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745A - 주전자 - Google Patents

주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745A
KR20190065745A KR1020170165219A KR20170165219A KR20190065745A KR 20190065745 A KR20190065745 A KR 20190065745A KR 1020170165219 A KR1020170165219 A KR 1020170165219A KR 20170165219 A KR20170165219 A KR 20170165219A KR 20190065745 A KR20190065745 A KR 20190065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plate
handle
amoun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록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이수록
김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록, 김태현 filed Critical 이수록
Priority to KR102017016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5745A/ko
Publication of KR20190065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75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유체가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입구를 덮으며, 손잡이가 형성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회전될 시 상기 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주전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전자{KETTLE}
본 발명은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물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커피숍이나 가정에서 원두커피 분말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원두커피는 일반적으로 커피메이커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커피메이커를 통해 원두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피메이커의 호퍼에 종이나 금속/폴리머 메쉬 등으로 제작된 필터를 장착시키고, 필터내에 원두커피 분말을 넣는다. 그리고 물을 끓여 호퍼로 제공하는 탱크에 물을 부으면, 끓여진 물이 필터 내의 원두커피 분말에 제공되고, 원두커피가 우러나와 커피메이커 하부의 커피포트에 저장된다. 커피포트 하부에는 커피포트에 열을 가하는 히터가 설치되어 커피포트에 수용된 원두커피가 식지 않도록 보온한다.
한편, 최근에는 슬로우 푸드(Slow food)의 경향 및 커피문화의 고급화에 따라 바리스타가 직접 제공하는 핸드드립 커피가 인기를 끌고 있다.
핸드드립은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 중 가장 자연적인 방식으로, 중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뜨거운 물을 천천히 부어 추출한다.
핸드드립 커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드리퍼에 필터를 장착시키고 원두커피 분말을 넣는다. 이후에 토출구가 가는 주전자를 이용하여 천천히 드리퍼 내의 원두커피 분말에 뜨거운물을 붓는다. 이때, 적당량의 물을 부어 원두커피 분말이 부풀어 오를 때 까지 기다린 후, 다시 물을 부어 원두커피를 추출한다. 물을 부을때, 원을 그리면서 물을 붓게 되고 물을 붓는 방식이나 시간, 양에 따라 커피의 맛이 달라진다.
바리스타와 같은 전문적인 분들은 일정량의 물을 붓는데 숙달이 되어 있어 일반적인 주전자로도 쉽게 좋은 향과 맛을 낼 수가 있지만, 초보자인 경우에는 일정량의 물을 붓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물의 양을 조절하는데도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핸드드립을 할 때 일정한 물의 양을 토출하며, 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있는 주전자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511011호(2015.04.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드드립 커피용 주전자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유체가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입구를 덮으며, 손잡이가 형성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회전될 시 상기 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주전자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입구를 밀폐하며 중심에 삽입구가 형성되는 밀폐부 및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가 형성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제1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및 크기가 각각 다른 제2공기유입구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레이트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입구와 상기 제2공기유입구가 중첩되어 상기 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장공의 제1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공기유입구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는 제2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레이트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입구와 상기 제2공기유입구가 중첩되는 면적이 조절되어 상기 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상기 삽입구에 형성되고 중공관 형태의 고정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되는 중공관 형태의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가 상기 밀폐부에 삽입될 시 상기 고정부에 상기 밀착부가 삽입되어 서로 밀착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외주면에 오링이 형성되어, 상기 밀착부가 고정부에 보다 더 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측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외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절개구와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절개구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시 상기 밀착부는 수직으로 삽입된 후 수평으로 회전하며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전자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핸드드립 커피를 제조할 시에 초보자라고 하더라도, 용이하게 물줄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의 분해도이다..
주전자(1000)는 몸체(100), 토출구(200), 뚜껑(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유체를 저장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구(球)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으나,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100)의 상부에는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입구(110)가 형성되고, 몸체(100)의 내측 하부에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는 토출구(200)와 연결될 수 있다. 토출구(200)는 주전자()가 기울어졌을 때 물이 토출될 수 있다.
뚜껑(300)은 몸체(100)의 입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뚜껑(300)의 형상은 몸체(100)의 입구(110) 형상에 맞게 형성된다.
