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926B1 -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926B1
KR101610926B1 KR1020130128508A KR20130128508A KR101610926B1 KR 101610926 B1 KR101610926 B1 KR 101610926B1 KR 1020130128508 A KR1020130128508 A KR 1020130128508A KR 20130128508 A KR20130128508 A KR 20130128508A KR 101610926 B1 KR101610926 B1 KR 101610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waste
gas
organic waste
dry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438A (ko
Inventor
전원표
김성일
이계중
김정근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2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9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8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폐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에너지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폐사이클을 이용하여 배기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량이 적어 악취의 발생이 적고 악취제거시설이 작아질 수 있도록 배기가스 순환을 이용한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러지 형태의 고함수율을 갖는 유기성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스케쥴에 따라 점성력과 함수율이 높은 구간에서는 간접가열형태의 교반식건조부를 사용하고, 상기 교반식건조부를 통해 점성력이 현저히 줄어들어 입자화가 가능한 함수율까지 도달하면 직접가열형태의 유동층건조부와 사이클론을 사용하여 유기성폐기물의 함수율을 10~12wt%까지 낮춰 자원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Combined Dryer Using Industrial Waste Heat Of Organic Waste}
본 발명은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접가열형태의 교반식건조부와 직접가열형태의 유동층건조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반식건조부에서는 함수율(70∼80wb%)이 높은 유기성 폐기물(슬러지)를 입자화가 가능한 30∼40wb% 이하로 1차 건조시키고, 유동층건조부와 사이클론에서는 유기성폐기물을 2차로 10∼12wb% 까지 건조시켜 에너지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성폐기물은 입자의 크기가 불균일하고, 점성력이 크며, 함수율이 높기 때문에 직접가열형태의 건조기 사용이 어려워 스크류, 패들, 교반기 등을 사용하는 간접가열형태의 열전도 건조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열전도 건조기는 간접가열형태로 스팀을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직접가열 건조기에 비해 에너지 비용이 크며, 건조시간이 길어 운전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슬러지 형태의 고함수율을 갖는 유기성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스케쥴에 따라 점성력과 함수율이 높은 구간에서는 간접가열형태의 교반식건조부를 사용하고, 상기 교반식건조부를 통해 점성력이 현저히 줄어들어 입자화가 가능한 함수율까지 도달하면 직접가열형태의 유동층건조부와 사이클론을 사용하여 유기성폐기물의 함수율을 10~12wt%까지 낮춰 자원화될 수 있도록 한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산업폐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에너지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폐사이클을 이용하여 배기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량이 적어 악취의 발생이 적고 악취제거시설이 작아질 수 있도록 배기가스 순환을 이용한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는 표면 점착성이 높은 초기함수율이 70~80wt%인 유기성폐기물을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폐기물공급부;와, 상기 폐기물공급부로부터 유기성폐기물을 공급받아 입자화될 수 있도록 교반하면서 외장된 건조자켓의 간접가열식 열전도에 의해 유기성폐기물의 함수율이 30~40wt%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교반식건조부;와, 상기 교반식건조부를 통해 배출되는 입자화된 유기성폐기물을 공급받아 상향 송풍되는 고온습가스에 의해 10~15wt% 함수율까지 비산 건조시켜 배출시키는 유동층건조부;와, 상기 유동층건조부를 통해 배출되는 입자화된 유기성폐기물을 10~12wt% 함수율까지 선회 건조시켜 고온습가스는 상부로 배출시키고, 