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043B1 - 유기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043B1
KR101614043B1 KR1020130063142A KR20130063142A KR101614043B1 KR 101614043 B1 KR101614043 B1 KR 101614043B1 KR 1020130063142 A KR1020130063142 A KR 1020130063142A KR 20130063142 A KR20130063142 A KR 20130063142A KR 101614043 B1 KR101614043 B1 KR 101614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bstituted
organic
unsubstituted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194A (ko
Inventor
주문규
강민수
문제민
함윤혜
장성수
유진아
이재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3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65Intermediate layers comprising a mixture of materials of the adjoining a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5Hole transporting layers comprising dop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7Hole transporting layers between the light-emitting layer and the cath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6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hetero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5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sulfur as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10Triple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6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more than one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rings, e.g. bis-anthracene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애노드; 캐소드;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발광층; 상기 애노드에 인접하고, p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된 제1 유기물층; 및 상기 캐소드에 인접하고, p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된 제2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소자 {ORGANOLUMINESCENT DEVICE}
본 기재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2년 5월 31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 2012-0058946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2 개의 전극으로부터 유기물층에 전자 및 정공을 주입하여 전류를 가시광으로 변환시킨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2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발광층 이외에, 필요에 따라 전자 또는 정공 주입층, 전자 또는 정공 차단층, 또는 전자 또는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용도가 다양해짐에 따라,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재료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는 신규한 구조의 유기전계발광소자가 기재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애노드; 캐소드;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발광층; 상기 애노드에 인접하고, p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된 제1 유기물층; 및 상기 캐소드에 인접하고, p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된 제2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는 제1 유기물층 중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이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A wt%라고 하고, 상기 제2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B wt%라고 할 때, A-B ≥ B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A wt%라고 하고, 상기 제2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B wt%라고 할 때, A-B ≥ 1.5 B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A wt%라고 하고, 상기 제2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B wt%라고 할 때, A-B ≥ 2 B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상태들은 애노드에 인접한 유기물층과 캐소드에 인접한 유기물층에 모두 p형 도펀트를 포함하도록 하고, 애노드에 인접한 유기물층 내에 p형 도펀트의 농도를 50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구동전압이 낮고 휘도가 높으며 발광효율이 우수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애노드에 인접한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 농도와 캐소드에 인접한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특정 범위내로 조절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소자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유기물층의 적층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유기물층의 적층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 제2 유기물층과 캐소드 사이에서의 전하이동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 전자 주입 또는 수송층, 제2 유기물층과 캐소드 사이에서의 전하이동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p형 도펀트의 농도에 따른 유기막의 거칠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예시한 실시상태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n형이란 n형 반도체 특성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n형 유기물층은 LUMO 에너지 준위에서 전자를 주입받거나 수송하는 특성을 갖는 유기물층이며, 이는 전자의 이동도가 정공의 이동도 보다 큰 물질의 특성을 갖는 유기물층이다. 반대로, p형이란 p형 반도체 특성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p형 유기물층이란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 준위에서 정공을 주입받거나 수송하는 특성을 갖는 유기물층이며, 이는 정공의 이동도가 전자의 이동도보다 큰 물질의 특성을 갖는 유기물층이다. 'HOMO 에너지 준위에서 전하를 수송하는 유기물층'과 p형 유기물층은 서로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UMO 에너지 준위에서 전하를 수송하는 유기물층'과 n형 유기물층은 서로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p형 도펀트는 전자 수용성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에너지 준위는 에너지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진공준위로부터 마이너스(-) 방향으로 에너지 준위가 표시되는 경우에도, 에너지 준위는 해당 에너지 값의 절대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컨대, HOMO 에너지 준위란 진공준위로부터 최고 점유 분자 오비탈(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LUMO 에너지 준위란 진공준위로부터 최저 비점유 분자 오비탈(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하란 전자 또는 정공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애노드에 인접한 유기물층"이란 발광층을 기준으로 캐소드 보다 애노드에 가깝게 배치된 유기물층을 의미하고, "캐소드에 인접한 유기물층"이란 발광층을 기준으로 애노드 보다 캐소드에 가깝게 배치된 유기물층을 의미한다. 이 때, 애노드 또는 캐소드에 인접한 유기물층은 애노드 또는 캐소드에 물리적으로 접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들이 애노드 또는 캐소드에 인접한 유기물층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 사이에 추가의 층이 구비된 경우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p형 도펀트는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유기물층 내에서 호스트 재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자를 받는 물질을 의미한다. 반대로,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유기물층 내에서 호스트 재료는 p형 도펀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자를 주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애노드; 캐소드;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발광층; 상기 애노드에 인접하고, p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된 제1 유기물층; 및 상기 캐소드에 인접하고, p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된 제2 유기물층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애노드와 인접한 유기물층과 캐소드와 인접한 유기물층에 모두 p형 도펀트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양측에 보다 p형 도펀트가 포함된 유기물층을 포함함으로써 유기물층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구동전압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는 제1 유기물층 중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이다. 제1 유기물층 내의 p형 도펀트의 농도가 상기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것이 구동 전압 저하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소자 안정성 및 전기적 특성에 유리하다. 특히, 상기 제1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로서 후술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제1 유기물층 중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일 때 구동전압 저하 및 소자 안정성 향상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기물층의 경우 p형 도펀트의 함량이 낮은 경우 제2 유기물층의 나머지 재료에 의한 거칠기(roughness)가 발생하여, 광산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광 추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제2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로서, 후술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고, 제2 유기물층의 도핑되는 재료로서 아릴아민 화합물, 구체적으로 NPB를 사용하는 경우 제2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는 제1 유기물층에 비하여 낮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A wt%라고 하고, 상기 제2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B wt%라고 할 때, A-B ≥ B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A wt%라고 하고, 상기 제2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B wt%라고 할 때, A-B ≥ 1.5 B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A wt%라고 하고, 상기 제2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B wt%라고 할 때, A-B ≥ 2 B일 수 있다.
상기 실시상태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유기물층의 적층 순서를 도 1에 예시하였다. 도 1에 따르면, 기판 상에 애노드, 제1 유기물층, 발광층, 제2 유기물층 및 캐소드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도 1에서는 기판 상에 애노드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지만, 기판 상에 캐소드가 구비되는 경우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상에 캐소드, 제2 유기물층, 발광층, 제1 유기물층 및 애노드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는 캐소드로부터 발광층으로 전자가 주입 및 수송되고, 애노드로부터 발광층으로 정공이 주입 및 수송된다. 따라서,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는, 캐소드와 발광층 사이에 LUMO 에너지 준위를 통하여 전자를 주입받거나 수송하는 n형 유기물층이 배치된다.
캐소드에 인접한 유기물층으로서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유기물층을 배치하는 것은 지금까지 유기전계발광소자 분야에서 생각되던 기술과는 상반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기재에 따르면 캐소드에 인접한 유기물층으로서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제2 유기물층을 배치한다.
