이다.
비례제어 밸브(88)는, 파일럿 유체 공급로(94)를 개폐하는 것이며, 비례제어 밸브 본체(98)와, 파일럿 유체가 공급되는 제1 포트(100)와, 파일럿 유체가 배출되는 제2 포트(102)를 가지고 있다(도 3 참조).
도 6으로부터 잘 알 수 있듯이, 공급 밸브(90)는, 파일럿 유체 공급로(94)를 개폐하는 2방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비례제어 밸브(88)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공급 밸브(90)는, 공급 밸브 본체(104)와, 파일럿 유체가 공급되는 제1 포트(106)와, 파일럿 유체가 배출되는 제2 포트(108)를 가지고 있다(도 4 참조).
배출 밸브(92)는, 파일럿 유체 배출로(96)를 개폐하는 2방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배출 밸브(92)는, 배출 밸브 본체(110)와, 파일럿 유체가 공급되는 제1 포트(112)와, 파일럿 유체가 배출되는 제2 포트(114)를 가지고 있다(도 5 참조).
파일럿 유체 공급로(94)는, 압력 유체 공급로(48)의 압력 유체를 비례제어 밸브(88)의 제1 포트(100)로 공급하는 제1 공급로(116)와, 상기 압력 유체를 공급 밸브(90)의 제1 포트(106)로 공급하는 제2 공급로(118)와, 비례제어 밸브(88)의 제2 포트(102)로부터 배출되는 파일럿 유체를 스풀(28)의 일측 끝면으로 공급하는 제3 공급로(120)와, 공급 밸브(90)의 제2 포트(108)로부터 배출되는 파일럿 유체를 스풀(28)의 일측 끝면으로 공급하는 제4 공급로(122)를 포함한다. 제1 공급로(116)와 제2 공급로(118)가 연통되고, 제3 공급로(120)와 제4 공급로(122)가 연통된다.
파일럿 유체 배출로(96)는, 스풀(28)의 일측 끝면으로 공급된 파일럿 유체를 배출 밸브(92)의 제1 포트(112)로 배출하는 제1 배출로(124)와, 배출 밸브(92)의 제2 포트(114)로부터 배출된 파일럿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출로(126)를 포함한다. 제1 배출로(124)는, 제3 공급로(120) 및 제4 공급로(122)와 연통하고 있다.
제어부(20)는, 제1 압력 센서(80), 비례제어 밸브(88), 공급 밸브(90) 및 배출 밸브(9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도시예에서는 3개)의 배선판(127, 128, 129)과, 배선판(129)에 설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외부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130)를 가지고 있다.
도 6과 같이, 제어부(20)는,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 공급 밸브 제어부(134), 배출 밸브 제어부(136), 개방시간 설정부(138) 및 대기시간 설정부(140)를 가지고 있으며, 외부기기와의 통신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제어부(20)와 외부기기 사이의 신호(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의 송수신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압력 파형 신호)를 받아들여, 해당 신호에 기초하여 비례제어 밸브(88), 공급 밸브(90) 및 배출 밸브(92)를 개폐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제1 압력 센서(80) 및 제2 압력 센서(84)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받아들여 비례제어 밸브(88), 공급 밸브(90) 및 배출 밸브(92)를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 공급 밸브 제어부(134), 배출 밸브 제어부(136), 개방시간 설정부(138) 및 대기시간 설정부(14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배선판(127, 128, 129)에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외부기기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 공급 밸브 제어부(134), 배출 밸브 제어부(136), 개방시간 설정부(138) 및 대기시간 설정부(140)를 외부기기에 설치한 경우에는, 배선판(127, 128, 129)을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예를 들면, 복수의 배선판(127, 128, 129) 중 어느 하나를 삭감할 수 있다), 스풀 밸브(10)의 보다 더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는, 제1 압력 센서(80) 및 제2 압력 센서(84)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비례제어 밸브(88)의 개방 정도를 제어한다. 공급 밸브 제어부(134)는 공급 밸브(90)를 개폐 제어하고, 배출 밸브 제어부(136)는 배출 밸브(92)를 개폐 제어한다. 개방시간 설정부(138)는 공급 밸브(9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고, 대기시간 설정부(140)는 공급 밸브(90)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절환하면 배출 밸브(92)가 개방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설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풀 밸브(10)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것이며, 이하, 이러한 스풀 밸브(10)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비례제어 밸브(88), 공급 밸브(90), 배출 밸브(92)의 각각은, 차단되어 있다. 즉, 스풀 밸브 본체(12)에 파일럿 유체가 공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30)에 의하여 밀어 눌려진 스풀(28)은 제2 위치에 위치하여 있다(도 7 참조). 즉, 입력 포트(40)와 출력 포트(42)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노즐(50)로부터 압력 유체가 분출되는 것이 정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방법에서는, 우선, 개방시간 설정부(138)가 공급 밸브(90)의 개방시간을 시간(t1)으로 설정하고, 대기시간 설정부(140)가 대기시간을 시간(t2)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시간(t1, t2)은, 예를 들면, 노즐(50)로부터 분출되는 압력 유체에 필요한 압력이나 유량 등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미리 제어부(20)에 기억되어 있다.
