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469B1 - 액량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액량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469B1
KR101609469B1 KR1020140127140A KR20140127140A KR101609469B1 KR 101609469 B1 KR101609469 B1 KR 101609469B1 KR 1020140127140 A KR1020140127140 A KR 1020140127140A KR 20140127140 A KR20140127140 A KR 20140127140A KR 101609469 B1 KR101609469 B1 KR 101609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fuel
signal
magnetic senso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322A (ko
Inventor
신스케 히라하라
마사키 이케야
Original Assignee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Abstract

[과제] 용기 내에 복수의 검출기를 배치한 연료량 검출 장치에 있어서, 출력 신호 라인의 증가를 억제한다.
[해결 수단] 연료량 검출 장치 (10) 는, 용기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검출기 (22, 36) 와, 복수의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용기 내의 액량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 (38) 를 갖고 있다. 각 검출기 (22, 36) 는, 플로트 (24, 32) 와, 플로트의 상하 방향의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아암 부재 (26, 34) 와, 아암 부재의 회전 운동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 (31, 41) 를 갖고 있다. 출력 회로 (38) 는, 각 검출기 (22, 36)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보정하고, 그들 보정된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가산하여 용기 내의 액량에 따른 아날로그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액량 검출 장치{LIQUID QUANTITY DETECTING APPARATUS}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용기 내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의 액량을 검출하는 액량 검출 장치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연료 탱크 내에 저류되는 연료의 액량을 검출하는 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액량 검출 장치에는 용기 내에 복수의 검출기가 배치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액량 검출 장치는 메인 저류부와 서브 저류부를 구비하는 안장형의 연료 탱크에 저류되는 연료의 액량을 검출한다. 이 액량 검출 장치는 메인 저류부에 저류되는 연료의 액위 (액량) 를 검출하는 저항식의 연료 센더와, 서브 저류부에 저류되는 연료의 액위 (액량) 를 검출하는 저항식의 연료 센더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연료 센더와 연료 미터는 직렬로 접속되고, 이들 복수의 연료 센더로부터의 신호가 연료 미터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88589호
특허문헌 1 의 액량 검출 장치에서는 저항식의 검출기가 사용된다. 저항식의 검출기는 부품의 마모나 이물질에 의한 영향을 받아 액위 (액량) 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자기 센서를 이용한 검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자기 센서를 이용한 검출기의 경우, 용기 내에 복수의 검출기를 배치하고자 하면, 저항식의 검출기의 경우와 달리 복수의 검출기를 액량 미터에 직렬로 접속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그 상태에서는 각 검출기로부터 액량 미터에 신호를 출력해야만 하여 출력 신호 라인이 다수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는 자기 센서를 이용한 검출기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용기 내에 복수의 검출기를 배치했을 때에도 출력 신호 라인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액량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액량 검출 장치는, 용기 내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의 액량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 액량 검출 장치는, 용기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검출기와, 복수의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용기 내의 액량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와, 검출기마다 당해 검출기와 출력 회로 사이에 배치되고, 당해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보정하여 출력 회로에 출력하는 보정 회로를 갖고 있다. 각 검출기는, 플로트와, 플로트의 상하 방향의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아암 부재와, 아암 부재의 회전 운동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를 갖고 있다. 출력 회로는, 각 보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보정된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고, 그들 입력되는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에 기초하여 용기 내의 액량에 따른 아날로그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한 액량 검출 장치에서는, 복수의 검출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가 대응하는 보정 회로를 개재하여 출력 회로에 입력된다. 출력 회로는, 복수의 보정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기초하여 용기 내의 액량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복수의 검출기로부터의 신호가 출력 회로를 개재하여 외부 기기에 출력되기 때문에, 액량 검출 장치와 외부 기기를 접속하는 신호 출력 라인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는, 대응하는 보정 회로를 개재하여 출력 회로에 입력되기 때문에, 출력 회로에서 처리하기 쉽도록 보정 회로에서 보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출력 회로의 기능을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다른 액량 검출 장치는, 액량 검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출력 레인지를 원하는 레인지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이런 종류의 액량 검출 장치는, 통상적으로 액량 미터에 접속되어 사용되고, 액량 검출 장치로부터의 검출 신호 (아날로그 신호) 가 액량 미터에 입력된다. 액량 미터는, 액량 검출 장치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전압값에 따라서, 용기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의 액량을 표시한다. 이 때문에, 액량 검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출력 레인지가 변화되면, 그 상태에서는 액량 미터에 바르게 액량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용기 내에 복수의 검출기를 설치하고, 이들 복수의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 회로를 개재하여 액량 미터에 입력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액량 미터에 직접 입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액량 미터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출력 레인지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액량 미터에 바르게 액량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액량 미터를 별도로 조정해야만 한다. 그래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다른 액량 검출 장치는, 액량 검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출력 레인지를 원하는 레인지로 함으로써, 액량 미터를 조정하지 않고 액량 미터에 바르게 액량을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다른 액량 검출 장치는, 용기 내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의 액량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 액량 검출 장치는, 용기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검출기와, 복수의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용기 내의 액량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를 갖고 있다. 출력 회로는, 각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부와, 그 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를 갖고 있다. 신호 증폭부는, 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출력 레인지가 소정의 출력 레인지가 되도록 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한다.