뚜껑(300)은 손잡이(310), 밀폐부(320), 조절부(330), 고정부(340) 및 밀착부(350)를 포함한다.
손잡이(310)는 일반적인 주전자에서 이용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뚜껑(30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320)는 직접적으로 입구(110)와 접하는 것으로, 입구(1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밀폐부(320)는 입구(11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되, 중심에는 삽입구(321)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321)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조절부(330)는 제1플레이트(331), 제2플레이트(332)를 포함한다.
제1플레이트(331)는 원형으로 형성되되, 중심에서 외주면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제1공기 유입구(33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331)의 하부에는 제 2플레이트(332)가 형성된다. 제2플레이트(332)는 제1플레이트(321)와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되, 제1플레이트(3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332)는 중심에서 외주면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다수의 제2공기유입구(332a)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2공기유입구(332a)는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되, 가장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제2공기유입구(332a)는 제1공기유입구(331a)의 직경과 대응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332)는 손잡이(31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잡이(310)를 회전시킬 경우, 제2플레이트(332)는 회전될 수 있다. 손잡이(310)의 결합은 여러가지의 결합방식 중 하나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2플레이트(332) 하부에 나사(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를 제2플레이트(332) 및 손잡이(310)에 삽입시켜 손잡이(310)와 제2플레이트(332)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310)를 회전시켜, 제2플레이트(332)가 회전됨에 따라, 제1공기유입구(331a)와 다수개의 제2공기유입구(332a)중 어느 하나가 중첩되어 몸체(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310)를 회전시켜, 자신이 원하는 직경의 제2공기유입구(332a)를 제1공기유입구(331a)와 중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원하는 양으로 조절할 수 있다.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되면, 토출구(20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310)의 회전운동을 통해서 간편하게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피를 핸드드립할 시에 용이하게 물의 양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밀폐부(320)와 조절부(330)의 결합은 고정부(340) 및 밀착부(350)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밀폐부(320)의 삽입구(321)에는 중공관 형태의 고정부(340)가 삽입 결합되고, 조절부(330)의 제1플레이트(331)는 하부에 중공관 형태의 밀착부(35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331)의 직경과 밀착부(350)의 외경은 대응되게 형성되고, 제2플레이트(332)는 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2플레이트(332)가 밀착부(350)의 상부에 삽입된다.
고정부(340)에 밀착부(350)가 삽입되어 밀착 결합됨에 따라, 밀폐부(320)와 조절부(330)가 결속 될 수 있다.
고정부(340)는 삽입구(321)에 중공관 형태로 삽입 형성되되, 상측에 절개부(341)가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350)는 중공의 관 형태로 제1플레이트(331)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측에는 돌출부(35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51)는 고정부(34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절개부(341)에 삽입될 수 있다. 절개부(341)는 수직절개구(341a)와 수평절개구(341b)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절개구(341a)는 고정부(340)의 길이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수평 절개구(341b)는 수직절개구(341a)의 끝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350)에 형성된 돌출부(351)는 수직절개구(341a)를 따라 수직으로 삽입된 후, 수평절개구(341b)를 따라 회전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착부(350)는 고정부(340)에 수직으로 삽입된 후 수평으로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밀착부(350)와 결합된 제1플레이트(331)는 손잡이(310)가 회전되더라도 회전운동이 방지되며, 고정부(340)에 결속될 수 있다.
한편, 수평절개구(341b)는 나선절개구(미도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나선절개구는 수직절개구(341a)의 끝단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나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350)에 형성된 돌출부(351)는 수직절개구(341a)를 따라 수직으로 삽입된 후, 상기 나선절개구를 따라 회전되며 하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착부(350)는 고정부(340)에 수직으로 삽입된 후 사선으로 회전 및 하강하여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밀착부(350)와 결합된 제1플레이트(331)는 손잡이(310)가 회전되더라도, 회전운동이 방지되며, 고정부(340)에 결속될 수 있다.
밀착부(350)의 외주면에는 오링(352)이 형성된다. 오링(352)은 탄성재질을 가지고 있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밀착부(352)는 고정부(340)의 내주면에 보다 더 밀착될 수 있다. 상측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오링(352)으로 인해 사용자가 뚜껑(300)의 손잡이(310)를 들어 올리면, 조절부(330)와 밀폐부(320)가 동시에 상부로 이동되고, 이를 통해 몸체(100)의 입구(110)가 개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공기유입구(333a)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공기유입구(334a)는 제1공기유입구(333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물결 형상의 폐곡선으로 제1공기유입구(333a) 및 제2공기유입구(334a)를 표시하였으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공기유입구(333a)와 제2공기유입구(334a)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보다 더 미세하게 공기유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제2플레이트(334)가 회전됨에 따라, 제1공기유입구(333a)와 제2공기유입구(334a)가 중첩되는 면적이 점차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로 토출되는 물의 양을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고, 이로 인해 용이하게 핸드드립을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몸체
110: 입구
200: 토출구
300: 뚜껑
310: 손잡이
1000: 주전자

