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112B1 -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112B1
KR101609112B1 KR1020140070034A KR20140070034A KR101609112B1 KR 101609112 B1 KR101609112 B1 KR 101609112B1 KR 1020140070034 A KR1020140070034 A KR 1020140070034A KR 20140070034 A KR20140070034 A KR 20140070034A KR 101609112 B1 KR101609112 B1 KR 101609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inner box
opening prevention
fixing
preven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386A (ko
Inventor
최홍무
조유나
임병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to KR102014007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11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박스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박스 및 상기 외부박스의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수납 및 배출되는 내부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박스는, 상기 내부박스가 수납 및 배출되는 개구면과, 상기 개구면과 인접한 상기 외부박스의 상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박스 상면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수납박스{Storage box}
본 발명은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변형 발생을 방지하는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의류, 장난감, 종이류, 기타 소품을 효율적으로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다양한 형태의 수납함이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수납함은 종이, 목재 또는 합성수지 또는 이들이 혼합된 것 등 다양한 재질로 제공되기도 하며, 공간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다층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수납함을 서랍식으로 형성하여 적층된 수납함의 편리함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런데, 수납함을 재질의 특성상 수납함이 복수개가 적층될 경우 하중에 의해 수납함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수납함이 개방되지 않거나 과도한 힘으로 수납함을 개방할 경우 적층된 수납함이 무너지는 위험성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적층된 수납함을 고정하는 프레임을 별도로 설치하지만,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사용자가 수납함의 단수를 조정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수납함이 설치되는 공간 이외에 프레임 설치를 위한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납박스는 내부에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제습제를 수납박스에 수납하였다. 그런데, 상기 제습제가 수납박스 내에서 고정되지 않으므로 제습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적층된 수납박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수납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수 제한 없이 적층 가능한 수납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적층된 수납박스를 고정할 수 있는 수납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제습이 가능한 수납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시 내부박스를 고정하여 내부박스의 개방을 방지하는 수납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박스는, 상기 수납박스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박스 및 상기 외부박스의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수납 및 배출되는 내부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박스는, 상기 내부박스가 수납 및 배출되는 개구면과, 상기 개구면과 인접한 상기 외부박스의 상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박스 상면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박스가 상기 외부박스에 수납되면, 상기 내부박스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박스가 상기 외부박스에서 역 슬라이딩되어 상기 내부박스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박스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열림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부박스는, 상기 내부박스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열림방지부재가 삽입되는 삽입위치와, 상기 열림방지부재가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박스가 상기 외부박스에 수납되면, 개구된 상부로 돌출된 상기 열림방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위치를 형성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패널은 상기 외부박스의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열림방지부재의 일 측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림방지부재는, 상기 내부박스가 상기 외부박스에 수납될 때, 상기 돌부에 걸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박스가 상기 외부박스에 수납될 때, 상기 락킹부는 상기 체결부재 상에 걸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림방지부재는, 상기 락킹부가 형성된 제1 열림방지부재와,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의 하측에 장착되되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에서 분리 가능한 제2 열림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열림방지부재의 하면의 너비는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의 상면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제2 열림방지부재는,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박스와 상기 열림방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박스가 상기 외부박스에 수납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개구된 상부로 돌출된 상기 열림방지부재를 가압하여 돌출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스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내부박스는, 상기 내부박스의 일 모서리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습제가 수납되는 제습수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습수납부재는, 상기 내부박스에 고정되도록 일 면에 상기 내부박스를 관통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박스는, 상기 고정돌기가 장착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상기 수납박스를 상, 하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박스의 후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수납박스의 적층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박스는 상기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홀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측의 상기 수납박스에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하측의 상기 수납박스에 장착되는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연결 및 고정하는 고정바(bar)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수납박스의 전방의 모서리에 변형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수납박스가 다수 개 적층되어 하중이 발생하여도 변형방지부재가 발생한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수납박스의 전방 모서리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는 단수를 제한하지 않고 적층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때, 적층된 수납박스의 후면에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복수의 수납박스를 동시에 결속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적층된 수납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도 적층된 수납박스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박스의 내부박스가 외부박스에 수납되면 내부박스 전면에 열림방지부재를 설치하여 내부박스가 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내부박스에 물품이 채워진 상태에서 수납박스를 이동하여도 내부박스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수납박스에 마련된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수납박스의 내부박스에는 제습수납부재가 설치되어 내부박스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습을 위한 별도의 제습기를 수납박스에 설치할 번거로움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내부박스의 제습수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열림방지부재의 장착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변형예이며,
도 7은 도 1의 적층된 수납박스와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고정부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내부박스의 제습수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열림방지부재의 장착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변형예이며, 도 7은 도 1의 적층된 수납박스와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고정부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10)는 수납박스(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박스(100)와,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박스(100)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수납 및 배출되는 내부박스(200)를 포함한다.
