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745B1 - 의류 수납기구 - Google Patents

의류 수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745B1
KR101663745B1 KR1020160095531A KR20160095531A KR101663745B1 KR 101663745 B1 KR101663745 B1 KR 101663745B1 KR 1020160095531 A KR1020160095531 A KR 1020160095531A KR 20160095531 A KR20160095531 A KR 20160095531A KR 101663745 B1 KR101663745 B1 KR 101663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racket
coupled
garment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이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to KR102016009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6Means for keeping wardrobes free from moths, e.g. sea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의 상면에 다수의 돌출면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시켜, 상호간의 간격에 공기 통로를 형성시킴으로써, 국부적인 강도 보강을 통해 트레이가 외력에 의해 쉽게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 통로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므로 트레이의 상면에 놓여진 의류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의류 수납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 수납기구{COLLECTING CLOTHES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수납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이의 상면에 돌출면을 형성시켜 트레이의 강도를 보강하고, 돌출면들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 통로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므로 트레이의 상면에 놓여진 의류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의류 수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는 셔츠나 바지 등의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옷장이나 정리 상자 등이 사용되며, 의류를 일정 형태로 접어 정리한 후 옷장의 수납 공간에 여러 층으로 수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의류 수납 방식은 한꺼번에 많은 수량의 의류를 높게 적층하는 경우, 수납된 의류를 이동시키는데 불편함이 있었고, 의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의류의 정리된 상태가 변경될 염려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의류 수납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의류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 의류를 들어올리거나 의류를 빼내는 과정에서 정리된 의류의 흐트러짐이 발생하였고, 이 과정에서 흐트러진 의류를 다시 정리하기 위한 과정이 번거로웠다.
또한, 종래의 의류 수납 방식은 적층된 의류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므로, 습도가 높은 환경 등에서 의류를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 의류들 간의 사이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지 않게 되므로 의류가 손상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6-0060977호(2016년 05월 3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의류 수납장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의 상면에 다수의 돌출면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시켜, 상호간의 간격에 공기 통로를 형성시킴으로써, 국부적인 강도 보강을 통해 트레이가 외력에 의해 쉽게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 통로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므로 트레이의 상면에 놓여진 의류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의류 수납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 방식을 이용해 트레이를 브라켓에 다단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트레이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원하는 의류를 찾거나 빼내는 경우에도 의류의 흐트러짐이 없어 의류를 처음 정리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브라켓에 다수의 트레이가 결합되므로 이동이 자유로운 의류 수납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는, 설치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좌우측 양단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과, 정리된 의류가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브라켓의 전면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층으로 수평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좌우측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에 각각 지지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트레이의 상면과 이에 놓여진 의류의 사이에 공기 통로를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의 상면 테두리 부위에는 상부로 돌출된 보강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는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며, 상기 트레이들 중 최 하단에 위치된 트레이의 하단과 밀착되는 받침대가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면과 상기 트레이의 하면에는 상하 방향에서 암수로 대응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상면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트레이들 중 최 하단에 위치된 트레이의 하단과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면은 다수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며,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면은 테두리 부위가 다각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절개되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절개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은 상기 브라켓의 전면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층으로 수평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트레이의 전단을 상기 브라켓의 후방으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상단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보조 브라켓이 수직하게 더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의 상단과 상기 보조 브라켓의 상단 및 하단에는 인접하는 단부가 암수로 결합되도록 삽입홈 및 삽입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레이의 상면에 다수의 돌출면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시켜, 상호간의 간격에 공기 통로를 형성시킴으로써, 국부적인 강도 보강을 통해 트레이가 외력에 의해 쉽게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 통로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므로 트레이의 상면에 놓여진 의류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가이드 방식을 이용해 트레이를 브라켓에 다단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트레이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원하는 의류를 찾거나 빼내는 경우에도 의류의 흐트러짐이 없어 의류를 처음 정리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브라켓에 다수의 트레이가 결합되므로 이동이 자유로운 효과를 갖는다