이 액량 검출 장치에서도, 복수의 검출기로부터의 신호가 출력 회로를 개재하여 외부 기기 (예를 들어, 액량 미터) 에 출력되기 때문에, 액량 검출 장치와 외부 기기를 접속하는 신호 출력 라인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출력 회로는, 각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가산하고, 그 가산된 신호의 출력 레인지가 원하는 레인지가 되도록 증폭한다. 이 때문에, 외부 기기 (예를 들어, 액량 미터 등) 를 조정하지 않고 외부 기기를 바르게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의 액량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출력 회로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 은 자기 센서 유닛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액량 검출 장치의 회로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액량 검출 장치의 회로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먼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특징을 열거하여 기재한다. 또한, 여기에 열거하여 기재하는 특징은 어느 것이나 독립적으로 유효한 것이다.
(특징 1)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액량 검출 장치에서는, 용기는 액체를 저류하는 복수의 저류부를 갖고 있고, 각 저류부의 액위는 서로 독립적으로 변화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검출기는 저류부마다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각 보정 회로는, 대응하는 저류부에 저류 가능한 액체의 최대 액량과, 용기에 저류 가능한 액체의 최대 액량의 비에 따른 저항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저류부에 저류되는 액위 (액량) 가 각 검출기에서 검출되고, 각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대응하는 저류부의 용량비에 따른 저항에 의해서 보정된다. 이로써, 출력 회로에서의 처리를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특징 2)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액량 검출 장치에서는, 복수의 검출기의 각각에 있어서, 당해 검출기의 자기 센서와, 그 자기 센서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보정 회로가 동일한 기판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검출기의 자기 센서와, 그 검출기에 대응하는 보정 회로가 동일한 기판에 탑재된다. 이 때문에, 용기에 액량 검출 장치를 설치할 때, 자기 센서와 보정 회로를 접속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특징 3)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액량 검출 장치에서는, 복수의 검출기 중 1 개의 검출기의 자기 센서와, 그 자기 센서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보정 회로와, 복수의 검출기 중 다른 검출기의 자기 센서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보정 회로가 동일한 기판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1 개의 기판에 복수의 보정 회로를 탑재함으로써, 다른 검출기에 대해서는 그 자기 센서와 대응하는 보정 회로를 동일한 기판에 탑재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
(특징 4)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액량 검출 장치에서는, 출력 회로는 각 보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값을 가산하는 가산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 보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값이 가산되고, 가산된 신호 (전압값) 가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된다. 이 때문에, 보정 회로에 의한 보정을 적절히 실시함으로써, 가산된 신호 (전압값) 에 의해서 용기에 저류되는 액량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여기서「가산」이란, 복수의 보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값 (예를 들어, V1, V2) 을 그대로 가산 (예를 들어, V1 + V2) 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이들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값에 계수 k 를 곱한 값을 가산 (예를 들어, k1 × V1 + k2 × V2) 하는 것도 포함된다. 따라서, 복수의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값 (예를 들어, V1, V2) 의 평균값 (예를 들어, 1/2 × V1 + V2)) 을 산출하는 것도, 여기서 말하는「가산」하는 것에 상당한다.
(특징 5)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액량 검출 장치에서는, 용기는, 제 1 깊이의 제 1 저류부와, 제 2 깊이의 제 2 저류부와, 제 1 저류부의 상부와 제 2 저류부의 상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접속부의 깊이가 제 1 깊이 및 제 2 깊이보다 얕게 된 안장형 용기여도 된다. 이 경우, 검출기는, 제 1 저류부와 제 2 저류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고, 출력 회로가 안장형 용기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 저류부와 제 2 저류부와 출력 회로가 용기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것들을 접속하는 신호 라인을 용기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의 내외를 관통하는 신호 라인의 수를 줄일 수 있다.
(특징 6)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액량 검출 장치에서는, 출력 회로는, 각 보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값을 가산하는 가산부와, 그 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신호 증폭부는 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출력 레인지가 소정의 출력 레인지가 되도록, 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되고, 그 출력 레인지가 소정의 레인지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부 기기를 조정하지 않고 외부 기기를 적절히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량 검출 장치 (10) 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안장형의 연료 탱크 (12) 에 설치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량 검출 장치 (10) 는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와, 제 2 연료량 검출기 (22) 와, 출력 합성 회로 (38)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와 제 2 연료량 검출기 (22) 는 출력 합성 회로 (38) 를 개재하여 연료 미터 (52) 에 접속되어 있다.