이때, 외부박스(100)는 내부박스(200)가 수납 및 배출되는 개구면과, 개구면과 인접한 외부박스(100)의 상면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박스(100) 상면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120)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박스(100)는 내부에 레일(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레일(140)은 변형방지부재(120)의 후방에서 외부박스(100)의 후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부박스(200)가 외부박스(10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140)을 내부박스(200)의 구조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레일(140)의 형상, 구조 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박스(100) 상면에 변형방지부재(120)를 설치함에 따라 복수의 수납박스(10)가 적층되어도 하중에 의해 수납박스(10)가 변형되어 내부박스(200)가 외부박스(100)에서 배출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변형방지부재(120)는 외부박스(100)의 상면 전방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외부박스(100)의 상면 전방 모서리 일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방지부재(120)는 수납박스(10)가 적층될 때, 수납박스(10)의 상면의 변형을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철, 강화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변형방지부재(1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변형방지부재(120)의 상면이 외부박스(100)의 바닥면 측으로 구부러져 V-자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수납박스(10)가 적층될 때, 적층되는 수납박스(10)의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변형방지부재(120)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수납박스(10)는 내부박스(200)가 외부박스(100)에 수납되면, 내부박스(200)의 외부 설치되고, 내부박스(200)가 외부박스(100)에서 역 슬라이딩되어 내부박스(200)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내부박스(200)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열림방지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림방지부재(300)는 내부박스(200)가 외부박스(100)에 수납되면, 내부박스(200)의 전방에 설치된다. 즉, 도 5와 같이 열림방지부재(300)는 외부박스(100)의 바닥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되 내부박스(200)의 전면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내부박스(200)가 열림방지부재(300)에 걸림되어 외부박스(100)에서의 역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림방지부재(300)는 외부박스(100)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열림방지부재(3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박스(200)가 외부박스(100)에 수납된 후 열림방지부재(300)를 설치하여 열림방지부재(300)에 의해 내부박스(200)의 역 슬라이딩을 방지함에 따라 수납박스(10) 이동 시 외부박스(100)와 내부박스(2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외부박스(100)는 내부박스(20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패널(160)과 지지패널(160)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열림방지부재(300)가 삽입되는 삽입위치(P)와 열림방지부재(300)가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박스(200)가 외부박스(100)에 수납되면, 개구된 상부로 돌출된 열림방지부재(300)를 고정하는 고정위치(L)를 형성하는 체결부재(18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패널(160)은 내부박스(200)가 외부박스(100)에 수납되면 내부박스(200)의 바닥면과 접하는 구성이고, 내부박스(200) 내에 물품이 수납되어 있을 경우 물품에 의한 내부박스(2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지지패널(160)은 철, 강화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지지패널(160)을 외부박스(100)의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패널(160)을 외부박스(100)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박스(200)의 하중이 지지패널(160)에 전달되면 지지패널(160)이 지지패널(160)과 외부박스(100)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S) 방향으로 변형되어 내부박스(200)에 수납된 물품에 의해 지지패널(160)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체결부재(180)는 지지패널(16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패널(16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180)는 열림방지부재(3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182)을 형성한다. 이때, 삽입공간(182)은 체결부재(18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공간(182)에 체결부재(180)가 삽입되면 체결부재(180)가 삽입공간(18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체결부재(180)는 열림방지부재(300)의 일 측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부(186)를 포함하고, 열림방지부재(300)는 내부박스(200)가 외부박스(100)에 수납될 때, 돌부(186)에 걸치는 락킹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돌부(186)는 열림방지부재(300)가 삽입공간(182)에 삽입되면 락킹부(360) 하면과 접하여 락킹부(360)가 삽입공간(18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열림방지부재(300)는 체결부재(18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184)를 통해 삽입공간(182) 내로 삽입된다(도 5의 P참고). 