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469B1 - 전착도장 장치 - Google Patents

전착도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469B1
KR101613469B1 KR1020140132046A KR20140132046A KR101613469B1 KR 101613469 B1 KR101613469 B1 KR 101613469B1 KR 1020140132046 A KR1020140132046 A KR 1020140132046A KR 20140132046 A KR20140132046 A KR 20140132046A KR 101613469 B1 KR101613469 B1 KR 101613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rizontal
workpiece
electrod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9085A (ko
Inventor
한상균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140132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4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7Current direc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0Agitating of electrolytes; Moving of ra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착도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료가 저장되는 저수부와, 저수부의 내부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류를 공급하는 수직전극부와, 저수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류를 공급하는 수평전극부와, 저수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장착되어 수직전극부와 수평전극부 사이를 이동하고 작업 대상물이 장착되는 행거부를 포함하여, 작업 대상물의 도장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착도장 장치{DEVICE FOR ELECTRO PAINTING}
본 발명은 전착도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대상물에 도막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여 작업 대상물의 도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착도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착도장이란, 도료액을 채운 전착조 내의 양측에 전극을 나란히 배치하고, 전착조 내의 전극들 사이를 이동하는 작업 대상물이 다른 한쪽의 전극을 띄도록 하여, 도료액이 작업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전착도장으로는 수지성분이 양으로 대전하는 양이온성 도료를 사용하는 것과, 음으로 대전하는 음이온성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있으며, 전자는 양이온 전착도장, 후자는 음이온 전착도장이라고 불린다. 그리고, 자동차 차체의 부식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하지(下地) 도장으로는 양이온 전착도장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전착도장에 사용되는 도료 중 음이온성 도료로는, 예를 들면 분자량 2000의 수지에 카르복실기를 치환시켜 수용성으로 한 것이 일반적이고, 양이온성 도료로는 도료의 수지성분에 아미노기를 치환시켜 수용성으로 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도료 수지는 물 속에 용해한 후의 전리도(電離度)가 매우 미약하여, 음이온성 도료인 경우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등의 염기성 전해질(극액)을 혼입하고, 또한, 양이온성 도료의 경우는 아세트산 등의 산성 전해질(극액)을 혼입하여 물 속에서의 전도도의 증대를 도모하는 것이 통례이다.
종래에는 전착조 내의 양측에 전극이 배치되고, 작업 대상물이 전극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작업 대상물의 표면에 도료가 부착된다. 그러나, 입조시부터 출조시까지 전착시간이 가장 긴 작업 대상물의 하단부는 다른 부위보다 도막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착조 내의 양측에 전극이 배치되고 작업 대상물이 전극 사이를 통과하므로, 전착조의 가장자리에 근접 배치되는 작업 대상물의 도막두께는 전착조의 중앙에 배치되는 작업 대상물의 도막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05322호(2009.01.13 공개, 발명의 명칭 : 전착 도장용 막이 부착된 중공 전극)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 대상물에 도막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여 작업 대상물의 도장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착도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는: 도료가 저장되는 저수부; 상기 저수부의 내부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류를 공급하는 수직전극부;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류를 공급하는 수평전극부; 상기 저수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전극부와 상기 수평전극부 사이를 이동하고, 작업 대상물이 장착되는 행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전극부는: 상기 저수부의 내부 양측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수직전극봉; 및 상기 수직전극봉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수직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대상물은 상기 수직전극봉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전극부는: 상기 행거부의 이동경로 양측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수평전극봉; 상기 수평전극봉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평파지체; 및 상기 수평파지체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대상물은 상기 수평전극봉 하방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저수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스프라켓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라켓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스프라켓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벨트체인부; 및 상기 벨트체인부에 장착되고, 상기 행거부가 안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행거부는: 상기 구동부에 걸림 고정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작업 대상물이 장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간의 간격은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행거부의 좌우 이동을 유도하는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부는: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는 유동지지부; 및 상기 유동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행거부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유동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는 수직전극부와 수평전극부에 의해 작업 대상물의 전착도장 두께가 균일하여 도장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는 파지부간의 간격이 가장자리로 갈수록 줄어들어, 작업 대상물의 도장 두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는 행거부가 좌우 유동되어 작업 대상물의 기포를 제거하고, 도료의 순환을 유도하여 도장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에서 수직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에서 수평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에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에서 행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에서 유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에서 유동부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1)는 저수부(10)와, 수직전극부(20)와, 수평전극부(30)와, 구동부(40)와, 행거부(50)를 포함한다.