유기성폐기물은 하부로 배출시켜 자원화시키는 사이클론;과, 산업용 연소로 또는 소각로 등에서 발생된 폐열가스와, 교반식건조부의 내부에서 발생된 습가스와 혼합시켜 유동층건조부로 고온습가스를 공급하는 폐열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폐열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폐열가스의 일부는 바이패스하여 교반식건조부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고온습가스는 교반식건조부의 건조자켓으로 공급되며, 상기 사이클론은 다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반식건조부의 내부에는 유기성폐기물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진 교반날개가 축선방향으로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고, 배출측에는 파쇄기능을 갖는 로터리밸브를 내장시켜 유기성폐기물을 파쇄하여 입자화된 유기성폐기물을 유동층건조부로 공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건조자켓에서 배출되는 고온습가스는 기액분리기와, 응축기를 거쳐 기체와 응축수로 분리배출되되, 상기 기액분리기는 습식스크러버를 통해 배출가스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열공급부는 산업용 연소로 또는 소각로 등에서 발생된 폐열가스와, 교반식건조부의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습가스와 혼합시킬 수 있도록 혼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동층건조부는 내부에 다공판이 설치되어 혼합기에서 공급되는 고온습가스를 통해 유기성폐기물을 비산 건조시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에 따르면, 산업폐열을 사용하여 슬러지 형태의 고함수율을 갖는 유기성폐기물을 간접가열건조방식과, 직접가열건조방식과, 선회건조방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건조함으로써 건조효율이 매우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산업폐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에너지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폐사이클을 이용하여 배기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량이 적어 악취의 발생이 적고 악취제거시설이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폐열가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유기성폐기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온의 산업폐열을 이용하되, 슬러지 형태의 고함수율을 갖는 유기성폐기물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스케쥴에 따라 점성력과 함수율이 높은 구간에서는 간접가열형태의 교반식건조부를 사용하고, 상기 교반식건조부를 통해 점성력이 현저히 줄어들어 입자화가 가능한 함수율까지 도달하면 직접가열형태의 유동층건조부와 사이클론을 사용하여 유기성폐기물의 함수율을 10~12wt%까지 낮춰 자원화될 수 있도록 한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폐기물공급부(10)와, 교반식건조부(20)와, 유동층건조부(30)와, 폐열공급부(50) 및 사이클론(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폐기물공급부(10)는 표면 점착성이 높은 초기함수율이 70~80wt%인 유기성폐기물을 이송시켜 교반식건조부(20)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폐기물공급부(10)는 유기성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11)와, 상기 호퍼(11)와 연결되어 유기성폐기물을 교반식건조부(20)까지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12)로 구성된다.
아울러 교반식건조부(20)는 폐기물공급부(10)로부터 유기성폐기물을 공급받아 입자화될 수 있도록 교반하면서 외장된 건조자켓(21)의 간접가열식 열전도에 의해 유기성폐기물의 함수율이 30~40wt%까지 건조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자켓(21)은 사이클론(40)에서 배출되는 약 180~200℃ 정도의 고온습가스를 공급받는데, 이러한 고온습가스는 습도가 높기 때문에 수증기의 잠열을 이용해 유기성폐기물을 간접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건조자켓(21)을 통해 배출되는 습가스는 온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기액분리기(60)와, 응축기(70)를 거쳐 기체와 응축수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기액분리기(60)는 습식스크러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배출가스의 악취를 제거한 상태로 대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교반식건조부(20)의 배출측에는 파쇄기능을 갖는 로터리밸브(23)를 내장시켜 구성된다.
