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121B1 - 웨어러블 밴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121B1
KR101612121B1 KR1020150187369A KR20150187369A KR101612121B1 KR 101612121 B1 KR101612121 B1 KR 101612121B1 KR 1020150187369 A KR1020150187369 A KR 1020150187369A KR 20150187369 A KR20150187369 A KR 20150187369A KR 101612121 B1 KR101612121 B1 KR 101612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module
signal processing
delete delete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의상
임대영
김은주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87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121B1/ko
Priority to PCT/KR2016/003252 priority patent/WO201711592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025Link constructions with links threaded on a band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웨어러블 밴드에 대한 발명으로, 에너지 모듈, 신호처리모듈 및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밴드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모듈, 신호처리모듈 및 센서모듈 각각에는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해 일측 또는 양측 말단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에너지 모듈, 신호처리모듈 및 센서모듈의 상호 인접하는 단자는 전도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단자와 상기 전도사는 핫멜트 필름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
본 발명은 착용감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웨어러블 밴드에 대한 것이다.
최근들어 스마트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안경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상용하기 위한 스마트 워치가 많은 주목을 받고 실정이다.
기존 상용화된 '스마트워치' 또는 '스마트밴드' 등에 적용되는 밴드는 대부분 고분자 재질로 되어 있다. 이러
한 고분자 재질의 밴드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긁힘 자국등이 남게되는 문제가 있으며, 신축성이 없어 온도나 압력등의 센싱 모듈의 적용시 균일한 센싱을 어렵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착용 또는 탈착시 체결 도구를 필요로 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한다.
신축성을 담보하기 위한 시도가 현안이 되고 있지만, 신축성 있는 소재 적용시 전선의 끊어짐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내구성 및 착용감이 우수한 웨어러블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밴드는 에너지 모듈, 신호처리모듈 및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밴드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모듈, 신호처리모듈 및 센서모듈 각각에는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해 일측 또는 양측 말단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에너지 모듈, 신호처리모듈 및 센서모듈의 상호 인접하는 단자는 전도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단자와 상기 전도사는 핫멜트 필름에 의해 결합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핫멜트 필름은 상기 단자를 덮을 수 있는 폭과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단자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핫멧트 필름은 상기 복수의 단자를 모두 덮을 수 있는 폭과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핫멜트 필름의 모서리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전도사는 편직물이 피복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에너지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영역; 신호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제2 영역;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제3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제1 간극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의 제2 간극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모듈, 신호처리모듈 및 센서모듈 각각에는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해 일측 또는 양측 말단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에너지 모듈, 신호처리모듈 및 센서모듈 각각 단자는 전도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단자와 상기 전도사는 핫멜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3영역은 피케조직 편직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간극영역과 제2 간극영역은 리브조직 편직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케조직 편직물은 상기 리브조직 편직물보다 신축도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밴드
일 실시예로, 상기 센서모듈은 체온 센싱 모듈이고, 상기 피케조직 및 상기 리브조직을 포함하는 웨어러브 밴드의 신축도는 단위면적당 2.5 내지 5kg/cm2범위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의 테두리에 박음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단자가 형성된 센서모듈을 스테이지에 고정하는 제1 단계; 상기 단자 상부에 전도사를 배치하는 제2 단계; 상기 단자와 전도사 전체가 덮일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핫멜트 필름을 상기 전도사 상부에 배치하는 제3 단계; 상기 핫멜트 필름을 열플레스로 가압하여 핫멜트 필름을 상기 센서모듈의 단자에 고정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핫멜트 필름을 곡률을 가지는 일정한 형상으로 구현하기 위해 커터용 프레스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본 발명은, 신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신축성이 우수하면서도 전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에너지 모듈, 신호처리 모듈, 센서 모듈로 구성되는 웨어러블 밴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단자, 전도사 및 핫멜트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으로 구성되는 웨어러블 밴드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특징으로 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밴드는 에너지 모듈(100), 신호처리 모듈(200) 및 센서모듈(300)을 포함하다. 에너지 모듈(100)은 신호처리 모듈에 전기적 에너지원를 공급하는 모듈로, 밧데리, 전지 등의 에너지원이 포함된 모듈이 장착될 수 있으며, 신호처리 모듈(200)은 통상의 FPCB일 수 있으며, 센서 모듈(300)은 온도, 압력 등의 다양한 센서를 포함한 모듈일 수 있다. 단, 용어에 한정하지 않고, 센싱을 목적으로한 기능적인 웨어러블 밴드의 통상적인 구성은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에너지 모듈(100), 신호처리 모듈(200) 및 센서모듈(300) 각각에는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400)가 일측 또는 양측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400)는 도 1에 도시된 모양이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단자형태는 어떠한 형태도 올 수 있다.