이때, 삽입공간(182) 내에 형성된 돌부(186)에 락킹부(360)가 걸림으로써, 삽입구(184)로 열림방지부재(30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열림방지부재(300)가 체결부재(180)의 개구된 상부로 돌출될 때, 열림방지부재(300)는 체결부재(180)의 개구된 상부에 억지 끼워져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5의 L참고).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80)의 삽입공간(182)에 삽입된 열림방지부재(300)를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밀어 체결부재(180)의 상부에 끼운다. 이때, 상기 열림방지부재(300)가 돌출되는 체결부재(180)의 상부의 너비를 열림방지부재(300)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체결부재(180)의 상부에 끼워진 열림방지부재(300)가 체결부재(180)의 상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열림방지부재(300)는 락킹부(360)가 형성된 제1 열림방지부재(320)와, 제1 열림방지부재(320)의 하측에 장착되되 제1 열림방지부재(320)에서 분리 가능한 제2 열림방지부재(340)를 포함하고, 제2 열림방지부재(340)의 하면의 너비는 제1 열림방지부재(320)의 상면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열림방지부재(300)가 체결부재(18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면, 외부박스(100) 내에 수납된 내부박스(200)의 전면과 접한다. 이로 인하여 내부박스(200)가 역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열림방지부재(300)가 체결부재(180)에 억지 끼움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열림방지부재(340)를 제1 열림방지부재(320)와 분리하고, 제1 열림방지부재(320)를 제1 열림방지부재(320)의 측면을 가압하여 제1 열림방지부재(320)와 체결부재(180)에 억지끼움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320)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제1 열림방지부재(320)는 ㄷ-자 형상이고, 제2 열림방지부재(340)는 제1 열림방지부재(320)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부(342)를 포함한다. 즉, 제1 열림방지부재(320)는, ㄷ-자의 제품이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320) 내부에 제2 열림방지부재(340)의 체결부(342)가 삽입되며 제1 열림방지부재(320)의 하측에 제2 열림방지부재(3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342)는 제1 열림방지부재(3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열림방지부재(320)가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제1 열림방지부재(320)가 ㄷ-자의 형상이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한 상태이기 때문에 바닥을 향하는 내부가 빈 공간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열림방지부재(320)에 소정의 힘을 가하면 내부의 빈 공간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320) 내에 체결부(34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320)에 힘을 가하여도 제1 열림방지부재(3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체결부재(180)에 억지끼움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내부박스(200)가 외부박스(100)에 수납될 때, 락킹부(360)는 체결부재(180) 상에 걸린다. 즉, 열림방지부재(300)의 락킹부(360)의 너비는 체결부재(180)의 상부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어 열림방지부재(300)가 체결부재(180)의 상부로 돌출되면 락킹부(360)의 저면이 체결부재(180) 상에 걸림되어 열림방지부재(300)가 체결부재(18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내부박스(200)와 열림방지부재(300) 사이에는, 내부박스(200)가 외부박스(100)에 수납되어 체결부재(180)의 개구된 상부로 돌출된 열림방지부재(300)를 가압하여 돌출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스페이스(240)를 더 포함한다.
즉, 내부박스(200)의 전방 바닥부는 외부박스(100)의 바닥부와 면접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내부박스(200)의 전방 바닥부는 열림방지부재(30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해제스페이스(240)는 내부박스(200)의 전방 바닥부와 열림방지부재(30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해제스페이스(240)에 의하여, 열림방지부재(300)가 체결부재(18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해제스페이스(240)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공구를 넣어 열림방지부재(300)의 상면을 밀어 체결부재(180)와 열림방지부재(30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열림방지부재(300)의 제2 열림방지부재(340)를 제1 열림방지부재(320)에서 분리한 후, 사용자가 제1 열림방지부재(320)를 좌, 우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가압한다. 이때, 상기 해제스페이스(240)는 사용자가 제1 열림방지부재(320)를 수축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기타 공구를 사용하는 공간이다. 상기 해제스페이스(24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기타 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최소의 공간이며, 상기 해제스페이스(240)의 형상, 너비 등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내부박스(200)는 내부박스(200)의 일 모서리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습제가 수납되는 제습수납부재(22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습수납부재(220)는 내부박스(200)에 고정되도록 일 면에 내부박스(200)를 관통하는 고정돌기(222)를 포함하고, 내부박스(200)는 고정돌기(222)가 장착되는 고정홈(226)을 더 포함한다.
