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785B1 -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785B1
KR101609785B1 KR1020140052176A KR20140052176A KR101609785B1 KR 101609785 B1 KR101609785 B1 KR 101609785B1 KR 1020140052176 A KR1020140052176 A KR 1020140052176A KR 20140052176 A KR20140052176 A KR 20140052176A KR 101609785 B1 KR101609785 B1 KR 101609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concentrate
weight
hydrolyzed
st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211A (ko
Inventor
공병만
권춘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화
Priority to KR102014005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78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4Sugar-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8Sucrose-fre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2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고농도의 IH-901이 함유된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를 IH-901 성분의 손실 없이 우수한 품질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a) 수삼을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수삼에 봉밀이 침투되도록 심부처리 및 잔뿌리 제거를 위한 정선 단계; (c) 상기 심부처리 및 정선된 수삼을 벌꿀, 흑삼 농축액, 동결건조 로얄젤리, 인삼가수분해 농축액 및 산삼배양근 농축액을 포함하고 당도 60brix% 이상인 당침액에 투입하는 단계; (d) 상기 당침액에 투입된 수삼을 90~100℃에서 0.5~2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1 당침 단계; (e) 상기 제1 당침된 수삼을 70~90℃에서 0.5~2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2 당침 단계; (f) 상기 제2 당침된 수삼을 55~75℃에서 100~200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3 당침 단계; 및 (g) 상기 제3 당침된 수삼을 열풍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ONEYED GINSENG HAVING GINSENG HYDROLYSIS CONCENTRATE}
본 발명은 인삼정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the root of Panax ginseng C.A. Meyer. Araliaceae)은 중국, 한국, 일본 등의 아시아 국가에서 전통적으로 각종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어 온 약재 중 하나이다. 특히 인삼의 주요 활성 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인삼 사포닌, saponin)는 항노화, 항염증, 중추 신경계와 심혈관계 및 면역계에서의 항산화 활성(Wu JY, et al., J. Immunol., 148:1519-25, 1992; Lee FC., Facts about ginseng, the elixir of life. Hollyn International. New Jersey, 1992;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CRC Press. Florida, 1999), 항당뇨 활성(Chang HM., Pharmacology and application of Chinese material medica. Vol1. World Scientific. Singapore, 1986) 및 항종양 활성(Sato K, et al.,Biol. Pharm. Bull. 17:635-9, 1994; Mochizuki M, et al., Biol. Pharm. Bull. 18:1197-1202, 1995)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과(正果)는 수분이 적은 뿌리나 줄기 또는 열매를 설탕시럽과 조청에 장시간 졸여서 쫄깃하고 달콤하게 만든 한과를 지칭한다. 전통적으로 인삼정과는 수삼을 잠깐동안 데쳐 쓴맛을 제거한 후 물과 설탕을 넣고 약한불에 졸이다가, 거의 졸았을 때 꿀을 넣고 다시 윤기가 나도록 더 졸여서 만들어진다.
최근 전통적인 인삼정과를 개량한 다양한 인삼정과의 제조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257732호는 세정된 인삼을 데치고 설탕을 첨가하여 조림하고, 꿀을 혼합하여 인삼정과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전통적인 인삼정과의 제조방법의 일부 조건을 개량한 정도에 그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0471507호는 인삼을 증숙하고, 증숙된 인삼과 당을 넣고 저압진공에서 당침투시킨 후 풍건하여 인삼정과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등록특허공보 제0713163호는 인삼의 세미를 제거하고, 증숙한 후, 탈피한 것에 사과 과즙과 봉밀을 혼합한 당침액으로 당침 후 건조하여 인삼정과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인삼정과 제조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당침액으로 당 성분이나 봉밀 성분을 사용하는데 그치고 있어 최근의 건강기능식품 관련 소비자의 기호 충족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진세노사이드는 섭취 후 사람의 장내 미생물에 의해 대사되어 그 대사산물 또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rikura M, et al., Chem. Pharm. Bull, 39:2357-61, 1991; Kanaoda M, et al., J. Tradit. Med. 11:241-5, 1994; Akao T, et al., Biol. Pharm. Bull. 21:245-9, 1998). 예컨대 프로토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인 Rb1, Rb2, Rc는 사람의 장내 미생물에 의해 IH-901(20-O-β-D-글루코피라노실(glucopyranosyl)-20(S)-프로토파낙사디올)로 대사되고(Hasegawa H, et al., Planta Medica 63:463-40, 1997; Tawab MA, et al., Drug Metab. Dispos. 31:1065-71, 2003), 프로토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인 Re와 Rg1은 진세노사이드 Rh1이나 진세노사이드 F1으로 대사되며(Hasegawa H, et al., Planta Medica 62:453-7, 1996; Tawab MA, et al., Drug Metab. Dispos. 31:1065-71, 2003), 상기 대사 산물인 IH-901, Rh1 및 F1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게 된다.