Claims (7)

  1.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유체가 저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입구를 덮으며, 손잡이가 형성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회전될 시 상기 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되는 주전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입구를 밀폐하며 중심에 삽입구가 형성되는 밀폐부; 및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가 형성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제1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및
    크기가 각각 다른 제2공기유입구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레이트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입구와 상기 제2공기유입구가 중첩되어 상기 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장공의 제1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공기유입구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는 제2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레이트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공기유입구와 상기 제2공기유입구가 중첩되는 면적이 조절되어 상기 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미세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상기 삽입구에 형성되고 중공관 형태의 고정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되는 중공관 형태의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가 상기 밀폐부에 삽입될 시 상기 고정부에 상기 밀착부가 삽입되어 서로 밀착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외주면에 오링이 형성되어, 상기 밀착부가 고정부에 보다 더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측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외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절개구와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절개구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시 상기 밀착부는 수직으로 삽입된 후 수평으로 회전하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KR1020170165219A 2017-12-04 2017-12-04 주전자 KR20190065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19A KR20190065745A (ko) 2017-12-04 2017-12-04 주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19A KR20190065745A (ko) 2017-12-04 2017-12-04 주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745A true KR20190065745A (ko) 2019-06-12

Family

ID=6684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219A KR20190065745A (ko) 2017-12-04 2017-12-04 주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57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3448A (zh) * 2020-02-18 2020-04-24 周林斌 一种咖啡壶上盖
CN111214116A (zh) * 2020-02-18 2020-06-02 广州康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壶上盖的分离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11B1 (ko) 2015-01-16 2015-04-17 조재만 핸드드립 주전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11B1 (ko) 2015-01-16 2015-04-17 조재만 핸드드립 주전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3448A (zh) * 2020-02-18 2020-04-24 周林斌 一种咖啡壶上盖
CN111214116A (zh) * 2020-02-18 2020-06-02 广州康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壶上盖的分离方法
CN111053448B (zh) * 2020-02-18 2021-06-25 周林斌 一种咖啡壶上盖
CN111214116B (zh) * 2020-02-18 2021-08-24 广州康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壶上盖的分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74789A1 (en) Method for brewing and chilling a beverage
US6797304B2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assembly to selectively reduce contact of grounds with liquid coffee
KR101485771B1 (ko)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JP2011056254A (ja) インフューザー付きピッチャー
KR101416049B1 (ko)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JP2011522639A (ja) 閉じることができる注液口を有するプランジャーフィルター飲料メーカー
KR20190065745A (ko) 주전자
US4697502A (en) Apparatus for making varied strength beverages
RU26035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ингредиентов в растворителе
KR101643327B1 (ko) 일체 결합형 더치 커피 드립퍼
US20180153335A1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CA29797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ewing beverages
KR101709102B1 (ko) 워터 드립 제어밸브를 이용한 더치 커피 드립퍼
KR200475904Y1 (ko) 커피 드립퍼 및 이를 위한 수량 조절 기구
RU27612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на основе настаивания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US10506893B2 (en) Chai tea brewer
US5634395A (en) Infusion machine
US224606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KR200478513Y1 (ko)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102003378B1 (ko) 압력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US3040648A (en) Brewer for coffee
US1035099A (en) Coffee and tea pot.
KR20170001833A (ko) 더치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의 일정유량의 배출과 커피농도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용 밸브
KR101613207B1 (ko) 일정한 유량의 배출과 정밀한 양 조절이 가능한 더치커피 개폐밸브
KR102402420B1 (ko) 기능성 콜드브루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