저수부(10)는 지면에 설치되고, 도료가 저장되도록 용기 형상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수부(10)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할 수 있다.
수직전극부(20)는 도료에 잠기고, 저수부(10)의 내부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도료에 전류를 공급한다. 일 예로, 수직전극부(20)는 양극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수평전극부(30)는 도료에 잠기고, 저수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도료에 전류를 공급한다. 일 예로, 수평전극부(30)는 양극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저수부(10)의 상방에 배치되고, 행거부(50)는 구동부(40)에 장착되어 수직전극부(20)와 수평전극부(30) 사이를 이동한다. 즉, 구동부(40)는 행거부(50)를 이동시키는 동력원이 될 수 있다.
한편, 행거부(50)에는 작업 대상물(100)이 장착될 수 있다. 미도시한 전류공급부가 작업 대상물(100)에 음극 전류를 공급하면, 저수부(10)에 공급되는 양극 전류와 전기분해 작용이 진행되어 작업 대상물(100)의 표면에 도료가 전착되는 전착도장이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에서 수직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극부(20)는 수직전극봉(21)과, 수직고정체(22)를 포함한다.
수직전극봉(21)은 저수부(10)의 내벽 양측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일 예로, 도료에 잠기는 수직전극봉(21)은 도료에 양극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저수부(10)의 내벽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수직전극봉(21)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수직고정체(22)는 각각의 수직전극봉(21)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저수부(1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작업 대상물(100)은 저수부(10)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직전극봉(21) 사이를 통과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에서 수평전극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전극부(30)는 수평전극봉(31)과, 수평파지체(32)와, 수평연결체(33)를 포함한다.
수평전극봉(31)은 행거부(50)의 이동경로 양측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도료에 잠기는 수평전극봉(31)은 도료에 양극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수평파지체(32)는 수평전극봉(31)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수평전극봉(31)의 길이에 비례하여, 복수개의 수평파지체(32)가 수평전극봉(31)을 감쌀 수 있다. 수평연결체(33)는 수평파지체(32)에 결합되고, 구동부(40)에 고정 설치된다. 일 예로, 수평연결체(33)는 수평파지체(32)에 용접되고, 구동부(40)에 볼팅될 수 있다. 이때, 작업 대상물(100)은 수평전극봉(31)의 하방을 통과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에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40)는 고정부(41)와, 스프라켓부(42)와, 모터부(43)와, 벨트체인부(44)와, 걸림부(45)를 포함한다.
고정부(41)는 저수부(10)의 상방에 배치되고,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41)는 고정물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411)와, 고정대(41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4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1)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프라켓부(42)는 고정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서로 이격된 스프라켓부(42)는 마주보는 연결대(412)에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연결대(4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모터부(43)는 고정부에 장착되어 스프라켓부(42)를 회전시킨다. 일 예로,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연결대(412)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부(43)는 어느 하나의 스프라켓부(42)와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벨트체인부(44)는 스프라켓부(42)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고, 걸림부(45)는 벨트체인부(44)에 장착된다. 벨트체인부(44)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부(45)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걸림부(45)에는 행거부(50)가 걸림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에서 행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부(50)는 고리부(51)와, 연장부(52)와, 파지부(53)를 포함한다.
