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667A -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 Google Patents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667A
KR20190001667A KR1020170081539A KR20170081539A KR20190001667A KR 20190001667 A KR20190001667 A KR 20190001667A KR 1020170081539 A KR1020170081539 A KR 1020170081539A KR 20170081539 A KR20170081539 A KR 20170081539A KR 20190001667 A KR20190001667 A KR 20190001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stacked
storage tray
stora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801B1 (ko
Inventor
김태열
Original Assignee
김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열 filed Critical 김태열
Priority to KR102017008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8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5Containers with stacking feet or corn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4Auxiliary removable stacking elements other than covers

Abstract

설치 공간상의 제약 없이 의류를 적층시켜 수납 보관할 수 있으며, 적층된 수납 트레이의 이동이나 제거 없이 각 층별로 적층되어 수납된 의류를 적층 위치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찾아 꺼내어 착용할 수 있고, 구김 발생 없이 복수개의 의류들을 적층하여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어서 적층시켜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는 접혀진 의류가 올려놓아진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될 수 있으며 적층 시 하부에 위치한 의류가 가압되지 않도록 하부에 위치한 의류와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복수개가 적층되는 수납 트레이 및, 서로 인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와의 사이에 구역을 분할 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 트레이 일부가 수용되는 구획용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LAMINATED TYPE CLOTHES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의류를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각종 셔츠나 스웨터, 바지 등과 같은 의류를 접어 적층시켜 수납할 수 있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이 착용하고 난 후의 의류들을 세탁하여 건조시킨 후 의류별로 접어서 의류를 수납할 수 있는 장롱이나 옷장 또는 서랍장 등에 수납하여 보관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의류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일반적인 장롱에는 상단부에는 각종 점퍼나 셔츠 등을 옷걸이에 걸어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는 바지나 스웨터 또는 셔츠 등을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공간이 구획되어 마련되고, 최 하단에는 양말이나 속옷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서랍장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장롱에 각종 셔츠나 스웨터, 바지 등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셔츠나 스웨터, 바지 등을 사각형 형태로 접은 후 복수개의 셔츠나 스웨터 및 바지 등을 적층시켜 보관하게 된다.
상기 셔츠나 스웨터, 바지 등과 같은 의류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보관하게 되는 특성 상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용하길 원하는 의류를 육안으로 찾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착용자가 원하는 셔츠나 스웨터 또는 바지 등을 찾아서 착용하기 위해서는 적층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의류들을 층별로 들춰내면서 착용을 원하는 의류를 찾아야만 할 뿐만 아니라, 착용을 원하는 의류를 찾은 후에는 적층되어 있는 의류들 사이에서 이를 빼내어야 함으로써 잘 접혀서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던 의류들이 흐트러지거나 적층된 상태가 무너지는 현상 등이 발생됨으로써 정리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각종 셔츠나 스웨터 또는 바지 등과 같은 의류를 접어서 올려놓은 상태의 트레이를 적층하여 의류를 보관할 수 있는 의류 수납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의류 수납기구의 경우 트레이에 의류를 접어서 올려놓은 후 복수개의 트레이를 적층시켜 의류를 보관하게 되면 착용자가 원하는 의류를 찾을 시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트레이와 함께 의류를 들어 올리면서 착용을 원하는 의류를 찾은 후 이를 적층되어 있는 의류 사이에서 빼낼 수 있으므로 적층된 의류들이 흐트러지거나 적층된 상태가 무너지는 현상 등은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써 의류들이 정리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의류 수납기구의 경우에도 서로 적층된 이웃하는 트레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적층된 상태에서는 하부에 위치한 의류가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와 의류에 의해 가압되어 눌리는 상태는 전혀 해결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착용을 원하는 의류를 빼낼 시에는 원하는 의류의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와 함께 의류를 들어 올리면서 착용을 원하는 의류를 적층되어 있는 의류 사이에서 빼낸 다음, 원하는 의류의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와 의류를 다시 적층시켜 놓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의류 수납기구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적층된 이웃하는 트레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음으로써 의류를 올려놓은 상태의 복수개의 트레이를 적층시켜 의류를 보관하게 될 경우, 상부에 위치한 의류와 트레이에 의해 하부에 위치한 의류가 가압되어 눌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단순히 접어놓은 의류들만 적층시켜 보관하는 것 보다 의류에 더욱 심한 구김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종래의 의류 수납기구를 사용하여 칼라(collar)가 있는 티셔츠나 칼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구김이 심한 드레스 셔츠 등과 같은 의류를 적층시켜 보관하게 될 경우 상부에 위치한 트레이와 의류에 의해 하부에 위치한 의류가 가압되어 특히 의류의 칼라 부분에는 심한 구김이 발생되어 착용 전에 다림질을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종래의 의류 수납기구의 경우 트레이를 결합시키는 브래킷의 높이가 높으므로 장롱이나 옷장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는 큰 수납공간이나 장롱이나 옷장 외부에는 무난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높이가 낮은 서랍장에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4333호(2017.01.03.)