상기 모듈 각각(100, 200, 300)에 배치된 단자(400)들은 각각의 모듈에 상호 인접한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도사(500)를 적용 하였다. 전도사(Conductive fiber)는 본 발명의 일 특징으로, 웨어러블 밴드와 같이 신축성을 요하는 제품에서는 일반적인 전선 적용시 끊어지기 쉬운 문제와 신축성에 방해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사(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며 파형형태 또는 말굽형태의 형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편직물 밴드를 가질 경우 이러한 형태적인 특징에 의해 고신축성을 달성하면서, 전기적인 끊어짐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로 전도사를 편직물(501)이 피복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편직물(500)이 피복된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밴드 외형제로 편직물 구성시 상호 조화성의 측면에서 우수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단자(400)와 전도사(500)를 결합하는 도구로 핫멜트 필름(600)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핫멜트 필름(600)의 가열 및 가압에 의해서 단자(400)와 전도사(500)와 함께 결속되는 역활을 한다. 이렇게 단자(400)와 전도사(500)를 함께 결속시키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 필름(600)은 단자(400)보다 큰 폭과 너비를 가져야 한다. 즉, 단자를 덮을 수 있는 단자보다 넓은 면적을 가져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핫멜트 필름(600)은 한개의 핫멜트 필름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단자(400)를 연결하기 위해 복수의 단자(400)를 모두 덮을 수 있는 폭과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단자(400)와 복수의 전도사(500)를 함께 결합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가열, 가압용 프레스는 개별 단자별로 개별 프레스 유닛이 복수개 형성된 일체형의 프레스일 수 있으며, 한개의 프레스가 복수의 단자를 한번에 프레스할 수 있는 단일형태의 프레스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적용되는 핫멜트 필름(600)은 다양한 형상이 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이나 원형, 타원형등이 올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지점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곡률을 부가하는 이유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은 꼭지점이 첨예하여 작업 등에 의해 떨어지는 등, 부착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2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사(500)는 단자(400)보다 작은 면적으로, 단자 상부에 배치되며, 전도사(500)를 피복하고 있던 편직물(501)도 단자와는 이격 거리를 배치될 수 있도록 피복이 제거되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는 단자(400)와 전도사(500)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핫멜트 필름(600)이 전도사(500)에 피복된 편직물(501)과 이격거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핫멜트의 접착력, 성질에 따라 전도사의 편직물(501) 말단 일부와 핫멜트 필름(600)이 함께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웨어러블 밴드로, 에너지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영역(110), 신호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제2 영역(210) 및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제3 영역(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210) 사이는 제1 간극영역(102)으로 정의하고, 제2 영역(210)과 제3 영역(310)은 제2 간극영역(203)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에서 언근했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듈에 형성된 단자는 전도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형태, 전도사, 핫멜트 등에 대한 내용은 상기에서 언급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5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 될 수 있다. 제1 영역(110)은 에너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영역(210)은 신호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영역(310)은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110, 210, 310)은 웨어러블 밴드의 핵심 부품이 포함된 영역으로 본 발명의 목적인 신축성을 해하지 않으면서 핵심 부품의 보호가 필요하다. 이에 제1 내지 제3 영역(110, 210, 310)은 편직물인 피케조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케조직은 다음에 설명할 편직물인 리브조직보다는 신축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떨어질 뿐, 웨어러블 밴드의 온도등의 센싱과 착용안정감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소재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피케조직에서, 피케는 프랑스어로 수를 놓는다는 뜻을 가진 말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중직의 일종이며 가로방향으로 표면이 아주 작은 그물모양이나,마름모 모양의 작은 무늬가 반복적으로 되는 벌집형태의 조직을 가진다. 