특히 IH-901은 주로 항당뇨(Yun Suk Choi et.al., J Ginseng Res. 31(2): 79-85, 2007) 및 면역증강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종양의 침입을 막거나 염색체 변형과 종양형성을 예방함으로서 항전이 또는 항암 효과를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Wakabayashi C, et al., Oncol. Res. 9:411-7, 1998; Lee SJ, et al., Cancer Lett. 144:39-43, 1999). 이러한 이유로 상기 진세노사이드를 상기 대사산물로 전환시키려는 노력들이 광범위하게 시도되었다. 일부 연구자들은 화학적 합성, 약산 가수분해, 알칼리 분해 등으로 진성 프로사포제닌(genuine prosapogenin) 또는 사포제닌을 생산하려 하였다(Han BH, et al., Planta Medica 44:146-9, 1982; Chen Y, et al., Chem. Pharm. Bull. 35: 1653-5, 1987; Elyakov GB, et al., Synthesis of the ginseng glycosides and their analogs. Proc. 6th Int. Ginseng Symp. Seoul 74-83, 1993).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에피머화(epimerization), 수화(hydration), 히드록실화(hydroxylation)등과 같은 여러 가지 부반응을 야기하므로, 최근에는 효소(Ko SR, et al., Biosci. Biotechnol. Biochem. 64:2739-43, 2000; Ko SR, et al., Planta Med. 69:285-6, 2003)와 장내
세균(Hasegawa H, et al., Planta Medica 63:463-40, 1997; Bae EA, et al., J. Microbial. Biotechnol. 13:9-14, 2003) 등을 이용한 온화한 조건에서 진세노사이드를 전환시키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진세노사이드로부터 IH-901을 제조하기 위해 효소를 이용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는데, 구체적으로 다이올계 진세노사이드를 나린지나제 효소로 가수 분해시켜 IH-901을 제조하는 방법이나, 다이올계 진세노사이드를 쥐에 경구 투여한 후 대장에서 분해시켜 IH-901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제조방법은 IH-901의 생성 수율이 극히 낮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2차 대사산물이 생성되어 고순도의 IH-901을 생산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Karikura et al., Chem. Pharm. Bull. 38: 2859, 1990). 이에 따라 베타갈락토시다아제 효소를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반응시켜 IH-901을 제조하는 방법(공개특허공보 제2003-0094757호)이 개발되었고, 나린지나제 및 펙티나아제를 정제된 진세노사이드와 반응시켜 IH-901을 제조하는 방법(등록특허공보 제0418604호)이 개발되었으며, 세룰라제 또는 베타갈락토시다아제 효소를 진세노사이드 Rb1 , Rb2 , Rc, Rd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반응시켜 상기 IH-901을 제조하는 방법(등록특허공보 제0377546호)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인삼 농축액을 주원료로 하기보다는 각각의 진세노사이드를 분리하여 사용하고 있어 그 제조방법이 매우 복잡하며, IH-901을 다량으로 함유한 발효인삼 농축액을 제조하기에는 부적합한 방법이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물은 식품으로 직접 사용하기 어려우며 또한 IH-901의 생성량이 적어 그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선행특허(등록특허공보 제0954851호)에서 펙티나아제 및 베타갈락토시다아제를 특정한 조건으로 혼합하고, 이를 인삼추출액 또는 인삼액에 가하여 특정한 조건에서 발효시킴으로서 고농도의 IH-901이 함유된 발효인삼 농축액을 제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은 고농도의 IH-901이 함유된 발효인삼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의 제조를 고려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 소개된 바는 없다.
