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746B1 -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746B1
KR101610746B1 KR1020140098197A KR20140098197A KR101610746B1 KR 101610746 B1 KR101610746 B1 KR 101610746B1 KR 1020140098197 A KR1020140098197 A KR 1020140098197A KR 20140098197 A KR20140098197 A KR 20140098197A KR 101610746 B1 KR101610746 B1 KR 10161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pair
base
board
op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664A (ko
Inventor
임경수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40098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7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기 위한 보드 커넥터의 좌우 양측방에 보강판을 배치하여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이중(二中) 록킹(locking)에 의한 보강 구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고전류 전송과 신호 및 접지 터미널의 체결 구조를 함께 구현할 수 있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BOARD TO 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기 위한 보드 커넥터의 좌우 양측방에 보강판을 배치하여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이중(二中) 록킹(locking)에 의한 보강 구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고전류 전송과 신호 및 접지 터미널의 체결 구조를 함께 구현할 수 있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는 다양한 회로가 인쇄된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BtoB 커넥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로 구성되며, 수커넥터(10)가 암커넥터(20)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는 일단 삽입되어 체결된 후에는, 결합 상태를 잘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외력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면과 같이 각각의 터미널(12, 14)에 상호 마주보며 돌출되는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이 부분이 탄성에 의해 상호 넘어서면서 맞물리도록 하여 결합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이하, 보드 커넥터라 함)의 경우, 별도의 보강판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가 상호 쉽게 이탈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고전류 보드 커넥터의 경우, 기존의 터미널에서 보다 더 큰 허용 전류량을 전달하도록 고전류 터미널 및 회로가 별도로 구성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종래에는 고전류 전송과 신호 및 접지 터미널의 체결 구조를 함께 구현할 수 있는 단순한 터미널 체결 구조의 보드 커넥터는 전혀 제안된 바가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5-0003925 호 (2005.1.1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기 위한 보드 커넥터의 좌우 양측방에 보강판을 배치하여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보강 구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고전류 전송과 신호 및 접지 터미널의 체결 구조를 함께 구현할 수 있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전류용으로 사용되는 터미널 부분의 폭을 연장하여 고전류용 터미널 사이의 록킹 구조와 보강판과의 록킹 구조에 의해 이중적인 록킹(locking)이 이루어져 제품의 삽입 및 발거력을 향상할 수 있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전류 전송과 신호 및 접지 터미널의 체결 구조에 의해 이동 통신 기기에 적용되는 보드 배터리 커넥터에 유효한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는, 제 1 보드와 제 2 보드를 연결하기 위한 보드 커넥터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의 제 1 베이스와, 상기 직사각형상의 제 1 베이스의 전후 측방을 따라 나란히 대향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터미널로 이루어지는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1 커넥터를 수용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2 베이스와, 상기 직사각형상의 제 2 베이스의 전후 측방을 따라 나란히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제 1 터미널에 상호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 2 터미널로 이루어지는 제 2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베이스의 전후 측방 양단에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의 전후 측방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에 상호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 4 터미널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의 좌우 측방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상하 결합시에, 상기 한 쌍의 제 3 터미널을 록킹 지지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보강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터미널은 신호용 또는 접지용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터미널은 고전류용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및 제 4 터미널은 상기 제 1 및 제 2 터미널보다 그 폭이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의 좌우 양측방에는 한 쌍의 대향하는 측방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상하 결합시에 상기 제 1 베이스의 좌우 양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보강판은 상기 제 2 베이스의 좌우 양측방에서 상기 측방 체결홈의 외측을 둘러싸는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분인 한 쌍의 대향하는 상기 제 1 터미널의 "U"자 형태의 접촉부의 대향하는 외측면 중에서 상기 제 1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부분 쪽의 외측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제 1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1 터미널의 상기 "U"자 형태의 접촉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 2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분인 한 쌍의 대향하는 상기 제 2 터미널의 "U"자 형태의 접촉부에는 