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106B1 -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 - Google Patents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106B1
KR101610106B1 KR1020140195105A KR20140195105A KR101610106B1 KR 101610106 B1 KR101610106 B1 KR 101610106B1 KR 1020140195105 A KR1020140195105 A KR 1020140195105A KR 20140195105 A KR20140195105 A KR 20140195105A KR 101610106 B1 KR101610106 B1 KR 101610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inge shafts
shafts
polygon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봉수
안광석
Original Assignee
(주)메이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이저텍 filed Critical (주)메이저텍
Priority to KR1020140195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10Shape or construction of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조우 또는 힌지축의 손상시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구조체는 제1판상부(210)와 제2판상부(220)에 각각 제1다각홈(11a)(21a)과 제2다각홈(11b)(2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2엔드플레이트(41)(42)중 어느 하나가 제1,2힌지축(10)(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더라도 바닥면에 놓인 크러셔(즉,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크러셔가 어느 방향으로 놓이더라도)의 상부에서 하부로 제1,2힌지축(10)(2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조립을 편리하게 한다.

Description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A crusher structure}
본 발명은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조우 또는 힌지축의 손상시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는 건축물 등의 파쇄를 위해 중장비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장비로서, 기본적으로 벌렸다 오므려졌다를 반복하는 조오와, 상기 조오의 벌림과 오므러짐 운동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에 결합되는 결합부(100)와, 상기 중장비 결합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200)과, 상기 메인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실린더(300)와, 상기 메인 프레임(200) 및 상기 실린더(300)에 결합되는 조오(400)를 구비한다.
조오(40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회동암(410)과 제2회동암(420)으로 구성되며, 각각 제1힌지축(430)과 제2힌지축(440)에 의해 메인 프레임(20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회동암(410)과 상기 제2회동암(420)은 상기 제1,2힌지축(430)(440) 사이에서 서로 중첩되게 교차하여 배치되며, 그 중첩된 공간에는 센터핀(500)이 배치된다. 상기 센터핀(500)은 상기 메인 프레임(20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1,2회동암(410)(420)에는 실린더 결합공(412)(422), 제1,2힌지축 결합공(413)(423), 센터핀(500)이 결합되는 장공(411)(421)이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200)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1판상부(210)와 제2 판상부(220)로 이루어지고, 제1판상부(210)와 제2판상부(22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는 실린더(300)와 조오(400)의 일부가 결합된다.
제1,2힌지축(430, 440)은 각각 제1,2판상부(210)(220) 및 제1,2회동암(410,420)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또한, 제1,2힌지축(430,440)의 일단에는 제1,2힌지축(430,440)의 직경보다 큰 다각형상의 헤드부(433,443)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볼트결합공(432,442)이 형성되며,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 윤활유 주입구(431,441)가 연장형성되어 제1,2회동암(410,420)과 제1,2힌지축(430,440) 사이의 부드러운 습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볼트결합공(432,442)에는 엔드플레이트(700)가 볼트(710) 체결되어서, 상기 제1,2힌지축(430,440)이 상기 메인 프레임(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판상부(210)에는 상기 헤드부(433)가 결합되는 다각홈(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판상부(220)에는 상기 엔드플레이트(700)가 결합되는 원형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다각홈(211)에 의해서 상기 제1,2힌지축(430,440)의 헛돌음을 방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크러셔 구조체에 있어서, 조오(400) 및 제1,2힌지축(430,440)의 마모 또는 손상시 교환 및 수리를 위한 분해작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00)를 통하여 중장비(미도시)로부터 분리시켜서 교환 및 수리를 하게 되는데, 도 3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33)(443)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는 하측에 위치한 볼트(710) 및 엔드플레이트(700)의 분해작업 후에 중량의 제1,2힌지축(430)(440)을 다각홈(211)으로부터 들어올려 분리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도 5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플레이트(700) 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한 위치에서 볼트(710) 및 엔드플레이트(700)를 분리하여 제1,2힌지축(430)(440)을 분해한다. 이때 볼트(710)를 해체하게 되면 중량의 제1,2힌지축(430)(440)이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분리되게 된다.
그런데, 도 5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조오(400) 및 제1,2힌지축(430,440)등의 수리후 다시 조립하기 위하여는 수백 Kg에 이르는 중량의 제1,2힌지축(430,440)을 제1판상부(210)의 밑에 위치시켜서 메인프레임(200)의 밑으로부터 상부로 결합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곤란하고 조립작업중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게 된다. 즉, 하부측에 위치한 제2판상부(210)에 다각홈(2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드부(440) 및 제1,2힌지축(430,440)을 제2판상부(210)의 아래에 위치시켜서 조립하여야 한다.
