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346B1 - 분전반용 하우징 - Google Patents

분전반용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346B1
KR101614346B1 KR1020130167443A KR20130167443A KR101614346B1 KR 101614346 B1 KR101614346 B1 KR 101614346B1 KR 1020130167443 A KR1020130167443 A KR 1020130167443A KR 20130167443 A KR20130167443 A KR 20130167443A KR 101614346 B1 KR101614346 B1 KR 101614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tribution board
guide rail
guid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233A (ko
Inventor
박기주
백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3016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3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용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분전반용 하부징 내부에 쌓이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분전반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방 덮개부를 구비하는 분전반용 하우징으로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바닥부;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 내부의 하부에서 하부면이 상기 바닥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분전반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전반용 하우징{CABINET PANEL}
본 발명은 분전반용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분전반용 하부징 내부에 쌓이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분전반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차단기나 보호계전기 등과 같은 단위 기기를 부착, 지지하는 구조물과 상기 단위 기기를 접속 및 연결시키는 도체물(부스바(Busbar), 케이블 등)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용 전압에 따라 초고압, 고압, 저압 배전반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분전반에서 전력을 전달하는 주회로는 도체물인 부스바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스바는 분전반 등에서 전력 공급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부품이다.
그리고 분전반은 통상 건물단위, 동단위, 선박단위, 소규모 수용가 단위로 설치되고 있는데, 선박과 같이 분전반 설치장소는 수시로 진동하거나 움직임으로써 안정되지 못한 상태에 놓여 질 경우, 그 진동이나 충격이 그대로 분전반에 전달되고 이렇게 분전반에 전달된 진동이나 충격은 배선용 차단기의 기구적인 트립이나 오작동을 유발시켜 선박 내 전력공급에 차질을 초래해 오고 있다.
또한, 분전반이 미세먼지가 다량 발생하는 장소에 설치되거나 계절 변화에 따라 설치장소에 습도가 높아지는 경우, 분전반 내부에 쌓이는 미세먼지 또는 분전반 하부에 고이는 수분으로 인해 배선용 차단기 등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기술에 따른 분전반은 분전반을 최대한 밀폐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주위의 고온이나 자체 발열에 의해 분전반의 내부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므로 그 내부에 장착된 배선용 차단기가 열화되어 정상적인 작동력을 상실하게 되거나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분전반은 분전반의 바닥면에 쌓이는 미세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그대로 적재될 수 밖에 없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분전반 덮개를 개방하여 진공 청소기 또는 걸레 등의 별도의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분전반용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전반 내부에 쌓이는 이물질을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분전반용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방 덮개부를 구비하는 분전반용 하우징으로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바닥부;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 내부의 하부에서 하부면이 상기 바닥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분전반용 하우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하부면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다공성 발포재로 구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변형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부 지지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의 전면 테두리부 및 후면부에는,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가이드하고 서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의 전방면 및 후방면으로부터 각각 전방방향으로 및 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용 연장부 및 제2 가이드용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이드용 연장부 및 상기 제2 가이드용 연장부는, 상기 제1 가이드용 연장부의 상면 및 상기 제2 가이드용 연장부의 상면이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의 하면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의 하면과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1 가이드용 연장부 및 상기 제2 가이드용 연장부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 삽입용 절개부 및 제2 삽입용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탄성변형부의 좌우 양측면을 파지하도록 상기 상부 지지부의 좌우 양단부에서 하부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토퍼의 높이 및 상기 제2 스토퍼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의 하면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의 하면까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부에 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쐐기형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지지부의 상부면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탄성변형부의 높이가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의 하면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의 하면까지의 높이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부에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부분의 면적은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하부면의 면적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분전반용 하우징의 바닥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함으로써, 분전반 내부에 쌓이는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을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분전반 내부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분전반의 성능저하 및 오작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분전반용 하우징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탄성변형부를 슬라이더에 탈착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탄성변형부의 오염이 심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변형부를 용이하게 새로운 탄성변형부로 교체할 수 있어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전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하우징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절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하우징에서 이물질 제거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참고로, 이하에서, "전방" 또는 "전방 부분" 또는 "전방 방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분전반용 하우징을 기준으로 분전반용 하우징에서 전방 덮개부가 구비된 전방 테두리부를 향하는 부분 