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697B1 - 의류 수납기구 - Google Patents

의류 수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697B1
KR101704697B1 KR1020160120648A KR20160120648A KR101704697B1 KR 101704697 B1 KR101704697 B1 KR 101704697B1 KR 1020160120648 A KR1020160120648 A KR 1020160120648A KR 20160120648 A KR20160120648 A KR 20160120648A KR 101704697 B1 KR101704697 B1 KR 101704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guides
bottom plate
pair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이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to KR102016012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4Non-loosenable joints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glu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면에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를 이용해 트레이의 전단을 안내함과 아울러, 트레이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형성시켜 트레이의 삽입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트레이의 삽입 위치가 일정하므로 의류의 정리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옷 정리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의류 수납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 수납기구{COLLECTING CLOTHES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수납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가이드를 이용해 트레이의 양측단을 안내함과 아울러, 트레이의 양측단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이용해 트레이의 삽입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트레이의 삽입 위치가 일정하므로 의류의 정리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옷 정리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의류 수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는 셔츠나 바지 등의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옷장이나 정리 상자 등이 사용되며, 의류를 일정 형태로 접어 정리한 후 옷장의 수납 공간에 여러 층으로 수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의류 수납 방식은 한꺼번에 많은 수량의 의류를 높게 적층하는 경우, 수납된 의류를 이동시키는데 불편함이 있었고, 의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의류의 정리된 상태가 변경될 염려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의류 수납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의류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 의류를 들어올리거나 의류를 빼내는 과정에서 정리된 의류의 흐트러짐이 발생하였고, 이 과정에서 흐트러진 의류를 다시 정리하기 위한 과정이 번거로웠다.
또한, 종래의 의류 수납 방식은 적층된 의류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보관되므로, 습도가 높은 환경 등에서 의류를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 의류들 간의 사이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지 않게 되므로 의류가 손상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6-0060977호(2016년 05월 3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의류 수납장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가이드를 이용해 트레이의 양측단을 안내함과 아울러, 트레이의 양측단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이용해 트레이의 삽입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트레이의 삽입 위치가 일정하므로 의류의 정리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옷 정리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의류 수납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가 정리된 상태로 놓여진 트레이를 착탈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트레이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원하는 의류를 찾거나 빼내거나 정리된 의류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의류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 수납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가 형성되는 브라켓과, 정리된 의류가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브라켓들의 사이에 전단을 삽입시켜 하나 또는 다수의 층으로 수평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좌우측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에 각각 지지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의 전단을 상기 브라켓들의 사이에 삽입시키는 경우, 상기 트레이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는 한 쌍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길이를 갖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외면이 수평 방향으로 원주를 이루도록 원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사각 패널 형상을 가지며, 전단의 좌우측 꼭지점은 수평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상부에는 체결부재가 수직하게 관통되어 상기 설치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상기 트레이의 하단이 부착되도록 접착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전단측 하면에는 상기 바닥판이 대응 삽입되도록 단턱면이 오목하게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의 전단에는 상기 가이드의 전단이 대응 삽입되도록 안착홈이 오목하게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가이드를 이용해 트레이의 양측단을 안내함과 아울러, 트레이의 양측단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이용해 트레이의 삽입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트레이의 삽입 위치가 일정하므로 의류의 정리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옷 정리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가 정리된 상태로 놓여진 트레이를 브라켓에 착탈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트레이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원하는 의류를 찾거나 빼내거나 정리된 의류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의류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의 가이드를 사각 기둥 형태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의 가이드를 원 기둥 형태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에서 걸림돌기의 전단에 안착홈을 더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의 가이드를 사각 기둥 형태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의 가이드를 원 기둥 형태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는 브라켓(100)과, 트레이(200) 및, 걸림돌기(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브라켓(100)은 옷장 등의 설치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100)의 하부에는 설치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 넓이의 바닥판(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10)의 좌우측 양단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가이드(120)가 형성된다.