또한, 분해의 편리를 위하여 중장비로부터 크러셔를 분리시킬때 크러셔의 제1판상부(210)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0-001243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중장비로부터 크러셔를 분리시킬때 분리된 크러셔의 위치에 관계없이 제1,2힌지축의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도록 개선된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중장비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중장비 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1판상부와 제2 판상부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1판상부와 제2판상부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각 일단이 제1,2힌지축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회동암과, 상기 제1,2회동암과 메임프레임을 연결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2판상부와 제1,2회동암에는 상기 제1,2힌지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판상부의 각 결합공 가장자리에 동일형상의 제1,2다각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힌지축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축의 각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판상부의 상기 제1다각홈에 진입되는 제1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2힌지축의 각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판상부의 상기 제2다각홈에 진입되는 제2엔드플레이를 구비하되,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다각에 대응되는 형상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힌지축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다각홈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2판상부의 상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2판상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2다각홈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의 측면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며 견인봉의 단부가 진입되는 제1둘레홈과, 상기 제1둘레홈 상부측에 집게가 물려지는 제2둘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중장비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중장비 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1판상부와 제2 판상부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1판상부와 제2판상부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각 일단이 제1,2힌지축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회동암과, 상기 제1,2회동암과 메임프레임을 연결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2판상부와 제1,2회동암에는 상기 제1,2힌지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판상부의 각 결합공 가장자리에 동일형상의 제1,2다각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힌지축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축의 각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판상부의 상기 제1다각홈에 진입되는 제1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2힌지축의 각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판상부의 상기 제2다각홈에 진입되는 제2엔드플레이를 구비하되,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다각에 대응되는 형상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힌지축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다각홈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2판상부의 상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2판상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2다각홈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의 측면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며 견인봉의 단부가 진입되는 제1둘레홈과, 상기 제1둘레홈 상부측에 집게가 물려지는 제2둘레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축의 각 일단에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가 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제1,2힌지축의 각 타단에 상기 제2엔드플레이가 볼트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중장비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중장비 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1판상부와 제2 판상부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1판상부와 제2판상부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각 일단이 제1,2힌지축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회동암과, 상기 제1,2회동암과 메임프레임을 연결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2판상부와 제1,2회동암에는 상기 제1,2힌지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판상부의 각 결합공 가장자리에 동일형상의 제1,2다각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힌지축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축의 각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판상부의 상기 제1다각홈에 진입되는 제1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2힌지축의 각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판상부의 상기 제2다각홈에 진입되는 제2엔드플레이를 구비하되,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와 제2엔드플레이트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다각에 대응되는 형상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힌지축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다각홈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2판상부의 상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2판상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2다각홈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의 측면부에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며 견인봉의 단부가 진입되는 제1둘레홈과, 상기 제1둘레홈 상부측에 집게가 물려지는 제2둘레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힌지축의 양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가 상기 각 나사부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첫째, 제1판상부(210)와 제2판상부(220)에 각각 제1다각홈(11a)(21a)과 제2다각홈(11b)(2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2엔드플레이트(41)(42)중 어느 하나가 제1,2힌지축(10)(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더라도 바닥면에 놓인 크러셔(즉,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크러셔가 어느 방향으로 놓이더라도)의 상부에서 하부로 제1,2힌지축(10)(2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조립을 편리하게 한다.
둘째, 제1,2다각홈(11a,21a)(11b,21b)의 내주면으로부터 제1,2판상부(210)(220)의 상면을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홀(225)이 형성되되, 관통홀(225)은 제1,2판상부(210)(220)의 상면으로부터 제1,2다각홈(11a,21a)(11b,21b)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도록 형성되고, 제1,2엔드플레이트(41)(42)의 측면부에 관통홀(225)과 연통되며 견인봉(60)의 단부가 진입되는 제1둘레홈(41a) 상기 제1둘레홈(41a) 상부측에 집게(70)가 물려지는 제2둘레홈(41b)이 형성됨으로써, 제1,2힌지축(10)(20)을 상부를 향하여 간편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크러셔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통상의 힌지축을 나타낸 사진,
도 5a 및 도 5b는 통상의 크러셔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도 1의 크러셔의 분해 및 조립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크러셔 구조체를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크러셔의 분해상태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
도 9는 도 7의 크러셔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크러셔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크러셔의 분해상태를 설명하는 요부 발췌 단면도.