또한, 브라켓과 트레이에 상호 대응되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을 각각 형성시켜 암수로 결합시킴으로써, 브라켓과 트레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브라켓에 결합된 트레이가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의 지지 돌기를 타원 형태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에 보조 브라켓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에 보조 브라켓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의 지지 돌기를 타원 형태로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는 브라켓(100)과, 트레이(200) 및, 돌출면(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브라켓(100)은 옷장 등의 설치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100)은 사각 패널 형태로 제작하여 수직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00)의 전면에는 후술 될 트레이(200)가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00)은 합성수지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브라켓(100)은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00)의 좌우 방향측 양단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110)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110)는, 후술 될 트레이(200)를 브라켓(100)의 전방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트레이(200)의 좌우측 양단을 양 방향에서 각각 안내하여 흔들림 없이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110)들의 전단에는 브라켓(10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절곡면(미도시)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곡면은, 브라켓(100)의 전면으로 후술 될 트레이(200)를 결합하는 경우, 트레이(200)의 좌우측 양단을 가이드로(110)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면들의 간격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호간의 폭이 넓게 형성되므로, 후술 될 트레이(200) 결합시 위치 조정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브라켓(100)의 하단에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받침대(120)가 일정 넓이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120)는 브라켓(100)의 전면으로 절곡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120)의 상부에는, 브라켓(100)의 전면에 결합된 후술 될 트레이(200)들 중 최 하단에 위치된 트레이(200)의 하단이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120)와 트레이(200)는 별도의 체결부재(T)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받침대(120)와 트레이(200)는 양면 테이프류를 이용해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받침대(120)와 트레이(200)는 미도시한 볼트, 나사, 핀 등의 체결부재(T)를 이용해 결합시킬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받침대(120)의 상면에는 후술 될 트레이(200)의 결합홈(210)과 대응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21)가 대응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121)는 도 1에서처럼 받침대(120)의 좌우 방향에 각각 형성시키고, 후술될 결합홈(210)도 상기 결합돌기(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121)는 후술 될 트레이(200)의 결합홈(210)과 대응되게 결합되므로, 후술 될 트레이(200)가 흔들림 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00)의 상단에는 도 5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다수의 보조 브라켓(130)이 수직하게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의 상단과 보조 브라켓(13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인접하는 단부가 암수로 결합되도록 삽입홈(140) 및 삽입돌기(150)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브라켓(130)을 이용해 브라켓(100)의 높이를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수량의 트레이(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100)들은 미도시한 양면 테이프, 볼트, 나사, 핀 등의 체결부재(T)를 이용해 설치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100)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절개되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절개홈(1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160)은, 브라켓(100)의 전면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층으로 수평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트레이(200)의 전단을 브라켓(100)의 후방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홈(160)은 공기 통로(310)를 따라 이동된 공기가 브라켓(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정리된 의류(C)가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200)는 정리된 의류(C)가 대응되는 형태로 놓여질 수 있도록 사각, 직사각 등의 패널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200)의 상면 테두리 부위에는 트레이(200)의 뒤틀림 방지를 위한 보강돌기(220)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트레이(200)는, 도 3에서처럼 브라켓(100)의 전면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층으로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200)는 좌우측 양단이 한 쌍의 가이드(110)에 각각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200)는 브라켓(100)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데, 상기 트레이(200)들 중 최 하단에 위치된 트레이(200)가 브라켓(100)의 받침대(120)에 밀착 위치된다.
이때, 트레이(200)의 전단측 하단이 양면 테이프류에 의해 받침대(120)의 상면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트레이(200)의 후단측 하단이 설치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받침대(120)의 상면에 고정된 트레이(200)의 상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트레이(20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전술한 브라켓(100)의 가이드(110)가 하나 또는 다수의 트레이(200)의 좌우측 양단을 함께 지지하므로, 트레이(200)에 놓여진 의류(C)는 브라켓(100)의 전면에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후단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트레이(200)를 브라켓(100)의 전면으로 밀어 넣거나 후방으로 빼낼 수 있다.
