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140B1 -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140B1
KR101611140B1 KR1020150158347A KR20150158347A KR101611140B1 KR 101611140 B1 KR101611140 B1 KR 101611140B1 KR 1020150158347 A KR1020150158347 A KR 1020150158347A KR 20150158347 A KR20150158347 A KR 20150158347A KR 101611140 B1 KR101611140 B1 KR 101611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radle
robot arm
motorcycle
whee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희
양희재
Original Assignee
엔트라 주식회사
동서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트라 주식회사, 동서하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트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8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은, 종래 많이 사용되는 타워형이 아닌 단층으로 형성되어 개별적인 입출고 시스템을 형성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건물의 지하 등에 형성되기 유용하고 이륜차 도난에 대한 우려가 대폭 감소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륜차 주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전거와 같은 이륜차의 이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AUTO PARKING SYSTEM FOR TWO-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이륜차 도난 방지를 위한 이륜차 주차장치를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누구나 손쉽게 이륜차를 보관 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시 등록한 인증정보를 거쳐 이륜차를 찾을 수 있는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의 급증으로 인한 도로 교통은 심한 정체를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하여 공기가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중교통이나 자전거 등의 이용을 권장하고 있으나,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여 자전거를 거치할 마땅한 장소를 구비할 수 없었으며, 설사 자전거 보관대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 거치를 한다 하더라도 도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잠금 장치를 구입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잠금 장치를 별도로 구매할 필요없이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을 요구하는 실정이다.
한편, 대중교통의 이용시 대중교통의 연계성에 많은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중교통 상호간을 연계하기 위한 정책이나 제도가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수요자가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정류장이나 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거주할 경우 거주지로부터 정류장이나 역까지 이동하는 것이 불편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기보다는 자가용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대중교통의 이용률은 낮아지고 자가용의 이용이 늘어남으로써 교통체증을 가속시키게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가 주목받고 있다. 이로 인해 이륜차를 이용하여 주거지와 정류장 또는 역까지 이동하는 대중교통 이용자가 있으나 이륜차를 보관할 수 있는 시설이 부족함은 물론 사용자가 별도의 도난 방지를 위한 수단을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KR 10-0824556 B1
KR 10-0880011 B1
KR 10-0978885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와 같은 이륜차의 도난 방지를 위하여 이륜차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이륜차 입고 시 본인 인증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타인이 임의로 출고할 수 없도록 하여 도난의 우려를 감소시키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이륜차 주차장치를 조성함으로써, 이륜차 및 대중교통의 이용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은 이륜차(B)가 거치되는 거치대(110); 거치대(110)와 바닥간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치대(110)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111); 상기 받침대(111)의 상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이륜차(B)가 상기 거치대(110) 상부에 거치되었을 때 이륜차(B)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거치대(112); 이륜차 입출고장치(1) 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레일(120); 상기 레일(120)에 장착되어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의 하부에 결합되며, 1번 실린더(131)와 2번 실린더(132)로 구성되는 2단 실린더(130); 상기 2단 실린더(130)와 연동되어, 상기 거치대(110)를 들어올려 옮기는 역할을 하는 이송프레임(140);으로 구성되는 구동장치(100); 여유공간 또는 주차된 이륜차(B)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본인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차관리 단말기(200);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100)에 동작명령을 내리는 입출고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다른 실시예로써 이륜차(B)가 거치되는 거치대(110); 거치대(110)와 바닥간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치대(110)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111); 