본 발명은 고농도의 IH-901이 함유된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를 IH-901 성분의 손실 없이 우수한 품질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수삼을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수삼에 봉밀이 침투되도록 심부처리 및 잔뿌리 제거를 위한 정선 단계; (c) 상기 심부처리 및 정선된 수삼을 벌꿀, 흑삼 농축액, 동결건조 로얄젤리, 인삼가수분해 농축액 및 산삼배양근 농축액을 포함하고 당도 60brix% 이상인 당침액에 투입하는 단계; (d) 상기 당침액에 투입된 수삼을 90~100℃에서 0.5~2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1 당침 단계; (e) 상기 제1 당침된 수삼을 70~90℃에서 0.5~2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2 당침 단계; (f) 상기 제2 당침된 수삼을 55~75℃에서 100~200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3 당침 단계; 및 (g) 상기 제3 당침된 수삼을 열풍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당침액 함량은 상기 벌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흑삼농축액 0.2~5중량부, 상기 동결건조 로얄젤리 0.2~5중량부, 상기 인삼가수분해 농축액 0.1~2중량부 및 상기 산삼배양근 농축액 0.1~2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은 IH-901(20-O-β-D-glucopyranosyl-20(S)-protopanaxadiol)을 5~50㎎/g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가하여 제조된 인삼 추출액에 펙티나아제와 베타갈락토시다아제를 혼합 후 발효 및 농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풍건조는 상기 수삼의 수분 함량이 15~25%가 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정 함량의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포함하는 당침액에 최적 온도 및 시간으로 증숙하는 다단계의 당침 공정을 통해 IH-901 성분의 손실이 없는 우수한 품질의 인삼정과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당침액에 흑삼 농축액, 동결건조 로얄젤리 및 산삼배양근 농축액을 더 포함하면서도 해당 성분의 기능적 손실이 없도록 하는 인삼정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 시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의 IH-901 성분 손실이 없는 우수한 품질의 인삼정과 제조를 위해서는 적정 함량의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포함하는 당침액에 최적 온도 및 시간으로 증숙하는 다단계의 당침 공정 수행이 필요하고, 당침액에 특정 봉밀 성분 및 삼 농축액을 최적 함량으로 더 포함하여 해당 성분의 기능적 손실 없이 보다 고품질의 인삼정과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수삼을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수삼에 봉밀이 침투되도록 심부처리 및 잔뿌리 제거를 위한 정선 단계; (c) 상기 심부처리 및 정선된 수삼을 벌꿀, 흑삼 농축액, 동결건조 로얄젤리, 인삼가수분해 농축액 및 산삼배양근 농축액을 포함하고 당도 60brix% 이상인 당침액에 투입하는 단계; (d) 상기 당침액에 투입된 수삼을 90~100℃에서 0.5~2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1 당침 단계; (e) 상기 제1 당침된 수삼을 70~90℃에서 0.5~2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2 당침 단계; (f) 상기 제2 당침된 수삼을 55~75℃에서 100~200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3 당침 단계; 및 (g) 상기 제3 당침된 수삼을 열풍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는 전처리 과정으로 수삼을 준비 및 세척하고 봉밀 침투를 위한 심부처리 및 잔뿌리를 제거를 위한 정선 단계이다.
수삼 원료는 예컨대 6년근의 정과용 수삼으로 입고 시 원산지와 연근을 확인하고, 외관, 잔류농약, 중금속 등 항목에 대해 검사 실시 후 입고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검사를 직접 할 수 없을 경우 공인기관 검사성적서로 갈음하여 입고된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수삼의 세척은 세척용 정제수에 대해 중금속, 일반세균, 대장균군 등의 검사를 실시한 후 검사된 정제수가 담긴 물통에 수삼을 침지하여 1차 세척을 하고, 1차 세척된 수삼을 세삼기로 2차 세척한 후 수삼에 남은 잔류물을 솔 등으로 세밀하게 제거한 후 세삼기로 3차 세척을 실시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심부처리는 세척된 수삼에 봉밀이 잘 침투되도록 침을 이용하여 적당한 간격(약 3~10㎜)으로 찔러 수행될 수 있고, 정선은 수삼의 건실한 뿌리를 제외한 잔뿌리, 상처 부위 등을 칼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당침액 제조 및 당침액에 정선된 수삼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당침액은 벌꿀, 흑삼 농축액, 동결건조 로얄젤리, 인삼가수분해 농축액 및 산삼배양근 농축액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당침액에 벌꿀이 주로 사용되는 것에 비해 흑삼 농축액, 동결건조 로얄젤리, 인삼가수분해 농축액 및 산삼배양근 농축액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더욱 특별하게는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포함하는 것이다.