먼저, 연료량 검출 장치 (10) 가 설치되는 안장형의 연료 탱크 (12) 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료탱크 (12) 는, 그 중앙부 (18) (접속부의 일례) 의 바닥면이, 중앙부 (18) 의 일방측에 배치된 메인 저류부 (14) 의 바닥면, 및 중앙부 (18) 의 타방측에 배치된 서브 저류부 (16) 의 바닥면에 대해서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중앙부 (18) 는 메인 저류부 (14) 및 서브 저류부 (16) 의 상부를 접속하고 있고, 중앙부 (18) 의 깊이는 메인 저류부 (14) 의 깊이 및 서브 저류부 (16) 의 깊이보다 얕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료 탱크 (12) 내에 저류되는 연료량이 감소되어 액위가 중앙부 (18) 의 바닥면보다 낮아지면, 메인 저류부 (14) 와 서브 저류부 (16) 의 각각에 독립적으로 연료가 저류된다. 즉, 메인 저류부 (14) 에 저류되는 연료의 액위와, 서브 저류부 (16) 에 저류되는 연료의 액위는 서로 독립적으로 변화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메인 저류부 (14) 에 저류되는 연료량만을 검출해도, 연료 탱크 (12) 에 저류되어 있는 전체 연료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없다. 동일하게, 서브 저류부 (16) 에 저류되는 연료량만을 검출해도, 연료 탱크 (12) 에 저류되어 있는 전체 연료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연료량 검출 장치 (10) 는, 메인 저류부 (14) 내의 연료량과, 서브 저류부 (16) 내의 연료량의 각각을 검출하고 있다.
또한, 연료 탱크 (12) 의 메인 저류부 (14) 에는 도시되지 않은 연료 펌프가 배치되어 있다. 연료 펌프는 연료 탱크 (12) 내 (상세하게는, 메인 저류부 (14) 내) 의 연료를 흡인하여 승압하고, 승압된 연료를 연료 탱크 (12) 의 외부 (즉, 엔진) 에 공급한다. 한편, 연료 펌프가 메인 저류부 (14) 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연료 탱크 (12) 내의 연료의 액위가 저하되었을 때, 서브 저류부 (16) 내의 연료를 메인 저류부 (14) 에 이송할 필요가 있다. 서브 저류부 (16) 로부터 메인 저류부 (14) 로의 연료의 이송은 주행시의 가감 속도나 선회시의 원심력에 의해서 행해지거나, 혹은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이용하는 제트 펌프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는 메인 저류부 (14)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는, 플로트 (32) 와, 플로트 (32) 에 고정된 아암 부재 (34) 와, 아암 부재 (34) 의 기단에 고정된 로터 (45) 와, 로터 (45) 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 유닛 (41) 을 구비하고 있다. 플로트 (32) 는 메인 저류부 (14) 내의 연료에 부상되어 있고, 연료의 액위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운동한다. 플로트 (32) 에는 아암 부재 (34) 의 선단이 고정되어 있다. 아암 부재 (34) 의 기단에는 로터 (45) 가 고정되어 있다. 로터 (45) 는 영구 자석 등에 의해서 구성되고, 소정의 자계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로터 (45) 는 케이싱 (43)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자기 센서 유닛 (41) 은 케이싱 (43) 에 설치되어 있다. 자기 센서 유닛 (41) 은 로터 (45) 가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한다. 메인 저류부 (14) 내의 연료의 액위에 따라서 플로트 (32) 가 상하 움직이면, 그에 따라서 아암 부재 (34) 가 요동하고, 로터 (45) 가 케이싱 (43) 에 대해서 회전한다. 로터 (45) 가 회전하면 로터 (45) 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계의 방향이 변화된다. 그러면, 자기 센서 유닛 (41) 에서 검출되는 로터 (45) 의 자계의 방향이나 강도가 변화된다. 자기 센서 유닛 (41) 은 검출되는 로터 (45) 의 자계의 방향이나 강도에 기초하여, 메인 저류부 (14) 내에 저류되는 연료량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도 2 참조). 자기 센서 유닛 (41) 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제 2 연료량 검출기 (22) 는,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고, 플로트 (24) 와 아암 부재 (26) 와 로터 (55) 와 자기 센서 유닛 (31) 을 구비하고 있다. 플로트 (24) 는 서브 저류부 (16) 내의 연료의 액위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고, 플로트 (24) 의 상하 운동에 의해서 아암 부재 (26) 가 요동하고, 로터 (55) 가 케이싱 (53) 에 대해서 회전한다. 자기 센서 유닛 (31) 은 로터 (55) 의 회전 운동 (상세하게는, 로터 (55) 의 자계) 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서브 저류부 (16) 내에 저류되는 연료량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 합성 회로 (38) 는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가 설치된 케이싱 (43) 에 탑재되어 있다. 케이싱 (43) 이 연료 탱크 (12) 내 (상세하게는, 메인 저류부 (14) 내) 에 배치되는 점에서 출력 합성 회로 (38) 도 연료 탱크 (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출력 합성 회로 (38) 는 연료 탱크 (12) 밖 (예를 들어, 운전석) 에 배치된 연료 미터 (52) 에 접속됨과 함께, 연료 탱크 (12) 내에 배치된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및 제 2 연료량 검출기 (22) 에 접속되어 있다. 