상기 받침대(111)의 상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이륜차(B)가 상기 거치대(110) 상부에 거치되었을 때 이륜차(B)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거치대(112); 이륜차 입출고장치(1) 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레일(120); 상기 레일(120)에 장착되어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의 하부에 결합되며, 1번 실린더(131)와 2번 실린더(132)로 구성되는 2단 실린더(130); 상기 거치대(110)를 옮기기 위한 보조역할을 하는 이송프레임(140); 상기 1번 실린더(131) 외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한 링 타입의 로봇팔 유동링(152)을 형성하고, 상기 로봇팔 유동링(152)의 양측면에 로봇팔(150)을 형성하며, 상기 로봇팔(150)의 끝단에는 로봇팔 홈(151)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프레임(140)의 상부에 위치한 이송프레임 턱(141)과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2번 실린더가(132) 하강하여 상기 이송프레임(140)과의 거리를 파악하고, 2번 실린더(132)가 하강한 거리만큼 상기 로봇팔 유동링(152)이 하강하며, 이후 2번 실린더(132)가 상승하여 1번 실린더(131) 내측으로 삽입되면 1번 실린더(131) 내측의 공기의 압력을 전달받은 로봇팔(150)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축하여 상기 이송프레임 턱(141)과 로봇팔 홈(151)이 결합되게 되고, 상기 로봇팔 유동링(152)이 다시 상승하여 거치대(110)를 옮기는 것으로 구성되는 구동장치(100); 여유공간 또는 주차된 이륜차(B)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본인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차관리 단말기(200);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100)에 동작명령을 내리는 입출고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륜차를 입고할 때 본인 인증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출고 시 해당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입고한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이륜차를 출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난에 대한 우려가 대폭 감소될 수 있고, 동시에 이륜차 주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륜차의 이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입출고 시스템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입출고 시스템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입출고 시스템의 내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입출고 시스템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주차관리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입출고 장치의 외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입출고 장치의 내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입출고 장치의 내부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입출고 장치의 작동예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주차관리 단말기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은, 이륜차(B)가 거치되는 거치대(110); 거치대(110)와 바닥간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치대(110)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111); 상기 받침대(111)의 상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이륜차(B)가 상기 거치대(110) 상부에 거치되었을 때 이륜차(B)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거치대(112); 이륜차 입출고장치(1) 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레일(120); 상기 레일(120)에 장착되어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의 하부에 결합되며, 1번 실린더(131)와 2번 실린더(132)로 구성되는 2단 실린더(130); 상기 2단 실린더(130)와 연동되어, 상기 거치대(110)를 들어올려 옮기는 역할을 하는 이송프레임(140);으로 구성되는 구동장치(100); 여유공간 또는 주차된 이륜차(B)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본인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차관리 단말기(200);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100)에 동작명령을 내리는 입출고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100)는 상기 롤러(121)의 하부 또는 상기 2번 실린더(132)의 하부에 회전장치를 추가하여 이륜차(B)의 입고시 인접한 이륜차(B)와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여 입고되어 입고된 이륜차 상호간 핸들간의 간섭이 없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프레임(140)은 상기 거치대(110)와 맞닿는 일측 끝단이 상부방향으로 꺾인 형상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꺾인 형상을 하는 일측 끝단은 상기 받침대(111)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110)와 바닥간의 공간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레일(120)은 중심부에 홈을 형성하는 H빔을 사용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롤러(121)가 좌우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단 실린더(130)는 상하 수직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와이어 또는 체인을 이용한 도르레 방식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는 이륜차(B)를 보관할 위치를 확인하거나 보관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20), 상기 디스플레이(220)에 