흑삼은 수회 증숙 및 건조시켜 인삼이 검은색으로 변한 삼을 말하며, 수회 증숙 및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인삼의 활성성분이 밖으로 흘러나가지 않아 인삼 및 홍삼보다 활성성분의 함량이 더욱 증가된 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흑삼 농축액은 이러한 흑삼을 공지의 방법으로 농축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흑삼을 준비하고 추출(80~100℃에서 36~72시간), 여과, 농축(50~70℃, 고형분 50~70%), 숙성(10~30℃에서 60~96시간) 및 살균되는 과정을 거쳐 진세노사이드 Rg3 성분 함량이 향상된 흑삼 농축액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침액에서 흑삼 농축액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벌꿀 100중량부에 대하여 0.2~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로얄젤리는 벌들이 다량의 화밀과 화분을 먹고 만들어 낸 물질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및 각종 미량원소를 고루 함유한 영양물질이다. 로얄젤리 중에는 비타민류나 풍부한 영양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여성의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아세틸콜린의 신경전달물질과 근육, 뼈 및 치아 건강에 효과적이고, 노화 방지에 도움을 주는 타액선 호르몬인 파로틴 유사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로얄젤리에는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10-HAD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정신불아, 갱년기 장애, 혈압 이상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동결건조 로얄젤리는 생로얄젤리를 공지의 방법으로 동결건조하여 수득된 분말형태의 로얄젤리이다.
본 발명의 당침액에서 동결건조 로얄젤리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벌꿀 100중량부에 대하여 0.2~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산삼배양근은 세균,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완벽하게 차단된 무균상태에서 천연산삼의 기관, 조직, 세포 및 원형질체를 무기염류, 천연유기물 등 천연산삼의 생장조건과 유사한 배지 내에서 산삼을 키우는 정밀 생명과학 기법의 산물로, 원료 산삼과 산삼배양근의 DNA 구조와 함유 성분의 분석에서 산삼과 산삼배양근은 98.8% 수준으로 동일하며, 인삼에서 발견되지 않는 다양한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산삼에서만 존재하는 다양한 진세노사이드, 각종 무기질과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다. 산삼배양근에는 건조중량 1g당 40㎎ 이상의 주요한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산삼배양근을 고온, 증숙, 건조함으로써 일부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증가시켜 생리활성효능이 크다. 산삼배양근 농축액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건조된 산삼배양근을 추출탱크에 담은 다음, 70% 에탄올 수용액을 산삼배양근 중량의 10배로 첨가하여 70℃에서 10시간 추출하고, 30% 에탄올 및 정제수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농축기 안에서 고형분이 60중량% 이상으로 될 때까지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침액에서 산삼배양근 농축액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벌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6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은 고함량의 IH-901을 함유한 당침액 제조 원료로서 바람직하게는 5~50㎎/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50㎎/g, 가장 바람직하게는 30~50㎎/g의 IH-901을 함유한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은 IH-901 함유량이 높은 원료의 채용을 위해, 예컨대 물 또는 유기용매를 가하여 제조된 인삼 추출액에 펙티나아제와 베타갈락토시다아제를 혼합 후 발효 및 농축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인삼가수분해 농축액 제조에 사용되는 인삼은 예컨대 미삼, 백삼, 수삼, 건삼, 홍삼, 태극삼, 이들의 추출액, 이들의 분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인삼 추출액 제조 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디메틸 설폭사이드,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인삼추출액은 인삼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가하여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물 및 유기용매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효소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중간 반응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의 IH-901 함량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제조된 인삼추출액에 펙티나아제 및 베타갈락토시다아제의 혼합은 펙티나아제 및 베타갈락토시다아제를 1:1~100의 비율로 수행될 수 있고, 제조된 인삼추출액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50중량% 함량으로 혼합될 수 있다. 펙티나아제 또는 베타갈락토시다아제를 각각 단독으로 혼합한 경우에 비해 펙티나아제 및 베타갈락토시다아제를 혼합하여 가하는 경우 최종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의 IH-901 함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펙티나아제 및 베타갈락토시다아제가 혼합된 인삼추출액의 발효는 예컨대 인삼추출액에 펙티나아제와 베타갈락토시다아제를 혼합하여 가한 후, pH 3~8 및 10~70℃에서 1~72시간 동안 발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발효된 인삼추출물의 농축은 발효된 인삼추출물을 그대로 농축하거나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해 농축할 수 있으며 통상 사용되는 진공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침액에서 인삼가수분해 농축액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벌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당침액은 이상의 당침액 구성 성분들을 혼합하고 정수를 가하여 당도계로 60brix% 이상이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70brix% 이상이 되도록 졸여 제조할 수 있다.