즉, 출력 합성 회로 (38) 와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는 전원 라인 (42b) 과 그라운드 라인 (46b) 과 신호 출력 라인 (44b) 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는 전원 라인 (42b) 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 동작하고, 메인 저류부 (14) 에 저류되는 연료의 연료량을 신호 출력 라인 (44b) 으로 출력한다. 또, 출력 합성 회로 (38) 와 제 2 연료량 검출기 (22) 는 전원 라인 (42c) 과 그라운드 라인 (46c) 과 신호 출력 라인 (44c) 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제 2 연료량 검출기 (22) 는 전원 라인 (42c) 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 동작하고, 서브 저류부 (16) 에 저류되는 연료의 연료량을 신호 출력 라인 (44c) 으로 출력한다. 출력 합성 회로 (38) 가 연료 탱크 (12)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각 배선 (42b, 42c, 44b, 44c, 46b, 46c) 도 연료 탱크 (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출력 합성 회로 (38) 와 연료 미터 (52) 는, 전원 라인 (42a) 과 그라운드 라인 (46a) 과 신호 출력 라인 (44a) 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 미터 (52) 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전원 라인 (42a, 42b) 을 개재하여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에 공급되고, 또, 전원 라인 (42a, 42c) 을 개재하여 제 2 연료량 검출기 (22) 에 공급된다. 한편으로,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로부터의 출력 신호 (메인 저류부 (14) 의 연료량) 와, 제 2 연료량 검출기 (22) 로부터의 출력 신호 (서브 저류부 (16) 의 연료량) 는, 출력 합성 회로 (38) 에 의해서 연료 탱크 (12) 내의 연료량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로 되고, 신호 출력 라인 (44a) 에 의해서 연료 미터 (52) 에 입력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출력 합성 회로 (38) 는 연료 탱크 (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출력 합성 회로 (38) 와 연료 미터 (52) 를 접속하는 배선 (전원 라인 (42a), 그라운드 라인 (46a), 신호 출력 라인 (44a)) 은 연료 탱크 (12) 의 개구를 덮는 덮개 부재 (40) 를 관통하고, 연료 탱크 (12) 내로부터 연료 탱크 (12) 밖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 합성 회로 (38) 를 연료 탱크 (12) 내에 배치함으로써, 덮개 부재 (40) 를 관통하는 배선의 개수를 삭감하고 있다. 출력 합성 회로 (38) 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또한, 연료 미터 (52) 는 CPU (48) 와 표시기 (50) 를 갖고 있다. CPU (48) 에는 출력 합성 회로 (38) 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된다. CPU (48) 는 출력 합성 회로 (38) 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연료 탱크 (12) 내에 저류되는 연료량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연료량을 표시기 (50) 에 표시한다. CPU (48) 및 표시기 (50) 는 종래 공지된 연료 미터에 있어서의 각각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기 센서 유닛 (41, 31) 과 출력 합성 회로 (38) 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기 센서 유닛 (41, 31) 으로부터의 신호는 출력 합성 회로 (38) 에 입력되고, 출력 합성 회로 (38) 에서 처리된 신호가 연료 미터 (52) 에 입력된다. 먼저, 자기 센서 유닛 (41, 31) 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기 센서 유닛 (41, 31) 은 자기 센서와, 자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하고 있다. 자기 센서는 로터 (45 또는 55) 의 회전각 (즉, 아암 부재 (34 또는 26) 의 회전각) 을 검출하는 자기식의 센서로서, 예를 들어 홀 소자를 이용한 공지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자기 센서는 로터 (45 또는 55) 의 회전각에 따른 출력 신호 (아날로그 신호) 를 출력한다.
변환부는 자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출력 신호 (아날로그 신호) 를 메인 저류부 (14) 또는 서브 저류부 (16) 내에 저류되는 연료량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변환부는 자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 (아날로그 신호) 를 메인 저류부 (14) 또는 서브 저류부 (16) 내에 저류되는 연료의 연료량 (상세하게는, 각 저류부 (14, 16) 의 용량에 대한 연료의 비율 (%)) 으로 변환하는 테이블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즉, 자기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 (아날로그 신호) 의 전압값은 로터 (45 또는 55) 의 회전각에 따라서 변화된다. 로터 (45 또는 55) 의 회전각은 아암 부재 (34 또는 26) 의 회전각이다. 이 때문에, 로터 (45 또는 55) 의 회전각은 메인 저류부 (14) 또는 서브 저류부 (16) 내에 저류되는 연료의 액위에 따라서 변화된다. 