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공간상의 제약 없이 의류를 적층시켜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층된 수납 트레이의 이동이나 제거 없이 각 층별로 적층되어 수납된 의류를 적층 위치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찾아 꺼내어 착용할 수 있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김 발생 없이 복수개의 의류들을 적층하여 수납할 수 있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어서 적층시켜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접혀진 의류가 올려놓아진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될 수 있으며 적층 시 하부에 위치한 의류가 가압되지 않도록 하부에 위치한 의류와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복수개가 적층되는 수납 트레이 및, 서로 인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와의 사이에 구역을 분할 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 트레이 일부가 수용되는 구획용 브래킷을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수납 트레이는 접혀진 의류가 올려놓아진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되어 복수개의 의류를 적층 수납시킬 수 있는 본체부 및, 상기 적층되어 있는 서로 이웃하는 본체부 사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트레이는 상기 본체부에 올려놓아진 의류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된 의류 안착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수납 트레이는 상기 본체부가 적층될 시 상부에 위치한 본체부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스페이서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된 복수개의 스페이서 안착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 안착 홈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하단부 일부만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깊이로 상기 본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안착 홈부는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 트레이는 상기 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의류 식별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트레이는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수납 트레이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적층된 본체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에 결합되는 공간 연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구획용 브래킷은 상기 수납 트레이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면과 전방면이 개방된 브래킷 본체 및, 상기 브래킷 본체에 일부가 수용되어 적층되는 상기 수납 트레이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의 하부면과 후방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래킷 본체는 하부면의 길이와 후방면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수납되는 공간의 높이에 따라 하부면 또는 후방면이 수납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세워 놓은 후 하부면 또는 후방면 상부에 수납 트레이를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측면부가 후방면에서 하부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구획용 브래킷은 상기 수납 트레이의 스페이서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수평 유지 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납 트레이를 상부에 올려놓은 후, 상기 수납 트레이 상부에 위치한 의류를 소정 형태로 접어 수납 트레이에 올려놓아지도록 하는 의류 접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의류 접이유닛은 상기 수납 트레이가 상부에 올려놓아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납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의류의 양측을 상기 수납 트레이 측으로 접어서 올리는 한 쌍의 제1 접이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납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의류의 하부를 상기 수납 트레이 측으로 접어서 올리는 제2 접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의류 접이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측으로 한 쌍의 제1 접이 플레이트를 접은 후 상기 의류 접이 유닛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1 접이 플레이트에 마련된 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는 설치 장소에 따라 구획용 브래킷의 설치 형태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구획용 브래킷의 설치 없이 단순히 의류가 올려놓아진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만을 설치 공간상의 제약 없이 필요한 개수만큼 적층시켜 의류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장롱이나 옷장 등에 마련되어 있는 수납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의류 수납 효율을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는 수납 트레이를 적층하여 의류를 보관할 시에도 서로 이웃하는 수납 트레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는 의류를 적층시켜 수납 보관한다 하더라도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와 의류에 의해 수납된 의류가 가압되어 눌리지 않아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의류에 구김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칼라가 마련되어 있거나 주름과 구김이 발생되기 쉬워 피치 못하게 많은 수납공간을 차지하는 의류의 경우에도 최소한의 수납공간에 주름과 구김 발생 없이 적층하여 수납 보관할 수 있으므로 의류 수납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를 적층시켜 의류를 수납 보관한다 하더라도 외부에서 육안으로 각 층별로 수납 보관되어 있는 의류의 종류를 식별하여 찾아냄과 동시에,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의 이동이나 제거 없이도 각 층별로 적층되어 수납 보관되어 있는 의류를 적층 위치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꺼내어 착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 고객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는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가 적층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이동이 된다 하더라도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가 쉽게 흐트러지거나 무너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류가 의류 안착 홈에 안착되어 지지되어 의류가 미끄러져 수납 트레이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의류를 수납한 상태에서 이동이 매우 