내측에 상기 제 1 걸림턱에 대응되는 제 1 걸림부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분인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의 "U"자 형태의 접촉부의 대향하는 외측면 중에서 상기 제 1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부분 쪽의 외측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제 2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의 상기 "U"자 형태의 접촉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 2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분인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4 터미널의 "U"자 형태의 접촉부에는 내측에 상기 제 2 걸림턱에 대응되는 제 2 걸림부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의 "U"자 형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부분에 대해 일측 폭 방향으로 연장 돌출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장 형성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제 2 걸림턱에 상기 보강판의 한 쌍의 록킹 돌기가 걸려 록킹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측방 체결홈의 외측을 둘러싸는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의 몸체부; 및 상기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의 몸체부의 전후 측단에서 내측으로 대향되게 수평돌출되는 상기 한 쌍의 록킹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보강판은, 상기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의 몸체부의 전후 측부에서 하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상기 제 2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제 5 터미널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제 2 베이스에 일체로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4 터미널 및 상기 보강판의 재질은 구리 합금(copper alloy)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기 위한 보드 커넥터의 좌우 양측방에 보강판을 배치하여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보강 구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고전류 전송과 신호 및 접지 터미널의 체결 구조를 함께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전류용으로 사용되는 터미널 부분의 폭을 연장하여 고전류용 터미널 사이의 록킹 구조와 보강판과의 록킹 구조에 의해 이중적인 록킹(locking)이 이루어져 형합된 상태의 터미널의 접촉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제품의 삽입 및 발거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드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도 4a의 제 1 및 제 2 터미널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5a는 도 3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3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c 및 도 5d는 도 5a의 제 1 및 제 2 터미널과 보강판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도 4a의 제 1 및 제 2 터미널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들이고, 도 5a는 도 3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3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c 및 도 5d는 도 5a의 제 1 및 제 2 터미널과 보강판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들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기재된 "전후" 방향은 도면들에서와 같이, 대향되게 나란히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터미널(102, 202) 사이의 방향을 의미하며, "좌우"라 함은 상기 "전후"와는 수평으로 직교하는 한 쌍의 보강판(230) 사이의 방향을 의미하며, "상하"라 함은 제 1 보드(2), 제 1 커넥터(100), 제 2 커넥터(200), 제 2 보드(3)의 순차적인 수직의 결합배치 방향을 나타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1)는 제 1 보드(2)와 제 2 보드(3)를 연결하기 위한 보드 커넥터로서, 직사각형상의 제 1 베이스(110)와, 상기 직사각형상의 제 1 베이스(110)의 전후 측방을 따라 나란히 대향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터미널(102)로 이루어지는 제 1 커넥터(100); 및 상기 제 1 커넥터(100)를 수용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2 베이스(210)와, 상기 직사각형상의 제 2 베이스(210)의 전후 측방을 따라 나란히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제 1 터미널에 상호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 2 터미널(202)로 이루어지는 제 2 커넥터(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베이스(110)의 전후 측방 좌우 양단에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104)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210)의 전후 측방 좌우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104)에 상호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 4 터미널(204)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210)의 좌우 측방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100, 200)의 상하 결합시에,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104)를 록킹 지지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보강판(23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터미널(102, 202)은 신호용 또는 접지용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터미널(104, 204)은 고전류용으로 사용되며, 상기 제 3 및 제 4 터미널(104, 204)이 상기 제 1 및 제 2 터미널(102, 202)보다 그 폭이 넓게 형성되어 보강판(230)에 의해 록킹 지지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들 부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해당 부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제 1 커넥터(100)는 제 1 보드(2)와 공지의 SMT(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부착되어지고, 제 2 커넥터(200)도 제 2 보드(3)와 SMT(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부착되어진다.