도 12는 힌지축과 엔드플레이트의 결합 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는 조우 또는 힌지축의 손상시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 크러셔 구조체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종래기술과 동일구성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의 A-A선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 실시예의 구조체를 나타낸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중장비에 결합되는 결합부(100)와, 상기 중장비 결합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1판상부(210)와 제2 판상부(220)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0)과, 상기 제1판상부(210)와 제2판상부(22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각 일단이 제1,2힌지축(10)(20)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회동암(410,420)을 갖는 조오(400)와, 상기 제1,2회동암(410,420)과 메임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실린더(300)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의 특징적 구성으로써,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2판상부(210)(220)와 제1,2회동암(410)(420)에는 상기 제1,2힌지축(10)(20)이 결합되는 결합공(1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판상부(210)(220)의 각 결합공(11)(21) 가장자리에는 동일형상의 제1,2다각홈(11a,21a)(11b,21b)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축(10)(20)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각 일단에는 상기 제1판상부(210)의 상기 제1다각홈(11a,21a)에 진입되는 제1엔드플레이트(41)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각 타단에는 상기 제2판상부(220)의 상기 제2다각홈(11b,21b)에 진입되는 제2엔드플레이(42)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2힌지축(10)(20)과 제1,2엔드플레이트(41)(42)의 결합관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각 일단에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41)가 볼트(31)로 결합되고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각 타단에 상기 제2엔드플레이(42)가 볼트(32)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양단부에 나사부(10a)(10b)가 형성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41)(42)가 상기 각 나사부(10a)(10b)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엔드플레이트(42)와 같이 원형형상인 경우 제2다각홈(11b)(21b)의 바깥측에서 제1,2힌지축(10)(2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41)와 제2엔드플레이트(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다각홈(11a,21a)(11b,21b)에 대응되는 형상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41)(42)는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각, 육각 또는 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3d 및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는 원호면으로 일부는 평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크러셔 구조체는 조오(400) 또는 제1,2힌지축(10)(20)의 수리시 분해 및 조립을 위한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결합부(100)를 중장비로부터 분해시킨 후 작업장에 놓게 되는데, 이때 분리한 크러셔를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어느 방향으로 놓아도 상관없다.
즉, 상기 제1판상부(210)와 제2판상부(220)에 각각 제1다각홈(11a)(21a)과 제2다각홈(11b)(2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판상부(210)와 제2판상부(220)중 어느 것이라도 상부측에 놓여도 상관없다.
도 7에서와 같이 제1판상부(210)가 상부로 놓이게 되는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볼트(31)를 풀어 제1엔드플레이트(41)를 제1,2힌지축(10)(20)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제1,2힌지축(10)(20)과 제2엔드플레이트(42)가 결합공(11)(21)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볼트(31)의 분해만으로도 제1,2힌지축(10)(20)의 분해가 간편하다.
수리후 조립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힌지축(10)(20)과 제1엔드플레이트(41)를 볼트(31)로 조립한 후, 제1판상부(210)의 상부로부터 결합공(11)(21)에 결합하여 제1엔드플레이트(41)가 제1다각홈(11a)(21a)에 안착되도록 하고, 제2판상부(220)의 하부로부터 비교적 가벼운 제2엔드플레이트(42)를 볼트(32)로 제1,2힌지축(10)(20)의 단부에 조립시킨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판상부(210)와 제2판상부(220)에 각각 제1다각홈(11a)(21a)과 제2다각홈(11b)(2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41)(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힌지축(10)(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더라도 바닥면에 놓인 크러셔(즉,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크러셔가 어느 방향으로 놓이더라도)의 상부에서 하부로 제1,2힌지축(10)(20)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조립을 편리하게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 크러셔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크러셔가 도 5a 또는 도 5b에서와 같이 바닥면에 뉘여졌을때, 도 8에서와 같이 제1,2힌지축(10)(20)이 바닥으로 낙하되어 분해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2판상부(220)와 바닥면 사이의 간격보다 제1,2힌지축(10)(20)의 길이가 긴 경우 분해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제1,2힌지축(10)(20)을 제1판상부(210)의 상부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이는 상기 제1,2다각홈(11a,21a)(11b,21b)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2판상부(210)(220)의 상면을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홀(225)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225)은 상기 제1,2판상부(210)(22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2다각홈(11a,21a)(11b,21b)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41)(42)의 측면부에는 상기 관통홀(225)과 연통되며 견인봉(60)의 단부가 진입되는 제1둘레홈(41a)과, 상기 제1둘레홈(41a) 상부측에 집게(70)가 물려지는 제2둘레홈(41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제2엔드플레이트(42)를 제1,2힌지축(10)(2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제1엔드플레이트(41)와 제1,2힌지축(10)(20)을 결합공(11)(21)으로부터 들어올리기 편리하도록 한다.