도 1에 도시한 소자에 있어서, 캐소드와 캐소드에 인접한 제2 유기물층 간의 전하 주입 방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캐소드에 인접한 유기물층으로서 n형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주입하기 위한 장벽(barrier)은 캐소드의 일함수와 n형 유기물층의 LUMO 에너지 준위의 차이이었다.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전자는 캐소드의 일함수로부터 n형 유기물층의 LUMO 에너지 준위로 이동하기 위하여, 캐소드의 일함수와 n형 유기물층의 LUMO 에너지 준위의 차에 해당하는 전자 주입 장벽을 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에서는 전자 주입 장벽을 낮추기 위하여 LiF층과 같은 전자주입층을 도입하거나, 전자수송층에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을 도핑하거나, 캐소드 재료로서 낮은 일함수 금속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들에 따르면, 정공이 전술한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를 통하여 캐소드쪽으로 이동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기전계발광소자,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 캐소드와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제2 유기물층 사이에서의 전하의 이동의 모식도를 도 3에 예시하였다. 도 3에 따르면,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로 수송된 정공은 캐소드의 전자와 만나 소멸하게 된다. 따라서, 캐소드와 제2 유기물층 사이에서는 전자 주입 장벽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는 캐소드로부터 유기물층으로의 전자 주입 장벽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재에 따르면, 다양한 일함수를 갖는 재료들 중에서 캐소드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에는 애노드, 제1 유기물층, 발광층, 제2 유기물층 및 캐소드가 직접 접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애노드와 제1 유기물층 사이, 제1 유기물층과 발광층 사이, 발광층과 제2 유기물층 사이, 또는 제2 유기물층과 캐소드 사이에는 추가로 유기물층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애노드와 제1 유기물층 사이 또는 캐소드와 제2 유기물층 사이에 추가의 유기물층이 구비되는 경우 p형 유기물층이 포함될 수 있다. 애노드와 제1 유기물층 사이 또는 제1 유기물층과 발광층 사이에는 p형 유기물층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정공 주입 또는 수송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발광층과 제2 유기물층 사이에 전자 주입 또는 수송층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주입 또는 수송층이란,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또는 전자 주입과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주입 또는 수송층으로서 n형 유기물층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추가의 n형 유기물층과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층과 제2 유기물층 사이에 구비되고, 제2 유기물층과 접하는 n형 유기물층을 제1 n형 유기물층이라고 칭한다.
도 2에 전자 주입 또는 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2에 있어서, 전자 주입 또는 전자수송층과 발광층이 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사이에는 추가의 유기물층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소자에 있어서, 캐소드, 캐소드에 인접한 제2 유기물층, 제1 n형 유기물층 및 발광층 간의 전하 주입 방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2에 따르면, 제2 유기물층과 발광층 사이에 제1 n형 유기물층을 배치한다. 여기서,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제2 유기물층과 제1 n형 유기물층 사이에서 전하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 사이에서 발생된 전하 중 정공은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를 통하여 캐소드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를 통하여 이동한 정공은 캐소드 방향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제1 n형 유기물층 사이에서 발생된 전하 중 전자는 제1 n형 유기물층의 LUMO 에너지 준위를 통하여 발광층 쪽으로 이동한다.
도 2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전술한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제2 유기물층과 제1 n형 유기물층 사이에서 전하가 발생하고, 발생된 전하 중 정공이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를 통하여 캐소드쪽으로 이동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조에서의 전하 이동의 모식도를 도 4에 예시하였다.
한편,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 발광 특성은 소자의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 발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발광 영역에서의 전하의 균형(charge balance)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캐소드로부터 수송되는 전자와 애노드로부터 수송되는 정공이 양적으로 균형을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와 정공이 만나 함께 엑시톤(exiton)을 형성하는 지점이 발광 영역 내일 필요가 있다.
한편,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는, 발광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중에 하나로서, 발광색에 따라 소자의 캐비티(cavity)를 조절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발광색의 파장에 적합하도록 소자의 캐비티를 조절함으로써 발광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자의 캐비티란, 소자 내에서 빛이 공진할 수 있는 길이를 의미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부 전극이 투명 전극이고, 하부 전극이 반사 전극인 경우, 상부 전극의 상면에서 하부 전극의 상면까지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발광층에서 캐소드까지의 거리는 표면 플라즈몬(surface plasmon), 금속, 도파관(waveguide) 모드, 기판 모드, 아웃-커플드(out-coupled mode) 모드 등에 의한 광손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층에서 캐소드까지의 거리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자의 캐비티 또는 발광층과 캐소드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에서 캐소드에 인접한 n형 유기물층, 예컨대 전자수송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 전하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기재에 따르면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는 캐소드에 인접한 제2 유기물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유기물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은 소자의 캐비티 또는 발광층과 캐소드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상태들에 있어서, 발광층에 도달하는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수송되지 않고, 제2 유기물층과 제1 n형 유기물층 사이에서 발생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유기물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은 발광층에서의 전하 균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상태들에서는, 제2 유기물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경우, 종래의 구조에서 n형 유기물층인 전자수송층의 두께 증가에 따른 구동 전압 상승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종래의 구조에서 캐소드로부터 발광층까지의 거리(D)를 조절하는 경우 발광층에서의 전하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 이유는, n형 유기물층, 예컨대 전자주입층 또는 전자수송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경우, 발광층에 도달하는 전자의 양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본 명세서의 실시상태들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의 캐소드부터 발광층까지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상태들에 따른 구조에 있어서, 캐소드에 인접한 제2 유기물층의 두께(Dh)를 조절하는 경우, 소자의 캐비티와 관련된 거리로서, 발광층 중의 발광지점으로부터 캐소드까지의 거리(D) 조절에는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전자의 양과 관련된 길이 De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전하 균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여기서, 발광층 중의 발광지점이란, 전자와 정공의 균형(balance)에 따라 실제로 발광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발광 지점은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당 기술분야에서는 편의상 발광층의 가운데 지점 또는 발광 층과 다른 층의 계면을 발광 지점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예컨대, 캐소드가 반사판으로서 작용을 하는 경우, 발광층 중의 발광 지점으로부터 캐소드까지의 거리(D)는 [유기물층의 굴절율 * λ/4]의 정수배로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λ는 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다. 색상(color)이 다른 빛들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갖기 때문에,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상에 따라, 발광층 중의 발광지점으로부터 캐소드까지의 거리(D)는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유기물층의 굴절율에 따라 발광층 중의 발광 지점으로부터 캐소드까지의 거리(D)는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유기물층이 2층 이상인 경우, 유기물층의 굴절율은 각 층의 굴절율을 구한 다음 그 합을 구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캐소드 쪽으로 진행된 빛이 캐소드의 표면에 도달하여 반사할 때, 캐소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빛의 침투 깊이(penetration depth)가 다르다. 따라서, 캐소드 물질의 종류는 캐소드 표면에서 반사된 빛의 위상(phase)에 변화를 주게 된다. 이 때 변화되는 위상차를 고려하여, 발광층 중의 발광 지점으로부터 캐소드까지의 거리(D)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캐소드의 물질도 역시 발광층으로부터 캐소드까지의 거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으로부터 캐소드로 진행하는 빛과 캐소드로부터 반사하는 빛의 상 매칭(phase matching)이 일어나면 보강 간섭이 일어나 밝은 빛의 구현이 가능하며, 반대로 상기 빛들간의 상 미스매칭(phase mismatching)이 일어나면 상쇄 간섭이 일어나 빛의 일부가 소멸된다. 이와 같은 상 매칭과 상 미스매칭의 현상에 따라, 발광 빛의 밝기는 발광층으로부터 캐소드까지의 거리에 따라 사인(sine) 곡선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층으로부터 캐소드까지의 거리에 따른, 소자의 발광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사인 곡선에서, 빛의 밝기가 최대인 지점의 x축 값을 발광층으로부터 캐소드까지의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의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발광층까지의 거리 및 상기 애노드로부터 상기 발광층까지의 거리가, 상기 발광층 내의 정공의 양과 전자의 양이 균형을 이루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정공의 양과 전자의 양이 균형을 이룬다는 것은 발광층으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 내에서 재결합하여 발광을 위한 액시톤(exciton)을 효과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으로, 엑시톤 형성에 관여하는 정공과 전자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소자 내의 정공의 양이 전자의 양보다 많아질 경우, 정공 과잉으로 인하여 엑시톤에 관여하는 정공 이외에도 비발광 소멸하는 정공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소자의 양자 효율의 손실을 초래하게 한다. 반대로 전자의 양이 정공의 양보다 많아질 경우, 전자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입된 정공과 전자의 양적인 균형을 이루어 발광에 기여하지 않고 소멸되는 정공과 전자의 양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예컨대,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 내에서 양적인 균형을 이루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공과 전자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것도 중요하다. 발광층 내에 정공 과잉일 경우, 전자의 주입 속도를 높여 줌으로써 발광층 내의 정공과 전자의 균형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노드와 발광층 사이, 즉 제2 전하 수송 경로에 구비되어 정공을 수송하는 물질의 정공 이동도는 캐소드와 발광층 사이, 즉 제1 전하 수송 경로에 구비되어 전자를 수송하는 물질의 전자 이동도에 비하여 빠른 특성을 나타낸다. 예컨대, NPB의 정공 이동도는 8.8 X 10-4 cm2/Vs 인 한편, Alq3의 전자 이동도는 6.7 X 10-5 cm2/Vs 정도의 수준이다.