즉, 제습수납부재(220)는 내부박스(200)의 일 면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후면의 양 측의 모서리에 상기 고정돌기(22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222)는 제습수납부재(220)의 개방된 후면의 양 측 모서리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226)은 제습수납부재(220)의 장착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222)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정돌기(222)가 고정홈(226)에 억지 끼움되어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습수납부재(220)가 내부박스(200)에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제습수납부재(220)는 개구된 후면과 대향되는 전방에 형성되며, 내부박스(200)의 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전면홀(224)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내부박스(200) 내에 제습수납부재(220)을 설치함으로써, 수납박스(10)의 제습을 위한 별도의 제습제를 수납박스(10)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제습수납부재(200)가 내부박스(2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습수납부재(200)의 제습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수납박스(10)를 상, 하로 적층하도록 수납박스(10)의 후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수납박스(10)의 적층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00)를 포함하고, 수납박스(10)는 고정부재(400)가 설치되는 설치홀(130)을 포함한다.
도면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수납박스(10)가 적층된 예를 들기 위하여 상, 하로 두 개의 수납박스(10)가 적층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상측의 수납박스(10A)를 상측 수납박스(10A)라 하고, 하측의 수납박스(10B)를 하측 수납박스(10B)라고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납박스(10)가 적층되면, 적층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층된 외부박스(100)의 후면에 고정부재(400)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측 수납박스(10A)와 하측 수납박스(10B)를 동시에 결속하는 부재이다. 상기 고정부재(400)에 의하여 적층된 수납박스(1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도 적층된 수납박스(1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측의 수납박스(10A)에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420A)와 하측의 수납박스(10B)에 장착되는 제2 고정부재(420B)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420A, 420B)를 연결하는 고정바(bar)(4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재(420A)와 제2 고정부재(420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설치홀(13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전방의 너비가 후방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및 제2 고정부재(420A, 420B)가 설치홀(130)에 설치된 후에 설치홀(130)의 주변의 외부박스(100) 내벽에 걸림으로써, 설치홀(1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1 및 제2 고정부재(420A, 420B)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설치홀(130)에 설치된 제1 및 제2 고정부재(420A, 420B)를 분리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고정부재(420A, 420B)를 수축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설치홀(130)을 통해 삽입되는 방향의 역 방향으로 분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400)를 상측 수납박스(10A)와 하측 수납박스(10B)를 동시에 결속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다수의 수납박스(10)가 적층될 경우 고정부재(400)를 적층된 수납박스(10)의 개수만큼 형성하여 적층의 단수에 관계없이 적층된 수납박스(10)를 동시에 결속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박스(10)의 전방의 모서리에 변형방지부재(120)를 설치하여 수납박스(10)가 다수 개 적층되어 하중이 발생하여도 변형방지부재(120)가 발생한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수납박스(10)의 전방 모서리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박스(10)는 단수을 제한하지 않고 적층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때, 적층된 수납박스(10)의 후면에 고정부재(400)를 설치하여 복수의 수납박스(10)를 동시에 결속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적층된 수납박스(1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도 적층된 수납박스(1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박스(10)의 내부박스(200)가 외부박스(100)에 수납되면 내부박스(200) 전면에 열림방지부재(300)를 설치하여 내부박스(200)가 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내부박스(200)에 물품이 채워진 상태에서 수납박스(10)를 이동하여도 내부박스(200)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수납박스(10)에 마련된 물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수납박스(10)의 내부박스(200)에는 제습수납부재(220)가 설치되어 내부박스(200)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습을 위한 별도의 제습기를 수납박스(10)에 설치할 번거로움이 저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수납박스 100: 외부박스
120: 변형방지부재 140: 레일
160: 지지패널 180: 체결부재
182: 삽입공간 184: 삽입구
186: 돌부 200: 내부박스
220: 제습수납부재 222: 고정돌기
226: 고정홈 240: 해제스페이스
300: 열림방지부재 320: 제1 열림방지부재
340: 제2 열림방지부재 360: 락킹부

Claims (12)

  1.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박스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박스; 및
    상기 외부박스의 내부에 슬라이딩으로 수납 및 배출되는 내부박스;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박스는,
    상기 내부박스가 수납 및 배출되는 개구면과,