나타나는 정보에 따라 원하는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30), 이륜차(B)를 보관하거나 찾을 때 본인확인을 위한 아이디 혹은 패스워드 혹은 고유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증데이터를 저장 및 확인하는 인증부(240), 상기 디스플레이(220), 조작부(230), 인증부(240)를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230)는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에 별도의 버튼을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버튼없이 상기 디스플레이(220)에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과 버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는 요금결제를 위한 수단으로 동전투입구(250), 지폐투입구(260), 카드리더기(270), 주차권투입구(280)와 같은 구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나, 무료로 운영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요금결제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최초 이륜차(B)를 입고할 시 주차관리 단말기(200)를 통하여 입출고장치(1) 내부의 빈 공간을 확인하고, 선택한다. 이 때, 해당 장치가 유료로 운영되는 경우 동전투입구(250) 또는 지폐투입구(260) 또는 카드리더기(270) 또는 주차권을 투입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주차권을 이용한 결제방식으로는, 사전에 일정 시간의 주차를 허용하는 주차권을 구매하여 주차권의 투입만으로 결제가 완료되는 방식이 있고, 다른 방식으로는 이륜차(B) 입고시 주차권을 발급받고 해당 주차권을 출고시 다시 투입함으로써 해당 시간에 따른 금액이 산정되며, 그 금액만큼 동전투입구(250), 지폐투입구(260), 카드리더기(270) 등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제단계를 마친 후, 출고 시 본인인증을 위한 패스워드나 고유패턴 등의 인증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단계를 마친 후 거치대(110)에 이륜차(B)를 거치시키고, 주차관리 단말기(200)를 통하여 구동장치(100)를 조작함으로써 이륜차(B)가 거치된 거치대(110)를 원래 있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후, 이륜차(B)를 출고할 시에는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를 통하여 본인의 이륜차(B)가 위치한 정보를 입력 후, 입고시 등록한 패스워드나 고유패턴 등의 인증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구동장치(100)의 출고단계를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장치(100)가 동작하는 방식은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의 명령 신호를 받아 상기 이송프레임이 해당 번호의 거치대(110) 상부로 이동한다. 이 때, 이송프레임(140)은 하강하기 위하여, 거치대(110) 기준으로 상부에 정위치 하는 것이 아닌 약간 측면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프레임(140)이 거치대(110) 상부에 위치하였을 경우 2단 실린더(130)가 작동하여 도 4의 '단계 1.'과 같이 이송프레임(140)이 하강하게 되고 하강을 마쳤을 경우 도 4의 '단계 2.'와 같이 거치대(110)와 바닥사이의 공간으로 이송프레임(140)이 위치하게 되며, 도 4의 '단계 3.'과 같이 2단 실린더(130)가 작동하여 거치대(110)를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들어올려진 거치대(110)는 입고되어 있는 이륜차(B)들의 상부를 지나 입구에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가 이륜차(B)를 거치 후 주차관리 단말기(20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순서의 역순으로 해당 위치에 이륜차(B)를 입고 시킨다.
상기의 역순으로 진행되는 이륜차(B) 입고 과정에서는 추가로 장착이 가능한 상기 회전장치의 구동을 통하여 인접한 이륜차(B)간의 지향하는 방향이 지그재그와 같은 형상으로 배치되어 핸들간섭을 최소화 함으로써 공간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 내지 2,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은 이륜차(B)가 거치되는 거치대(110); 거치대(110)와 바닥간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치대(110)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111); 상기 받침대(111)의 상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이륜차(B)가 상기 거치대(110) 상부에 거치되었을 때 이륜차(B)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거치대(112); 이륜차 입출고장치(1) 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레일(120); 상기 레일(120)에 장착되어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의 하부에 결합되며, 1번 실린더(131)와 2번 실린더(132)로 구성되는 2단 실린더(130); 상기 거치대(110)를 옮기기 위한 보조역할을 하는 이송프레임(140); 상기 1번 실린더(131) 외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한 링 타입의 로봇팔 유동링(152)을 형성하고, 상기 로봇팔 유동링(152)의 양측면에 로봇팔(150)을 형성하며, 상기 로봇팔(150)의 끝단에는 로봇팔 홈(151)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프레임(140)의 상부에 위치한 이송프레임 턱(141)과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2번 실린더가(132) 하강하여 상기 이송프레임(140)과의 거리를 파악하고, 2번 실린더(132)가 하강한 거리만큼 상기 로봇팔 유동링(152)이 하강하며, 이후 2번 실린더(132)가 상승하여 1번 실린더(131) 내측으로 삽입되면 1번 실린더(131) 내측의 공기의 압력을 전달받은 로봇팔(150)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축하여 상기 이송프레임 턱(141)과 로봇팔 홈(151)이 결합되게 되고, 상기 로봇팔 유동링(152)이 다시 상승하여 거치대(110)를 옮기는 것으로 구성되는 구동장치(100); 여유공간 또는 주차된 이륜차(B)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본인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차관리 단말기(200);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100)에 동작명령을 내리는 