따라서, 소자의 발광 효율을 높여주는 데 있어서, 전자의 이동도를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며, 캐소드로부터 발광층까지의 거리를 늘려서 사용함에 있어 제1 n형 유기물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 보다 제2 유기물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의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발광층까지의 거리가 상기 애노드로부터 상기 발광층까지의 거리 보다 짧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의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100~500 Å로 구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애노드로부터 상기 발광층까지의 거리는 500~5,000 Å 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발광층의 특성에 따라 또는 사용자에 따라 구체적인 수치는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소자의 안정성을 위하여 제2 유기물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유기물층의 두께를 두껍게 조절하는 경우, 소자 내의 전하 균형 또는 전압 상승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소자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자의 안정성이란 소자의 두께가 얇은 경우 생길 수 있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접촉에 의한 쇼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캐소드와 발광층 사이에 구비된 n형 유기물층의 두께를 두껍게 조절하는 경우에는 소자의 안정성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구동전압이 급격하게 상성하여 전력효율(power efficiency)을 감소시킨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소드와 발광층 사이에 구비된 n형 유기물층의 두께를 두껍게 조절함과 동시에 금속을 도핑하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나, 이는 광흡수율 증가 및 수명 저하가 발생되고,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기재에 따르면, 캐소드와 발광층에 구비된 n형 유기물층의 두께를 조절하지 않고, 전하 균형 또는 전압 상승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2 유기물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발광층과 캐소드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소자의 안정성은 항상되는 한편, 구동전압 상승은 최소화되어 전력효율은 증가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소자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기 캐소드로부터 상기 발광층까지의 거리가 상기 애노드로부터 상기 발광층까지의 거리 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도, 종래기술과 달리 전하 균형 또는 전압 상승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물층의 두께는 5 nm 이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두께는 두꺼울수록 소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물층의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공정 용이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2 유기물층의 두께는 500 nm 이하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캐비티(cavity) 길이가 상기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의 정수배가 되도록 상기 제2 유기물층의 두께가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빛의 파장의 정수배가 되도록 함으로써, 빛의 보강 간섭에 의한 광 방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의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발광층까지의 거리 및 상기 애노드로부터 상기 발광층까지의 거리가, 상기 발광층 내의 정공의 양과 전자의 양이 균형을 이루도록 제어됨과 동시에,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캐비티(cavity) 길이가 상기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의 정수배가 되도록 상기 제2 유기물층의 두께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의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발광층까지 전자의 이동 시간과 상기 애노드로부터 상기 발광층까지 정공의 이동 시간을 소자의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 내에서 양적인 균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됨과 동시에,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캐비티(cavity) 길이가 상기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의 정수배가 되도록 상기 제2 유기물층의 두께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와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의 LUMO 에너지 준위와의 차이는 2 eV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와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의 LUMO 에너지 준위와의 차이는 0 eV 초과 2 eV 이하일 수 있으며, 혹은 0 eV 초과 0.5 eV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의 재료는 상기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와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의 LUMO 에너지 준위와의 차이가 0.01 eV 이상 2 eV 이하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와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의 LUMO 에너지 준위의 에너지 차이가 2eV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이 접할 때 이들 사이에 NP 접합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주입을 위한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이 접함으로써,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 사이에는 NP 접합이 형성된다. NP 접합이 형성된 경우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와 제1 n형 유기물층의 LUMO 에너지 준위 사이의 차이가 감소된다. 따라서, 외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NP 접합으로부터 정공 및 전자가 용이하게 형성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캐소드의 일함수는 상기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캐소드의 일함수가 상기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경우, 캐소드로부터 전자가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로 주입이 될 때, 주입 장벽(injection barrier)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캐소드와 상기 제2 유기물층은 접할 수 있다. 상기 캐소드와 제2 유기물층이 접하고 캐소드의 일함수가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와 같거나 그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캐소드의 일함수와 상기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의 차이가 커도, 캐소드로부터 제2 유기물층의 HOMO 준위로 전자의 주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제2 유기물층과 제1 n형 유기물층 사이의 NP 접합에서 생성된 정공이 제2 유기물층을 따라 캐소드쪽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는 에너지 준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것으로 이동할 때 장벽이 없다. 또한, 정공은 에너지 준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할 때 장벽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에너지 장벽 없이, 캐소드로부터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로의 전자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캐소드와 상기 제2 유기물층 사이에 추가의 층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가의 층의 HOMO 에너지 준위가 상기 캐소드의 일함수 또는 상기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와 동일하거나, 상기 캐소드의 일함수 또는 상기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 사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유기물층 및 제2 유기물층에 포함되는 p형 도펀트는 전자 수용성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p형 도펀트로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구동 전압을 저하시키고 제1 유기물층에서의 광 산란 효과를 일으켜 광추출 효과를 높이는 데에 유리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4893551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b 내지 R6b은 각각 수소, 할로겐 원자, 니트릴(-CN), 니트로(-NO2), 술포닐(-SO2R), 술폭사이드(-SOR), 술폰아미드(-SO2NR), 술포네이트(-SO3R), 트리플루오로메틸(-CF3), 에스테르(-COOR), 아미드(-CONHR 또는 -CONRR'),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12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C1-C12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C2-C12의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의 헤테로 고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노- 또는 디-아릴아민,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이고, 상기 R 및 R'는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0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5-7원 헤테로 고리일 수 있다.