편리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더욱 더 향상시켜 대고객 만족도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는 의류를 별도로 접어서 수납 트레이에 올려놓는 작업 없이 상기 의류 접이유닛에 수납 트레이를 올려놓은 후 의류를 접게 되면 소정 형태로 접혀진 의류가 수납 트레이에 올려놓아진 상태가 됨으로써 의류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의 구획용 브래킷과 수납 트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의 구획용 브래킷에 수납 트레이를 적층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의 수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의 수납 트레이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수납 트레이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공간 연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하부면이 수납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구획용 브래킷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후방면이 수납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구획용 브래킷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의류 접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 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 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의 구획용 브래킷과 수납 트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의 구획용 브래킷에 수납 트레이를 적층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의 수납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의 수납 트레이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수납 트레이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공간 연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수납 트레이(110) 및, 구획용 브래킷(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트레이(110)는 접혀진 의류가 올려놓아진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될 수 있으며 적층 시 하부에 위치한 의류가 가압되지 않도록 하부에 위치한 의류와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복수개가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 트레이(110)는 본체부(111) 및, 스페이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1)는 접혀진 의류가 올려놓아질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1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다 미려한 외관을 위해서는 직사각형 이외에 사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1)는 상부면에 접혀진 의류가 올려놓아진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되어 복수개의 의류를 적층시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112)는 상기 적층되어 있는 서로 이웃하는 본체부(111) 사이의 공간(S)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1)의 테두리부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페이서(112)는 상기 본체부(111)의 하부면 테두리부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복수개의 본체부(111)를 적층시킬 경우 상부에 위치한 본체부(111)와 하부에 위치한 본체부(111) 사이가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상부에 위치한 본체부(111)와 하부에 위치한 본체부(111) 사이에 충분한 공간(S)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수납 트레이(110)는 본체부(111)의 상부면에 의류가 올려놓아진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를 적층시켜 복수개의 의류를 적층시킨 상태로 수납하여 보관한다 하더라도 상기 스페이서(112)에 의해 적층되어진 서로 이웃하는 상, 하부에 위치한 본체부(111) 사이에 충분한 공간(S)이 확보된다.
따라서, 적층되어 있는 서로 이웃하는 수납 트레이(110) 사이에 수납된 의류가 상부에 위치한 수납 트레이(110)에 의해 가압되어 눌리지 않아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의류에 구김이 발생되지 않아 구김에 약한 칼라가 구비되는 의류의 경우에도 구김 발생 없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적층된 수납 트레이(110) 사이에 충분한 공간(S)이 확보됨으로써 외부에서 육안으로 적층된 수납 트레이(110)에 올려놓아져 보관 중인 의류의 종류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찾아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을 원하는 의류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트레이(110)의 이동시키거나 제거하는 작업 없이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가 그대로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적층되어 있는 위치와 상관없이 원하는 의류를 용이하게 꺼내어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112)는 후술되는 스페이서 안착 홈부(114)에 안착될 시 상기 스페이서 안착 홈부(114)와의 간섭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스페이서(112)가 상기 스페이서 안착 홈부(114)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 트레이(110)는 의류 안착 홈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안착 홈부(113)는 상기 본체부(111)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11)에 올려놓아진 의류가 상기 본체부(111)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수납 트레이(110)는 상기 본체부(111)에 의류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의류 안착 홈부(113)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수납 트레이(110)가 수평이 맞지 않도록 적층되거나 의류가 올려놓아진 수납 트레이(110)를 이동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수납 트레이(110) 상부에 올려놓아진 의류가 미끄러져 수납 트레이(11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의류 안착 홈부(113)는 수납 트레이(110)에 올려놓아진 상태로 보관 중인 의류와 상기 의류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110)와의 사이의 공간(S)을 보다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또한, 상기 수납 트레이(110)는 스페이서 안착 홈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안착 홈부(114)는 상기 본체부(111)가 적층될 시 상부에 위치한 본체부(111)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페이서(112)의 일부가 삽입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1)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 안착 홈부(114)는 상기 스페이서(112)의 하단부 일부만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깊이로 