통기성, 흠습성, 세탁성 및 변형저항성이 우수하여 여름 및 스포츠용 티셔츠 등에 주로 사용된다. 본 피케조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용어를 불문하고 당업자에게 피케조직으로 인식하고 통용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피케조직 영역에서의 변형률을 줄이기 위해서, 제1 내지 제3 영역(110, 210, 310) 각각에 포함된 에너지 모듈(100), 신호처리 모듈(200), 센서모듈(300)의 테두리에 근접한 박음질이 형성될 수 있거나, 제1 내지 제3 영역(110, 210, 310)의 테두리에 근접한 내부 박음질이 형성될 수 있다. 박음질이란, 자수, 기계 바늘질 등의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박음질은 테두리 영역 뿐만 아니라, 박음질이 형성된 테두리 영역내에서 상표등의 로고를 형성하는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표 등의 로고로 인해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피케조직 영역내의 신축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피케조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용어를 불문하고 당업자에게 피케조직으로 인식되고 통용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210) 사이에는 제1 간극영역(102)이 형성되고, 제2 영역(210) 및 제3 영역(310)에는 제2 간극영역(20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간극영역(102, 20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사(50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영역(110, 210, 310)과 제1 및 제2 간극영역(102, 203)은 모듈의 경개에 일치되어 구분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제1 내지 제 3영역(110, 210, 310)은 박음질이 모듈과 일정한 이격간격을 가지며 형성되는 부분까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 2 간극 영역(102, 203)은 이를 제외한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간극 영역(102, 203)은 편직물인 리브조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브조직은 상기에서 언급한 피케조직보다는 신축성이 큰 편직물 조직으로, 웨어러블 밴드의 전체적인 신축성에 중요한 역활을 담당한다. 리브조직은 제1 및 제2 간극 영역(102, 203) 이외에, 즉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을 제외한 원형의 웨어러블 전체를 리브조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조직과 피케조직의 비율은 사용하고자 하는 웨어러블 밴드의 기능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 기능을 필요로 하는 웨어러블의 경우와 동맥 박동을 센싱하기 위한 웨어러블 밴드의 경우에는 각각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신축성을 가지면서 착용감이 우수한 웨어버블 밴드의 목적 또한 달성할 수 있다.
리브조직이란 고무단이라고도 부르며, 양면으로 편성되는 조직으로 바늘배열에 따라 1×1, 2×1, 2×2 등으로 나뉘며 신축성이 매우 우수하여 허리, 소매단 및 신축성 T셔츠 등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피케조직 및 리브조직의 조직내 밀도를 조절하여 신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용도 및 센싱 범위에 따라 이러한 신축성은 제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케조직 및 리브조직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밴드 전체는 2.5 내지 5kg/cm2 의 압력을 가질 수 있게 조절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밴드를 손목형 밴드로 테스트한 결과, 최소 2.5 kg/cm2 의 압력이 손목에 전달 되어야 균일한 체온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또한, 5kg/cm2 의 압력을 초과할 경우에는 손목의 압박감이 심하게 느껴짐을 확인 하였다.
또한, 피케조직 또는 리브조직의 원사 혼용률을 제어하여 신축성을 제어할 있다. 피케조직 또는 리브조직에 사용되는 원사는 폴리에스터 섬유일 수 있다. 폴리에테르 부분의 평균분자량은 500 ~ 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 3,000인 것이 좋다. 분자량이 500미만이면 충분한 탄성회복율을 발휘하기 어렵고 5,000을 초과하면 경질 세그먼트와의 상용성이 나쁘며 연질 세그먼트 자체의 결정화가 생기기 때문에 좋지않다
폴리에스터 섬유는 2가 알코올과 테레프탈산의 에스테르를 적어도 85% 함유하는 합성고분자로부터 제조 될 수 있다. 폴리에스터 섬유는 선상고분자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PET 섬유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고분자인 PET를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방사구금을 통하여 압출하여 냉각고화시킨 다음 권취하는 용융방사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이렇게 용융방사된 미연신사는 최종 섬유로서 가져야 할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배양화와 결정화를 섬유구조에 발현시키는 연신공정을 거쳐 최종 원사로 제조된다. 또한 권취속도가 커서 분자배향이 방사공정에서 다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신공정이 필요 없이 방사공정만으로 원하는 물성을 갖는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PET는 유리전이온도(Tg)가 80℃ 전후, 냉결정화온도(Tcc)가 125℃ 전후, 용융점(Tm)이 260℃ 전후이며 열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PET는 205℃에서 점착성이 생기므로 다림질 온도는 이보다 훨씬 낮은 135℃ 근처가 바람직하다.