메인 저류부 (14) 또는 서브 저류부 (16) 의 형상 (횡단면 형상) 은 이미 알려진 점에서, 메인 저류부 (14) 또는 서브 저류부 (16) 내에 저류되는 연료의 액위를 알면, 메인 저류부 (14) 또는 서브 저류부 (16) 내에 저류되는 연료의 연료량을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변환부는,「자기 센서의 출력 신호 (전압값)」를「메인 저류부 (14) 또는 서브 저류부 (16) 의 연료량 (상세하게는, 메인 저류부 (14) 또는 서브 저류부 (16) 의 용량에 대한 비율 (%))」으로 변환하기 위한 테이블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기 센서의 출력 신호 (아날로그 신호) 를 메인 저류부 (14) 또는 서브 저류부 (16) 내에 저류되는 연료량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각 저류부 (14 또는 16) 가 연료로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변환부는 연료량이 100 % 인 것을 나타내는 전위의 신호로 변환된다. 한편으로, 각 저류부 (14 또는 16) 에 연료가 전혀 저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변환부는 0 % 인 것을 나타내는 전위의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출력 합성 회로 (38) 에 출력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테이블 데이터는 저류부 (14 또는 16) 의 형상에 따라서 변화된다. 이 때문에, 자기 센서 유닛 (41) 에는, 메인 저류부 (14) 의 형상에 따라서 미리 작성된 테이블 데이터가 기억되고, 한편으로, 자기 센서 유닛 (31) 에는 서브 저류부 (16) 의 형상에 따라서 미리 작성된 테이블 데이터가 기억된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 합성 회로 (38) 가 반전 증폭 회로 (62)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기 센서 유닛 (41, 31) 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출력 합성 회로 (38) 에서 반전된 후에 연료 미터 (52) 에 입력되게 된다. 그래서, 연료 미터 (52) 에 공지된 것을 사용하기 위해서, 자기 센서 유닛 (41, 31) 의 변환부는 반전된 신호를 출력 합성 회로 (38) 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류부가 연료로 채워져 있는 경우의 출력 신호의 전압이[Vmax] (예를 들어, 4.5 V) 로 되는 한편, 저류부에 연료가 전혀 저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출력 신호의 전압이[Vmin] (예를 들어, 0 V) 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자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레인지가 Vmax ∼ Vmin 인 경우, 가득 채워졌을 때 Vmax 가 되고, 비었을 때 Vmin 이 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자기 센서 유닛 (41, 31) 에서는,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류부 (14, 16) 가 연료로 채워져 있는 경우의 출력 신호의 전압이[Vmin] (예를 들어, 0 V) 으로 되는 한편, 저류부 (14, 16) 에 연료가 전혀 저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출력 신호의 전압이[Vmax] (예를 들어, 4.5 V) 로 되도록 설정된다. 이로써, 출력 합성 회로 (38) 로부터의 신호가 종래와 동일한 신호가 되어, 종래와 동일한 연료 미터 (52) 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출력 합성 회로 (38)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 합성 회로 (38) 는 자기 센서 유닛 (41, 31) 으로부터의 신호 (아날로그 신호) 를 보정하여 가산하는 보정 가산 회로 (60) 와, 보정 가산 회로 (60) 로부터의 신호를 반전시켜 증폭하는 반전 증폭 회로 (62) 를 구비하고 있다.
보정 가산 회로 (60) 는, 자기 센서 유닛 (41) 으로부터의 출력 신호 (아날로그 신호) 를 메인 저류부 (14) 의 용량에 따라서 보정함과 함께, 자기 센서 유닛 (31) 으로부터의 출력 신호 (아날로그 신호) 를 서브 저류부 (16) 의 용량에 따라서 보정하여 가산한다. 즉,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자기 센서 유닛 (41) 과 자기 센서 유닛 (31) 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자기 센서 유닛 (41) 으로부터의 출력 신호 (아날로그 신호) 의 레인지는 자기 센서 유닛 (31) 으로부터의 출력 신호 (아날로그 신호) 의 레인지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 한편으로, 메인 저류부 (14) 의 용량과 서브 저류부 (16) 의 용량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자기 센서 유닛 (41) 으로부터의 출력 신호 (아날로그 신호) 와, 자기 센서 유닛 (31) 으로부터의 출력 신호 (아날로그 신호) 를 그대로 가산하면, 연료 탱크 (12) 의 연료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는 없다. 그래서,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자기 센서 유닛 (41))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스케일 (단위 연료량당의 출력 전압값) 과, 제 2 연료량 검출기 (22) (자기 센서 유닛 (31))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스케일 (단위 연료량당의 출력 전압값) 이 동일해지도록 보정된다.
예를 들어, 메인 저류부 (14) 에서 최대 연료량 Q1 이 저류 가능으로 되고, 서브 저류부 (16) 에서 최대 연료량 Q2 가 저류 가능으로 되어 있는 경우,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계수 (Q1/(Q1 + Q2)) 에 의해서 가중치를 부여한 것으로 하고, 제 2 연료량 검출기 (22)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계수 (Q2/(Q1 + Q2)) 에 의해서 가중치를 부여한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와 제 2 연료량 검출기 (22)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스케일이 동일해지고, 양자의 신호를 가산함으로써 연료 탱크 (12) 에 저류되어 있는 연료량을 특정할 수 있다.