상기 본체부(111)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페이서 안착 홈부(114)는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스페이서(112)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 트레이(110)는 의류 식별 홀(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식별 홀(115)은 상기 본체부(111)에 복수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류 식별 홀(115)은 본체부(111)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수납 트레이(110)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 트레이(110)의 이동 및 배송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 식별 홀(115)은 상기 본체부(111)에 올려놓아진 상태로 적층되어 수납되는 의류의 종류를 본체부(111)의 하부에서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를 적층시켜 의류를 수납하여 보관한다 하더라도 적층되어 수납 보관 중인 의류의 적층 층수와 상관없이 원하는 의류를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의류 식별 홀(115)은 적층되어 보관되어지는 의류에 통풍이 원활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상태로 의류를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납 트레이(110)는 공간 연장부재(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연장부재(116)는 상기 스페이서(112)에 결합되어 서로 이웃하는 적층된 본체부(111) 사이의 이격된 공간(S)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공간 연장부재(116)는 복수개의 본체부(111)를 적층시킬 시 상부에 위치한 스페이서(112)에 결합되어 하부에 위치한 본체부(111)에 마련되어 있는 스페이서 안착 홈부(114)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적층된 본체부(111)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간 연장부재(116)는 상기 스페이서(112)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공간 연장부재(116)는 상부면에서 하부면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결합 홈부(116a)가 마련되어 상기 결합 홈부(116a)에 스페이서(112)가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 연장부재(116)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수납 트레이(110)는 공간 연장부재(116)를 포함하여 서로 이웃하는 적층된 수납 트레이(110) 사이의 이격된 공간(S)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두께가 두꺼운 스웨터 등과 같은 겨울철 의류의 경우에도 구김 발생 없이 적층하여 수납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트레이(110)는 상기 본체부(111)의 테두리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부(117)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은 서로 인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110)와의 사이의 구역을 분할 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 트레이(11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은 브래킷 본체(121) 및,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본체(121)는 상기 수납 트레이(11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면과 전방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브래킷 본체(121)는 하부면(121a)의 길이와 후방면(121b)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면과 전방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브래킷 본체(121)는 하부면(121a)의 길이가 후방면(121b)의 높이 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면과 전방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래킷 본체(121)는 수납되는 공간의 높이에 따라 하부면(121a) 또는 후방면(121b)이 수납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세워 놓은 후 상기 브래킷 본체(121)의 하부면(121a) 또는 후방면(121b) 상부에 수납 트레이(110)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이 수납되는 공간의 높이에 따라 설치되는 상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하부면이 수납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구획용 브래킷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후방면이 수납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구획용 브래킷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이 서랍장과 같이 높이가 낮은 공간에 수납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본체(121)의 하부면(121a)이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구획용 브래킷(120)세워 놓은 후 상기 브래킷 본체(121) 하부면(121a)에 수납 트레이(110)를 적층시켜 의류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이 장롱이나 옷장과 같이 수납공간의 높이가 높은 경우나 장롱이나 옷장 외부와 같이 수납공간의 높이를 제한 받지 않는 곳에 수납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본체(121)의 후방면(121b)이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구획용 브래킷(120)을 세워 놓은 후 상기 브래킷 본체(121) 후방면(121b)에 수납 트레이(110)를 적층시켜 의류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수납공간의 높이를 제한 받지 않는 장소나 장롱이나 옷장과 같이 수납공간의 높이가 높은 장소뿐만 아니라, 서랍장 등과 같이 높이가 낮은 공간에도 설치 공간상의 제약 없이 의류를 적층시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래킷 본체(121)는 측면부(121c)가 후방면(121b)에서 하부면(121a)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브래킷 본체(121)의 측면부(121c)가 후방면(121b)에서 하부면(121a)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에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가 적층되어 상기 적층된 수납 트레이(110)에 의류가 적층 수납되어 보관된다 하더라도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의 양측면부에서 적층 수납되어 보관되는 의류의 종류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은 수평 유지 홀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유지 홀부(123)는 상기 수납 트레이(110)의 스페이서(112)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121)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평 유지 홀부(123)는 상기 브래킷 본체(121)의 하부면(121a)에 복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브래킷 본체(121)의 하부면(121a)에 적층되는 수납 트레이(110)의 스페이서(112)가 상기 수평 유지 홀부(123)를 관통하여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에 적층되는 수납 