상기 설명 중 "치환 또는 비치환된"은 할로겐 원자, 니트릴(-CN), 니트로(-NO2), 술포닐(-SO2R), 술폭사이드(-SOR), 술폰아미드(-SO2NR), 술포네이트(-SO3R), 트리플루오로메틸(-CF3), 에스테르(-COOR), 아미드(-CONHR 또는 -CONRR'),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12 알콕시, 직쇄 또는 분지쇄 C1-C12의 알킬, 직쇄 또는 분지쇄 C2-C12의 알케닐,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의 헤테로 고리, 아릴, 모노- 또는 디-아릴아민, 또는 아랄킬아민에 의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을 의미하고, 여기서 상기 R 및 R'는 각각 C1-C60의 알킬, 아릴 또는 5-7원 헤테로 고리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내지 1-6의 화합물로 예시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3048935513-pat00002
[화학식 1-2]
Figure 112013048935513-pat00003
[화학식 1-3]
Figure 112013048935513-pat00004
[화학식 1-4]
Figure 112013048935513-pat00005
[화학식 1-5]
Figure 112013048935513-pat00006
[화학식 1-6]
Figure 112013048935513-pat00007
상기 화학식 1의 다른 예들이나, 합성 방법 및 다양한 특징들은 미국 특허 출원 제2002-0158242호, 미국 특허 제6,436,559호 및 미국 특허 제4,780,536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의 내용은 모두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상기 제1 유기물층과 상기 제2 유기물층에 있어서, p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되는 유기물은 p형 유기물이 사용될 수 있다. p형 유기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아릴아민계 화합물(aryl amine compound)을 사용할 수 있다. 아릴아민계 화합물의 일 예로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이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48935513-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Ar1, Ar2 및 A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화수소기이다. 이 때, Ar1, Ar2 및 Ar3 중 적어도 하나는 방향족 하이드로카본(aromatic hydrocarbon) 치환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치환체는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각기 다른 치환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Ar1, Ar2 및 Ar3 중 방향족 하이드로카본이 아닌 것은 수소;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 지방족 탄화수소; N, O, S 또는 Se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구체적인 예로서 하기 화학식들이 있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들의 범위가 반드시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3048935513-pat00009
Figure 112013048935513-pat00010
Figure 112013048935513-pat00011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유기물층 중 p형 도펀트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고, p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되는 물질이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예컨대 NPB인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중량비는 1:9~5:5, 구체적으로, 2:8~4:6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광 산란에 의한 광 추출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n형 반도체 특성을 갖는 화합물 1종 또는 2 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2층 또는 3층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2층 이상의 각 층들은 서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을 구성하는 층 중에 적어도 한 층은 n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될 수 있다.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유기물층과 발광층 사이에서 LUMO 에너지 준위를 통하여 전하를 이동할 수 있는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F4TCNQ), 불소-치환된 3,4,9,10-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PTCDA), 시아노-치환된 3,4,9,10-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PTCDA),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디안하이드라이드(NTCDA), 불소-치환된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디안하이드라이드(NTCDA) 및 시아노-치환된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디안하이드라이드(NTCDA) 중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은 상기 제2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외에도,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 재료로는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전자 주입 또는 수송 재료로 사용되는 n형 반도체 특성을 갖는 유기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n형 유기물층 재료의 예로서 이미다졸기, 옥사졸기, 티아졸기, 퀴놀린 및 페난쓰롤린기로부터 선택되는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미다졸기, 옥사졸기 및 티아졸기로부터 선택되는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3 또는 4의 화합물의 화합물이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3048935513-pat00012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1 내지 R4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30의 알킬기, C2~C30의 알케닐기, C1~C30의 알콕시기, C3~C30의 시클로알킬기, C3~C3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5~C30의 아릴기 및 C2~C30의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30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30의 알킬기, C2~C30의 알케닐기, C1~C30의 알콕시기, C3~C30의 시클로알킬기, C3~C3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5~C30의 아릴기 및 C2~C30의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3~C30의 시클로알킬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30의 알킬기, C2~C30의 알케닐기, C1~C30의 알콕시기, C3~C30의 시클로알킬기, C3~C3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5~C30의 아릴기 및 C2~C30의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5~C30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C30의 알킬기, C2~C30의 알케닐기, C1~C30의 알콕시기, C3~C30의 시클로알킬기, C3~C30의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5~C30의 아릴기 및 C2~C30의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2~C30의 헤테로아릴기이고, 서로 인접하는 기와 지방족, 방향족, 지방족헤테로 또는 방향족헤테로의 축합 고리를 형성하거나 스피로 결합을 이룰 수 있고; Ar1은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 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방향족 헤테로 고리이며; X는 O, S 또는 NRa이고; Ra는 수소, C1-C7의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고리 또는 방향족 헤테로 고리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3048935513-pat00013
상기 화학식 4에 있어서, X는 O, S, NRb 또는 C1-C7의 2가 탄화수소기이고; A, D 및 Rb는 각각 수소원자, 니트릴기(-CN), 니트로기(-NO2), C1-C24의 알킬, C5-C20의 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된 방향족 고리, 할로겐, 또는 인접 고리와 융합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알킬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이며; A와 D는 연결되어 방향족 또는 헤테로 방향족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B는 n이 2 이상인 경우 연결 유니트로서 다수의 헤테로 고리를 공액 또는 비공액되도록 연결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 또는 아릴렌이며, n이 1인 경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이고; n은 1 내지 8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의 예로는 한국 특허 공개 제2003-0067773호에 공지되어 있는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의 예로는 미국 특허 제5,645,948호에 기재된 화합물과 WO05/097756호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문헌들은 그 내용 전부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에는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도 포함된다:
[화학식 5]
Figure 112013048935513-pat00014
상기 화학식 5에 있어서, R5 내지 R7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C1-C20의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고리, 방향족 헤테로 고리 또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축합고리이며; Ar은 직접 결합, 방향족 고리 또는 방향족 헤테로 고리이며; X는 O, S 또는 NRa이며; Ra는 수소원자, C1-C7의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고리 또는 방향족 헤테로 고리이고; 단 R5 및 R6이 동시에 수소인 경우는 제외된다.
또한,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에는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도 포함된다:
[화학식 6]
Figure 112013048935513-pat00015
상기 화학식 6에 있어서, Z는 O, S 또는 NRb이며; R8 및 Rb는 수소원자, C1-C24의 알킬, C5-C20의 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된 방향족 고리, 할로겐, 또는 벤자졸 고리와 융합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알킬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렌이고; B는 n이 2 이상인 경우 연결 유니트로서 다수의 벤자졸들을 공액 또는 비공액되도록 연결하는 알킬렌, 아릴렌, 치환된 알킬렌, 또는 치환된 아릴렌이며, n이 1인 경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또는 아릴이고; n은 1 내지 8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하기 구조를 지니는 이미다졸 화합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3048935513-pat00016
상기 퀴놀린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7 내지 13의 화합물이 있다.