및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또는 "후방 부분" 또는 "후방 방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분전반용 하우징을 기준으로 분전반용 하우징에서 후면부를 향하는 부분 및 방향을 의미하고, "좌측" 또는 "좌측 부분" 또는 "좌측 방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분전반용 하우징을 기준으로 분전반용 하우징의 왼쪽을 향하는 부분 및 방향을 의미하며, "우측" 또는 "우측 부분" 또는 "우측 방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분전반용 하우징을 기준으로 분전반용 하우징의 오른쪽을 향하는 부분 및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전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전반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부스바와, 상기 메인 부스바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력량을 검출하는 DC 전력량계와, 상기 DC 전력량계를 통해 공급되는 DC전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메인 차단기(DC MCCB)와, 상기 메인 차단기에서 상기 메인 부스바를 통해 사용자 편의에 맞게 각 분기별로 전력을 공급하는 분기 부스바와, 상기 분기 부스바에 연결되어 각 부하로 전달되는 DC전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복수 개의 차단기와, 상기 각 차단기를 통해 DC전력이 출력되는 상기 분기 부스바에서 전류를 검출하는 직류전류 검출부와, 상기 직류전류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전달받아 분기별 전력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메인 부스바에 흐르는 전압의 외란(Sag, Swell, Swing 등)을 검출하는 계기용 변압기와,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분전반용 하우징(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은 메인 부스바, 메인 차단기, 분기 부스바, 복수 개의 차단기, 제어부, 직류전류 검출부, 계기용 변압기 등의 전장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은 전면에서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에 대해 회동방식으로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을 개방 및 폐쇄하는 전방 덮개부(20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방 덮개부(200)와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전면 사이에서 상기 전방 덮개부(200)가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에 맞닿는 부분에는 방수용 패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용 하우징(100)은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바닥부(140)의 상부에 쌓이는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이물질 제거부(300)를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바닥부(140)의 상부에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3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하우징(100)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절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3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300)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용 하우징(100)은, 상기 전방 덮개부(200)에 의해 개폐되는 전방 개구부를 한정하는 전방 테두리부(130)와, 상기 전방 테두리부(13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후면부(110)와, 상기 전방 테두리부(130)의 측면과 후면부(110)의 측면을 연결하는 양 측면부(120)와, 상기 전방 테두리부(130)의 상부와 상기 후면부(110)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면부와, 상기 전방 테두리부(130)의 하부와 상기 후면부(110)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부(140)와, 상기 바닥부(140)에 구비되는 배출구(141)와, 상기 바닥부(140)에 쌓여있는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을 상기 배출구(141)로 쓸어 배출시키는 이물질 제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140)의 일측에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부(140)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41)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상기 배출구(141)가 형성되는 부분이 상기 바닥부(140)의 일측(즉, 우측)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배출구(141)는 상기 바닥부(140)의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부(140)에서 상기 배출구(141)가 형성되는 부분의 면적은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의 하부면의 면적 이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이물질 제거부(300)를 이용하여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바닥부(140)의 상면에서 이물질 제거잡업을 완료한 후 이물질 제거부(300)를 배출구(141)가 형성되는 부분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평상시 배출구(141)를 통하여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내부로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는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 내부의 하부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의 하부면이 상기 바닥부(140)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전면 테두리부 및 후면부(110)에는,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가이드하고 서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제2 가이드레일(111)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은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전방 테두리부(130)의 내측면에서부터 내측(즉, 후방)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은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후면부(110)의 내측면에서부터 내측(즉, 전방)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은 상기 바닥부(14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과 상기 바닥부(140) 사이에 이물질 제거부(300)가 위치된다.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은 후술할 슬라이더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 및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에 접촉하여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 및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를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은, 상기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 및 상기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구비하는 제1 삽입용 절개부(133) 및 제2 삽입용 절개부(113)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1 삽입용 절개부(133)는 상기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와 동일한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용 절개부(113)는 상기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와 동일한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용 절개부(133) 및 상기 제2 삽입용 절개부(113)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제1 삽입용 절개부(133) 및 제2 삽입용 절개부(11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를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부로 위치시킬 때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제2 가이드레일(111)과 이물질 제거부(300)의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 및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 사이의 공간적 