당침기에 제조된 당침액을 준비하고 정선된 수삼을 당침기에 투입한 후 상기 (d) 단계 내지 (f) 단계와 같이 당침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적정 함량의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포함하는 당침액을 이용한 당침 시 IH-901 성분의 손실이 없도록 하기 위해 다단계의 당침 공정이 수행된다.
즉 (d) 당침액에 투입된 수삼을 90~100℃에서 0.5~2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1 당침, (e) 제1 당침된 수삼을 70~90℃에서 0.5~2시간 증숙하는 제2 당침 및 (f) 제2 당침된 수삼을 55~75℃에서 100~200시간 증숙하는 제3 당침의 다단계 공정을 거쳐 당침 공정을 수행할 경우 IH-901 성분의 손실이 거의 없는 인삼정과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1 당침을 93~97℃에서 0.8~1.2시간 증숙하여 수행하고, 제2 당침을 78~82℃에서 0.8~1.2시간 증숙하여 수행하고, 제3 당침을 63~67℃에서 130~150시간 증숙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g) 단계는 마무리 단계로 당침이 종료된 수삼을 열풍건조하는 단계이다.
열풍건조는 예컨대 당침이 종료된 수삼을 취출하여 열풍건조기에서 50~55℃로 건조시키되, 건조 중 수시로 건조 상태를 확인하면서 수분 함량이 15~25%, 바람직하게는 17~21%가 되도록 조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건조된 인삼정과에서 수삼과 당침액의 함량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0.1~1:0.6, 바람직하게는 1:0.2~1:0.5, 가장 바람직하게는 1:0.3~1:0.4일 수 있다.
최종 제조된 인삼정과는 포장되어 제품으로 준비하게 된다. 포장 시에는 제품 오염에 특별히 주의가 필요한데, 포장 작업 시작 전에는 작업실 및 작업자의 위생 상태 확인 및 소독이 필요하고, 포장자재의 경우 표시사항 및 불량 여부를 미리 확인하고 규격에 맞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건조가 충분히 끝난 정과 제품에 대해 위생적으로 1매 진공 포장 필름에 정과의 모양을 바르게 잡아 넣어주고, 이때 작업대, 작업기구 및 작업자의 손, 복장은 알코올로 충분히 소독시켜 대장균 등 미생물의 오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진공 포장된 제품에 대해서는 열풍건조기내에 고루 펼쳐 80~85℃에서 1시간 정도 건열 살균을 실시하고, 살균된 제품은 최종 제품 검사를 거쳐 이상이 없을 시 포장 규격에 따라 제품설명서, 품질보증서 등을 넣어 포장 후 마무리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국내산 6년근 수삼을 준비하여 세척, 심부처리 및 정선한 후 벌꿀(국내산, 잡화꿀) 100중량부, 흑삼 농축액(국내산, 고형분 60~70%) 2중량부, 동결건조 로얄젤리 2중량부, 인삼가수분해 농축액(IH-901 36㎎/g, (주)일화) 0.8중량부 및 산삼배양근 농축액(국내산, 고형분 60~70%) 0.4중량부 함량으로 당도 70brix%로 조절하여 제조된 당침액이 준비된 당침기에 정선된 수삼을 투입하고 94~96℃에서 1시간 증숙(제1 당침), 79~81℃에서 1시간 증숙(제2 당침) 및 64~66℃에서 140시간 증숙(제3 당침)하는 당침을 수행하였다. 당침된 수삼을 50~55℃의 열풍건조기에서 18~20%의 수분 함량이 되도록 건조하여 인삼정과를 제조하였다. 최종 건조된 인삼정과에서 수삼 함량은 74.72중량%, 당침액 함량은 25.28중량%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에서 제2 당침을 수행하지 않고, 제1 당침 및 제3 당침만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정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에서 제1 당침을 수행하지 않고, 제2 당침 및 제3 당침만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정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에서 제1 당침 및 제2 당침을 수행하지 않고, 제3 당침만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정과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인삼정과에 대해 IH-901 함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인삼정과(100g 기준) 1g을 취하여 수포화 부탄올 60㎖로 3회에 걸쳐 추출한 후 부탄올 분획을 농축시켜 수득된 농축물 120㎎을 메탄올에 용해시켜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IH-901 함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41379711-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적정 함량의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포함하는 당침액에 최적 온도 및 시간으로 증숙하는 다단계의 당침 공정을 수행한 경우 IH-901 성분 손실이 거의 없는 인삼정과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인삼정과 100g 기준, 인삼가수분해 농축액 0.2g(IH-901 함량 7.2㎎) 투입, 최종 인삼정과에 IH-901 함량 7.1㎎). 이에 대하여 당침 공정을 실시예 대비 변경하여 수행할 경우 IH-901 성분이 과도하게 손실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a) 수삼을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수삼에 봉밀이 침투되도록 침을 찌르는 심부처리 및 잔뿌리 제거를 위한 정선 단계;
    (c) 상기 심부처리 및 정선된 수삼을 벌꿀, 흑삼 농축액, 동결건조 로얄젤리, 인삼가수분해 농축액 및 산삼배양근 농축액을 포함하고 당도 60brix% 이상인 당침액에 투입하는 단계;
    (d) 상기 당침액에 투입된 수삼을 94~96℃에서 1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1 당침 단계;