트레이(110)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수납 트레이(110)를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량의 의류를 안정적으로 적층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은 중량 감소와 더불어 원활한 통풍을 위해 상기 브래킷 본체(121)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홀(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의류 접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의류 접이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접이유닛(130)은 상기 수납 트레이(110)를 상기 의류 접이유닛(130)의 상부에 올려놓은 후, 상기 수납 트레이(110) 상부에 위치한 의류를 소정 형태로 접어 상기 수납 트레이(110)에 올려놓아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의류 접이유닛(130)은 베이스 플레이트(131), 제1 접이 플레이트(132) 및, 제2 접이 플레이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상기 수납 트레이(110)가 상부에 올려놓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이 플레이트(132)는 한 쌍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납 트레이(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의류의 양측을 상기 수납 트레이(110) 측으로 접어서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접이 플레이트(133)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납 트레이(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의류의 하부를 상기 수납 트레이(110) 측으로 접어서 올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의류 접이유닛(130)은 걸이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134)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 측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접이 플레이트(132)를 접은 후, 상기 의류 접이유닛(130)을 옷걸이 봉이나 빨래 건조대 등과 같은 곳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상기 한 쌍의 제1 접이 플레이트(132)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의류 접이유닛(1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제1, 2 접이 플레이트(132)(133)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 접이유닛(1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제1, 2 접이 플레이트(132)(133)에 복수개의 홀(135)이 형성됨으로써 의류 접이유닛(130)의 전체 중량을 대폭 감소시켜 의류 접이유닛(130)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및 배송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를 사용하여 의류를 적층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가 설치될 수납공간의 높이에 따라서 구획용 브래킷(120)의 하부면(121a) 또는 후방면(121b)이 수납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을 수납되는 공간에 설치한다.
예를 들면, 서랍장과 같이 높이가 낮은 공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가 설치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본체(121)의 하부면(121a)이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구획용 브래킷(120)을 세워 놓은 후 상기 브래킷 본체(121) 하부면(121a)에 수납 트레이(110)를 적층시켜 의류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장롱이나 옷장과 같이 수납공간의 높이가 높은 경우나 장롱이나 옷장 외부와 같이 수납공간의 높이를 제한 받지 않는 곳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가 설치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본체(121)의 후방면(121b)이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구획용 브래킷(120)을 세워 놓은 후 상기 브래킷 본체(121) 후방면(121b)에 수납 트레이(110)를 적층시켜 의류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을 설치한 다음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접이유닛(130)의 베이스 플레이트(131) 상부에 수납 트레이(110)를 올려놓은 후, 상기 수납 트레이(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의류를 상기 의류 접이유닛(130)의 상부에 올려놓는다.
이후, 상기 의류 접이유닛(130)의 한 쌍의 제1 접이 플레이트(132)를 상기 수납 트레이(110)가 올려놓아진 베이스 플레이트(131) 측으로 접어서 의류의 양측을 상기 수납 트레이(110) 측으로 접어서 올린 후, 상기 제2 접이 플레이트(133)를 베이스 플레이트(131) 측으로 접어서 상기 수납 트레이(110) 측으로 의류의 하부를 접어서 올리게 되면 상기 수납 트레이(110) 상부에 의류가 소정형태로 접혀져서 올려놓아진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 접이유닛(130)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에 의류가 접혀져서 올려놓아진 상태가 되면, 상기 의류가 접혀져서 올려놓아진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를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에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의류를 수납 보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의류가 접혀져서 올려놓아진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의 설치 없이 단독으로 필요한 개수만큼 적층시켜 의류를 수납 보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의류가 접혀진 상태로 올려놓아진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를 적층시켜 의류를 수납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작은 공간에 보다 많은 양의 의류를 수납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구획용 브래킷(120)의 하부면(121a) 또는 후방면(121b)이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의 설치 형태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서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의 설치 없이 수납 트레이(110)만 필요한 개수만큼 원하는 장소에 단독으로 적층하여 의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장롱이나 옷장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는 큰 수납공간이나 장롱이나 옷장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높이가 높게 형성되지 않은 서랍장 등과 같은 장소에도 설치장소에 제약 없이 필요한 개수만큼 수납 트레이(110)를 적층하여 의류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의류 수납기구에 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의류가 상부에 올려놓아진 상태의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를 적층시켜 의류를 보관한다 하더라도 스페이서(112)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수납 트레이(110) 사이에 충분한 공간(S)이 확보된다.
