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150B1 -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3150B1 KR101613150B1 KR1020150081091A KR20150081091A KR101613150B1 KR 101613150 B1 KR101613150 B1 KR 101613150B1 KR 1020150081091 A KR1020150081091 A KR 1020150081091A KR 20150081091 A KR20150081091 A KR 20150081091A KR 101613150 B1 KR101613150 B1 KR 1016131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e girder
- steel composite
- plate
- steel
- hol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합성 거더의 하부 콘크리트 케이싱에 일체로 형성된 상판부를 강합성 거더가 거치되는 교대의 지점부에 일체로 형성된 하판부의 한 쌍의 하부수직판 사이에 끼워 상판부 외측에 하판부를 밀착하여 겹쳐 놓은 상태에서 하판부와 볼트 결합 방식으로 간단하게 강결하므로 강합성 거더와 교대를 서로 연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
100a: 강합성 거더 101a: 상부 플랜지
102a: 웨브 102a-1: 관통구멍
100b: 교대 110a: 하부 콘크리트 케이싱
110: 상판부 111: 상부수직판
111-1: 관통구멍 120: 하판부
121: 하부수직판 121-1,121-2: 관통구멍
Claims (6)
-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고 T자 형강 또는 I자 형강에 하부 콘크리트 케이싱이 일체로 형성된 강합성 거더의 길이 방향 말단부에서 미리 정해진 크기로 상부 플랜지의 양측 말단에서 하방을 향해 고정되고 상기 상부에 상기 강합성 거더의 T자 형강 또는 I자 형강의 웨브에 형성된 관통구멍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연통하는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상부수직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수직판과 T자 형강 또는 I자 형강의 웨브 사이에는 상기 강합성 거더의 상부에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 및
상부와 중간부 및 하부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와 중간부가 상기 상부수직판의 외측에 겹쳐져 강결되고 상기 하부가 상기 강합성 거더가 거치되는 교대의 지점부에 강결되고 상기 상부에는 상기 상부수직판의 관통구멍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연통하는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에는 대응하는 다른 하부수직판의 하부의 관통구멍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연통하는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하부수직판을 구비하는 하판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는 상기 상판부가 상기 하판부의 한 쌍의 하부수직판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볼트 결합 방식으로 밀착하여 강결됨으로써 상기 강합성 거더와 교대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는 상기 강합성 거더의 T자 형강 또는 I자 형강의 웨브에 형성된 관통구멍들과 상기 한 쌍의 상부수직판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구멍들 및 상기 하판부의 한 쌍의 하부수직판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구멍들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강결되어 상기 하판부에 밀착하여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수직판의 하부는 상기 강합성 거더가 거치되는 교대의 지점부에서 서로 대응하는 다른 하부수직판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들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서로 강결되어 상기 교대의 지점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
- 강합성 거더의 T자 형강 또는 I자 형강에 하부 콘크리트 케이싱을 타설 및 양생할 때, 강합성 거더의 양단부에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고 강합성 거더의 길이 방향 말단부에서 미리 정해진 크기로 상부 플랜지의 양측 말단에서 하방을 향해 고정되고 상기 상부에 상기 강합성 거더의 T자 형강 또는 I자 형강의 웨브에 형성된 관통구멍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연통하는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상부수직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수직판과 T자 형강 또는 I자 형강의 웨브 사이에는 상기 강합성 거더의 상부에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와 동시에, 혹은 다음에, 혹은 먼저 수행할 수 있고, 상부와 중간부 및 하부로 구분되고 상기 상부와 중간부가 상기 상부수직판의 외측에 겹쳐져 강결되고 상기 하부가 상기 강합성 거더가 거치되는 교대의 지점부에 강결되고 상기 상부에는 상기 상부수직판의 관통구멍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연통하는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에는 대응하는 다른 하부수직판의 하부의 관통구멍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연통하는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하부수직판을 구비하는 하판부의 상기 하부를 상기 강합성 거더가 거치되는 교대의 지점부에서 서로 대응하는 다른 하부수직판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들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서로 강결하여 상기 교대의 지점부와 일체로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이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제작한 강합성 거더의 상기 상판부가 교대의 지점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하판부의 한 쌍의 하부수직판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강합성 거더를 교대의 지점부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를 서로 볼트 결합 방식으로 밀착하여 강결함으로써 상기 강합성 거더와 교대를 서로 연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 이어서 상기 강합성 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형성하고 상기 강합성 거더와 교대 사이의 지점부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제4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상판부를 상기 강합성 거더의 T자 형강 또는 I자 형강의 웨브에 형성된 관통구멍들과 상기 한 쌍의 상부수직판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구멍들 및 상기 하판부의 한 쌍의 하부수직판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구멍들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강결하여 상기 하판부에 밀착되어 겹쳐지게 함으로써 상기 강합성 거더와 교대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1091A KR101613150B1 (ko) | 2015-06-09 | 2015-06-09 |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1091A KR101613150B1 (ko) | 2015-06-09 | 2015-06-09 |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3150B1 true KR101613150B1 (ko) | 2016-04-19 |
Family
ID=5591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1091A Active KR101613150B1 (ko) | 2015-06-09 | 2015-06-09 |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3150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8876B1 (ko) * | 2011-09-08 | 2012-09-03 | (주)지아이건설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
-
2015
- 2015-06-09 KR KR1020150081091A patent/KR10161315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8876B1 (ko) * | 2011-09-08 | 2012-09-03 | (주)지아이건설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08393B2 (en) | Method for forming a plurality of beams connected in series | |
KR101544803B1 (ko) | 절곡강판 합성보의 기둥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JP2009052283A (ja) | 鋼部材と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及び装置 | |
JP7082522B2 (ja) | 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の継手構造 | |
JP5051598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の構築方法 | |
JP2019199710A (ja) | 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の橋軸直角方向の継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JP5061804B2 (ja) | 一対のフルpc部材の接合構造 | |
KR20190022141A (ko) | 강합성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KR20160148416A (ko) | 거치식 벽체-강합성 거더 연결구조를 갖는 강합성 라멘교 | |
JP2014105547A (ja) | プレキャスト床版の固定構造 | |
KR101998822B1 (ko) | 합성형 라멘교, 합성형 라멘교용 강거더 및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 방법 | |
JP6466196B2 (ja) | 既存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 |
KR101613150B1 (ko) |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 방법 | |
JP5875951B2 (ja) | 桁と床版との接合構造及び方法 | |
KR101682010B1 (ko) | 좌굴 방지 기능이 강화된 현장 조립구조의 거더 | |
JP6567368B2 (ja) | 既存柱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 |
JP6205199B2 (ja) | 柱状構造物の補強構造 | |
KR100903352B1 (ko) | 전단스터드를 구비한 전단연결판과 전단지압띠를 이용한형강 기둥과 콘크리트 바닥판의 접합구조 및 그접합시공방법 | |
JP4960788B2 (ja) | 鋼とコンクリートの複合桁の桁端部構造 | |
KR101580273B1 (ko) | 라멘교의 강합성 거더와 교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 방법 | |
KR101913782B1 (ko) | 무가교 하천교 축조공법 | |
KR101520000B1 (ko) |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의 연결부 고정 방법. | |
JP2022174578A (ja) | 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 |
JPH083935A (ja) | 橋梁の路床構成用プレキャスト床版と橋桁との接合構造 | |
JP2009281011A (ja) | 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