혹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보정 가산 회로 (60) 는, 자기 센서 유닛 (41) 으로부터의 신호 출력 라인 (44b) 이 저항 R1 을 개재하여 접속점 (64) 에 접속되고, 자기 센서 유닛 (31) 으로부터의 신호 출력 라인 (44c) 이 저항 R2 를 개재하여 접속점 (64) 에 접속된다. 접속점 (64) 은 반전 증폭 회로 (62) 를 개재하여 연료 미터 (52) 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점 (64) 의 전압 Vout 은, 자기 센서 유닛 (41) 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전압 V1 과 자기 센서 유닛 (31) 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전압 V2 를 저항 R1, R2 로 안분한 값이 된다. 즉, 접속점 (64) 의 전압 Vout 은 V2 + (V1 - V2) × R2/(R1 + R2) = R2 × V1/(R1 + R2) + R1 × V2/(R1 + R2) 가 된다. 따라서, 저항 R1 을 서브 저류부 (16) 의 용량비 (서브 저류부 (16) 의 용량/연료 탱크 (12) 의 용량) 에 따른 저항값으로 하고, 저항 R2 를 메인 저류부 (14) 의 용량비 (메인 저류부 (14) 의 용량/연료 탱크 (12) 의 용량) 에 따른 저항값으로 한다. 이로써, 보정 가산 회로 (60) 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전압 Vout (접속점 (64) 의 전압) 이 연료 탱크 (12) 의 연료량에 따른 값이 된다.
구체예로서, 메인 저류부 (14) 의 용량이 30 리터이고, 서브 저류부 (16) 의 용량이 20 리터인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 자기 센서 유닛 (41, 31) 의 출력 신호의 레인지를 0 ∼ 4.5 V 로 한다. 그리고, 메인 저류부 (14) 에 연료가 20 ℓ 만 저류되어 있고, 서브 저류부 (16) 에 연료가 10 ℓ 만 저류되어 있고, 연료 탱크 (12) 에는 연료가 30 ℓ 만 저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자기 센서 유닛 (41) 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4.5 × 20/30 = 3.0 V 이고, 자기 센서 유닛 (31) 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4.5 × 10/20 = 2.25 V 가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저항 R1 을 서브 저류부 (16) 의 용량비에 따른 저항값 (예를 들어, 2 kΩ) 으로 하고, 저항 R2 를 메인 저류부 (14) 의 용량비에 따른 저항값 (예를 들어, 3 kΩ) 으로 하면, 보정 가산 회로 (60) 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전압 Vout (접속점 (64) 의 전압) 은 (3/5) × 3.0 + (2/5) × 2.25 = 2.7 V 가 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 Vout 이 2.7 V 로 되어, 연료 탱크 (12) 에 저류되어 있는 연료가 60 % (= 2.7/4.5), 즉 30 ℓ 를 저류하고 있는 것 (정확한 연료량) 이 나타난다.
또한, 메인 저류부 (14) 의 용량과 서브 저류부 (16) 의 용량이 동일한 경우, 저항 R1 과 저항 R2 가 동일한 저항값이 된다. 이 때문에, 보정 가산 회로 (60)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Vout 은, 자기 센서 유닛 (41) 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전압 V1 과 자기 센서 유닛 (31) 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전압 V2 의 평균값 1/2 × (V1 + V2) 가 된다.
반전 증폭 회로 (62) 는 보정 가산 회로 (60)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Vout 을 반전시켜 증폭하고, 그 반전 증폭된 신호를 연료 미터 (52) 에 출력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자기 센서 유닛 (41, 31) 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반전되어 출력되고 있다 (도 3(b) 에 나타내는 상태). 따라서, 반전 증폭 회로 (62) 가 보정 가산 회로 (60)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Vout 을 반전시킴으로써, 연료 미터 (52) 에 입력되는 신호는 반전 전의 상태 (도 3(a) 에 나타내는 상태) 로 되돌려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센서 유닛 (41, 31) 과 연료 미터 (52) 사이에 보정 가산 회로 (60) (저항 R1, R2) 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자기 센서 유닛 (41, 31) 과 연료 미터 (52) 사이에 보정 가산 회로 (60) 를 배치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그대로는 연료미터 (52) 에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이 저하된다. 즉, 자기 센서 유닛 (41, 31) 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레인지와, 연료 미터 (52) 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인지가 변화되어, 그대로는 연료 미터 (52) 에 바르게 연료량이 표시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정 가산 회로 (60)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반전시켜 증폭함으로써, 연료 미터 (52) 에 입력되는 신호를 반전 전의 상태 (도 3(a) 에 나타내는 상태) 로 되돌림과 함께, 자기 센서 유닛 (41, 31) 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레인지와, 연료 미터 (52) 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인지가 일치하도록 증폭한다. 이로써, 연료 미터 (52) 를 종래와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연료 탱크 (12) 내의 연료량을 연료 미터 (52) 에 바르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반전 증폭 회로 (6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산 증폭기 (66) 를 구비하고 있다. 연산 증폭기 (operational amplifier) (66) 의 - 입력 단자에는 접속점 (64) 이 접속되어, 보정 가산 회로 (60) 로부터의 출력 신호 Vout 이 입력된다. 연산 증폭기 (66) 의 - 입력 단자에는 또한 연산 증폭기 (66) 의 출력 단자가 저항 R5 를 개재하여 접속된다. 연산 증폭기 (66) 의 + 입력 단자에는 전원 전압 Vdd 를 저항 R7, R8 로 안분한 전압이 입력된다. 연산 증폭기 (66) 의 출력 단자는 저항 R6 을 개재하여 연료 미터 (52) 에 접속된다. 따라서, 보정 가산 회로 (60) 로부터의 출력 신호 Vout 은 연산 증폭기 (66) 에 의해서 반전 증폭되어 연료 미터 (52) 에 입력되게 된다. 이 때문에, 저항 R5 ∼ R8 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자기 센서 유닛 (41, 31) 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레인지와, 연료 미터 (52) 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인지가 일치한다.