수커넥터(Male connector)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커넥터(100)는 절연된 합성수지 재질의 대략 직사각형상의 제 1 베이스(110)를 구비하고, 제 1 베이스(110)에는 두 쌍의 대향하는 제 1 터미널(102)이 전후 측방을 따라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두 쌍의 대향하는 제 1 터미널(102) 중 한 쌍의 대향하는 제 1 터미널(102)이 신호(signal)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다른 한 쌍의 대향하는 제 1 터미널(102)은 접지(ground)용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시된 예에서는 두 쌍의 대향하는 신호용 또는 접지용 제 1 터미널(102)을 나타내고 있으나, 세 쌍 이상의 대향하는 제 1 터미널(102)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 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 1 베이스(110)의 대향하는 전후 측방 양단에는 좌우 측방 체결부로서의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10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커넥터(100, 200)의 상하 결합시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제 2 베이스(210)의 한 쌍의 대향하는 제 4 터미널(204)에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면서 체결됨과 동시에, 제 2 베이스(210)의 측방 체결홈(220) 쪽에 형성되는 보강판(230)에 의해 록킹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터미널(104)은 고전류용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신호용 또는 접지용으로 사용되는 제 1 터미널(102) 보다 그 폭이 넓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커넥터(100, 200)의 결합시에 보강판(230)에 의해 강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신호용 또는 접지용으로 사용되는 제 1 및 제 2 터미널(102, 202)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대략 1A 미만인 반면에, 고전류용으로 사용되는 제 3 및 제 4 터미널(104, 204)을 통과하는 전류는 최대 12A로서 고전류가 제 3 및 제 4 터미널(104, 204)를 통해 전송될 수 있어 기존의 터미널과 비교하여 보다 큰 허용 전류량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3 터미널(102)의 재질은 통상의 구리 합금(copper alloy)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있어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암커넥터(Female connector)에 해당하는 제 2 커넥터(200)는 절연된 합성수지 재질의 대략 직사각형상의 제 2 베이스(210)를 구비하고, 제 2 베이스(210)에는 두 쌍의 대향하는 제 2 터미널(202)이 전후 측방을 따라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두 쌍의 제 2 터미널(202) 중 한 쌍의 제 2 터미널(202)이 신호(signal)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다른 한 쌍의 제 2 터미널(202)은 접지(ground)용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시된 예에서는 두 쌍의 대향하는 신호용 또는 접지용 제 2 터미널(202)을 나타내고 있으나, 세 쌍 이상의 대향하는 제 2 터미널(202)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 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 2 베이스(210)의 대향하는 전후 측방 양단에는 각각 한 쌍의 대향하는 4 터미널(204)이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커넥터(100, 200)의 상하 결합시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제 1 베이스(110)의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104)과 형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촉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물론, 상기 제 4 터미널(204)은 고전류용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신호용 또는 접지용으로 사용되는 제 2 터미널(202)보다 그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제 3 터미널(104)과 대응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 2 베이스(210)의 좌우 양측방에는 측방 체결홈(220)이 형성되어, 제 1 베이스(110)의 좌우 양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때, 상기 제 2 베이스(210)의 좌우 측방에서 상기 측방 체결홈(22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서 대략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의 한 쌍의 보강판(23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보강판(230)은 제 2 베이스(210)의 좌우 측방에서 대향되게 배치되어지되, 상기 제 2 베이스(210)에 일체로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되어지며, 상기 측방 체결홈(220)의 외측을 둘러싸는 대략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의 몸체부(232)와, 상기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의 몸체부(232)의 전후 측단에서 내측으로 수평돌출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록킹 돌기(2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강판(230)의 재질은 통상의 구리 합금(copper alloy)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한 보강판(230)은 상기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의 몸체부(232)의 전후 측부에서 하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제 2 보드(3)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 제 5 터미널(236)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5 터미널(236)은 접지용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판(230)의 한 쌍의 대향하는 록킹 돌기(234)는 제 1 베이스(110)의 전후 측방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104)의 걸림턱(104-1)에 대응되어, 제 1 및 제 2 커넥터(100, 200)의 상하 결합시에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104)이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제 2 베이스(210)의 한 쌍의 대향하는 제 4 터미널(204)에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면서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보강판(230)의 한 쌍의 대향하는 록킹 돌기(234)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104)의 제 2 걸림턱(104-1)에 걸림 고정되어 이중적인 록킹(locking)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보드 커넥터에 있어서, 수커넥터(Male connector) 또는 암커넥터(Female connector)로서의 제 1 커넥터(100)의 제 1 및 제 3 터미널(102, 104)과 암커넥터(Female connector) 또는 수커넥터(Male connector)서의 제 2 커넥터(200)의 제 2 및 제 4 터미널(202, 204)의 결합과,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좌우 측방 체결 구로서의 제 1 커넥터(100)의 제 3 