    (e) 상기 제1 당침된 수삼을 79~81℃에서 1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2 당침 단계;
    (f) 상기 제2 당침된 수삼을 64~66℃에서 140시간 증숙(steaming)하는 제3 당침 단계; 및
    (g) 상기 제3 당침된 수삼을 열풍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인삼정과 중의 IH-901(20-O-β-D-glucopyranosyl-20(S)-protopanaxadiol)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침액 함량은 상기 벌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흑삼농축액 0.2~5중량부, 상기 동결건조 로얄젤리 0.2~5중량부, 상기 인삼가수분해 농축액 0.1~2중량부 및 상기 산삼배양근 농축액 0.1~2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은 IH-901(20-O-β-D-glucopyranosyl-20(S)-protopanaxadiol)을 5~50㎎/g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가하여 제조된 인삼 추출액에 펙티나아제와 베타갈락토시다아제를 혼합 후 발효 및 농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건조는 상기 수삼의 수분 함량이 15~25%가 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0052176A 2014-04-30 2014-04-30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 KR101609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176A KR101609785B1 (ko) 2014-04-30 2014-04-30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176A KR101609785B1 (ko) 2014-04-30 2014-04-30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211A KR20150125211A (ko) 2015-11-09
KR101609785B1 true KR101609785B1 (ko) 2016-04-06

Family

ID=5460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176A KR101609785B1 (ko) 2014-04-30 2014-04-30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7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322B1 (ko) * 2017-11-23 2020-03-02 강진성 구증구포 방식으로 만든 인삼정과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89B1 (ko) * 2006-07-01 2007-08-20 이중원 흑삼정과(黑蔘正果)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89B1 (ko) * 2006-07-01 2007-08-20 이중원 흑삼정과(黑蔘正果)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함소아 참진생 봉밀절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211A (ko) 201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40493B (zh) 一种灵芝茶酒的配制方法
KR101164529B1 (ko) 진세노사이드 증대를 위한 인삼발효 방법
CN105767910A (zh) 一种高富集γ-氨基丁酸的淡豆豉发酵炮制方法
CN103040896A (zh) 一种玛咖提取物的制备方法
US20080113043A1 (en) Method for producing ginseng fruit and ginseng flower stalk with high content of ginsenoside
KR20160013731A (ko) 진세노사이드 Rh2와 Rg3의 함량이 증진된 인삼 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0844454B1 (ko) 인삼열매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9628A (ko) 법제, 발효 및 증숙 과정을 이용한 증숙 도라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09785B1 (ko) 인삼가수분해 농축액을 함유한 인삼정과 제조방법
KR101145894B1 (ko) 인삼발효 홍삼 청국장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홍삼 청국장
KR101376794B1 (ko) 백하수오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61961A (ko) 무병장수 리큐르 제조방법
KR101958442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추출 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090078013A (ko) 혈당강하 기능성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상엽차
KR102052530B1 (ko) 증숙한 인삼 및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20220087888A (ko) 흑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509838A (zh) 一种发酵型黑米茶的制备方法
CN105942460A (zh) 一种发酵型双莓海鲜菇酱及其制备方法
KR20120057678A (ko) 해열 및 거담작용이 향상된 증숙 도라지의 제조방법
CN112457359A (zh) 一种用人参果制备转化人参皂苷的方法及其制剂
KR101407607B1 (ko) 케피어를 이용한 고기능성 진세노사이드 Rg3 고함량 발효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발효삼 및 발효삼농축액
CN107164161A (zh) 一种红景天保健酒的制备方法
CN108913489A (zh) 一种百香果调配酒的制备方法
KR20110124996A (ko) 진세노사이드 증대를 위한 뿌리식물 발효 방법
KR20160060460A (ko) 대잎 조청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