계속하여, 도 8과 같이, 공급 밸브 제어부(134)는, 개방시간 설정부(138)에서 설정된 시간(t1)만큼 공급 밸브(90)를 개방한다. 공급 밸브(90)가 개방되면, 공급 밸브(90)의 제2 포트(108)로부터 배출되는 파일럿 유체가 제4 공급로(122), 지지 플레이트(36)의 연통로(78), 엔드 플레이트(34)의 홀부(76)를 통하여 스풀(28)의 일측 끝면으로 공급된다. 즉, 파일럿 유체의 압력이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작용한다. 이렇게 하면, 스풀(28)은, 스프링(30)을 압축시키면서 타단측으로 위치 변경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28)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위치 변경한다. 이때,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작용하는 파일럿 유체의 압력(제1 압력이라 칭한다)은 P1a가 된다.
또한, 스풀(28)이 제1 위치까지 위치 변경하면, 입력 포트(40)와 출력 포트(42)가 연통하기 때문에, 입력 포트(40)의 압력 유체가 스풀(28)의 링 형상 오목부(66)를 통하여 출력 포트(42)에 연통된다. 그리고, 출력 포트(42)로 공급된 압력 유체는, 압력 유체 배출로(52)를 통하여 노즐(50)로부터 분출된다. 이때, 압력 유체 배출로(52)를 흐르는 압력 유체의 압력(제2 압력이라 칭한다)은 P1b가 된다.
그리고, 공급 밸브(90)가 차단되면, 제1 압력이 P1a로 유지됨과 동시에 제2 압력이 P1b로 유지된다. 즉, 노즐(50)로부터는 일정 압력의 압력 유체가 분출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배출 밸브 제어부(136)는, 공급 밸브(90)가 차단되면 시간(t2)이 경과하기까지 배출 밸브(92)의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하면, 그 닫힘 상태의 사이, 압력 유체가 노즐(50)로부터 계속하여 분출하게 된다. 이때, 제2 압력은 P1b로 유지된다.
또한, 배출 밸브 제어부(136)는, 공급 밸브(90)의 차단으로부터 시간(t2)이 경과한 후에 배출 밸브(92)를 개폐한다. 배출 밸브(92)가 개방되면, 파일럿 유체가 제1 배출로(124), 배출 밸브(92)의 제1 포트(112), 배출 밸브(92)의 제2 포트(114), 제2 배출로(12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면, 제1 압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스프링(30)에 밀어 눌려진 스풀(28)이 제2 위치로 복귀한다.
스풀(28)이 제2 위치로 복귀하면, 입력 포트(40)와 출력 포트(42)의 연통이 차단됨과 동시에, 출력 포트(42)와 배출 포트(44)가 연통된다. 따라서, 압력 유체 배출로(52)의 압력 유체는, 출력 포트(42), 스풀(28)의 링 형상 오목부(66), 배출 포트(4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노즐(50)로부터의 압력 유체의 분출이 정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스풀(28)을 축선 방향으로 위치 변경시키므로,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유량(배출 유량)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 방식의 종래 스풀 밸브와 비교하여 스풀 밸브(10)의 소형화 및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직접 작용시키므로,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피스톤 등을 스풀(28)에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스풀 밸브(10)의 고속 응답화 및 컴팩트화를 적절히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포트(40)와 출력 포트(42)의 연통이 차단된 상태에서 출력 포트(42)와 배출 포트(44)가 연통되므로, 출력 포트(42)의 압력 유체를 배출 포트(44)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포트(44)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해당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빠르게 저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공급 밸브(90)와 배출 밸브(92)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위에서 서술한 제어를 행할 경우에는, 비례제어 밸브(88) 및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를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스풀 밸브(10)의 구성을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후술할 제1 변형예 및 제3 변형예에 관하여도 같다.