[화학식 7]
Figure 112013048935513-pat00017
[화학식 8]
Figure 112013048935513-pat00018
[화학식 9]
Figure 112013048935513-pat00019
[화학식 10]
Figure 112013048935513-pat00020
[화학식 11]
Figure 112013048935513-pat00021
[화학식 12]
Figure 112013048935513-pat00022
[화학식 13]
Figure 112013048935513-pat00023
상기 화학식 7 내지 13에 있어서,
n은 0 내지 9의 정수이고, m은 2 이상의 정수이며,
R9는 수소, 메틸기, 에틸기 등의 알킬기, 시클로헥실, 노르보르닐 등의 시클로알킬기, 벤질기 등의 아랄킬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알케닐기, 시클로펜타디에닐기, 시클로헥세닐기 등의 시클로알케닐기, 메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알콕시기의 에테르 결합의 산소 원자가 황 원자로 치환된 알킬티오기, 페녹시기 등의 아릴에테르기, 아릴에테르기의 에테르 결합의 산소 원자가 황 원자로 치환된 아릴티오에테르기, 페닐기, 나프틸기, 비페닐기 등의 아릴기, 푸릴기, 티에닐기, 옥사졸릴기, 피리딜기, 퀴놀릴기, 카르바졸릴기 등의 복소환기, 할로겐, 시아노기, 알데히드기,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에스테르기, 카르바모일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트리메틸실릴기 등의 실릴기, 에테르 결합을 통해 규소를 갖는 기인 실록사닐기, 인접 치환기와의 사이의 환 구조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치환기들은 비치환 또는 치환될 수 있고, n이 2 이상인 경우 치환기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Y는 상기 R9의 기들의 2가 이상의 기이다.
상기 화학식 7 내지 13의 화합물은 한국 공개특허 2007-0118711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 전부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상기 페난쓰롤린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14 내지 24의 화합물들이 있으나,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4]
Figure 112013048935513-pat00024
[화학식 15]
Figure 112013048935513-pat00025
[화학식 16]
Figure 112013048935513-pat00026
[화학식 17]
Figure 112013048935513-pat00027
상기 화학식 14 내지 17에 있어서,
m은 1 이상의 정수이고, n 및 p는 정수이며, n+p는 8 이하이고,
m이 1인 경우, R10 및 R11은 수소, 메틸기, 에틸기 등의 알킬기, 시클로헥실, 노르보르닐 등의 시클로알킬기, 벤질기 등의 아랄킬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알케닐기, 시클로펜타디에닐기, 시클로헥세닐기 등의 시클로알케닐기, 메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알콕시기의 에테르 결합의 산소 원자가 황 원자로 치환된 알킬티오기, 페녹시기 등의 아릴에테르기, 아릴에테르기의 에테르 결합의 산소 원자가 황 원자로 치환된 아릴티오에테르기, 페닐기, 나프틸기, 비페닐기 등의 아릴기, 푸릴기, 티에닐기, 옥사졸릴기, 피리딜기, 퀴놀릴기, 카르바졸릴기 등의 복소환기, 할로겐, 시아노기, 알데히드기,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에스테르기, 카르바모일기, 아미노기, 니트로기, 트리메틸실릴기 등의 실릴기, 에테르 결합을 통해 규소를 갖는 기인 실록사닐기, 인접 치환기와의 사이의 환 구조로부터 선택되며;
m이 2 이상인 경우, R10은 직접 결합 또는 전술한 기들의 2가 이상의 기이고, R11은 m이 1인 경우와 같으며,
상기 치환기들은 비치환 또는 치환될 수 있고, n 또는 p가 2 이상인 경우 치환기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4 내지 17의 화합물은 한국 공개특허 2007-0052764 및 2007-0118711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 전부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화학식 18]
Figure 112013048935513-pat00028
[화학식 19]
Figure 112013048935513-pat00029
[화학식 20]
Figure 112013048935513-pat00030
[화학식 21]
Figure 112013048935513-pat00031
상기 화학식 18 내지 21에 있어서, R1a 내지 R8a 및 R1b 내지 R10b는 각각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핵원자수 5-6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피리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퀴놀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1-50의 알킬기, 이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수 3-5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핵원자수 6-50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수 1-5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핵원자수 5-5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핵원자수 5-50의 아릴티오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수 1-50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핵원자수 5-50의 아릴기로 치환된 아미노기,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히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기이고, 이들은 서로 결합하여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L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수 6-6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피리디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퀴놀리닐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플루오레닐렌기이다. 상기 화학식 18 내지 21의 화합물은 일본 특허공개 2007-39405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 전부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화학식 22]
Figure 112013048935513-pat00032
[화학식 23]
Figure 112013048935513-pat00033
상기 화학식 22 및 23에 있어서, d1, d3 내지 d10 및 g1은 각각 수소 또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고, m 및 n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p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22 및 23의 화합물은 미국 특허 공개 2007/0122656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 전부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화학식 24]
Figure 112013048935513-pat00034
상기 화학식 24에 있어서, R1c 내지 R6c은 각각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복소환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Ar1c 및 Ar2c는 각각 하기 구조식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13048935513-pat00035
Figure 112013048935513-pat00036
Figure 112013048935513-pat00037
Figure 112013048935513-pat00038
상기 구조식에서 R17 내지 R23은 각각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복소환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상기 화학식 24의 화합물은 일본 특허 공개2004-107263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 전부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는 한 층 또는 두 층 이상의 전자수송층, 정공 차단층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기재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층의 물질들은 단일 물질 또는 2 이상의 물질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애노드
애노드는 금속, 금속 산화물 또는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성 폴리머는 전기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애노드는 약 3.5 내지 5.5eV의 일함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도전성 물질의 예는 탄소, 알루미늄, 바나듐, 크롬, 구리, 아연, 은, 금, 기타 금속 및 이들의 합금; 아연 산화물, 인듐 산화물, 주석 산화물,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 및 기타 이와 유사한 금속 산화물; ZnO:Al 및 SnO2:Sb와 같은 산화물과 금속의 혼합물 등이 있다. 애노드 재료로는 투명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고, 불투명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애노드 방향으로 발광되는 구조의 경우, 애노드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이란 유기물층에서 발광된 빛이 투과할 수 있으면 되며, 빛의 투과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가 전면발광형이고, 애노드가 유기물층 및 캐소드의 형성 전에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애노드 재료로서 투명 물질 뿐만 아니라 광반사율이 우수한 불투명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가 후면발광형이고, 애노드가 유기물층 및 캐소드의 형성 전에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애노드 재료로서 투명 물질이 사용되거나, 불투명 물질이 투명하게 될 정도로 박막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정공 주입 또는 수송 층
본 명세서의 기재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 애노드와 제1 유기물층 사이 또는 제1 유기물층과 발광층 사이에 추가의 p형 유기물층이 포함될 수 있다. 추가의 p형 유기물층은 정공주입층(HIL) 또는 정공수송층(HTL)일 수 있다. 추가의 p형 유기물층은 아릴아민계 화합물, 도전성 폴리머, 또는 공역 부분과 비공역 부분이 함께 있는 블록 공중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의 p형 유기물층의 재료로는 제1 또는 제2 유기물층의 도핑되는 재료로서 예시된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물층과 상기 애노드 사이에는 제4 n형 유기물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와 상기 제4 n형 유기물층의 LUMO 에너지 준위의 차이는 2 eV 이하 혹은 1 eV 이하, 예컨대 약 0.5 eV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물층과 상기 제4 n형 유기물층은 접할 수 있다. 이의 의하여, 상기 제1 유기물층과 상기 제4 n형 유기물층은 NP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4 n형 유기물층의 LUMO 에너지 준위와 상기 애노드의 일함수의 차이는 4 eV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4 n형 유기물층과 상기 애노드는 접할 수 있다.
상기 제4 n형 유기물층의 약 4~7eV의 LUMO 에너지 준위 및 약 10-8 cm2/Vs ~ 1 cm2/Vs, 또는 약 10-6cm2/Vs ~ 10-2cm2/Vs의 전자이동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자이동도 범위 내인 것이 정공의 효율적인 주입에 유리하다.