터미널(104)과 보강판(230)의 체결 구조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드(2)에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분인 한 쌍의 대향하는 제 1 터미널(102)의 대략 "U"자 형태의 접촉부의 대향하는 외측면 중에서 상기 제 1 보드(2)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부분 쪽의 외측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제 1 걸림턱(102-1)이 형성되고, 반면에,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1 터미널(102)의 대략 "U"자 형태의 접촉부에 대응되며, 제 2 보드(3)에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분인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2 터미널(202)의 대략 "U"자 형태의 접촉부에는 내측에 제 1 걸림부(202-1)가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커넥터(100, 200)의 결합시에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 1 터미널(102)의 대략 "U"자 형태의 접촉부가 한 쌍의 대향하는 제 2 터미널(202)의 대략 "U"자 형태의 접촉부내로 가이드되면서 삽입됨과 아울러, 제 1 터미널(102)의 제 1 걸림턱(102-1)이 제 2 터미널(202)의 제 1 걸림부(202-1)에 걸려 고정되어 형합된 상태의 터미널의 접촉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터미널(104)은 제 1 터미널(102)보다 그 폭이 넓게 연장 형성되며, 제 1 보드(2)에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분인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104)의 대략 "U"자 형태의 접촉부의 외측면 중에서 제 1 보드(2)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부분 쪽의 외측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제 2 걸림턱(104-1)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반면에,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104)의 대략 "U"자 형태의 접촉부에 대응되며, 제 2 보드(3)에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분인 한 쌍의 대향하는 제 4 터미널(204)의 대략 "U"자 형태의 접촉부에는 내측에 제 2 걸림부(204-1)가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커넥터(100, 200)의 결합시에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104)의 대략 "U"자 형태의 접촉부가 한 쌍의 대향하는 제 4 터미널(202)의 대략 "U"자 형태의 접촉부내로 가이드되면서 삽입됨과 아울러, 제 3 터미널(104)의 제 2 걸림턱(104-1)이 제 4 터미널(204)의 제 2 걸림부(204-1)에 걸려 고정되어 일차 록킹(locking) 상태가 된다.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104)의 "U"자 형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보드(2)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부분에 대해 일측 폭 방향(측방 체결홈(230) 쪽)으로 소정 폭 만큼 연장 돌출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장 형성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제 2 걸림턱(104-1)에는 제 1 및 제 2 커넥터(100, 200)의 결합시, 상기 보강판(230)의 한 쌍의 대향하는 록킹 돌기(234)가 하방향으로 걸려 록킹지지하여 이차 록킹(locing) 상태가 되어 이중적인 록킹(locking) 구조에 의해 제품의 삽입 및 발거력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2, 3: 제 1 및 제 2 보드
100: 제 1 커넥터 102: 제 1 터미널
102-1: 제 1 걸림턱 104: 제 3 터미널
104-1: 제 2 걸림턱 110: 제 1 베이스
200: 제 2 커넥터 202: 제 2 터미널
202-1: 제 1 걸림부 204: 제 4 터미널
204-1: 제 2 걸림부 210: 제 2 베이스부
220: 측방 체결홈 230: 보강판
232: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의 몸체부
234: 록킹 돌기 236: 제 5 터미널

Claims (11)

  1. 제 1 보드와 제 2 보드를 연결하기 위한 보드 커넥터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의 제 1 베이스와, 상기 직사각형상의 제 1 베이스의 측방을 따라 나란히 대향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터미널로 이루어지는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1 커넥터를 수용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2 베이스와, 상기 직사각형상의 제 2 베이스의 측방을 따라 나란히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제 1 터미널에 상호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 2 터미널로 이루어지는 제 2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베이스의 측방 양단에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의 측방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에 상호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 4 터미널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의 측방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결합시에, 상기 한 쌍의 제 3 터미널을 록킹 지지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보강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의 양측방에는 한 쌍의 대향하는 측방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상하 결합시에 상기 제 1 베이스의 양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보강판은 상기 제 2 베이스의 양측방에서 상기 측방 체결홈의 외측을 둘러싸는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분인 한 쌍의 대향하는 상기 제 1 터미널의 "U"자 형태의 접촉부의 대향하는 외측면 중에서 상기 제 1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부분 쪽의 외측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제 1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1 터미널의 상기 "U"자 형태의 접촉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 2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분인 한 쌍의 대향하는 상기 제 2 터미널의 "U"자 형태의 접촉부에는 내측에 상기 제 1 걸림턱에 대응되는 제 1 걸림부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2. 제 1 보드와 제 2 보드를 연결하기 위한 보드 커넥터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의 제 1 베이스와, 상기 직사각형상의 제 1 베이스의 측방을 따라 나란히 대향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 1 터미널로 이루어지는 제 1 커넥터; 및