(제1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스풀 밸브(10)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9와 같이, 우선, 개방시간 설정부(138)가 공급 밸브(90)의 개방시간을 시간(t3)으로 설정하고, 대기시간 설정부(140)가 대기시간을 시간(t4)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시간(t3)은 시간(t1)의 1/2의 시간이며, 시간(t4)은 시간(t2)의 1/2의 시간이다. 이들 시간(t3, t4)은, 예를 들면, 노즐(50)로부터 분출되는 압력 유체에 필요한 압력이나 유량 등에 기초하여 정해지며, 미리 제어부에 기억되어 있다.
계속하여, 공급 밸브 제어부(134)는, 개방시간 설정부(138)에서 설정된 시간(t3)만큼 공급 밸브(90)를 개방한다. 공급 밸브(90)가 개방되면, 스풀(28)이 스프링(30)을 압축시키면서 타단측으로 위치 변경한다. 이때, 제1 압력이 P2a(P1a의 1/2의 압력)가 되므로, 스풀(28)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제1 압력이 P1a인 경우와 비교하여, 입력 포트(40)와 출력 포트(42)의 연통로의 개방 정도가 작아지기(1/2이 되기) 때문에, 압력 유체 배출로(52)의 압력 유체의 압력(제2 압력)은 P2b(P1b의 1/2의 압력)이 된다. 그리고, 공급 밸브(90)가 차단되면, 제1 압력이 P2a로 유지됨과 동시에 제2 압력이 P2b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배출 밸브 제어부(136)는, 공급 밸브(90)가 차단되면 시간(t4)이 경과하기까지 배출 밸브(92)의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하면, 그 닫힘 상태의 사이, 압력 유체가 노즐(50)로부터 계속 분출하게 된다. 이때, 제2 압력은 P2b로 유지된다.
또한, 배출 밸브 제어부(136)는, 공급 밸브(90)의 차단으로부터 시간(t4)이 경과한 후에 배출 밸브(92)를 개폐한다. 배출 밸브(92)가 개방되면, 스풀(28)이 제2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노즐(50)로부터의 압력 유체의 분출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로부터 잘 알 수 있듯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급 밸브(90)의 개방시간(시간(t1, t3))을 제어함으로써,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공급 밸브(90)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절환되면 배출 밸브(92)가 개방되기까지의 대기시간(시간(t2, t4))을 제어함으로써, 압력 유체가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개방시간 설정부(138)에서 설정된 공급 밸브(90)의 개방시간에 대응하여 스풀(28)을 위치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공급 밸브(90)를 차단시키면 배출 밸브(92)가 개방되기까지의 사이의 대기시간을 대기시간 설정부(140)에서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압력 유체가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시간을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다.
(제2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스풀 밸브(10)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0과 같이, 배출 밸브 제어부(136)가 배출 밸브(92)를 개방함과 동시에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가 비례제어 밸브(88)를 개방한다. 비례제어 밸브(88)가 개방되면, 비례제어 밸브(88)의 제2 포트(102)로부터 배출되는 파일럿 유체가 제3 공급로(120), 지지 플레이트(36)의 연통로(78), 엔드 플레이트(34)의 홀부(76)를 통하여 스풀(28)의 일측 끝면으로 공급된다. 즉, 파일럿 유체의 압력이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작용한다. 이렇게 하면, 스풀(28)은, 스프링(30)을 압축시키면서 타단측으로 위치 변경한다. 스풀(28)이 타단측으로 위치 변경하면, 입력 포트(40)와 출력 포트(42)가 연통되므로,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가 노즐(50)로부터 분출된다.