상기 서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료량 검출 장치 (10) 는, 제 1 연료량 검출기 (36) 에 의해서 메인 저류부 (14) 의 연료량을 검출하고, 제 2 연료량 검출기 (22) 에 의해서 서브 저류부 (16) 의 연료량을 검출하고, 출력 합성 회로 (38) 에서 이것들을 합산하여 연료 미터 (52) 에 출력한다. 이 때문에, 연료 검출 장치 (10) 와 연료 미터 (52) 를 접속하는 신호 출력 라인을 하나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연료량 검출 장치 (10) 에서는, 반전 증폭 회로 (62) 에 의해서 연료 미터 (52) 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인지가 자기 센서 유닛 (41, 31) 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레인지와 동일해지도록 증폭된다. 이 때문에, 연료 미터 (52) 에서 보면, 연료 미터 (52) 에 1 대의 연료량 검출기가 접속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연료 탱크 (12) 에 복수의 연료량 검출기가 설치되었다고 해도, 연료 미터 (52) 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를 없앨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의 구성과 청구항 기재의 대응 관계를 기재해 둔다. 출력 합성 회로 (38) 의 저항 R1, R2 가「보정 회로」의 일례이고, 저항 R1, R2 와 접속점 (64) 을 접속하는 배선 및 반전 증폭 회로 (62) 가「출력 회로」의 일례이다. 또, 저항 R1, R2 와 접속점 (64) 을 접속하는 배선이「가산부」의 일례이고, 반전 증폭 회로 (62) 가「반전 증폭부」의 일례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서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 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연료량 검출기 (36, 22) 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저항 R1, R2 로 보정함으로써, 메인 저류부 (14) 의 용량과 서브 저류부 (16) 의 용량에 따른 신호로 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기 센서 유닛 (41, 31) 에 있어서, 저류부 (14, 16) 에 저류되는 연료의 연료량으로 직접 변환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 자기 센서 유닛 (41, 31) 에 기억되는 테이블 데이터를 대응하는 저류부 (14, 16) 의 형상에 따른 데이터로 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이 경우, 자기 센서 유닛 (41, 31) 내에「보정 회로」가 내장되게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자기 센서 유닛 (41, 31) 과는 별도로 형성된 출력 합성 회로 (38) 에, 자기 센서 유닛 (41, 31) 으로부터의 신호를 보정하는 저항 R1, R2 를 형성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기 센서 유닛 (41) 이 실장되는 기판 (70) 에 보정용 저항 R1 을 실장하고, 자기 센서 유닛 (31) 이 실장되는 기판 (76) 에 보정용 저항 R2 를 실장해도 된다. 혹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기 센서 유닛 (41) 이 실장되는 기판 (70) 에 보정용 저항 R1, R2 를 실장하고, 자기 센서 유닛 (31) 이 실장되는 기판 (76) 에는 보정용 저항을 실장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안장형의 연료 탱크 (12) 에 설치한 연료량 검출 장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독립된 복수의 연료 탱크에 연료를 저류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연료 탱크에 연료량 검출기가 배치 형성되고, 이것들의 검출 결과가 출력 합성 회로를 개재하여 연료 메이터에 출력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연료 탱크 (12) 에 2 개의 저류부 (14, 16) 가 형성되고, 이들 저류부 (14, 16) 에 연료량 검출기 (36, 22) 가 배치 형성되었지만, 연료 탱크에는 3 이상의 저류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저류부마다 연료량 검출기를 배치 형성하고, 각 연료량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가산기에 입력되고, 가산기에서 합산하면 된다.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서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서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이고, 출원시 청구항에 기재된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으로서, 그 중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갖는 것이다.