따라서, 적층되어 있는 서로 이웃하는 수납 트레이(110) 사이에 수납된 의류가 상부에 위치한 수납 트레이(110)에 의해 가압되어 눌리지 않아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의류에 구김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구김에 약한 칼라를 구비한 티셔츠나, 접어서 눌리게 되면 의류 전체에 걸쳐 주름과 구김이 매우 쉽게 발생되는 드레스셔츠나 와이셔츠 등과 같은 의류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옷걸이에 걸어 장롱이나 옷장 내부에 걸어서 보관할 수밖에 없으므로 피치 못하게 수납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의 수납 트레이(110)의 경우 적층되어 있는 서로 이웃하는 수납 트레이(110) 사이에 충분한 공간(S)이 확보되어 서로 이웃하는 수납 트레이(110) 사이에 수납된 의류가 상부에 의치한 수납 트레이(110)에 의해 가압되어 눌리지 않음으로써 구김에 약하고 칼라가 있는 드레스셔츠나 와이셔츠 등과 같은 의류의 경우에도 적층하여 수납 보관할 수 있으므로 칼라가 있는 드레스셔츠나 와이셔츠 등과 같이 구김에 약하고 칼라가 있는 의류의 경우에도 최소한의 수납공간으로 최대한 많은 양을 구김 없이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적층된 수납 트레이(110) 사이에 충분한 공간(S)이 확보됨으로써 외부에서 육안으로 적층된 수납 트레이(110)에 올려놓아져 보관 중인 의류의 종류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찾아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을 원하는 의류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트레이(110)의 이동시키거나 제거하는 작업 없이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가 그대로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적층되어 있는 위치와 상관없이 원하는 의류를 용이하게 꺼내어 착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 고객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수납 트레이(110)의 적층 시 스페이서 안착 홈(114)에 스페이서(112)의 일부가 삽입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복수개가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110)에 외부로부터 소정의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적층된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가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적층 수납되어 있는 의류가 쉽게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이동 시에도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가 적층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부(111)에 마련된 의류 안착 홈부에(113) 접혀진 의류가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110)를 정확하게 수평을 유지하지 않으면서 들어 올려 이동시킨다 하더라도 의류 안착 홈부(113)에 올려놓아진 의류가 미끄러져 수납 트레이(110)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매우 손쉽고 용이하게 위치 이동까지도 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에 적용된 수납 트레이의 경우 복수개의 적층시켜 의류를 보관하게 될 경우 적층된 수납 트레이가 서로 고정되지 않아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를 분리하지 않고 한꺼번에 들어서 이동시킬 경우 정확하게 수평이 유지되지 않게 되면 적층된 수납 트레이가 무너지거나 수납 트레이에 올려 진 의류가 미끄러져 수납 트레이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수납 트레이(110)의 적층 시 스페이서 안착 홈(114)에 스페이서(112)의 일부가 삽입 안착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의류 안착 홈부(113)에 의해 의류가 지지됨으로써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110)를 분리하지 않고 한꺼번에 들어서 이동시킬 시 정확하게 수평이 유지되지 않더라도 적층된 수납 트레이(110)가 무너지거나 수납 트레이(110)에 올려 진 의류가 미끄러져 수납 트레이(110)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매우 손쉽고 용이하게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설치 장소에 따라 구획용 브래킷(120)의 설치 형태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구획용 브래킷(120)의 설치 없이 단순히 의류가 올려놓아진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만을 설치 공간상의 제약 없이 필요한 개수만큼 적층시켜 의류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장롱이나 옷장 등에 마련되어 있는 수납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의류 수납 효율을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수납 트레이(110)를 적층하여 의류를 보관할 시에도 서로 이웃하는 수납 트레이(100) 사이에 충분한 공간(S)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의류를 적층시켜 수납 보관한다 하더라도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110)와 의류에 의해 수납된 의류가 가압되어 눌리지 않아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의류에 구김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칼라가 마련되어 있거나 주름과 구김이 발생되기 쉬워 피치 못하게 많은 수납공간을 차지하는 의류의 경우에도 최소한의 수납공간에 주름과 구김 발생 없이 적층하여 수납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수납 트레이(110)를 적층시켜 의류를 수납 보관한다 하더라도 외부에서 육안으로 