입출고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장치(100)는 상기 롤러(121)의 하부 또는 상기 2번 실린더(132)의 하부에 회전장치를 추가하여 이륜차(B)의 입고시 인접한 이륜차(B)와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여 입고되어 입고된 이륜차 상호간 핸들간의 간섭이 없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로봇팔 유동링(152)이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륜차(B)의 입고시 인접한 이륜차(B)와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여 입고되어 입고된 이륜차 상호간 핸들간의 간섭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2번 실린더(132) 끝단과 이송프레임(140) 상부 중심부에 접촉센서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2단 실린더(130)가 상기 이송프레임(140)의 중심부에 정위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프레임(140)은 상기 거치대(110)와 맞닿는 일측 끝단이 상부방향으로 꺾인 형상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꺾인 형상을 하는 일측 끝단은 상기 받침대(111)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110)와 바닥간의 공간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레일(120)은 중심부에 홈을 형성하는 H빔을 사용하거나 별도로 제작하여 롤러(121)가 좌우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단 실린더(130)는 상하 수직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와이어 또는 체인을 이용한 도르레 방식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는 이륜차(B)를 보관할 위치를 확인하거나 보관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20), 상기 디스플레이(220)에 나타나는 정보에 따라 원하는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30), 이륜차(B)를 보관하거나 찾을 때 본인확인을 위한 아이디 혹은 패스워드 혹은 고유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증데이터를 저장 및 확인하는 인증부(240), 상기 디스플레이(220), 조작부(230), 인증부(240)를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230)는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에 별도의 버튼을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버튼없이 상기 디스플레이(220)에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과 버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는 요금결제를 위한 수단으로 동전투입구(250), 지폐투입구(260), 카드리더기(270), 주차권투입구(280)와 같은 구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나, 무료로 운영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요금결제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최초 이륜차(B)를 입고할 시 주차관리 단말기(200)를 통하여 입출고장치(1) 내부의 빈 공간을 확인하고, 선택한다. 이 때, 해당 장치가 유료로 운영되는 경우 동전투입구(250) 또는 지폐투입구(260) 또는 카드리더기(270) 또는 주차권을 투입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주차권을 이용한 결제방식으로는, 사전에 일정 시간의 주차를 허용하는 주차권을 구매하여 주차권의 투입만으로 결제가 완료되는 방식이 있고, 다른 방식으로는 이륜차(B) 입고시 주차권을 발급받고 해당 주차권을 출고시 다시 투입함으로써 해당 시간에 따른 금액이 산정되며, 그 금액만큼 동전투입구(250), 지폐투입구(260), 카드리더기(270) 등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제단계를 마친 후, 출고 시 본인인증을 위한 패스워드나 고유패턴 등의 인증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단계를 마친 후 거치대(110)에 이륜차(B)를 거치시키고, 주차관리 단말기(200)를 통하여 구동장치(100)를 조작함으로써 이륜차(B)가 거치된 거치대(110)를 원래 있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후, 이륜차(B)를 출고할 시에는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를 통하여 본인의 이륜차(B)가 위치한 정보를 입력 후, 입고시 등록한 패스워드나 고유패턴 등의 인증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구동장치(100)의 출고단계를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장치(100)가 동작하는 방식은 도 2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의 명령 신호를 받아 상기 이송프레임(140)이 해당 번호의 거치대(110) 상부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이송프레임(140)은 로봇팔(150)과 결합되어 이동되며, 상기 로봇팔(150)과의 결합은 2번 실린더(132)가 하강하여 이송프레임(140)의 상부 중심 및 거리를 파악하고, 2번 실린더(132)가 하강한 거리만큼 로봇팔 유동링(152)이 하강하며, 2번 실린더(132)가 1번 실린더(131) 내측으로 삽입되며 1번 실린더(131) 내측의 공기의 압력을 전달받은 로봇팔(150)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축하여 상기 이송프레임 턱(141)과 로봇팔 홈(151)이 결합되게 된다. 상기 이송프레임(140)과 결합된 로봇팔(150)은 로봇팔 유동링(152)이 상승함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레일(120)을 따라 해당 번호의 거치대(110) 상부로 이동한 이송프레임(140)은 하강하기 위하여, 거치대(110) 기준으로 상부에 정위치 하는 것이 아닌 약간 측면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프레임(140)이 거치대(110) 상부에 위치하였을 경우 이송프레임(140)이 하강하게 되고, 하강을 마쳤을 경우 거치대(110)와 바닥사이의 공간으로 이송프레임(140)이 위치하게 되며, 거치대(110)를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들어올려진 거치대(110)는 입고되어 있는 이륜차(B)들의 상부를 지나 입구에 위치하게 되며, 사용자가 이륜차(B)를 거치 후 주차관리 단말기(20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순서의 역순으로 해당 위치에 이륜차(B)를 입고 시킨다.