이러한 로터리밸브(23)는 교반식건조부(20) 내의 고온습가스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유기성폐기물을 파쇄하여 입자화된 유기성폐기물을 유동층건조부(30)로 공급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로터리밸브(23)가 내장된 통로를 중간 저장조로 활용하여 입자화된 유기성폐기물을 일시 저장하면서 정량적으로 유동층건조부(30)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폐열공급부(50)는 혼합기(51)를 통해 산업용 연소로 또는 소각로 등에서 발생된 약 400~600℃ 정도의 폐열가스와, 교반식건조부(20)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습가스와 혼합시켜 유동층건조부(30)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폐열공급부(50)로부터 공급되는 폐열가스의 일부는 바이패스되어 교반식건조부(20)의 내부로 직접 공급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유동층건조부(30)는 상기 교반식건조부(20)를 통해 배출되는 입자화된 유기성폐기물을 공급받아 폐열공급부(50)의 혼합기(51)를 통해 상향 송풍되는 고온습가스의 직접 가열에 의해 10~15wt% 함수율까지 비산 건조시켜 사이클론(40)으로 배출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동층건조부(30)의 내부에는 다공판(31)이 설치되어 다공판(31)의 상부로 유기성폐기물가 낙하되면, 혼합기(51)에서 공급되는 고온습가스를 통해 유기성폐기물을 비산 건조시켜 사이클론(40)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층건조부(30)의 내부로는 혼합기(51)를 통해 약 300~400℃ 정도의 고온습가스(과열증기)가 상향 송풍되는데, 이러한 고온습가스는 과열증기형태로서 기존의 건공기를 이용한 건조시스템에 비해 열전달계수가 높기 때문에 건조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유동층건조부(3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유동층건조부(30)에서는 혼합기(51)를 통해 배출되는 약 300~400℃ 정도의 고온습가스(과열습증기)에 의해 열전달계수를 높여 이용함으로써 건조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배출되는 고온습가스(온도가 높고, 절대습도가 높아 증발잠열이 큼)를 교반식건조부(20)의 열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의 유효 이용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이클론(40)은 상기 유동층건조부(30)를 통해 배출되는 입자화된 유기성폐기물을 10~12wt% 함수율까지 선회 건조시켜 하부로 배출시켜 자원화시키고, 고온습가스(약 180~200℃ 정도)는 상부로 배출시켜 교반식건조부(20)의 건조자켓(21)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사이클론(40)은 다단 배치시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건조자켓(21)으로 배출되는 고온습가스 온도가 180℃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1개 내지 3개을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가 설치된다.
이렇듯 본 발명은 폐열가스를 유동층건조부(30)와, 사이클론(40)과, 교반식건조부(20)를 거쳐 처리함으로써, 기액분리기(60)와 응축기(7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처리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폐열가스를 유동층건조부(30)와, 사이클론(40)과, 교반식건조부(20)을 거쳐 복합 처리함으로써 에너지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층건조부(30)와, 사이클론(40)과, 교반식건조부(20)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폐열가스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유기성폐기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폐기물공급부(10)를 통해 교반식건조부(20)의 내부로 표면 점착성이 높은 초기함수율이 70~80wt%인 유기성폐기물을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교반식건조부(20)는 건조자켓(21)을 통해 사이클론(40)에서 발생된 고온습가스(약 180~200℃ 정도)를 공급받아 유기성폐기물을 간접으로 가열한다.
또한 폐열공급부(50)의 통해 배출되는 약 400~600℃ 정도의 폐열가스(고온건조) 일부는 바이패스되어 교반식건조부(20)의 내부로 공급되어 유기성폐기물을 직접 가열한다.
이 때 교반식건조부(20)는 내부의 교반날개(22)가 유기성폐기물을 교반하면서 배출측으로 진행시키기 때문에 폐열공급부(50)에서 공급되는 폐열가스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어 건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자켓(21)을 통해 배출되는 습가스는 기액분리기(60)를 통해 악취를 제거하고, 응축기(70)를 거쳐 기체와 응축수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교반식건조부(20)를 통해 배출되는 유기성폐기물은 함수율이 30~40wt%까지 건조되며, 유동층건조부(30)에 투입되기 앞서 로터리밸브(23)를 통해 유기성폐기물을 입자화된 상태로 분쇄시킨다.
한편 폐열공급부(50)의 혼합기(51)를 통해 폐열가스(약 400~600℃ 정도)와, 교반식건조부의 내부에서 발생된 습가스(약 150~200℃ 정도)를 혼합시켜 (약 300~400℃ 정도)의 고온습가스를 유동층건조부(30)의 내부로 직접공급한다.
그러면 유동층건조부(30)에서는 하부에서 상향 송풍되는 고온의습가스에 의해 유기성폐기물을 비산 건조시켜 10~15wt% 함수율까지 낮춘 다음 사이클론(40)으로 배출시킨다.