상기 제4 n형 유기물층은 진공증착될 수 있는 물질 또는 솔루션 프로세스(solution process)로 박막성형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4 n형 유기물의 구체적인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F4TCNQ), 불소-치환된 3,4,9,10-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PTCDA), 시아노-치환된 PTCDA, 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NTCDA), 불소-치환된 NTCDA, 시아노-치환된 NTCDA 또는 헥사니트릴 헥사아자트리페닐렌(HAT)를 비롯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제4 n형 유기물층과 상기 제1 유기물층이 NP 접합을 형성하는 경우, NP 접합에서 형성된 정공은 상기 제1 유기물층을 통하여 발광층으로 수송된다. 상기 제4 n형 유기물층의 재료와 상기 제1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는 동일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발광층 ( EML )
발광층에서는 정공전달과 전자전달이 동시에 일어나므로 발광층은 n형 특성과 p형 특성을 모두 가질 수 있다. 편의상 전자 수송이 정공 수송에 비하여 빠를 경우 n형 발광층, 정공 수송이 전자 수송에 비하여 빠를 경우 p형 발광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n형 발광층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알루미늄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린)(Alq3); 8-히드록시퀴놀린 베릴륨(BAlq); 벤즈옥사졸계 화합물, 벤즈티아졸계 화합물 또는 벤즈이미다졸계 화합물; 폴리플루오렌계 화합물; 실라사이클로펜타디엔(silole)계 화합물 등을 포함한다.
p형 발광층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카바졸계 화합물; 안트라센계 화합물; 폴리페닐렌비닐렌(PPV)계 폴리머; 또는 스피로(spiro) 화합물 등을 포함한다.
전자 주입 또는 수송층 ( ETL )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n형 유기물층이 전자 주입 또는 수송층으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1 n형 유기물층과 발광층 사이에 추가의 제2 n형 유기물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n형 유기물층은 전자수송층 또는 정공차단층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2 n형 유기물층 재료로서는 전자를 잘 수송할 수 있도록 전자이동도(electron mobility)가 큰 물질이 바람직하다. 제2 n형 유기물층과 발광층 사이에 제3 n형 유기물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제3 n형 유기물층도 전자수송층 또는 정공차단층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LUMO 에너지 준위가 제2 유기물층의 HOMO 에너지 준위와 2 eV 이하인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은 LUMO 에너지 준위가 5 eV 내지 7 eV일 수 있다.
상기 제2 n형 유기물층은 LUMO 에너지 준위가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의 LUMO 에너지 준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n형 유기물층은 LUMO 에너지 준위가 2 eV 내지 3 eV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n형 유기물층은 HOMO 에너지 준위가 5 eV 내지 6 eV, 구체적으로 5.8 eV 내지 6 eV일 수 있다.
상기 제2 또는 제3 n형 유기물층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알루미늄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린)(Alq3); Alq3 구조를 포함하는 유기화합물; 히드록시플라본-금속 착화합물 또는 실라사이클로펜타디엔(silole)계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또는 제3 n형 유기물층 재료는 전술한 제1 n형 유기물층의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또는 제3 n형 유기물층은 n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될 수 있다. 한 실시상태에 따르면, 제2 n형 유기물층과 제3 n형 유기물층 중 어느 하나가 n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되는 경우, 도핑된 층의 호스트 재료와 도핑되지 않은 층의 재료는 동일할 수 있다.
n형 도펀트로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일 수 있다. n형 도펀트가 무기물인 경우, 알칼리금속, 예컨대 Li, Na, K, Rb, Cs 또는 Fr; 알칼리 토금속, 예컨대 Be, Mg, Ca, Sr, Ba 또는 Ra; 희토류 금속, 예컨대 La, Ce, Pr, Nd, Sm, Eu, Tb, Th, Dy, Ho, Er, Em, Gd, Yb, Lu, Y 또는 Mn; 또는 상기 금속들 중 1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n형 도펀트는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헵타트리엔, 6원 헤테로 고리 또는 이들 고리가 포함된 축합고리를 포함하는 물질일 수도 있다. 이 때, 도핑 농도는 0.01 내지 50 중량%, 또는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인 한 예로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제1 내지 제3 n형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제1 n형 유기물층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제2 n형 유기물층은 n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될 수 있다. 이 때, 제2 n형 유기물층과 제3 n형 유기물층은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을 호스트 재료로서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제2 유기물층 및 제1 n형 유기물층을 구비함으로써, 캐소드 물질을 다양한 일함수를 갖는 재료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캐소드 물질로는 통상 전자주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일함수가 작은 물질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일함수가 큰 물질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제2 유기물층의 HOMO 이상인 일함수를 갖는 물질을 캐소드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는 캐소드 재료로서 일함수가 2 eV 내지 5 eV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칼륨, 티타늄, 인듐, 이트륨, 리튬, 가돌리늄, 알루미늄, 은, 주석 및 납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LiF/Al 또는 LiO2/Al과 같은 다층 구조 물질 등을 포함한다.
캐소드 재료로서 Al을 사용하는 경우, 단독으로 또는 LiF나 Liq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동작이 가능한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캐소드 재료로서 Ag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기술에 따른 소자에서는 Ag 단독으로 또는 LiF나 Liq와 함께 사용시 잘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캐소드에 인접한 유기물층으로서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층이나 금속을 도핑한 유기물층을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금속 층이나 금속을 도핑한 유기물층 없이도, 캐소드 재료로서 Ag와 같은 일함수가 큰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에서는 캐소드 재료로서 IZO(일함수 4.8~5.2 eV)와 같이 일함수가 높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캐소드는 유기물층과 물리적으로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와 접하는 유기물층은 전술한 제2 유기물층일 수도 있고, 추가의 유기물층일 수 있다. 여기서, 캐소드와 접하는 유기물층은 비도핑된다.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는 Al 또는 Ag와 같은 일함수가 큰 재료의 캐소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물층과 캐소드 사이에 LiF층과 같은 무기물층이나 유기물층에 금속을 도핑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무기물층이나 금속 도핑된 유기물층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캐소드와 유기물층이 접하도록 하는 경우, 캐소드 재료로서는 일함수가 2 eV 이상 3.5 eV 미만의 재료밖에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는 캐소드가 유기물층과 접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제1 n형 유기물층에 의하여 일함수가 3.5 eV 이상인 재료를 이용하여 캐소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캐소드는 유기물층과 물리적으로 접하도록 구비되고, 캐소드는 일함수가 3.5 eV 이상인 재료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캐소드는 유기물층과 물리적으로 접하도록 구비되고, 캐소드는 일함수가 4 eV 이상인 재료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캐소드는 유기물층과 물리적으로 접하도록 구비되고, 캐소드는 일함수가 4.5 eV 이상인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캐소드를 구성하는 재료의 일함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재료 선택의 관점에서 5.5 eV 이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캐소드는 상기 애노드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소드로는 앞에서 애노드의 재료로서 예시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캐소드 또는 애노드는 투명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예시일 뿐이며, 상기 실시형태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광추출 구조를 포함한 소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상기 애노드 또는 캐소드의 유기물층이 구비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 사이에, 또는 상기 기판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가 구비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광추출층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애노드 또는 캐소드의 유기물층이 구비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구비된 기판과 애노드 또는 캐소드 사이에 내부 광추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서 애노드 또는 캐소드가 구비된 면의 반대 면에 외부 광추출층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내부 광추출층 또는 외부 광추출층은 광산란을 유도하여, 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추출층은 바인더 내에 산란입자가 분산된 구조 를 갖거나 요철을 갖는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추출층은 기판 위에 스핀 코팅, 바 코팅, 슬릿 코팅 등의 방법에 의하여 직접 형성되거나, 필름 형태로 제작하여 부착하는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플랙시블(flexible) 유기전계발광소자다. 이 경우, 상기 기판이 플랙시블 재료를 포함한다. 예컨대, 휘어질 수 있는 박막 형태의 글래스, 플라스틱 또는 필름 형태의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PET, PEN 및 PI 등의 필름을 단층 또는 복층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 1>
기판 상에 IZO를 스퍼터링 방법으로 1,000 Å 두께의 애노드를 형성하고, 그 위에 HAT(하기 화학식)를 50 Å의 두께로 형성하고(LUMO 준위: 5.7 eV), 그 다음 NPB 및 HAT(하기 화학식)를 중량비 30:70으로 열 진공 증착하여 두께가 500 Å인 제1 유기물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그 위에 하기 화학식의 CBP에 하기 화학식 Ir(ppy)3를 10 중량% 도핑하여 두께 300 Å의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그 위에, 하기 화학식의 BCP를 50 Å의 두께의 정공차단층을 형성하였다.