즉,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봉(60)을 관통홀(225)에 진입시켜서 제1둘레홈(41a)에 결합시킨 후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견인봉(60)을 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엔드플레이트(41)의 제2둘레홈(41b)이 제1다각홈(11a)의 상부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 견인봉(60)은 상기 관통홀(225)이 제1,2다각홈(11a,21a)(11b,21b)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지렛대 작용이 가능해진다.
이때 집게(70)를 외부로 노출된 제2둘레홈(11b)에 결합하여 들어 올림으로써 분해를 편리하게 한다.
10,20...제1,2힌지축 11a,21a...제1다각홈
11b,21b...제2다각홈 31,32...볼트
41,42...제1,2엔드플레이트 41a,41b...제1,2둘레홈
60...견인봉 70...집게
210,220...제1,2판상부

Claims (5)

  1. 중장비에 결합되는 결합부(100)와, 상기 중장비 결합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1판상부(210)와 제2 판상부(220)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0)과, 상기 제1판상부(210)와 제2판상부(22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각 일단이 제1,2힌지축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회동암(410,420)을 갖는 조오(400)와, 상기 제1,2회동암(410,420)과 메임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실린더(300)를 구비하는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2판상부(210)(220)와 제1,2회동암(410)(420)에는 상기 제1,2힌지축(10)(20)이 결합되는 결합공(11)(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판상부(210)(220)의 각 결합공(11)(21) 가장자리에 동일형상의 제1,2다각홈(11a,21a)(11b,2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힌지축(10)(20)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각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판상부(210)의 상기 제1다각홈(11a,21a)에 진입되는 제1엔드플레이트(41)와,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각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판상부(220)의 상기 제2다각홈(11b,21b)에 진입되는 제2엔드플레이(42)를 구비하되,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41)와 제2엔드플레이트(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다각홈(11a,21a)(11b,21b)에 대응되는 형상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41)(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힌지축(10)(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다각홈(11a,21a)(11b,21b)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2판상부(210)(220)의 상면을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홀(225)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225)은 상기 제1,2판상부(210)(22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2다각홈(11a,21a)(11b,21b)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41)(42)의 측면부에 상기 관통홀(225)과 연통되며 견인봉(60)의 단부가 진입되는 제1둘레홈(41a)과, 상기 제1둘레홈(41a) 상부측에 집게(70)가 물려지는 제2둘레홈(41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
  2. 중장비에 결합되는 결합부(100)와, 상기 중장비 결합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1판상부(210)와 제2 판상부(220)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0)과, 상기 제1판상부(210)와 제2판상부(22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각 일단이 제1,2힌지축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회동암(410,420)을 갖는 조오(400)와, 상기 제1,2회동암(410,420)과 메임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실린더(300)를 구비하는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2판상부(210)(220)와 제1,2회동암(410)(420)에는 상기 제1,2힌지축(10)(20)이 결합되는 결합공(11)(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판상부(210)(220)의 각 결합공(11)(21) 가장자리에 동일형상의 제1,2다각홈(11a,21a)(11b,2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힌지축(10)(20)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각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판상부(210)의 상기 제1다각홈(11a,21a)에 진입되는 제1엔드플레이트(41)와,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각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판상부(220)의 상기 제2다각홈(11b,21b)에 진입되는 제2엔드플레이(42)를 구비하되,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41)와 제2엔드플레이트(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다각홈(11a,21a)(11b,21b)에 대응되는 형상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41)(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힌지축(10)(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다각홈(11a,21a)(11b,21b)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2판상부(210)(220)의 상면을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홀(225)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225)은 상기 제1,2판상부(210)(22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2다각홈(11a,21a)(11b,21b)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41)(42)의 측면부에 상기 관통홀(225)과 연통되며 견인봉(60)의 단부가 진입되는 제1둘레홈(41a)과, 상기 제1둘레홈(41a) 상부측에 집게(70)가 물려지는 제2둘레홈(41b)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각 일단에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41)가 볼트(31)로 결합되고,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각 타단에 상기 제2엔드플레이(42)가 볼트(32)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