이때, 배출 밸브(92)는 개방되어 있으며, 비례제어 밸브(88)로부터의 유입량이 배출 밸브(92)의 배출량을 웃돌게 되므로,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작용하는 파일럿 유체의 압력 및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는, 제1 압력 센서(80)에서 취득된 압력과 제2 압력 센서(84)에서 취득된 압력에 기초하여 비례제어 밸브(88)의 개방 정도를 제어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는, 비례제어 밸브(88)의 개방 정도를 서서히 크게 한다. 이렇게 하면, 제1 압력 및 제2 압력이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는, 비례제어 밸브(88)의 개방 정도를 서서히 작게 한다. 이렇게 하면, 제1 압력 및 제2 압력이 서서히 저하하게 된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가 비례제어 밸브(88)를 차단함과 동시에 배출 밸브 제어부(136)가 배출 밸브(92)를 차단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비례제어 밸브(88)의 개방 정도에 따라 스풀(28)을 위치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비례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가 제1 압력 센서(80)에서 취득된 압력과 제2 압력 센서(84)에서 취득된 압력에 기초하여 비례제어 밸브(88)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고 있으므로,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소망하는 압력(유량)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위에서 서술한 제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는, 비례제어 밸브(88)의 개방 정도를 단계적으로 크게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1 압력 및 제2 압력은, 단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는, 비례제어 밸브(88)의 개방 정도를 서서히(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작게 하여도 무방하다.
본 변형예를 행할 경우에는, 공급 밸브(90) 및 공급 밸브 제어부(134)를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스풀 밸브(10)의 구성을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배출 밸브(92) 및 배출 밸브 제어부(136)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럿 유체 배출로(96)로부터 항상 일정량의 파일럿 유체가 배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출량보다도 많은 양의 파일럿 유체를 비례제어 밸브(88)의 제2 포트(102)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풀 밸브(10)의 구성을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제3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스풀 밸브(10)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1과 같이, 공급 밸브 제어부(134)가 공급 밸브(90)를 복수회(도시예에서는 2회) 연속하여 개폐한 후, 배출 밸브 제어부(136)가 배출 밸브(92)를 복수회(도시예에서는 2회) 연속하여 개폐한다. 이렇게 하면, 제1 압력 및 제2 압력이 단계적으로 상승한 후, 단계적으로 저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단계적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단계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제4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스풀 밸브(10)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2와 같이, 공급 밸브 제어부(134)가 공급 밸브(90)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배출 밸브 제어부(136)가 배출 밸브(92)를 개방한다. 이렇게 하면, 제1 압력 및 제2 압력은, 상승하여 일정 압력에 도달한 후, 비교적 완만하게 저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하면, 공급 밸브(90)를 차단한 상태에서 배출 밸브(92)를 개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완만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제5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따른 스풀 밸브(10)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도 13과 같이,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가 비례제어 밸브(88)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공급 밸브 제어부(134)가 공급 밸브(90)를 개폐하고, 배출 밸브 제어부(136)가 배출 밸브(92)를 개폐한다. 이렇게 하면, 제1 압력 및 제2 압력은, 완만히 상승한 후, 크게 상승하고, 크게 저하한 후에 완만하게 저하하게 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비례제어 밸브(88)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급 밸브(90) 및 배출 밸브(92)를 개폐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압력(유량)을 소망하는 압력(유량)으로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변형예는, 위에서 서술한 제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비례제어 밸브(88)의 열림 상태에서 공급 밸브 제어부(134)는 공급 밸브(90)를 복수회 개폐하여도 좋으며, 배출 밸브 제어부(136)는 배출 밸브(92)를 복수회 개폐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관하여 적절한 실시 형태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량과 변형이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10...스풀 밸브 12...스풀 밸브 본체