각 층별로 수납 보관되어 있는 의류의 종류를 식별하여 찾아냄과 동시에,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110)의 이동이나 제거 없이도 각 층별로 적층되어 수납 보관되어 있는 의류를 적층 위치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꺼내어 착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 고객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수납 트레이(110)가 적층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이동이 된다 하더라도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110)가 쉽게 흐트러지거나 무너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류가 의류 안착 홈(113)에 안착되어 지지되어 의류가 미끄러져 수납 트레이(110)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의류를 수납한 상태에서 이동이 매우 편리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더욱 더 향상시켜 대고객 만족도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의류 접이유닛(130)에 수납 트레이(110)를 올려놓은 후, 상기 의류 접이유닛(130)을 사용하여 수납 트레이(110) 상부에 위치한 의류를 소정 형태로 접게 되면 소정 형태로 접혀진 의류가 수납 트레이(110)에 올려놓아진 상태가 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의류를 접어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100)는 의류를 별도로 접어서 수납 트레이(110)에 올려놓는 작업 없이 상기 의류 접이유닛(130)에 수납 트레이(110)를 올려놓은 후 의류를 접게 되면 소정 형태로 접혀진 의류가 수납 트레이(110)에 올려놓아진 상태가 됨으로써 의류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어서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수납 트레이 (111) : 본체부
(112) : 스페이서 (113) : 의류 안착 홈부
(114) : 스페이서 안착 홈부 (115) : 의류 식별 홀
(116) : 공간 연장부재 (117) : 손잡이부
(120) : 구획용 브래킷 (121) : 브래킷 본체
(122) : 지지부 (123) : 수평 유지 홀부
(124)(135) : 홀 (130) : 의류 접이유닛
(131) : 베이스 플레이트 (132) : 제1 접이 플레이트
(133) : 제2 접이 플레이트 (134) : 걸이부

Claims (17)

  1. 접혀진 의류가 올려놓아진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될 수 있으며 적층 시 하부에 위치한 의류가 가압되지 않도록 하부에 위치한 의류와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복수개가 적층되는 수납 트레이; 및
    서로 인접하도록 적층되어 있는 수납 트레이와의 사이에 구역을 분할 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 트레이 일부가 수용되는 구획용 브래킷을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트레이는,
    접혀진 의류가 올려놓아진 상태로 복수개가 적층되어 복수개의 의류를 적층 수납시킬 수 있는 본체부; 및
    상기 적층되어 있는 서로 이웃하는 본체부 사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부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트레이는,
    상기 본체부에 올려놓아진 의류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된 의류 안착 홈부를 더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적층될 시 상부에 위치한 본체부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스페이서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마련된 복수개의 스페이서 안착 홈부를 더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안착 홈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하단부 일부만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깊이로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안착 홈부는,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트레이는,
    상기 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의류 식별 홀을 더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트레이는,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트레이는,
    상기 서로 이웃하는 적층된 본체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페이서에 결합되는 공간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용 브래킷은,
    상기 수납 트레이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면과 전방면이 개방된 브래킷 본체; 및
    상기 브래킷 본체에 일부가 수용되어 적층되는 상기 수납 트레이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의 하부면과 후방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하부면의 길이와 후방면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수납되는 공간의 높이에 따라 하부면 또는 후방면이 수납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세워 놓은 후 하부면 또는 후방면 상부에 수납 트레이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는,
    측면부가 후방면에서 하부면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용 브래킷은,