사이클론(40)에서는 비산되는 유기성폐기물을 공급받아 입자회된 유기성폐기물을 자원화시키고, 고온습가스(약 180~200℃ 정도)는 교반식건조부(20)의 건조자켓(21)으로 공급되어 순환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폐기물공급부 11: 호퍼 12: 이송스크류
20: 교반식건조부 21: 건조자켓 22: 교반날개
23: 로터리밸브
30: 유동층건조부 31: 다공판
40: 사이클론
50: 폐열공급부 51: 혼합기
60: 기액분리기
70: 응축기

Claims (6)

  1. 표면 점착성이 높은 초기함수율이 70~80wt%인 유기성폐기물을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폐기물공급부(10);
    상기 폐기물공급부(10)로부터 유기성폐기물을 공급받아 입자화될 수 있도록 교반하면서 외장된 건조자켓(21)의 간접가열식 열전도에 의해 유기성폐기물의 함수율이 30~40wt%될때 까지 건조시키는 교반식건조부(20);
    상기 교반식건조부(20)를 통해 배출되는 입자화된 유기성폐기물을 공급받아 상향 송풍되는 고온습가스에 의해 10~15wt% 함수율까지 비산 건조시켜 배출시키는 유동층건조부(30);
    상기 유동층건조부(30)를 통해 배출되는 입자화된 유기성폐기물을 10~12wt% 함수율까지 선회 건조시켜 고온습가스는 상부로 배출시키고, 유기성폐기물은 하부로 배출시켜 자원화시키는 사이클론(40);
    산업용 연소로 또는 소각로 등에서 발생된 폐열가스와, 교반식건조부(20)의 내부에서 발생된 습가스와 혼합시켜 유동층건조부(30)로 고온습가스를 공급하는 폐열공급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폐열공급부(50)로부터 공급되는 폐열가스의 일부는 바이패스하여 교반식건조부(20)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사이클론(40)에서 배출되는 고온습가스는 교반식건조부(20)의 건조자켓(21)으로 공급되며,
    상기 사이클론(40)은 다단 배치되고,
    상기 교반식건조부(20)의 내부에는 유기성폐기물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진 교반날개(22)가 축선방향으로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고, 배출측에는 파쇄기능을 갖는 로터리밸브(23)를 내장시켜 유기성폐기물을 파쇄하여 입자화된 유기성폐기물을 유동층건조부(30)로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자켓(21)에서 배출되는 고온습가스는 기액분리기(60)와, 응축기(70)를 거쳐 기체와 응축수로 분리배출되되,
    상기 기액분리기(60)는 습식스크러버(미도시)를 통해 배출가스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열공급부(50)는 산업용 연소로 또는 소각로 등에서 발생된 폐열가스와, 교반식건조부(20)의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습가스와 혼합시킬 수 있도록 혼합기(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건조부(30)는 내부에 다공판(31)이 설치되어 혼합기(51)에서 공급되는 고온습가스를 통해 유기성폐기물을 비산 건조시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
  6. 삭제
KR1020130128508A 2013-10-28 2013-10-28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 KR10161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508A KR101610926B1 (ko) 2013-10-28 2013-10-28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508A KR101610926B1 (ko) 2013-10-28 2013-10-28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438A KR20150048438A (ko) 2015-05-07
KR101610926B1 true KR101610926B1 (ko) 2016-04-08

Family

ID=5338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508A KR101610926B1 (ko) 2013-10-28 2013-10-28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9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1338A (zh) * 2018-08-14 2018-12-11 周兆平 一种涂料生产的高效烘干设备
KR102181908B1 (ko) * 2020-08-12 2020-11-23 주식회사 에쓰큐씨 실리콘 슬러지를 폐열을 이용하여 건조한 후 분쇄하여 이산화규소 분체를 만드는 장치
KR20210077175A (ko)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지에스그린테크 폐열재이용 에너지 절감형 유기성 폐기물 건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3724A (zh) * 2015-12-20 2016-03-23 重庆德蒙特科技发展有限公司 吹风式颗粒搅拌干燥箱