바닥판(110)은, 그 상면에 후술 될 트레이(200)의 하면이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110)은 일정 넓이를 갖는 사각 패널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110)은 좌우 방향으로 더 넓은 길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110)의 상면에는 후술 될 트레이(200)의 하면이 수평하게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1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11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홀(111)에는 체결부재(볼트, 나사, 못, 핀 등, B)가 수직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111)을 관통한 체결부재(B)의 하단이 설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10)의 상면에는 후술 될 트레이(200)의 하단이 부착되도록 접착부재(C)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C)는, 상기 바닥판(110)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접착부재(C)는 양면 테이프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정 점착력을 제공하는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 쌍의 가이드(120)는, 바닥판(110)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간의 간격을 통해 후술 될 트레이(200)의 전단을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120)들은 상호 마주보는 일면이 트레이(200)의 좌우측 양단을 각각 파지한 상태로 안내하여 흔들림 없이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120)들은 바닥판(110)과 가이드(120)는 금속(철 등), 합성수지(플라스틱 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바닥판(110)과 가이드(120)는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가이드(120)는 도 1 내지 3에서처럼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길이를 갖는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120)들은 후술 될 트레이(200)의 좌우측 양단을 넓은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후술 될 트레이(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도 4 내지 6에서처럼 외면이 수평 방향으로 원주를 이루도록 원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120)들의 전단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형성하므로, 후술 될 상기 가이드(120)들의 전단이 트레이(200)의 양단을 사이 간격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120)들의 사이를 통해 후술 될 트레이(200)의 전단을 삽입시키는 경우, 상기 가이드(120)들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진 후 트레이(200)의 양단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트레이(200)는, 정리된 의류(A)가 상면에 안착되며, 가이드(120)들의 사이에 트레이(200)의 전단을 삽입시켜 하나 또는 다수의 층으로 수평하게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200)는 정리된 의류(A)가 대응되는 형태로 놓여질 수 있도록 사각, 직사각 등의 패널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200)의 전단측 하면에는 바닥판(110)이 대응 삽입되도록 단턱면(220)이 오목하게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면(220)은, 트레이(200)를 바닥판(110)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경우, 상기 바닥판(110)의 상면이 대응되게 밀착된다.
반면, 상기 단턱면(220)의 후방에 위치된 트레이(200)의 바닥면은 상기 단턱면(220)보다 낮은 위치에서 설치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단턱면(220)은, 트레이(200)가 바닥판(110)의 상면에서 유동 없이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200)의 상면 테두리 부위에는 트레이(200)의 뒤틀림 방지를 위한 보강틀(230)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틀(230)은, 트레이(200)의 두께 보강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트레이(200)가 외력에 의해 쉽게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200)의 후단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트레이(200)를 브라켓(100)으로 밀어 넣거나 후방으로 빼낼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200)는, 바닥판(110)으로부터 상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데, 상기 트레이(200)들 중 최 하단에 위치된 트레이(200)가 브라켓(100)의 바닥판(110)에 밀착 위치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200)들 중 최 하단에 위치된 트레이(200)의 단턱면(220)은 도 3과 6에서처럼 전술한 접착부재(C)에 의해 바닥판(110)의 상면에 부착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바닥판(110)의 상면에 고정된 트레이(200)의 상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트레이(200)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110)들이 트레이(200)의 좌우측 양단을 함께 지지하므로, 트레이(200)에 놓여진 의류(A)는 브라켓(100)의 전면에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돌기(300)는, 트레이(200)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돌기(300)들은 가이드(120)의 전단과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트레이(200)의 전단을 가이드(120)들의 사이에 삽입시키는 경우, 걸림돌기(300)들의 전단이 가이드(120)들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어 트레이(200)의 삽입 위치를 제한한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300)들은, 그 전단이 가이드(120)들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는 경우, 트레이(200)의 전단이 바닥판(110)의 상면에 정확하게 위치되므로, 단순히 밀어 넣는 동작을 통해 트레이(200)를 정해진 위치에 균일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300)의 전단에는 가이드(120)들의 전단이 대응 삽입되도록 안착홈(310)이 오목하게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310)은, 가이드(120)의 전단이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되므로, 트레이(200)가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120)가 도 1 내지 3에서처럼 원 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안착홈(310)은 원 기둥의 전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6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수납기구의 결합 및 분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 형태로 정리된 의류(A)를 트레이(200)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트레이(200)의 전단을 가이드들의 사이로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트레이(20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이 가이드(110)에 의해 안내되면서 삽입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이동된 후, 걸림돌기(300)의 전단이 가이드(120)의 전단에 걸림 위치된다.
이후, 트레이(200)를 바닥판(110)의 상면에 안착시키면, 트레이(200)의 좌우측 양단에 가이드(120)들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고, 트레이(200)의 하면이 바닥판(110)의 상면에 결합된 접착부재(C)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200)는 가이드(120)들에 의해 좌우 방향측 양단이 지지됨과 동시에 바닥판(110)의 상면에 수평하게 안착된다.
도 3과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200)를 다단으로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먼저 결합된 1차 트레이(200)의 상부 높이에서 브라켓(100)의 전면으로 정리된 의류(A)가 놓여진 2차 트레이(200)를 수평하게 밀어 넣는다.
이때, 1차 트레이(200)의 상면에 놓여진 의류(A)의 상부에 2차 트레이(200)가 위치하게 되며, 1차 트레이(200)와 동일하게 2차 트레이(200)의 좌우 방향측 양단이 가이드(120)들에 의에 의해 흔들림 없이 지지된다.
반면, 브라켓(100)의 전면으로부터 트레이(200)를 분리시키는 경우는, 원하는 위치의 트레이(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당겨 브라켓(100)의 잔방으로 쉽게 빼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설치면에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120)를 이용해 트레이(200)의 전단을 안내함과 아울러, 트레이(20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00)를 형성시켜 트레이(200)의 삽입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이로써, 트레이(200)의 삽입 위치가 일정하므로 의류(A)의 정리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옷 정리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A)가 정리된 상태로 놓여진 트레이(200)를 착탈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트레이(20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원하는 의류(A)를 찾거나 빼내거나 정리된 의류(A)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의류(A)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의류 수납기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브라켓 110: 바닥판
111: 체결홀 120: 가이드
200: 트레이 210: 곡면
220: 단턱면 230: 보강틀
300: 걸림돌기 310: 안착홈
A: 의류 B: 체결부재
C: 접착부재