    상기 제 1 커넥터를 수용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2 베이스와, 상기 직사각형상의 제 2 베이스의 측방을 따라 나란히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제 1 터미널에 상호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 2 터미널로 이루어지는 제 2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베이스의 측방 양단에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의 측방 양단에는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에 상호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 4 터미널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베이스의 측방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결합시에, 상기 한 쌍의 제 3 터미널을 록킹 지지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보강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의 양측방에는 한 쌍의 대향하는 측방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상하 결합시에 상기 제 1 베이스의 양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보강판은 상기 제 2 베이스의 양측방에서 상기 측방 체결홈의 외측을 둘러싸는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분인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의 "U"자 형태의 접촉부의 대향하는 외측면 중에서 상기 제 1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부분 쪽의 외측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제 2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의 상기 "U"자 형태의 접촉부에 대응되며, 상기 제 2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는 부분인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4 터미널의 "U"자 형태의 접촉부에는 내측에 상기 제 2 걸림턱에 대응되는 제 2 걸림부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터미널은 신호용 또는 접지용으로 사용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터미널은 고전류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터미널은 상기 제 1 및 제 2 터미널보다 그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하는 제 3 터미널의 "U"자 형태의 접촉부는 상기 제 1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부분에 대해 일측 폭 방향으로 연장 돌출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장 형성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제 2 걸림턱에 상기 보강판의 한 쌍의 록킹 돌기가 걸려 록킹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측방 체결홈의 외측을 둘러싸는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의 몸체부; 및
    상기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의 몸체부의 측단에서 내측으로 대향되게 수평돌출되는 상기 한 쌍의 록킹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판은:
    상기 "ㄷ" 자 또는 역(逆) ㄷ" 자 형태의 몸체부의 측부에서 하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상기 제 2 보드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제 5 터미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제 2 베이스에 일체로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터미널 및 상기 보강판의 재질은 구리 합금(copper allo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KR1020140098197A 2014-07-31 2014-07-31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KR101610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197A KR101610746B1 (ko) 2014-07-31 2014-07-31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197A KR101610746B1 (ko) 2014-07-31 2014-07-31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664A KR20160015664A (ko) 2016-02-15
KR101610746B1 true KR101610746B1 (ko) 2016-04-08

Family

ID=5535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197A KR101610746B1 (ko) 2014-07-31 2014-07-31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198B1 (ko) * 2016-05-03 2017-08-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멀티 전원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990508B1 (ko) * 2017-11-27 2019-06-1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KR102241129B1 (ko) * 2020-01-07 2021-04-1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차폐형 실드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9119A (ja) 2009-12-03 2011-06-16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9119A (ja) 2009-12-03 2011-06-16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664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518B2 (en) Stacking connector
US9543675B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US9954311B2 (en) Electric connector
US20170133795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structure
US9831576B2 (en)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40235113A1 (en) Female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arm extension protection
CN204315776U (zh) 电连接器
JP5737533B2 (ja) 多極型コネクタ
US20120258633A1 (en) Connector Housing With Alignment Guidance Feature
US20150147900A1 (en) Plug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610746B1 (ko) 보강판이 구비된 보드 커넥터
US9124014B2 (en) Audio jack connector with small size for space saving
KR200495065Y1 (ko) 플로팅 커넥터
US777583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lip member
CN106797087A (zh) 连接器
CN203351889U (zh) 插头连接器及插座连接器
US9774146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printed circuit board module
US923667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hole with a protrusion engaging an enlarged end on a housing of a corresponding connector
KR101586250B1 (ko) 고전류용 보드 커넥터
US10355405B2 (en) Device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KR20170078199A (ko) 프론트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블록
KR101586235B1 (ko) 체결 검출 접점부를 구비한 보드 커넥터
US10199190B2 (en) Active electrical component
US8961233B2 (en) Electrical connector
CN211265777U (zh) 一种双向对插接触式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