상기의 역순으로 진행되는 이륜차(B) 입고 과정에서는 추가로 장착이 가능한 상기 회전장치의 구동을 통하여 인접한 이륜차(B)간의 지향하는 방향이 지그재그와 같은 형상으로 배치되어 핸들간섭을 최소화 함으로써 공간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로봇팔 유동링(152)이 회전가능하게 형성 된 경우 상기의 회전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상기와 같은 배치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 : 이륜차 입출고장치
B : 이륜차
110 : 거치대
111 : 받침대
112 : 보조거치대
120 : 레일
121 : 롤러
130 : 2단 실린더
131 : 1번 실린더
132 : 2번 실린더
140 : 이송프레임
141 : 이송프레임 턱
150 : 로봇팔
151 : 로봇팔 홈
152 : 로봇팔 유동링
200 : 주차관리 단말기

Claims (8)

  1. 이륜차 입출고장치(1)에 있어서,
    이륜차(B)가 거치되는 거치대(110);
    거치대(110)와 바닥간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치대(110)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111);
    상기 받침대(111)의 상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이륜차(B)가 상기 거치대(110) 상부에 거치되었을 때 이륜차(B)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거치대(112);
    이륜차 입출고장치(1) 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레일(120);
    상기 레일(120)에 장착되어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의 하부에 결합되며, 1번 실린더(131)와 2번 실린더(132)로 구성되는 2단 실린더(130);
    상기 2단 실린더(130)와 연동되어, 상기 거치대(110)를 들어올려 옮기는 역할을 하는 이송프레임(140);으로 구성되는 구동장치(100);
    여유공간 또는 주차된 이륜차(B)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본인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차관리 단말기(200);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100)에 동작명령을 내리는 입출고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100)는 상기 롤러(121)의 하부 또는 상기 2번 실린더(132)의 하부에 회전장치를 추가하여 이륜차(B)의 입고시 인접한 이륜차(B)와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여 입고되어 입고된 이륜차 상호간 핸들간의 간섭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2. 이륜차 입출고장치(1)에 있어서,
    이륜차(B)가 거치되는 거치대(110);
    거치대(110)와 바닥간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거치대(110) 하부에 배치되는 받침대(111);
    상기 받침대(111)의 상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이륜차(B)가 상기 거치대(110) 상부에 거치되었을 때 이륜차(B)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거치대(112);
    이륜차 입출고장치(1) 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레일(120);
    상기 레일(120)에 장착되어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121);
    상기 롤러(121)의 하부에 결합되며, 1번 실린더(131)와 2번 실린더(132)로 구성되는 2단 실린더(130);
    상기 거치대(110)를 옮기기 위한 보조역할을 하는 이송프레임(140);
    상기 1번 실린더(131) 외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한 링 타입의 로봇팔 유동링(152)을 형성하고, 상기 로봇팔 유동링(152)의 양측면에 로봇팔(150)을 형성하며, 상기 로봇팔(150)의 끝단에는 로봇팔 홈(151)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프레임(140)의 상부에 위치한 이송프레임 턱(141)과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2번 실린더가(132) 하강하여 상기 이송프레임(140)과의 거리를 파악하고, 2번 실린더(132)가 하강한 거리만큼 상기 로봇팔 유동링(152)이 하강하며, 이후 2번 실린더(132)가 상승하여 1번 실린더(131) 내측으로 삽입되면 1번 실린더(131) 내측의 공기의 압력을 전달받은 로봇팔(150)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축하여 상기 이송프레임 턱(141)과 로봇팔 홈(151)이 결합되게 되고, 상기 로봇팔 유동링(152)이 다시 상승하여 거치대(110)를 옮기는 것으로 구성되는 구동장치(100);