PET사는 열수축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연신공정 중에 장력하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결정화도를 증가시키고 비결정영역을 충분히 완화시켜 형태안정성을 좋게 할 수 있다. PET 직, 편물은 정련, 표백, 염색, 가공 등의 습식공정 중에 받는 기계적 힘과 열에 의한 변형이나 주름의 발생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습식공정 전에 텐터 등을 이용하여 예비열고정(preset)을 행하며, 최종 공정이 끝난 후에도 최종 열처리(final set)를 할 수 있다.
PET 섬유는 산성이나 염기성을 띠는 친수성 이온구조를 갖지 않고 구조가 치밀하기 때문에 주로 이온성이 없는 분산염료와 소수의 아조염료와 배트염료에 의해서 염색될 수 있다. PET 섬유를 분산염료로 염색하는 방법으로는 캐리어(carrier) 염색법, 고온고압 염색법, 서모졸(thermosol) 염색법 등이 있다. 캐리어 염색법은 PET 섬유를 가소화하시키면서 물에 대한 용해도는 작고 분산염료에 대한 용해도가 큰 유기화합물을 분산염료의 캐리어로 사용하여 80~100℃에서 염색하는 방법이며, 고온고압 염색법은 고온고압 염색기를 이용하여 125~130℃에서 염색 하는 방법이고, 서모졸 염색법은 PET 섬유를 분산염료 용액에 패딩, 건조한 후 180~220℃의 고온으로 수십초 내지는 수분간 열처리하여 염료를 섬유 내부로 확산, 고착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의 PET 섬유의 예는 실시의 일예일뿐, PBT(polybuthylene terephthalate), PTT(polytrimethylene terephalate), 폴리디히드록시메틸사이클로 헥실 테레프탈레이트(Kodel Type) 등의 폴리에스터 섬유의 사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에서 피케조직 또는 리브조직은 폴리우레탄 탄성사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이성분 복합방사법에 의해 열수축성이 다른 두 섬유를 혼합방사하여 크림프(crimp)를 부여하는 잠재권축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에스터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사의 혼용율 조절에 의해 신축성, 즉 손목용 밴드에서 전달되는 압력을 조절 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탄성사는 폴리에스터 섬유 100중량부 대비 35 내지 60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3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신축성이 떨어지며, 60중량부를 초과할 때에는 센싱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 및 폴리우레탄 탄성사에 더하여 폴리에스터 봉재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폴리에스터 봉재사는 폴리아미드 섬유(nylon 66, nylon 46) 봉재사 및 아라미드(p-aramid) 봉제사보다 원가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며, 원사의 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폴리에스터 봉재사는 웨어러블 밴드의 마감처리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봉재사 처리에 의해 웨어러블 밴드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신축성의 조절 측면에서도 다양한 압력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폴리에스터 봉재사는 폴리에스터 섬유 100중량부 대비 2 내지 5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밴드의 폭과 길이는 일반 환편기와 심리스(seamless) 아대편기를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일반 환편기 및 심리스 아대편기의 종류를 변경하여 신축성을 제어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100 : 에너지 모듈
110, 210, 310 :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102 : 제1 간극영역
203 : 제2 간극영역
200 : 신호처리 모듈
300 : 센서모듈
400 : 단자
500 : 전도사
600 : 핫멜트 필름

Claims (12)

  1. 에너지 모듈을 포함하는 제1 영역;
    신호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제2 영역;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제3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제1 간극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의 제2 간극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모듈, 신호처리모듈 및 센서모듈 각각에는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해 일측 또는 양측 말단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에너지 모듈, 신호처리모듈 및 센서모듈 각각 단자는 전도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단자와 상기 전도사는 핫멜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3영역은 피케조직 편직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간극영역과 제2 간극영역은 리브조직 편직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케조직 편직물은 상기 리브조직 편직물보다 신축도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체온 센싱 모듈이고,
    상기 피케조직 및 상기 리브조직을 포함하는 웨어러브 밴드의 신축도는 단위면적당 2.5 내지 5kg/cm2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의 테두리에 박음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밴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187369A 2015-12-28 2015-12-28 웨어러블 밴드 KR101612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69A KR101612121B1 (ko) 2015-12-28 2015-12-28 웨어러블 밴드