고리부(51)는 구동부(40)에 걸림 고정된다. 일 예로, 걸림부(45)는 링 형상을 하고, 고리부(51)의 상단부가 걸림부(45)에 고리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52)는 고리부(51)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52)는 직사각 띠 형상을 하는 연장바(521)와, 연장바(521)의 내측을 연결하여 연장바(521)의 강성을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보강바(5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바(521)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보강바(522)는 고리부(51)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파지부(53)는 연장부(5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부(5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파지부(53)에는 작업 대상물(100)이 장착된다. 일 예로, 연장바(52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파지부(53)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53)간의 간격은 연장부(52)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줄어든다. 일 예로, 연장바(521)의 중앙부에서는 파지부(53)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고, 연장바(521)의 가장자리에서는 파지부(53)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다. 즉, 연장바(521)의 중앙부에서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파지부(53)간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에서 유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에서 유동부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1)는 유동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동부(60)는 구동부(40)에 장착되고, 행거부(50)의 좌우 이동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부(60)는 유동지지부(61)와 유동롤러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지지부(61)는 구동부(4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지지부(61)는 고정부(41)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고정바(611)와, 연장고정바(61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롤러지지바(61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고정바(611)의 상단부는 도 4의 연결대(412)에 볼팅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유동롤러부(62)는 유동지지부(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행거부(50)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된다. 일 예로, 유동롤러부(62)는 상하로 한 쌍이 마주보는 롤러지지바(612) 사이에 위치되어 롤러지지바(6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유동롤러부(62)는 도 5의 고리부(51)와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고리부(51)를 유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유동부(60)는 행거부(50)의 좌우측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유동부(60)가 행거부(50)의 좌우측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고, 각 유동부(60)의 유동롤러부(62)가 고리부(51)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면, 고리부(51)가 정해진 이동경로로 이동되면서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으로 번갈아 유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착도장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40)의 걸림부(45)에 행거부(50)의 고리부(51)를 결합하고, 파지부(53)에 전착도장을 위한 작업 대상물(100)을 장착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모터부(43)를 구동시키면, 벨트체인부(44)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된다. 벨트체인부(44)가 이동되면, 벨트체인부(44)에 장착된 복수개의 걸림부(45) 및 걸림부(45)에 결합되는 고리부(51)가 이동되어, 작업 대상물(100)이 저수부(100)에 투입된다. 작업 대상물(100)은 저수부(100)의 일측으로 투입되어 도료에 담궈진 후 저수부(100)의 타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저수부(10)의 양측면에 마주보도록 장착되는 수직전극부(20)와, 저수부(10)의 상부 중앙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수평전극부(30)를 통해 양극 전류가 공급되면, 음극 전류를 띄는 작업 대상물(100)의 표면에 도료가 전착된다.
작업 대상물(100)이 수직전극부(20)만을 통과하는 경우, 연장부(52)의 양측에 배치되는 파지부(53)에 장착된 작업 대상물(100)은 연장부(52)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파지부(53)에 장착된 작업 대상물(100)보다 전착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 대상물(100)의 하부는 상부에 비해 도료와의 접촉시간이 더 길어, 작업 대상물(100)의 하부는 상부보다 전착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작업 대상물(100)이 수직전극부(20)외에 수평전극부(30)의 하방을 통과하므로, 연장부(52)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파지부(53)에 장착된 작업 대상물(100)은 수평전극부(30)에 근접된다. 이로 인해, 작업 대상물(100)의 전착도장 두께가 균일해질 수 있다.
파지부(53)간의 간격이 연장부(52)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하면, 수직전극부(20) 또는 수평전극부(30)에 의해 작업 대상물(100)의 일부가 과도한 두께로 전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료 전착 시간을 줄이면서 원하는 전착 품질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53)간의 간격은 수직전극부(20)와 수평전극부(30)의 위치 및 개수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고리부(51)의 이동경로 상에는 복수개의 유동롤러부(62)가 배치되어 고리부(51)를 좌우로 밀어낸다. 이로 인해, 고리부(51)가 유동되면, 작업 대상물(100)이 유동되어, 표면에 부착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그 외, 작업 대상물(100)이 유동됨에 따라 저수부(10)에 저장된 도료를 순환시키고, 작업 대상물(100)의 도막 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1)는 수직전극부(20)와 수평전극부(30)에 의해 작업 대상물(100)의 전착도장 두께가 균일하여 도장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1)는 파지부(53)간의 간격이 가장자리로 갈수록 줄어들어, 작업 대상물(100)의 도장 두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착도장 장치(1)는 행거부(50)가 유동부(60)에 의해 좌우 유동되어, 작업 대상물(100)의 기포를 제거하고 도료의 순환을 유도하여 도장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저수부 20 : 수직전극부