    상기 개구면과 인접한 상기 외부박스의 상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박스 상면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박스가 상기 외부박스에 수납되면, 상기 내부박스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박스가 상기 외부박스에서 역 슬라이딩되어 상기 내부박스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부박스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열림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박스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패널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열림방지부재가 삽입되는 삽입위치와, 상기 열림방지부재가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박스가 상기 외부박스에 수납되면, 개구된 상부로 돌출된 상기 열림방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위치를 형성하며, 상기 열림방지부재의 일 측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림방지부재는, 상기 내부박스가 상기 외부박스에 수납될 때, 상기 돌부에 걸치는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림방지부재는,
    상기 락킹부가 형성된 제1 열림방지부재와,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의 하측에 장착되되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에서 분리 가능한 제2 열림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열림방지부재의 하면의 너비는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의 상면의 너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은 상기 외부박스의 바닥면에서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박스가 상기 외부박스에 수납될 때, 상기 락킹부는 상기 체결부재 상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는, ㄷ-자 형상이고,
    상기 제2 열림방지부재는, 상기 제1 열림방지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8.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7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박스와 상기 열림방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박스가 상기 외부박스에 수납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개구된 상부로 돌출된 상기 열림방지부재를 가압하여 돌출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스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박스는,
    상기 내부박스의 일 모서리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습제가 수납되는 제습수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납부재는,
    상기 내부박스에 고정되도록 일 면에 상기 내부박스를 관통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박스는,
    상기 고정돌기가 장착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11.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수납박스를 상, 하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박스의 후면에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수납박스의 적층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박스는 상기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측의 상기 수납박스에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하측의 상기 수납박스에 장착되는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를 연결 및 고정하는 고정바(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
KR1020140070034A 2014-06-10 2014-06-10 수납박스 KR101609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34A KR101609112B1 (ko) 2014-06-10 2014-06-10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34A KR101609112B1 (ko) 2014-06-10 2014-06-10 수납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86A KR20150141386A (ko) 2015-12-18
KR101609112B1 true KR101609112B1 (ko) 2016-04-05

Family

ID=5508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34A KR101609112B1 (ko) 2014-06-10 2014-06-10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1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253A (ja) * 2002-05-09 2003-11-18 Tenma Kk 引き出しケース
JP2005162223A (ja) * 2003-11-28 2005-06-23 Sanko Plastic:Kk 収納箱の連結構造
KR200411720Y1 (ko) * 2005-12-23 2006-03-20 윤재기 항균기능을 가지는 서랍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253A (ja) * 2002-05-09 2003-11-18 Tenma Kk 引き出しケース
JP2005162223A (ja) * 2003-11-28 2005-06-23 Sanko Plastic:Kk 収納箱の連結構造
KR200411720Y1 (ko) * 2005-12-23 2006-03-20 윤재기 항균기능을 가지는 서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86A (ko) 201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63562A1 (en) Storage Device Comprising Two Parts
EP2783996B1 (en) Sleeve pack assembly with latching mechanism
RU2674901C2 (ru) Система хранения
KR101719144B1 (ko) 수납 케이스
JP2012076800A (ja) 収納箱の仕切構造及び収納箱
KR101787722B1 (ko) 박스용 테두리보강재와 더블원터치 클립을 포함하는 수납상자.
KR101609112B1 (ko) 수납박스
KR200461249Y1 (ko) 포장용 박스
JP5406244B2 (ja) 振動感知ロック装置及び被係止装置
KR101663745B1 (ko) 의류 수납기구
TWI778792B (zh) 工具收納裝置
KR101859816B1 (ko)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JP5715021B2 (ja) 梱包容器
KR20190005581A (ko) 서류함
KR200472709Y1 (ko) 다양한 형태의 신발 수납이 가능하도록 수납공간의 변화가 가능한 조립식 신발장
KR200450029Y1 (ko) 포장용 상자
JP4743484B2 (ja) 蓋と蓋固定具
KR200472754Y1 (ko) 다용도 서랍장
KR20140143512A (ko) 개폐형 도어를 구비한 조립식 수납상자
TWM565681U (zh) Logistics box
JP6955793B1 (ja) 収納容器と収納具
JPH07148040A (ja) 組立式引出しボックス
JP2009073558A (ja) 盗難防止装置
KR20170053772A (ko) 상자
SE542153C2 (en) An arrangement for interlocking two plate-like members and a cargo casing provided with such an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