    상기 수납 트레이의 스페이서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브래킷 본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수평 유지 홀부를 더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트레이를 상부에 올려놓은 후, 상기 수납 트레이 상부에 위치한 의류를 소정 형태로 접어 수납 트레이에 올려놓아지도록 하는 의류 접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접이유닛은,
    상기 수납 트레이가 상부에 올려놓아지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납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의류의 양측을 상기 수납 트레이 측으로 접어서 올리는 한 쌍의 제1 접이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납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의류의 하부를 상기 수납 트레이 측으로 접어서 올리는 제2 접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접이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측으로 한 쌍의 제1 접이 플레이트를 접은 후 상기 의류 접이 유닛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1 접이 플레이트에 마련된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KR1020170081539A 2017-06-28 2017-06-28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KR10195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539A KR101955801B1 (ko) 2017-06-28 2017-06-28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539A KR101955801B1 (ko) 2017-06-28 2017-06-28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67A true KR20190001667A (ko) 2019-01-07
KR101955801B1 KR101955801B1 (ko) 2019-03-07

Family

ID=6501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539A KR101955801B1 (ko) 2017-06-28 2017-06-28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80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253Y1 (ko) * 2006-03-31 2006-06-16 유지호 물품걸이구를 구비한 신발장 선반의 조립구조
KR200461520Y1 (ko) * 2009-03-03 2012-07-20 배수원 의류 접이용 포장백
JP2013095476A (ja) * 2011-10-31 2013-05-20 Okamura Corp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KR101663745B1 (ko) * 2016-07-27 2016-10-10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기구
KR101694333B1 (ko) 2016-07-06 2017-01-17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기구
KR101704697B1 (ko) * 2016-09-21 2017-02-08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기구
KR200483757Y1 (ko) * 2017-01-18 2017-06-21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253Y1 (ko) * 2006-03-31 2006-06-16 유지호 물품걸이구를 구비한 신발장 선반의 조립구조
KR200461520Y1 (ko) * 2009-03-03 2012-07-20 배수원 의류 접이용 포장백
JP2013095476A (ja) * 2011-10-31 2013-05-20 Okamura Corp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KR101694333B1 (ko) 2016-07-06 2017-01-17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기구
KR101663745B1 (ko) * 2016-07-27 2016-10-10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기구
KR101704697B1 (ko) * 2016-09-21 2017-02-08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기구
KR200483757Y1 (ko) * 2017-01-18 2017-06-21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수납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801B1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31046A1 (en) Suitcase with integrated garment bag
JP3905757B2 (ja) 二重懸架クロゼットが適合可能な収容アッセンブリ
US20020195914A1 (en) Clothes drying, dewrinkling and ironing cabinet
CN112423629B (zh) 衣架
KR101955801B1 (ko) 적층형 의류 수납기구
CN209825939U (zh) 一种大收纳容量的多功能榻榻米床
KR101955800B1 (ko) 적층형 의류 수납 트레이
KR100737490B1 (ko) 옷걸이 걸이대가 구비된 y자형 빨래 건조대
KR101551605B1 (ko) 도어용 옷걸이
US20070119879A1 (en) Open clothes hangers system
CN106235808A (zh) 可拉伸式服装展示架
KR101659668B1 (ko) 다용도 서랍장
KR101278681B1 (ko) 이단 사용이 가능한 접철식 빨래 건조대
KR200490057Y1 (ko) 헹거
CN207721485U (zh) 一种多功能家政柜
KR200479381Y1 (ko) 옷 클립
CN212878315U (zh) 一种内置挂衣架的衣柜
CN106235809A (zh) 采用气缸推拉的悬挂式服装展示架
KR101056397B1 (ko) 휴대용 세탁물 건조대
WO2006057537A1 (en) Multi-hanger for hanging plural hangers
CN210529306U (zh) 一种衣物晾晒架
KR200448209Y1 (ko) 옷걸이 연결걸이
CN220813076U (zh) 一种衣架及衣物护理机
US20220228313A1 (en) Accessories and outfit retainer system
CN2370142Y (zh) 储物式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