14...파일럿 밸브 기구 22...밸브 바디
24...밸브 챔버 28...스풀
30...스프링 40...입력 포트
42...출력 포트 44...배출 포트
80...제1 압력 센서(제1 압력 취득수단)
84...제2 압력 센서(제2 압력 취득수단)
88...비례제어 밸브 90...공급 밸브
92...배출 밸브 94...파일럿 유체 공급로
96...파일럿 유체 배출로 132...비례제어 밸브 제어부
134...공급 밸브 제어부 136...배출 밸브 제어부
138...개방시간 설정부 140...대기시간 설정부

Claims (11)

  1. 밸브 챔버(24)와, 상기 밸브 챔버(24)를 구성하는 벽면에 개방되어 압력 유체가 흐르는 입력 포트(40) 및 출력 포트(42)가 형성된 밸브 바디(22)와,
    상기 입력 포트(40)와 상기 출력 포트(42)가 연통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입력 포트(40)와 상기 출력 포트(42)의 연통이 차단되는 제2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 챔버(24)에 배치되고 설치된 스풀(28)과,
    상기 밸브 바디(22)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작용시켜 해당 스풀(28)을 축선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시키는 파일럿 밸브 기구(14)와,
    상기 스풀(28)을 축선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30)과,
    상기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작용하는 상기 파일럿 유체의 압력을 취득하는 제1 압력 취득수단(80)과,
    상기 출력 포트(42)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압력 유체의 압력을 취득하는 제2 압력 취득수단(84)과,
    상기 파일럿 밸브 기구(14)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일럿 밸브 기구(14)는, 상기 스풀(28)의 일측 끝면에 상기 파일럿 유체를 공급하는 파일럿 유체 공급로(94)와,
    상기 파일럿 유체를 배출하는 파일럿 유체 배출로(96)와,
    상기 파일럿 유체 공급로(94)를 개폐하는 비례제어 밸브(88)와,
    상기 파일럿 유체 공급로(94)를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로 절환하는 공급 밸브(90)와,
    상기 파일럿 유체 배출로(96)를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로 절환하는 배출 밸브(92)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력 취득수단(80)에서 취득된 압력과 상기 제2 압력 취득수단(84)에서 취득된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비례제어 밸브(88)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비례제어 밸브 제어부(132)와,
    상기 공급 밸브(90)를 제어하는 공급 밸브 제어부(134)와,
    상기 배출 밸브(92)를 제어하는 배출 밸브 제어부(136)를 포함하고,
    상기 스풀(28)은, 상기 비례제어 밸브(88)의 개방 정도에 대응하여, 또한 상기 공급 밸브(90) 및 상기 배출 밸브(92)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위치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90)의 개방 시간을 설정하는 개방시간 설정부(138)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급 밸브 제어부(134)는, 상기 개방시간 설정부(138)로 설정된 개방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밸브(90)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90)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절환하여 상기 배출 밸브(92)가 개방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설정하는 대기시간 설정부(1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 밸브 제어부(136)는, 상기 공급 밸브(90)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절환하여 상기 대기시간 설정부(140)로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사이, 상기 배출 밸브(92)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 제어부(134)는, 복수회 연속하여 상기 공급 밸브(90)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 제어부(136)는, 복수회 연속하여 상기 배출 밸브(92)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 제어부(136)는, 상기 공급 밸브(90)의 열림 상태에서 상기 배출 밸브(92)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 제어부(134)는, 상기 비례제어 밸브(88)의 열림 상태에서 상기 공급 밸브(90)를 개폐하고,
    상기 배출 밸브 제어부(136)는, 상기 비례제어 밸브(88)의 열림 상태에서 상기 배출 밸브(92)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22)에는, 상기 밸브 챔버(24)를 구성하는 벽면에 개방되는 배출 포트(44)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28)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출력 포트(42)와 상기 배출 포트(44)가 연통하고, 상기 스풀(28)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출력 포트(42)와 상기 배출 포트(44)의 연통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KR1020140041187A 2013-04-08 2014-04-07 스풀 밸브 KR101614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80458 2013-04-08
JP2013080458A JP5574201B1 (ja) 2013-04-08 2013-04-08 スプール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793A KR20140121793A (ko) 2014-10-16
KR101614454B1 true KR101614454B1 (ko) 2016-04-21

Family

ID=5156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187A KR101614454B1 (ko) 2013-04-08 2014-04-07 스풀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10639B2 (ko)