PCT/KR2016/003252 WO2017115928A1 (ko) 2015-12-28 2016-03-30 웨어러블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69A KR101612121B1 (ko) 2015-12-28 2015-12-28 웨어러블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2121B1 true KR101612121B1 (ko) 2016-04-27

Family

ID=5591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369A KR101612121B1 (ko) 2015-12-28 2015-12-28 웨어러블 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2121B1 (ko)
WO (1) WO20171159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563A1 (ko) * 2018-12-28 2020-07-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밴드형 패브릭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2515648A (zh) * 2020-12-18 2021-03-19 云镶医疗器械(云南)有限公司 一种具有连接件的腕带、电子血压计及生命体征监护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3341B (zh) * 2019-06-28 2021-04-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链条组件和可穿戴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64B1 (ko) * 2007-08-03 2008-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측정용 의복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54945A (ko) * 2009-11-19 2011-05-25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생체신호 측정용 스마트 의복
KR20150130127A (ko) * 2014-05-13 2015-11-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디지털 밴드
KR101573043B1 (ko) * 2014-05-27 2015-12-02 주식회사 루키스 이중층 구조를 가지는 스마트 의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008B1 (ko) * 2012-12-06 2014-08-2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컴퓨터 및 상기 웨어러블 컴퓨터의 전도성 섬유와 전자 모듈의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64B1 (ko) * 2007-08-03 2008-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측정용 의복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54945A (ko) * 2009-11-19 2011-05-25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생체신호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생체신호 측정용 스마트 의복
KR20150130127A (ko) * 2014-05-13 2015-11-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디지털 밴드
KR101573043B1 (ko) * 2014-05-27 2015-12-02 주식회사 루키스 이중층 구조를 가지는 스마트 의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563A1 (ko) * 2018-12-28 2020-07-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밴드형 패브릭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2515648A (zh) * 2020-12-18 2021-03-19 云镶医疗器械(云南)有限公司 一种具有连接件的腕带、电子血压计及生命体征监护仪
CN112515648B (zh) * 2020-12-18 2023-06-27 云镶医疗器械(云南)有限公司 一种具有连接件的腕带、电子血压计及生命体征监护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5928A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8181B (zh) 包含低熔纖維之易於定型的伸縮織物
KR101612121B1 (ko) 웨어러블 밴드
JP5485687B2 (ja) 織編物
CN113005614B (zh) 一种冰爽高保形棉锦面料及其制造方法
KR20170083021A (ko) 극세 고강력 폴리아미드 멀티 필라멘트 및 그것을 사용한 커버링사, 스타킹, 직물
CN101596024A (zh) 一种防卷曲衣领的制造方法
CN105220350A (zh) 一种抑菌导湿丝光绒经编面料及其加工工艺
KR101615753B1 (ko) 손목형 밴드
CN103991256A (zh) 内饰成型体及其制造方法
KR101612123B1 (ko) 웨어러블 밴드
CN212247640U (zh) 一种弹性布料的拼接结构
CN103668660A (zh) 一种远红外保健面料布的制备方法
US20130118209A1 (en) Fabric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2002088577A (ja) ポリアミド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用途
CN110604362A (zh) 一种智能衣的制作方法
JP2017160546A (ja) コアシース構成を利用した異融点繊維から成る可塑性布地
JP2011157634A (ja) 織編物とその織編物を含む衣料品
CN107849805B (zh) 绒头布帛及其制造方法
CN209955441U (zh) 一种pbt与pbt混合双组分弹性面料
CN210911414U (zh) 染色均匀涤纶弹力布
JP6235966B2 (ja) 起毛編地
CN103668661A (zh) 一种远红外保健面料布
CN214032828U (zh) 一种高强度保暖纱线
CN111501174B (zh) 一种针织面料及其制备方法
KR101732072B1 (ko) 스트레치성이 우수한 방적사/잠재권축필라멘트 합연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