간섭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를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부(즉,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제2 가이드레일(111)과 바닥부(140) 사이의 공간)로 용이하게 인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모성 부품인 탄성변형부(330)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는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하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파지 및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는 탄성변형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변형부(330)는 상기 탄성변형부(330)의 하부면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140)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바닥부(140)의 상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변형부(330)는 다공성 발포재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펀지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탄성변형부(330)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변형부(3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이드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탄성변형부(330)의 상면을 가압 및 고정하는 상부 지지부(310)와, 손잡이부(329)와,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327)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지지부(310)는 판상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지지부(310)의 4측면 중에서 전방측면에는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310)의 4측면 중에서 하방측면에는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310)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310)의 후방면으로부터 후방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 및 상기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는, 상기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의 상면 및 상기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의 상면이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의 하면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면과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은 상기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의 상면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상기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 및 상기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를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변형부(330)는, 상기 탄성변형부(330)의 높이가 상기 바닥부(140)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의 하면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면까지의 높이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변형부(330)는 제1 가이드레일(131)의 하면 및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면과 바닥부(140)의 상면 사이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가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탄성변형부(330)는 소정 두께만큼 압축되면서 상부방향으로(즉,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면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하게 되고, 그 결과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면은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의 상면 및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의 상면과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바닥부(140)의 상면에 일정한 가압력을 가하여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배출구(141) 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탄성변형부(330)의 좌우 양측면을 파지하도록 상기 상부 지지부(310)의 좌우 양단부에서 하부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스토퍼(325) 및 제2 스토퍼(327)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토퍼(325) 및 상기 제2 스토퍼(327)는 상기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의 하부 및 상기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토퍼(325)의 높이 및 상기 제2 스토퍼(327)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140)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의 하면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면까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토퍼(325) 및 상기 제2 스토퍼(327)는 상기 제1 스토퍼(325)의 높이 및 상기 제2 스토퍼(327)의 높이가 상기 바닥부(140)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1)의 하면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면까지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스토퍼(325) 및 제2 스토퍼(327)를 가능한 바닥부(140)의 상면에 닿기 직전까지 연장함으로써, 탄성변형부(330)가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 바닥부(140)와의 마찰력에 의해 슬라이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이물질 제거부(300)가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부에 배치되어 탄성변형부(330)가 압축될 때 탄성변형부(330)의 전방측면 및 후방측면으로 탄성변형부(330)가 볼록하게 팽창할 수 있어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부(140)까지 탄성변형부(330)가 접촉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이물질 제거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330)는 상기 슬라이더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탄성변형부(330)의 오염이 심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변형부(330)를 용이하게 새로운 탄성변형부(330)로 교체할 수 있어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310)의 하부면에는, 상기 탄성변형부(330)의 내부(즉, 상부)에 박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쐐기형 돌출부(32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부(310)의 상부면에는 손잡이부(329)가 구비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이물질 제거부(300)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하우징(100)에서 이물질 제거부(3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에 탄성가압부를 결합하여 이물질 제거부(300)를 형성한 후,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의 제1 가이드용 연장부(321) 및 제2 가이드용 연장부(323)가 제1 삽입용 절개부(133) 및 제2 삽입용 절개부(113)의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를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제2 가이드레일(111)의 하부까지 하강시킨 후,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를 소정 거리만큼 좌우로 슬라이딩이동 시켜 분전반용 하우징(100)에 이물질 제거부(300)를 결합한다.
이후, 상부 지지부(310)의 손잡이를 잡고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바닥부(140)에 쌓인 이물질을 쓸어 배출구(141) 쪽으로 유도한다.
이후, 바닥부(140)에 쌓인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를 배출구(141)의 상부에 위치시켜 다른 이물질이 배출구(141)를 통하여 분전반용 하우징(1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다.