JP (1) JP5574201B1 (ko)
KR (1) KR101614454B1 (ko)
CN (1) CN104100732B (ko)
DE (1) DE102014104202B4 (ko)
TW (1) TWI5532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6405A (ja) * 2015-02-23 2016-09-01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パイロットバルブ
JP6314903B2 (ja) * 2015-05-08 2018-04-25 Smc株式会社 流路ユニット及び切換弁
JP6714397B2 (ja) * 2016-03-08 2020-06-24 株式会社サタケ 圧電式バルブ、該圧電式バルブの駆動方法、及び該圧電式バルブを利用した噴風手段を備える光学式粒状物選別機
JP1569588S (ko) * 2016-05-31 2017-02-20
JP1565548S (ko) * 2016-05-31 2016-12-19
WO2018164669A1 (en) 2017-03-07 2018-09-13 Asco, L.P. A device and method for anticipating failure in a solenoid valve for a manifold assembly
CN110475995B (zh) 2017-09-18 2021-01-08 阿斯科公司 用于监测阀歧管组件中的响应时间的装置和方法
JP6889674B2 (ja) * 2018-03-09 2021-06-18 Kyb株式会社 制御弁
US10711915B2 (en) * 2018-11-20 2020-07-14 Mac Valves, Inc. Pilot actuated control pilot for operating valve
US20230116100A1 (en) * 2021-10-12 2023-04-13 Parker-Hannifin Corporation Valve bank and smart control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3624A (en) * 1967-08-29 1972-01-11 Parker Hannifin Corp Solenoid-operated valve assembly
US3580281A (en) * 1969-10-07 1971-05-25 Sanders Associates Inc Control valve
US3653409A (en) * 1971-01-04 1972-04-04 Rex Chainbelt Inc Power assist servo control for a valve
US3918488A (en) * 1971-06-30 1975-11-11 Komatsu Mfg Co Ltd Control valves for steering clutches and brakes
JPH07103360A (ja) * 1993-09-30 1995-04-18 Tokico Ltd 流量制御弁
JP3625521B2 (ja) 1995-04-17 2005-03-02 株式会社トキメック 比例電磁式スプール弁
GB2314901B (en) 1996-07-02 2001-02-14 Luk Getriebe Systeme Gmbh Fluid-operated regul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913577A (en) 1996-12-09 1999-06-22 Caterpillar Inc. Pilot stage of an electrohydraulic control valve
JP2000046233A (ja) * 1998-07-31 2000-02-18 Shimadzu Corp 油圧弁
JP4211002B2 (ja) * 2004-04-22 2009-01-21 Smc株式会社 連接形電磁弁
JP4228370B2 (ja) 2004-10-25 2009-02-25 Smc株式会社 電磁パイロット式切換弁
US8678033B2 (en) 2010-03-24 2014-03-25 Eaton Corporation Proportional valve employing simultaneous and hybrid actuation
DE102011101187B4 (de) 2011-05-11 2014-09-04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Druckminderer
CN102650305B (zh) * 2012-05-02 2015-01-28 浙江工业大学 2d液压助力电液比例换向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02313A (ja) 2014-10-27
DE102014104202B4 (de) 2022-10-13
CN104100732A (zh) 2014-10-15
US9410639B2 (en) 2016-08-09
CN104100732B (zh) 2017-04-26
DE102014104202A1 (de) 2014-10-09
TW201506285A (zh) 2015-02-16
KR20140121793A (ko) 2014-10-16
TWI553250B (zh) 2016-10-11
US20140299799A1 (en) 2014-10-09
JP5574201B1 (ja)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454B1 (ko) 스풀 밸브
JP2004308909A (ja) フォース・フィードバック付油圧ポペットバルブ
WO2008144044A3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valve and systems containing same
JP6289358B2 (ja) 間欠エア吐出装置
CA2693851A1 (en) Clog resistant pilot valve
KR20140022026A (ko) 공압 구동기 제어용 포핏밸브 조립체
JP6076880B2 (ja) 制御弁
WO2008151565A1 (fr) Valve de réglage de la pression
US10627007B2 (en) Fluid control valve
JP2003083300A (ja) 真空製造装置
WO2014080664A1 (ja) 間欠エア吐出装置
CN115013561B (zh) 一种带安全模式的电磁阀
US8549853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pressure switch
CN204493850U (zh) 一种无需恒压纯机械自动连续开闭自驱动气动脉冲阀
CN112703323A (zh) 流体压力缸
JP6557246B2 (ja) 間歇エア発生装置
CN109844327B (zh) 间歇空气产生装置
CN104776076B (zh) 电动液压控制阀
EP3066346B1 (en) Booster valve for pneumatic circuits
KR102249295B1 (ko) 방폭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240049175A (ko) 간헐 에어 토출용 유체 회로
US9279517B2 (en) Valve assembly, in particular for use in pneumatic networks
CN108518374B (zh) 电磁卸荷阀
CN117823482A (zh) 一种电比例恒压控制器及液压元件
EP3187814B1 (en) Pneumatic fi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