Claims (8)

  1. 설치면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가 형성되는 브라켓과, 정리된 의류가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들의 사이에 전단을 삽입시켜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층으로 수평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좌우측 양단이 상기 가이드들에 각각 지지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좌우측 양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의 전단을 상기 가이드들의 사이에 삽입시키는 경우, 상기 가이드들의 전단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는 한 쌍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길이를 갖는 사각 기둥 형상 또는, 외면이 수평 방향으로 원주를 이루도록 원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트레이의 전단측 하면에는, 상기 바닥판이 대응 삽입되도록 단턱면이 오목하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사각 패널 형상을 가지며, 전단의 좌우측 꼭지점은 수평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상부에는,
    체결부재가 수직하게 관통되어 상기 설치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상기 트레이의 하단이 부착되도록 접착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전단에는,
    상기 가이드의 전단이 대응 삽입되도록 안착홈이 오목하게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수납기구.
KR1020160120648A 2016-09-21 2016-09-21 의류 수납기구 KR101704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648A KR101704697B1 (ko) 2016-09-21 2016-09-21 의류 수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648A KR101704697B1 (ko) 2016-09-21 2016-09-21 의류 수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697B1 true KR101704697B1 (ko) 2017-02-08

Family

ID=5815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648A KR101704697B1 (ko) 2016-09-21 2016-09-21 의류 수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6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665A (ko) * 2017-06-28 2019-01-07 김태열 적층형 의류 수납 트레이
KR20190001667A (ko) * 2017-06-28 2019-01-07 김태열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A (ja) * 1996-06-17 1998-01-06 Magara Seisakusho:Kk 多段収納ケース
KR200463112Y1 (ko) * 2012-05-29 2012-10-17 안은정 옷장 서랍용 의류 수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A (ja) * 1996-06-17 1998-01-06 Magara Seisakusho:Kk 多段収納ケース
KR200463112Y1 (ko) * 2012-05-29 2012-10-17 안은정 옷장 서랍용 의류 수납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0870466호(2016.08.31.공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665A (ko) * 2017-06-28 2019-01-07 김태열 적층형 의류 수납 트레이
KR20190001667A (ko) * 2017-06-28 2019-01-07 김태열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KR101955800B1 (ko) 2017-06-28 2019-03-07 김태열 적층형 의류 수납 트레이
KR101955801B1 (ko) 2017-06-28 2019-03-07 김태열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333B1 (ko) 의류 수납기구
US7310471B2 (en) Stackable splice chip device
US10028582B2 (en) Storage system
KR101704697B1 (ko) 의류 수납기구
US6357844B1 (en) Partitioning system
US20170188722A1 (en) Magnetic tool holder
US20080238277A1 (en) Steel cabinet and locker
KR101663745B1 (ko) 의류 수납기구
US9914206B1 (en) Tool bag
US9257826B2 (en) Cable organizing apparatus
JP6203656B2 (ja) 容器
US10405624B2 (en) Modular configurable tool carrier
KR20120007072U (ko) 칸막이
KR20160104876A (ko) 칸막이를 구비한 플라스틱 상자
US11944195B2 (en) Drawer insert
US5542635A (en) File container assembly including brackets for wall or cart mounting
US20090277131A1 (en) Clamp Device and Packaging Box Assembly Incorporating Said Clamp Device
KR101694334B1 (ko) 의류 수납기구
KR100617588B1 (ko) 카트
US7117560B2 (en) Handle of an adhesive-tape cutter able to accommodate articles
KR101085227B1 (ko) 조립방식의 수납장치
CN112425938A (zh) 抽屉
KR101609112B1 (ko) 수납박스
JP2003011977A (ja) 仕切装置
KR200461756Y1 (ko) 명찰 고정대를 포함한 가변형 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