특히, 트레이(200)의 하면에는 전술한 결합돌기(121)와 대응되게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10)은, 트레이(200)를 브라켓(100)에 결합시키는 경우에 결합돌기(121)와 암수로 결합되므로, 트레이(200)와 브라켓(10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미도시 하였지만 트레이(200)의 하면에 결합돌기를 형성시키고, 받침대(120)의 상면에 결합홈을 형성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돌출면(300)은, 트레이(20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트레이(200)의 상면과 이에 놓여진 의류(C)의 사이에 공기 통로(310)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안착돌기는 다수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며,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호 간의 간격에 상기 공기 통로(3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면(300)은 가장자리가 다각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돌출면(3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면(300)은 도 1에서와 같이 사각 블록 형태와, 도 4에서와 같이 원형 블록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돌출면(300)은, 트레이(200)의 두께 보강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트레이(200)가 외력에 의해 쉽게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면(300)의 사이 간격에 형성된 공기 통로(310)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므로 장리된 의류(C)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6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의 결합 및 분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라켓(100)의 전면에 트레이(200)를 결합시키는 경우, 일정 형태로 정리된 의류(C)를 트레이(200)의 상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전단을 브라켓(100)의 전면으로 밀어 넣으면, 트레이(20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이 가이드(110)에 의해 안내되면서 브라켓(100)의 전면으로 흔들림 없이 이동된다.
이후, 트레이(20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210)을 받침대(12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21)의 상단으로 안착시키면, 트레이(200)의 결합홈(210)에 받침대(120)의 결합돌기(121)가 대응 삽입된다.
이때, 트레이(200)의 전방측 하면은 받침대(120)의 상면에 안착되고, 트레이(200)의 후방측 하면은 설치면에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트레이(200)의 결합홈(210)과 받침대(120)의 결합돌기(121)가 암수로 대응 결합된 상태가 되므로, 트레이(200)는 후방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고 고정적으로 위치된다.
즉, 상기 트레이(200)는 가이드(110)에 의해 좌우 방향측 양단이 지지됨과 동시에, 하면의 걸림 구조에 의해 브라켓(100)의 전면에 유동 없이 위치될 수 있다.
이후, 트레이(200)를 다단으로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3에서처럼 먼저 결합된 1차 트레이(200)의 상부 높이에서 브라켓(100)의 전면으로 정리된 의류(C)가 놓여진 2차 트레이(200)를 수평하게 밀어 넣는다.
이때, 1차 트레이(200)의 상면에 놓여진 의류(C)의 상부에 2차 트레이(200)가 위치하게 되며, 1차 트레이(200)와 동일하게 2차 트레이(20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이 가이드(110)에 의에 의해 흔들림 없이 지지된다.
반면, 브라켓(100)의 전면으로부터 트레이(200)를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한 결합 순서와 역순으로 트레이(2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트레이(200)의 상면에 다수의 돌출면(300)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형성시켜, 상호간의 간격에 공기 통로(310)를 형성시킴으로써, 국부적인 강도 보강을 통해 트레이(200)가 외력에 의해 쉽게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 통로(310)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므로 트레이(200)의 상면에 놓여진 의류(C)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가이드 방식을 이용해 트레이(200)를 브라켓(100)에 다단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트레이(200)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고, 원하는 의류(C)를 찾거나 빼내는 경우에도 의류(C)의 흐트러짐이 없어 의류(C)를 처음 정리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브라켓(100)에 다수의 트레이(200)가 결합되므로 이동이 자유롭다.