  3. 중장비에 결합되는 결합부(100)와, 상기 중장비 결합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장되는 제1판상부(210)와 제2 판상부(220)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200)과, 상기 제1판상부(210)와 제2판상부(220)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각 일단이 제1,2힌지축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회동암(410,420)을 갖는 조오(400)와, 상기 제1,2회동암(410,420)과 메임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실린더(300)를 구비하는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제1,2판상부(210)(220)와 제1,2회동암(410)(420)에는 상기 제1,2힌지축(10)(20)이 결합되는 결합공(11)(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판상부(210)(220)의 각 결합공(11)(21) 가장자리에 동일형상의 제1,2다각홈(11a,21a)(11b,21b)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힌지축(10)(20)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각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판상부(210)의 상기 제1다각홈(11a,21a)에 진입되는 제1엔드플레이트(41)와,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각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판상부(220)의 상기 제2다각홈(11b,21b)에 진입되는 제2엔드플레이(42)를 구비하되,
    상기 제1엔드플레이트(41)와 제2엔드플레이트(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다각홈(11a,21a)(11b,21b)에 대응되는 형상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41)(42)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힌지축(10)(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다각홈(11a,21a)(11b,21b)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2판상부(210)(220)의 상면을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홀(225)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225)은 상기 제1,2판상부(210)(22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2다각홈(11a,21a)(11b,21b)의 내주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41)(42)의 측면부에 상기 관통홀(225)과 연통되며 견인봉(60)의 단부가 진입되는 제1둘레홈(41a)과, 상기 제1둘레홈(41a) 상부측에 집게(70)가 물려지는 제2둘레홈(41b)이 형성되며,
    상기 제1,2힌지축(10)(20)의 양단부에 나사부(10a)(10b)가 형성되고, 상기 제1,2엔드플레이트(41)(42)가 상기 각 나사부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
  4. 삭제
  5. 삭제
KR1020140195105A 2014-12-31 2014-12-31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 KR101610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105A KR101610106B1 (ko) 2014-12-31 2014-12-31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105A KR101610106B1 (ko) 2014-12-31 2014-12-31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106B1 true KR101610106B1 (ko) 2016-04-08

Family

ID=5590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105A KR101610106B1 (ko) 2014-12-31 2014-12-31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1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15B1 (ko) * 2007-06-15 2008-12-15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절단기의 가동암 유격조절장치
JP2012102555A (ja) * 2010-11-10 2012-05-31 Sakato Kosakusho:Kk 建設用小型複合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15B1 (ko) * 2007-06-15 2008-12-15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절단기의 가동암 유격조절장치
JP2012102555A (ja) * 2010-11-10 2012-05-31 Sakato Kosakusho:Kk 建設用小型複合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93050U (zh) 用于销轴的拆装装置
CN112627255B (zh) 一种机械式的挖掘机机具快换装置及挖掘机
KR101610106B1 (ko) 중장비 결합용 크러셔 구조체
US8667869B2 (en) Spinner assembly for oilfield tubular connections
CN203023256U (zh) 一种铰接装置
CN211737793U (zh) 一种连续式组合轴承座
KR20140004815U (ko) 그레이팅 설치용 인양장치
CN211038088U (zh) 一种防护网栏杆
WO2016177351A3 (zh) 吊钩偏角监测装置、垂直吊装监控装置及移动式起重机
US1645672A (en) Automatic disonnecting device for rock crushers
KR101694466B1 (ko) 통스크레인의 다단 분리형 통키
CN108418139A (zh) 带电更换耐张串导线侧第一片绝缘子l型卡具
CN210099902U (zh) 一种无冲击主辊拆卸装置
KR101425075B1 (ko) 퀵 체인지 결합방식을 갖는 중장비 어태치먼트 구조체
KR200470323Y1 (ko) 케이블 견인 롤러 장치
CN202991904U (zh) 一种应急使用的联轴器
CN105752844A (zh) 一种模具吊装的翻转装置
CN207814159U (zh) 一种可分离的新型螺栓
JP5492906B2 (ja) キーレスカップリングアレンジメント
CN106122373B (zh) 一种钢丝绳安装进楔形接头的安装工具
KR200394167Y1 (ko) 선박건조용 철판부재의 클램프
CN105361774B (zh) 具有定位功能的马桶支座及其安装方法
KR101650129B1 (ko) 중장비용 크러셔
KR20150092784A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CN201606021U (zh) 一种钻井底法兰快速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