21 : 수직전극봉 22 : 수직고정체
30 : 수평전극봉 31 : 수평전극봉
32 : 수평파지체 33 : 수평연결체
40 : 구동부 41 : 고정부
42 : 스프라켓부 43 : 모터부
44 : 벨트체인부 45 : 걸림부
50 : 행거부 51 : 고리부
52 : 연장부 53 : 파지부
60 : 유동부 61 : 유동지지부
62 : 유동롤러부 100 : 작업 대상물

Claims (8)

  1. 도료가 저장되는 저수부;
    상기 저수부의 내부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류를 공급하는 수직전극부;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류를 공급하는 수평전극부;
    상기 저수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전극부와 상기 수평전극부 사이를 이동하고, 작업 대상물이 장착되는 행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전극부는
    상기 저수부의 내부 양측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수직전극봉; 및
    상기 수직전극봉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수직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대상물은 상기 수직전극봉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전극부는
    상기 행거부의 이동경로 양측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수평전극봉;
    상기 수평전극봉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평파지체; 및
    상기 수평파지체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에 고정 설치되는 수평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대상물은 상기 수평전극봉 하방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저수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스프라켓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스프라켓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스프라켓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벨트체인부; 및
    상기 벨트체인부에 장착되고, 상기 행거부가 안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상기 구동부에 걸림 고정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작업 대상물이 장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간의 간격은 상기 연장부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행거부의 좌우 이동을 유도하는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는 유동지지부; 및
    상기 유동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행거부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는 유동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 장치.
KR1020140132046A 2014-09-30 2014-09-30 전착도장 장치 KR101613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046A KR101613469B1 (ko) 2014-09-30 2014-09-30 전착도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046A KR101613469B1 (ko) 2014-09-30 2014-09-30 전착도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085A KR20160039085A (ko) 2016-04-08
KR101613469B1 true KR101613469B1 (ko) 2016-04-20

Family

ID=5590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046A KR101613469B1 (ko) 2014-09-30 2014-09-30 전착도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4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348B1 (ko) 2020-07-20 2020-09-21 김기영 도장용 터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995B1 (ko) 2008-10-20 2009-04-10 손치호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67554B1 (ko) 2008-01-08 2010-07-05 이윤희 도금용 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54B1 (ko) 2008-01-08 2010-07-05 이윤희 도금용 랙장치
KR100892995B1 (ko) 2008-10-20 2009-04-10 손치호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348B1 (ko) 2020-07-20 2020-09-21 김기영 도장용 터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085A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9731A (ko) 도금장치
KR101613469B1 (ko) 전착도장 장치
KR20160053661A (ko) 틸트 기능을 가진 피도금물 캐리어 이송장치
KR101279526B1 (ko) 배럴식 전기도금장치
JP5564078B2 (ja) めっき方法
KR20110098544A (ko) 전착도장 장치
CN214327898U (zh) 钢管槽浸式清洗线
JP4890493B2 (ja) 横吊り治具および表面処理装置並びに長尺材の表面処理方法
KR101254047B1 (ko) 전착도장 장치
CN211471616U (zh) 一种用于盛放阳极材料的篮及水平电镀线
WO2012073501A1 (ja) 電解液、電解ケース、電解研磨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電解研磨方法
ITBO20070068A1 (it) Apparecchiatura per la riverniciatura elettroforetica di oggetti metallici, in particolare di coperchi per contenitori ad uso alimentare
CA2918137C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polishing or electroplating conveyor belts
KR101335709B1 (ko) 전해 연마장치
KR101668850B1 (ko) 부분 도장이 가능한 전착 도장 장치
KR101574005B1 (ko) 다종용액공급식 롤 완전침지 회전 도금장치
JP4842082B2 (ja) 横吊り治具および表面処理装置並びに長尺材の表面処理方法
KR20120046853A (ko) 전착도장 장치
KR101565522B1 (ko) 전착 도장 장치
JP5997785B2 (ja) 隔膜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電着塗装装置
CN218132747U (zh) 一种用于汽车零部件电泳涂漆的多层v形挂具
CN108453001B (zh) 一种用于细线状器件的表面涂覆装置及方法
US91571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polishing or electroplating conveyor belts
CN214347389U (zh) 一种铝熔棒自动精炼罐快速喷涂装置
JP5052368B2 (ja) めっ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