또한, 브라켓(100)과 트레이(200)에 상호 대응되는 결합돌기(121) 및 결합홈(210)을 각각 형성시켜 암수로 결합시킴으로써, 브라켓(100)과 트레이(2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브라켓에 결합된 트레이(200)가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의류 수납기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브라켓 110: 가이드
120: 받침대 121: 결합돌기
130: 보조 브라켓 140: 삽입홈
150: 삽입돌기 160: 절개홈
200: 트레이 210: 결합홈
220: 보강돌기 300: 돌출면
310: 공기 통로 C: 의류
T: 체결부재

Claims (8)

  1. 설치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좌우측 양단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
    정리된 의류가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브라켓의 전면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층으로 수평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좌우측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에 각각 지지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트레이의 상면과 이에 놓여진 의류의 사이에 공기 통로를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면 테두리 부위에는,
    상부로 돌출된 보강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하단에는,
    상기 설치면에 안착되며, 상기 트레이들 중 최 하단에 위치된 트레이의 하단과 밀착되는 받침대가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면과 상기 트레이의 하면에는,
    상하 방향에서 암수로 대응 결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상면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트레이들 중 최 하단에 위치된 트레이의 하단과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은,
    다수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며,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은,
    테두리 부위가 다각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절개되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절개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은,
    상기 브라켓의 전면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층으로 수평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트레이의 전단을 상기 브라켓의 후방으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단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보조 브라켓이 수직하게 더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의 상단과 상기 보조 브라켓의 상단 및 하단에는,
    인접하는 단부가 암수로 결합되도록 삽입홈 및 삽입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KR1020160095531A 2016-07-27 2016-07-27 의류 수납기구 KR101663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531A KR101663745B1 (ko) 2016-07-27 2016-07-27 의류 수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531A KR101663745B1 (ko) 2016-07-27 2016-07-27 의류 수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745B1 true KR101663745B1 (ko) 2016-10-10

Family

ID=5714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531A KR101663745B1 (ko) 2016-07-27 2016-07-27 의류 수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7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757Y1 (ko) * 2017-01-18 2017-06-21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용 트레이
KR101921943B1 (ko) * 2017-06-14 2018-11-26 (주)이화실업 의류 홀더
KR20190001667A (ko) * 2017-06-28 2019-01-07 김태열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194Y1 (ko) * 1998-05-19 2001-10-25 손동창 진열장
KR101134603B1 (ko) * 2008-10-06 2012-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핑 모터
KR200463112Y1 (ko) * 2012-05-29 2012-10-17 안은정 옷장 서랍용 의류 수납 장치
JP2012532814A (ja) * 2009-07-15 2012-12-20 シュー・ケア・リミテッド 収納装置および収納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194Y1 (ko) * 1998-05-19 2001-10-25 손동창 진열장
KR101134603B1 (ko) * 2008-10-06 2012-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핑 모터
JP2012532814A (ja) * 2009-07-15 2012-12-20 シュー・ケア・リミテッド 収納装置および収納システム
KR200463112Y1 (ko) * 2012-05-29 2012-10-17 안은정 옷장 서랍용 의류 수납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757Y1 (ko) * 2017-01-18 2017-06-21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용 트레이
WO2018135713A1 (ko) * 2017-01-18 2018-07-26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용 트레이
KR101921943B1 (ko) * 2017-06-14 2018-11-26 (주)이화실업 의류 홀더
KR20190001667A (ko) * 2017-06-28 2019-01-07 김태열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KR101955801B1 (ko) * 2017-06-28 2019-03-07 김태열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333B1 (ko) 의류 수납기구
KR101663745B1 (ko) 의류 수납기구
US7806282B1 (en) Storage unit with shelves having inclined front end portions to facilitate scooping parts and components
US6561601B1 (en) Quick-assembly storage unit
JP7176049B1 (ja) 組み立て式ストレージラック
US10709238B1 (en) Shelf system improvements
KR0128725Y1 (ko) 카세트 또는 카세트블록용 다단수납케이스
US10524587B2 (en) Cabinet with telescoping trays for fastener bins
KR101704697B1 (ko) 의류 수납기구
GB2114544A (en) Transport and/or storage container
JP3353849B2 (ja) 電気冷蔵庫の棚
KR101948980B1 (ko) 뚜껑의 탈착이 용이한 수납트레이.
KR101694334B1 (ko) 의류 수납기구
JP2009190753A (ja) 物品投入口を有する収納箱体
US20060124038A1 (en) Cabinet for display
JPH11301647A (ja) 収納容器の仕切構造
KR20090082055A (ko) 다용도 조립식 보관함
JP4918837B2 (ja) 壁面構造体
KR102091361B1 (ko) 선반용 고정 장치
KR101805735B1 (ko) 서랍장
JP2003024157A (ja) 収納ケース用間仕切り
JP6403475B2 (ja) 冷却貯蔵庫
JP2001037600A (ja) 商品陳列ユニット
JP2005112536A (ja) 物品棚及び物品保管庫
JP7012499B2 (ja) トレイ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