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207B1 -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 - Google Patents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207B1
KR101613207B1 KR1020150003694A KR20150003694A KR101613207B1 KR 101613207 B1 KR101613207 B1 KR 101613207B1 KR 1020150003694 A KR1020150003694 A KR 1020150003694A KR 20150003694 A KR20150003694 A KR 20150003694A KR 101613207 B1 KR101613207 B1 KR 101613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ffee
valve
amount
dutch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시정
Original Assignee
(주)지티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티빈스 filed Critical (주)지티빈스
Priority to KR102015000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5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heat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의 추출을 위한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 추출용기에 장착되는 중공부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중공된 본체의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체가 나사조임식으로 조립되어 조임에 의해 본체에서 승강되고, 상기 조절체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좁아지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조절체의 승강에 따라서 개구부의 노출부분에 의해 추출량을 간단하게 조절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A valve of Dutch Coffee}
본 발명은 더치커피의 추출을 위한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 추출량의 유지가 가능하면서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더치커피는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하여 시작된 것으로 장점으로는 상온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또한 원액상태로 판매가 되기 때문에, 물이나, 우유, 시럽 등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넣기만 하면 커피가 완성되어, 오히려 캡슐커피보다 편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일반 커피에 비해 오랜 시간 향과 맛이 지속되는 장점이 있어 선호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다만, 더치커피를 제조 방법이 장시간(짧게는 3시간에서 길게는 12시간 이상)을 필요로 하고, 제조를 하더라도 대량으로 생산할 수가 없기 때문에 확장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한편에서는 카페인이 적거나 없는 커피로 소개되고 있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고 이는 온도에 따른 카페인의 용출이 변화되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찬물에서는 더치커피를 추출할 경우에 추출되는 량을 조절한다면 카페인의 용출곡선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노즐을 구비하여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더치커피의 추출되는 양을 조절토록 한 것이 제안되었지만, 실질적으로 추출되는 커피의 정밀한 양의 조절이 불가능한 것이다.
등록특허 10-1432496(2014.08.14)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추출량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추출량의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추출용기에 장착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서 승강되어지는 조절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와 조절체는 나사식으로 승강되어지고, 상기 조절체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좁아지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승강에 따라 추출량을 간단하게 조절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나사식의 조임에 따라서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조작이 쉽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더치커피의 추출량을 조임 조작에 의해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커피 양을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개폐밸브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의 저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개폐밸브의 조절체가 승강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커피액이 개폐밸브를 통해 추출량이 조절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조절체의 상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사시도.
도6은 도5에 따른 조절체의 커피액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추출기에 장착된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더치커피의 추출을 위한 개폐밸브(1)는 추출용기(100)에 장착되는 중공상의 본체(10)와, 상기 중공상의 본체(10) 내측에는 나사산(1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11)에 맞물림되도록 외측에 나사산(21)이 형성된 조절체(20)가 조임에 의해 승강되게 조립되고, 상기 조절체(20)에는 추출되는 더치커피액을 저장용기로 배출되는 개구부(22)가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개구부(2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조절체(20)가 본체(10)에서 나사조임으로 승강조절됨에 따라서 개구부(22)의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서 추출유로가 조절되어 추출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구부(22)는 조절체(20)의 나사산(21)이 형성된 외측으로 형성되어 조임에 의해 조절체(20)가 승강될 때 개구부(22)가 노출되면서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조절체(20)의 승강에 따라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된 개구부(22)의 노출 폭이 조절되어 추출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체(20)의 승강조절을 위한 조작을 위하여 조절체(20)에는 레버(23)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레버(23)에 의해 본체(10)에서 조절체(20)를 쉽게 조임조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버(23)는 조절체(20)의 하단 양측으로 대칭되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링의 형태일 경우에는 연결부(24)로 레버(23)가 연결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이때 추출되는 커피액은 링의 내측 공간으로 배출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버(23)에는 조임 조작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미세돌기를 형성하거나 돌기살(23a)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조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체(20)에 형성된 레버(23)를 이용하여 조임에 따른 조절체(20)의 승강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체(20)에 형성된 개구부(22)는 하나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 개로 형성된 개구부(22)는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되거나 일정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추출되는 커피액을 더욱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절체(20)의 상면을 볼록하게 형성토록 함으로써 커피액이 볼록면(25)을 타고 흘러내려 배출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를 추출용기(100)에 결합할 경우 밀폐를 위하여 결합부분에 패킹(미도시)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분이 커피가루에 침전되어 내려질 경우 커피액이 외부로 새지 않고 밸브(1)를 통해서만 배출이 되는 것이다.
1: 개폐밸브
10: 본체 11: 나사산
20: 조절체 21: 나사산
22: 개구부 23: 레버
24: 연결부 25: 볼록면
100: 추출용기