10 : 연료량 검출 장치
12 : 연료 탱크
14 : 메인 저류부
16 : 서브 저류부
22, 36 : 연료량 검출기
38 : 출력 합성 회로

Claims (8)

  1. 서로 상이한 용량을 갖는 복수의 저류부를 포함하는 용기 내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의 액량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액량 검출 장치로서,
    복수의 저류부 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검출기와,
    복수의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용기 내의 액량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회로와,
    검출기마다, 당해 검출기와 출력 회로 사이에 배치되고, 당해 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스케일이 동일해지도록 보정하여 출력 회로에 출력하는 보정 회로를 갖고,
    각 검출기는, 플로트와, 플로트의 상하 방향의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아암 부재와, 아암 부재의 회전 운동에 따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를 갖고,
    출력 회로는, 각 보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보정된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고, 그들 입력되는 복수의 아날로그 신호에 기초하여 용기 내의 액량에 따른 아날로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액량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는, 액체를 저류하는 복수의 저류부를 갖고 있고, 각 저류부의 액위는 서로 독립적으로 변화 가능하고,
    검출기는, 저류부마다 배치되어 있고,
    각 보정 회로는, 대응하는 저류부에 저류 가능한 액체의 최대 액량과, 용기에 저류 가능한 액체의 최대 액량의 비에 따른 저항을 갖는, 액량 검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검출기의 각각에 있어서, 당해 검출기의 자기 센서와, 그 자기 센서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보정 회로가 동일한 기판에 탑재되어 있는, 액량 검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검출기 중 1 개의 검출기의 자기 센서와, 그 자기 센서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보정 회로와, 복수의 검출기 중 다른 검출기의 자기 센서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는 보정 회로가 동일한 기판에 탑재되어 있는, 액량검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력 회로는, 각 보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값을 가산하는 가산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액량 검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는, 제 1 깊이의 제 1 저류부와, 제 2 깊이의 제 2 저류부와, 제 1 저류부의 상부와 제 2 저류부의 상부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접속부의 깊이가 제 1 깊이 및 제 2 깊이보다 얕게 된 안장형 용기이며,
    검출기는, 제 1 저류부와 제 2 저류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고,
    출력 회로가 안장형 용기 내에 배치되어 있는, 액량 검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출력 회로는, 각 보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값을 가산하는 가산부와, 그 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를 갖고 있고,
    신호 증폭부는, 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출력 레인지가 소정의 출력 레인지가 되도록, 가산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액량 검출 장치.
  8. 삭제
KR1020140127140A 2013-12-19 2014-09-23 액량 검출 장치 KR101609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2604A JP6180918B2 (ja) 2013-12-19 2013-12-19 液量検出装置
JPJP-P-2013-262604 2013-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322A KR20150072322A (ko) 2015-06-29
KR101609469B1 true KR101609469B1 (ko) 2016-04-05

Family

ID=5339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140A KR101609469B1 (ko) 2013-12-19 2014-09-23 액량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18379B2 (ko)
JP (1) JP6180918B2 (ko)
KR (1) KR101609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0420B (zh) * 2017-07-04 2019-11-22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油量显示异常的检测方法和装置
JP2023180223A (ja) * 2022-06-08 2023-12-20 フェラーリ エッセ.ピー.アー. 道路車両用の燃料供給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356A (ja) 1998-07-16 2000-02-02 Yazaki Corp 燃料タンクの液量表示システム
JP2003227742A (ja) * 2002-02-01 2003-08-15 Yazaki Corp 燃料計
JP2006047100A (ja) 2004-08-04 2006-02-16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レベル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427Y2 (ko) * 1986-04-18 1992-08-17
JP3141122B2 (ja) 1992-04-10 2001-03-05 株式会社ワイエヌエス 液位測定装置
US6748805B2 (en) * 2002-01-17 2004-06-15 Robert Shaw Controls Company Multiple input level sensor
DE10342081B4 (de) * 2003-09-10 2006-08-10 Siemens Ag Kraftstoffbehälter für ein Kraftfahrzeug
JP5158218B2 (ja) * 2011-01-10 2013-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レベル計測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356A (ja) 1998-07-16 2000-02-02 Yazaki Corp 燃料タンクの液量表示システム
JP2003227742A (ja) * 2002-02-01 2003-08-15 Yazaki Corp 燃料計
JP2006047100A (ja) 2004-08-04 2006-02-16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レベル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322A (ko) 2015-06-29
JP2015118041A (ja) 2015-06-25
US20150177048A1 (en) 2015-06-25
US9618379B2 (en) 2017-04-11
JP6180918B2 (ja)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5784B (zh) 带有倾斜测量器的电子秤以及所属的用于信号评估的方法
CN101542244B (zh) 带有水准器的电子秤
US8161813B2 (en) Fill level measuring in mobile containers or transport silos
US8155903B2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measuring a capacitance
KR101609469B1 (ko) 액량 검출 장치
KR20150050342A (ko) 액량 검출 장치
US20170074714A1 (en) Liquid level sensor with linear output
KR101657879B1 (ko) 액량 검출 장치
MX2014010089A (es) Detector de flujo masico indirecto.
CA2955213A1 (en) Accelerometer device
US7490515B2 (en) Liquid level measuring system
CN102620724A (zh) 地磁传感器装置以及数字罗盘
CN110114638B (zh) 模拟输入单元以及基准电压稳定化电路
JP2013088374A (ja) 燃料検出装置
US9116060B2 (en) Auto-zeroing absolute pressure sensor
JP4481983B2 (ja) 電源電流測定装置、及び試験装置
US20150300864A1 (en) Liquid level sensor system
US20140076065A1 (en) Coordinated Ratiometric Compensation for High-Precision Load-Cells
JP2011053095A (ja) 電流監視装置
EP1316782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fluid level and a motor vehicle provided with such apparatus
SE442150B (sv) Elektronisk krets for metning av skillnaden i kapacitans mellan tva kondensatorer
CN110730900B (zh) 燃料剩余量检测装置及燃料供给模块的制造方法
TWI326355B (ko)
JP2000035356A (ja) 燃料タンクの液量表示システム
CN106515345A (zh) 用于车辆的空气弹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