그 위에 하기 화학식의 전자 수송 재료를 이용하여 100 Å의 두께의 유기물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하기 화학식의 전자 수송 재료에 Ca를 10 중량% 도핑하여 50 Å 두께의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 위에 HAT(하기 화학식)를 300 Å의 두께로 형성하고(LUMO 준위: 5.7 eV), 그 다음 NPB(HOMO 준위: 5.4 eV) 및 HAT(하기 화학식)를 중량비 70:30으로 열 진공 증착하여 1,000 Å인 제2 유기물층을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캐소드로서 Ag(일함수 4.7 eV)를 2,000 Å의 두께로 형성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Figure 112013048935513-pat00039
상기 과정에서 유기물의 증착 속도는 0.5~1 Å/sec로 유지하였고, 증착시 진공도는 2 x 10-7 ~ 2 x 10-8 torr 정도로 유지하였다.
<실시예 2>
제2 유기물층의 NPB와 HAT의 중량비를 80:2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제1 유기물층의 NPB와 HAT의 중량비를 40:6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제2 유기물층의 NPB와 HAT의 중량비를 80:2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제1 유기물층의 NPB와 HAT의 중량비를 50:5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제1 유기물층의 NPB와 HAT의 중량비를 70:3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제2 유기물층의 NPB와 HAT의 중량비를 30:7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제2 유기물층의 NPB와 HAT의 중량비를 30:7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소자의 구동전압 및 외부양자효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제1 유기물층
(NPB:HAT)
제2 유기물층
(NPB:HAT)
구동전압
(V, @5mA/cm2)
외부양자효율
(%, @5mA/cm2)
실시예 1 30:70 70:30 6.5 12.0
실시예 2 30:70 80:20 6.5 12.0
실시예 3 40:60 70:30 6.5 12.0
실시예 4 40:60 80:20 6.5 12.0
실시예 5 50:50 80:20 6.5 11.5
비교예 1 70:30 70:30 6.3 8.4
실시예 6 30:70 30:70 6.5 10.0
비교예 2 70:30 30:70 6.3 7.2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특성을 나타낸 표 1의 결과에서 보면, 제1 유기물층에서 p형 도펀트인 HAT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1 내지 5 및 6의 경우, 소자내의 유기물의 거칠기(roughness)가 감소하여, 누설전류(leakage current)의 양이 감소되므로, 이는 소자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높은 효율을 보이는 것이다. 제2 유기물층에서는 p형 도펀트의 함량이 낮은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증가하는 산란의 효과로 인하여 더 높은 효율을 보인다.
표 2 및 도 5에서는 NPB와 HAT의 중량비를 다르게 하였을 경우의 AFM(Atomic Force Microscope) 데이터를 나타내었다. HAT의 중량비가 적을 경우(50 중량% 미만일 경우), 유기막의 거칠기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제1 유기물층(50 중량% 이상)과 제2 유기물층(50 중량% 미만)에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한다면, 높은 효율의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두께 (Å) Scan size (mm2)
4(2x2) 25 (5x5)
Ra(nm) Rmax(nm) Ra(nm) Rmax(nm)
HAT 1,000 2.14 27.4 2.32 32.7
NPB 1,000 0.98 10.4 0.99 13.1
NPB:HAT (30:70) 1,000 1.40 12.0 1.49 18.7
NPB:HAT (50:50) 1,000 2.41 38.2 2.30 35.2
NPB:HAT (50:50) 2,000 1.87 25.2 2.02 36.8
NPB:HAT (70:30) 1,000 11.6 116.5 8.52 98.3

Claims (20)

  1. 애노드; 캐소드; 상기 애노드와 상기 캐소드 사이에 구비된 발광층; 상기 애노드에 인접하고, p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된 제1 유기물층; 및 상기 캐소드에 인접하고, p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된 제2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는 제1 유기물층 중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이며,
    상기 제1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A wt%라고 하고, 상기 제2 유기물층 중의 p형 도펀트의 농도를 B wt%라고 할 때, A-B ≥ B인 유기전계발광소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와 상기 제2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인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화학식 1]
    Figure 112013048935513-pat00040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b 내지 R6b은 각각 수소, 할로겐 원자, 니트릴(-CN), 니트로(-NO2), 술포닐(-SO2R), 술폭사이드(-SOR), 술폰아미드(-SO2NR), 술포네이트(-SO3R), 트리플루오로메틸(-CF3), 에스테르(-COOR), 아미드(-CONHR 또는 -CONRR'),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12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C1-C12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C2-C12의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의 헤테로 고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노- 또는 디-아릴아민,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이고, 상기 R 및 R'는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0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5-7원 헤테로 고리이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물층과 상기 제2 유기물층에서 p형 도펀트에 의하여 도핑되는 유기물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인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화학식 2]
    Figure 112013048935513-pat00041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Ar1, Ar2 및 A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화수소기이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물층 중 p형 도펀트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고,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중량비는 1:9 ~ 5:5인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화학식 1]
    Figure 112013048935513-pat00042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b 내지 R6b은 각각 수소, 할로겐 원자, 니트릴(-CN), 니트로(-NO2), 술포닐(-SO2R), 술폭사이드(-SOR), 술폰아미드(-SO2NR), 술포네이트(-SO3R), 트리플루오로메틸(-CF3), 에스테르(-COOR), 아미드(-CONHR 또는 -CONRR'),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12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C1-C12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C2-C12의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의 헤테로 고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노- 또는 디-아릴아민,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이고, 상기 R 및 R'는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0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5-7원 헤테로 고리이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물층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전자 주입 또는 수송층이 구비된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자 주입 또는 수송층은 상기 제2 유기물층에 접하는 제1 n형 유기물층인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화학식 1]
    Figure 112013048935513-pat00043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b 내지 R6b은 각각 수소, 할로겐 원자, 니트릴(-CN), 니트로(-NO2), 술포닐(-SO2R), 술폭사이드(-SOR), 술폰아미드(-SO2NR), 술포네이트(-SO3R), 트리플루오로메틸(-CF3), 에스테르(-COOR), 아미드(-CONHR 또는 -CONRR'),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12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C1-C12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C2-C12의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의 헤테로 고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노- 또는 디-아릴아민,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이고, 상기 R 및 R'는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0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5-7원 헤테로 고리이다.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 상기 제2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 및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 재료는 동일한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 상기 제2 유기물층의 p형 도펀트 및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 재료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인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화학식 1]
    Figure 112013048935513-pat00044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b 내지 R6b은 각각 수소, 할로겐 원자, 니트릴(-CN), 니트로(-NO2), 술포닐(-SO2R), 술폭사이드(-SOR), 술폰아미드(-SO2NR), 술포네이트(-SO3R), 트리플루오로메틸(-CF3), 에스테르(-COOR), 아미드(-CONHR 또는 -CONRR'),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12 알콕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C1-C12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C2-C12의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의 헤테로 고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모노- 또는 디-아릴아민,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랄킬아민이고, 상기 R 및 R'는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60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5-7원 헤테로 고리이다.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n형 유기물층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제2 n형 유기물층이 구비된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n형 유기물층은 n형 도핑된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n형 유기물층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 제3 n형 유기물층이 구비된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물층과 상기 애노드 사이에 제4 n형 유기물층이 구비된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17. 청구항 1, 및 5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또는 상기 애노드의 유기물층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기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캐소드 또는 상기 애노드와 상기 기판 사이에, 또는 상기 기판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가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광추출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18. 청구항 1, 및 5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인 것인 유기전계발광소자.