CN105423723A (zh) * 2015-12-20 2016-03-23 重庆德蒙特科技发展有限公司 通风式颗粒搅拌干燥箱
CN105423722A (zh) * 2015-12-20 2016-03-23 重庆德蒙特科技发展有限公司 滚筒搅拌干燥箱
KR101692830B1 (ko) 2016-05-17 2017-01-06 주식회사 삼우티씨씨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
CN107853739A (zh) * 2017-10-27 2018-03-30 郑州丽福爱生物技术有限公司 饲料粉碎及烘干装置
CN108444252A (zh) * 2018-02-28 2018-08-24 张荷友 一种横置式搅拌的食品加工用干燥设备
CN108895794A (zh) * 2018-07-24 2018-11-27 黄小卡 一种高效节能循环烘干装置
KR102030967B1 (ko) 2019-04-30 2019-10-10 이순걸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의 진공 증자기
CN115200318B (zh) * 2021-04-14 2024-01-26 济南中昌干燥设备有限公司 一种高湿物料干燥方法
KR20230125600A (ko) 2022-02-21 2023-08-29 영농조합법인감농에스알씨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4921A (ja) 2008-04-11 2009-11-05 Mhi Environment Engineering Co Ltd 有機性汚泥の乾燥処理方法及び該システム
KR101006466B1 (ko) 2010-05-14 2011-01-06 (주)리엔텍엔지니어링 폐루프식 슬러지 기류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4921A (ja) 2008-04-11 2009-11-05 Mhi Environment Engineering Co Ltd 有機性汚泥の乾燥処理方法及び該システム
KR101006466B1 (ko) 2010-05-14 2011-01-06 (주)리엔텍엔지니어링 폐루프식 슬러지 기류 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1338A (zh) * 2018-08-14 2018-12-11 周兆平 一种涂料生产的高效烘干设备
KR20210077175A (ko)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지에스그린테크 폐열재이용 에너지 절감형 유기성 폐기물 건조시스템
KR102181908B1 (ko) * 2020-08-12 2020-11-23 주식회사 에쓰큐씨 실리콘 슬러지를 폐열을 이용하여 건조한 후 분쇄하여 이산화규소 분체를 만드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438A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926B1 (ko) 산업폐열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복합건조장치
KR100965932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효율적 건조 및 악취 제어시스템
KR101326856B1 (ko) 슬러지 건조장치
CN101528614A (zh) 高含水率有机废弃物的处理方法和处理装置
KR101780983B1 (ko) 건조장치
JP5504959B2 (ja) 汚泥の炭化処理設備
KR101082508B1 (ko) 과열 증기와 제2 기체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1387011B1 (ko) 회전식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JP2010216748A (ja) 含水廃棄物の乾燥システム及び乾燥方法
KR101729994B1 (ko) 열매체를 이용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JP6590465B2 (ja) バイオマス燃料の前処理乾燥機及び燃焼プラント
KR101661282B1 (ko) 축분 건조 장치
JP4756556B2 (ja) 汚泥の炭化処理設備
JP2009216351A (ja) 木屑と有機廃棄物を燃料とする熱風発生装置
KR20180055947A (ko) 건조효율 향상기능을 갖는 가축 분 건조장치
JP5086875B2 (ja) 有機性汚泥の乾燥処理方法及び該システム
JP6565097B2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2004066095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7105565A (ja) 汚泥の乾燥処理装置及び乾燥処理方法
JP2017006824A5 (ko)
JP2001124474A (ja) 乾燥機
JP2009220048A (ja) 含水有機汚泥の乾燥システム及び乾燥方法
WO2008001746A1 (fr) Appareil de calcination du ciment et procédé d'assèchement de déchets organiques extrêmement aqueux
JP4149487B2 (ja) 循環型有機物乾燥・離水処理方法
KR101481773B1 (ko) 하수 오니 건조 장치 및 하수 오니 고형연료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