    여유공간 또는 주차된 이륜차(B)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본인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차관리 단말기(200);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100)에 동작명령을 내리는 입출고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100)는 상기 롤러(121)의 하부 또는 상기 2번 실린더(132)의 하부에 회전장치를 추가하여 이륜차(B)의 입고시 인접한 이륜차(B)와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여 입고되어 입고된 이륜차 상호간 핸들간의 간섭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팔 유동링(152)은 회전운동이 가능하여, 이륜차(B)의 입고시 인접한 이륜차(B)와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여 입고되어 입고된 이륜차 상호간 핸들간의 간섭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번 실린더(132) 끝단과 이송프레임(140) 상부 중심부에 접촉센서를 추가로 구성하여, 상기 2단 실린더(130)가 상기 이송프레임(14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6. 제 1 항 및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는 이륜차(B)를 보관할 위치를 확인하거나 보관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20),
    상기 디스플레이(220)에 나타나는 정보에 따라 원하는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30),
    이륜차(B)를 보관하거나 찾을 때 본인확인을 위한 아이디 혹은 패스워드 혹은 고유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증데이터를 저장 및 확인하는 인증부(240),
    상기 디스플레이(220), 조작부(230), 인증부(240)를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30)는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에 별도의 버튼을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버튼없이 상기 디스플레이(220)에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과 버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 단말기(200)는 요금결제를 위한 수단으로 동전투입구(250), 지폐투입구(260), 카드리더기(270), 주차권투입구(280)와 같은 구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KR1020150158347A 2015-11-11 2015-11-11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KR101611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347A KR101611140B1 (ko) 2015-11-11 2015-11-11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347A KR101611140B1 (ko) 2015-11-11 2015-11-11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140B1 true KR101611140B1 (ko) 2016-04-11

Family

ID=5580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347A KR101611140B1 (ko) 2015-11-11 2015-11-11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1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8383A (zh) * 2017-07-18 2017-10-24 成都市五度空间立体车库科技有限公司 一种单车车库存取系统
CN109339542A (zh) * 2018-12-04 2019-02-15 南京优泊克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车位装置车辆底盘自动保护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88383A (zh) * 2017-07-18 2017-10-24 成都市五度空间立体车库科技有限公司 一种单车车库存取系统
CN109339542A (zh) * 2018-12-04 2019-02-15 南京优泊克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车位装置车辆底盘自动保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1191B2 (en) Automatic cycle storage system
JP4202005B2 (ja) 車両共同利用システム
CN106530806A (zh) 一种水上智能停车船停车系统及其应用方法
CN107958611A (zh) 一种基于图像识别室内定位的智能互联停车系统
CN103366404A (zh) 一种高速公路收费方法、装置以及系统
CN109727390B (zh) 充电桩运行过程控制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611140B1 (ko) 이륜차 자동 입출고 시스템
CN103971536A (zh) 室内停车场车辆智能定位的方法和系统
CN216979847U (zh) 一种折叠共享车辆存放箱及存放装置
CN105822108A (zh) 电动自行车存储站
US20200031413A1 (en) Electric Scooter Storage Method Based on Scooter Storage Box
JP3215402U (ja) 車両の一時預かりシステム
CN111779338A (zh) 智能立体车库预约管理系统
JP2019044364A (ja) 駐車装置、及び、駐車装置の制御方法
CN205788299U (zh) 一种基于固定ip地址的快速支付结算系统
WO2021039773A1 (ja) バッテリ充電モジュール、バッテリ交換装置、およびバッテリ装置
CN107730604A (zh) 停车费用结算方法及装置
JP2020520323A (ja) ワイヤレスロック付き2段式2輪車駐輪ラック
CN102877677A (zh) 一种自助缴费智能车位锁系统
JP2019215838A (ja) 車両の一時預かりシステムおよびペットの一時預かりシステム
CN210141033U (zh) 具备投影功能的车位锁控制系统
CN202870981U (zh) 一种自助缴费智能车位锁系统
JP2006063561A (ja) 多段駐輪装置
KR100915026B1 (ko) 자전거 주차타워 작동시스템
JP2012082592A (ja) 駐輪場及び駐輪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