  19. 청구항 1, 및 5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20. 청구항 1, 및 5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KR1020130063142A 2012-05-31 2013-05-31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614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58946 2012-05-31
KR1020120058946 2012-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194A KR20130135194A (ko) 2013-12-10
KR101614043B1 true KR101614043B1 (ko) 2016-04-20

Family

ID=49673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142A KR101614043B1 (ko) 2012-05-31 2013-05-31 유기전계발광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90626B2 (ko)
EP (1) EP2752906B1 (ko)
KR (1) KR101614043B1 (ko)
CN (1) CN104335379B (ko)
TW (1) TWI494305B (ko)
WO (1) WO2013180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53984B1 (en) * 2013-09-30 2018-10-31 LG Chem,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using same
KR102356696B1 (ko) * 2015-07-03 2022-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광전 소자 및 이미지 센서
KR102442614B1 (ko) 2015-08-07 2022-09-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벤조보롤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2134507B1 (ko) 2017-03-21 2020-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태양 전지
US11422425B2 (en) 2017-07-10 2022-08-23 Lg Chem, Ltd.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ing electrochromic compou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120532B1 (ko) 2017-09-18 2020-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트랜지스터
KR102250385B1 (ko) * 2017-10-18 2021-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광 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이미지 센서
WO2020067823A1 (ko) * 2018-09-28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13097399B (zh) * 2021-03-31 2023-02-10 合肥京东方卓印科技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显示基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0536A (en) 1986-09-05 1988-10-25 The Ohi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Hexaazatriphenylene hexanitrile and its derivatives and their preparations
US5645948A (en) 1996-08-20 1997-07-08 Eastman Kodak Company Blu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JP3571977B2 (ja) 1999-11-12 2004-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KR100377321B1 (ko) 1999-12-31 2003-03-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피-형 반도체 성질을 갖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기소자
EP2365735B1 (en) 2000-11-24 2013-08-28 Toray Industries Inc. Luminescent element material and luminescent element comprising the same
KR100691543B1 (ko) 2002-01-18 2007-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새로운 전자 수송용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DE10215210B4 (de) 2002-03-28 2006-07-13 Novaled Gmbh Transparentes, thermisch stabiles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mit organischen Schichten
WO2004008545A1 (ja) * 2002-07-15 2004-01-22 Pioneer Corporation 有機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936961B2 (en) * 2003-05-13 2005-08-30 Eastman Kodak Company Cascad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connecting units with N-type and P-type organic layers
US7833632B2 (en) 2004-04-07 2010-11-16 Idemitsu Kosan Co., Ltd. Nitrogenous heterocycl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employing the same
KR101148460B1 (ko) 2004-08-23 2012-05-23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발광 소자용 재료 및 발광 소자
WO2006035958A1 (en) 2004-09-30 2006-04-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FR2878652A1 (fr) * 2004-11-29 2006-06-02 Thomson Licensing Sa Diode organique electroluminescente a couches dopees
KR20060080446A (ko) * 2005-01-05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형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
JP4826121B2 (ja) * 2005-04-04 2011-11-30 ソニー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US8906517B2 (en) 2005-04-04 2014-12-09 Son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4792828B2 (ja) * 2005-06-17 2011-10-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素子
KR100695307B1 (ko) 2005-07-29 2007-03-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317386B2 (ja) 2005-08-05 2013-10-16 出光興産株式会社 含窒素複素環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7553558B2 (en) 2005-11-30 2009-06-30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containing an anthracene derivative
KR100796588B1 (ko) 2005-12-23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EP1808909A1 (de) * 2006-01-11 2007-07-18 Novaled AG Elekrolumineszente Lichtemissionseinrichtung
JP2010514174A (ja) 2006-12-22 2010-04-30 ノヴァレッド・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少なくとも1つの有機層配列を有する電子素子
US9130177B2 (en) * 2011-01-13 2015-09-0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5-substituted 2 phenylquinoline complexes materials for light emitting diode
JP5593621B2 (ja) * 2008-04-03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US8637854B2 (en) 2008-05-16 2014-01-28 Lg Chem, Ltd. Stack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20120007071A1 (en) 2009-03-17 2012-01-12 Mun-Kyu Joo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DE102009018647A1 (de) * 2009-04-23 2010-10-28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trahlungsemittierende Vorrichtung
JPWO2011074633A1 (ja) * 2009-12-16 2013-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3134458B1 (en) * 2010-01-05 2023-11-01 Raynergy Tek Inc. Photovoltaic cell with benzodithiophene-containing polymer
US8288187B2 (en) * 2010-01-20 2012-10-1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devices for lighting applications
FR2956925B1 (fr) * 2010-03-01 2012-03-23 Saint Gobain Cellule photovoltaique
DE102010062877A1 (de) * 2010-12-13 2012-06-2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rganisches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und Verwendung eines Kupferkomplexes in einer Ladungstransportschicht
EP2668247B1 (en) * 2011-01-27 2016-12-28 Nitto Denko Corporation Phototherapy devices and methods comprising optionally substituted terphenyl and quaterphenyl compounds
US9147793B2 (en) * 2011-06-20 2015-09-29 Alliance For Sustainable Energy, Llc CdTe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963140B2 (en) * 2012-02-10 2015-02-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Organic photovota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90626B2 (en) 2015-11-17
EP2752906A4 (en) 2015-05-27
EP2752906B1 (en) 2016-07-20
WO2013180539A1 (ko) 2013-12-05
TW201410658A (zh) 2014-03-16
US20150115244A1 (en) 2015-04-30
KR20130135194A (ko) 2013-12-10
TWI494305B (zh) 2015-08-01
CN104335379A (zh) 2015-02-04
CN104335379B (zh) 2016-12-21
EP2752906A1 (en)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043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657057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527275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512229B1 (ko) 적층형 유기전계발광소자
EP275290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1789069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677918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539842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649473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689680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