도 5b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배출구(141)는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바닥부(140) 양측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삽입용 절개부(133) 및 상기 제2 삽입용 절개부(113)는 제1 가이드레일(131) 및 제2 가이드레일(111)의 양측단 중 상기 배출구(141)가 구비되지 않은 바닥부(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측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는 분전반용 하우징(100)의 하부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분전반용 하우징의 바닥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함으로써, 분전반 내부에 쌓이는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을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분전반 내부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분전반의 성능저하 및 오작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분전반용 하우징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탄성변형부를 슬라이더에 탈착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탄성변형부의 오염이 심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변형부를 용이하게 새로운 탄성변형부로 교체할 수 있어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분전반용 하우징
200 : 전방 덮개부
300 : 이물질 제거부

Claims (12)

  1. 전방 덮개부를 구비하는 분전반용 하우징으로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바닥부;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 내부의 하부에서 하부면이 상기 바닥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하부면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다공성 발포재로 구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상부에서 상기 탄성변형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부 지지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하우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의 전면 테두리부 및 후면부에는, 상기 분전반용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가이드하고 서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의 전방면 및 후방면으로부터 각각 전방방향으로 및 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용 연장부 및 제2 가이드용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하우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은, 상기 제1 가이드용 연장부 및 상기 제2 가이드용 연장부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구비하고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1 삽입용 절개부 및 제2 삽입용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하우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탄성변형부의 좌우 양측면을 파지하도록 상기 상부 지지부의 좌우 양단부에서 하부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하우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167443A 2013-12-30 2013-12-30 분전반용 하우징 KR101614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443A KR101614346B1 (ko) 2013-12-30 2013-12-30 분전반용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443A KR101614346B1 (ko) 2013-12-30 2013-12-30 분전반용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233A KR20150078233A (ko) 2015-07-08
KR101614346B1 true KR101614346B1 (ko) 2016-04-21

Family

ID=5379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443A KR101614346B1 (ko) 2013-12-30 2013-12-30 분전반용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4580A (zh) * 2016-06-01 2016-09-28 王保锋 一种电力开关箱
KR101866931B1 (ko) * 2018-03-29 2018-07-23 주식회사 한빛파워 송전선로의 단락을 자동감지하고 알리는 보호계전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966Y1 (ko) 2005-11-28 2006-02-15 주식회사 아이파워 에어벤트가 마련된 분전반
JP2009068735A (ja) 2007-09-11 2009-04-02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清掃機構
KR101184372B1 (ko) 2012-04-23 2012-09-20 한신전기주식회사 배전반 제어시스템
JP2013062425A (ja) 2011-09-14 2013-04-04 Toshiba Corp 屋外に設置する電子機器の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966Y1 (ko) 2005-11-28 2006-02-15 주식회사 아이파워 에어벤트가 마련된 분전반
JP2009068735A (ja) 2007-09-11 2009-04-02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清掃機構
JP2013062425A (ja) 2011-09-14 2013-04-04 Toshiba Corp 屋外に設置する電子機器の換気装置
KR101184372B1 (ko) 2012-04-23 2012-09-20 한신전기주식회사 배전반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233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541B1 (ko)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101614346B1 (ko) 분전반용 하우징
US8264809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ircuit protection within an equipment enclosure
JP2011083184A (ja) 回路遮断器
CN105720485B (zh) 用于配电板的断路器操作的电气连接开闭器
US20160218491A1 (en) Spring loaded, bistable connect/disconnect for mcc unit
KR101148797B1 (ko) 진공차단기의 3 포지션 위치검출장치
KR100746787B1 (ko) 안전 잠금 장치를 구비한 분전함
EP3220499A1 (en) Arc eliminator with earth contact
EP2912735B1 (en) Busbar assembly
RU2461088C2 (ru) Модуль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электрической цепи
JP2009171774A (ja) スイッチギヤの遮蔽装置
JP6827221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US9876333B2 (en) Panelboard breaker compartment with disconnect features
CN202110230U (zh) 一种新型继电保护及自动控制设备综合试验台
JP4661432B2 (ja) 引出形回路遮断器
KR101415776B1 (ko) 회로차단기
CN210926719U (zh) 一种用于消防预警系统的高低压配电柜
JP2000295724A (ja) 閉鎖形スイッチギヤ
JP2011097768A (ja) スイッチギヤ
JP2009118567A (ja) 配電盤
JP2016158383A (ja) 集電箱
CN212571744U (zh) 一种配电柜
CN219611172U (zh) 一种带低压过载保护的配电箱
KR920010234B1 (ko) 집합형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