Claims (4)

  1. 삭제
  2. 더치커피의 추출을 위해 추출용기(100)에 밸브(1)가 장착되고 상기 밸브(1)는 내벽에 나사산(11)이 형성된 중공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나사산(21)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승강되어지는 조절체(20)와 상기 조절체(20)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좁아지는 개구부(22)로 형성되어 조절체(20)의 승강에 따라 추출유로를 형성하여 추출량을 간단하게 조절하는 더치커피 개폐밸브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20)의 하단에는 레바(23)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20)에 형성되는 개구부(22)는 복수개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
  4. 제2항 또는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20)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볼록면(25)이 형성되어 추출되는 더치커피액이 용이하게 흘러내려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
KR1020150003694A 2015-01-09 2015-01-09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 KR10161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694A KR101613207B1 (ko) 2015-01-09 2015-01-09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694A KR101613207B1 (ko) 2015-01-09 2015-01-09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207B1 true KR101613207B1 (ko) 2016-04-19

Family

ID=5591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694A KR101613207B1 (ko) 2015-01-09 2015-01-09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102B1 (ko) * 2016-05-12 2017-02-22 박종진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998Y1 (ko) * 2005-01-27 2005-04-19 최병웅 구이용 팬
KR200389113Y1 (ko) 2005-04-21 2005-07-07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변유량밸브
KR101416049B1 (ko) * 2013-07-26 2014-07-07 박종진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998Y1 (ko) * 2005-01-27 2005-04-19 최병웅 구이용 팬
KR200389113Y1 (ko) 2005-04-21 2005-07-07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변유량밸브
KR101416049B1 (ko) * 2013-07-26 2014-07-07 박종진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102B1 (ko) * 2016-05-12 2017-02-22 박종진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0326B1 (en) A filter-holder for coffee machine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quality of the coffee, and a machine comprising said filter-holder
KR101416049B1 (ko)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US10463189B2 (en) Coffee machine for portion capsules
KR101597969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NO135952B (ko)
BR112016028913B1 (pt) Sistema dispensador de bebida, recipiente, dispositivo de pressurização e regulador de pressão
WO1998017160A1 (en) Pressure coffee maker for preparing coffee infusions
KR101190168B1 (ko) 차 제조장치
KR101613207B1 (ko)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
KR20160082301A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43327B1 (ko) 일체 결합형 더치 커피 드립퍼
KR101709102B1 (ko)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US20100206176A1 (en) Hot Drink Maker
KR20170001833A (ko) 더치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의 일정유량의 배출과 커피농도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용 밸브
RU2759376C2 (ru) Кофеварка
KR20140121734A (ko) 더치커피 추출기용 밸브
KR20190065745A (ko) 주전자
KR200478513Y1 (ko)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102003378B1 (ko) 압력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KR20190010520A (ko) 음료 추출 시스템
KR102239665B1 (ko) 커피 추출 장치
US111861A (en) Improvement in coffee-pots
KR101892487B1 (ko)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KR20120119129A (ko) 상부 주수 방식 티 팟
KR101701251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