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381Y1 - 옷 클립 - Google Patents

옷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381Y1
KR200479381Y1 KR2020150000882U KR20150000882U KR200479381Y1 KR 200479381 Y1 KR200479381 Y1 KR 200479381Y1 KR 2020150000882 U KR2020150000882 U KR 2020150000882U KR 20150000882 U KR20150000882 U KR 20150000882U KR 200479381 Y1 KR200479381 Y1 KR 200479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folded
support plate
support
suppor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김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민 filed Critical 김영민
Priority to KR2020150000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3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옷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옷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해당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지지용 플레이트; 상기 옷의 상부와 하부 중 타측에 배치되어 해당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지지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용 플레이트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용 플레이트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철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옷 클립{Cloth clip}
본 고안은, 옷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쉽고 편리하게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옷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옷 클립에 관한 것이다.
옷장에 옷을 구겨지지 않게 잘 보관하기 위해서는 선행기술 1(KR 출원번호 10-2001-0026276)과 선행기술 2(KR 출원번호 10-2002-0008007) 등에 개시된 것과 같은 옷걸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행기술 1 및 2와 같은 형태의 옷걸이는 수시로 꺼내 입을 수 있는 옷을 걸어 보관할 때,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때문에 가정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걸이봉이 없거나 혹은 다소 장기간 옷을 보관하려 할 때는 옷을 접어 서랍에 보관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이때는 선행기술 3(KR 출원번호 10-2011-0048925)과 같은 형태의 정리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들에서 벗어나 예컨대, 와이셔츠, 티셔츠, 남방셔츠 등의 옷(의류)을 전시, 보관 등의 이유로 접어야 할 경우, 세대로 접지 않으면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뿐더러 옷에 구겨짐이 심하게 발생되고, 또한 다수의 옷을 층별로 쌓아 적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한 벌의 옷을 세심하게 접을 경우, 그에 따른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옷을 쉽게 가지런히 개어 쌓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수단으로서, 선행기술 4(KR 출원번호 10-2006-0100869)와 같은 형태의 옷 클립, 예컨대 의류 폴더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 4에 개시된 의류 폴더는 옷을 정리하는 것에 중심이 맞춰진 도구로 티셔츠를 도구의 위에 올려서 셔츠를 접는 것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 4에 개시된 의류 폴더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단점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첫째, 상기 선행기술 4에 개시된 의류 폴더는 예컨대, 티셔츠를 정리하는 부분에만 한정될 수밖에 없다. 예컨대, 티셔츠를 접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접혀진 티셔츠를 사용자가 관리하는데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선행기술 4에 개시된 의류 폴더가 티셔츠를 정리하고 보관하는 기술이라 나와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옷을 접는 데만 도움을 제공할 뿐 접힌 옷을 관리 또는 정리하거나 지속적으로 정돈된 상태를 유지하는 데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둘째, 상기 선행기술 4에 개시된 의류 폴더는 옷과는 별개, 혹은 옷과 함께 보관되어야 하는데, 양쪽 날개의 부피로 인해 보관 시 불편함이 따른다.
양쪽 날개를 분리할 수도 있으나 분리된 날개 역시 별도로 관리 보관해야 하는 단점을 갖는다.
셋째, 상기 선행기술 4의 명세서에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경우에, 사출 전 용융된 플라스틱 소재 내에 냄새 제거를 위한 공지의 탈취 성분 또는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발생 성분을 내장하여 사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류를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제조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상기 선행기술 4의 경우, 위생적으로 옷을 관리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선행기술 4와 같이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장치들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많은 단점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바,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옷 클립의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1(KR 출원번호 10-2001-0026276) 선행기술 2(KR 출원번호 10-2002-0008007) 선행기술 3(KR 출원번호 10-2011-0048925) 선행기술 4(KR 출원번호 10-2006-0100869)
본 고안의 목적은, 쉽고 편리하게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옷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옷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옷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해당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지지용 플레이트; 상기 옷의 상부와 하부 중 타측에 배치되어 해당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지지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용 플레이트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용 플레이트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철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 클립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용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제1 자석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자석에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제2 자석 또는 자성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용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철 연결부에 결합되며, 펼침 상태의 상기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를 접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가 탄성적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탄성 접힘 코너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접힘 코너블록은 상기 접철 연결부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접철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다수의 끼움돌기가 위치별로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쉽고 편리하게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옷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옷을 접는 과정이 신속하고 편리하며, 옷을 일률적으로 접어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종전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단독 보관 시 혹은 옷과 함께 보관 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보관공간을 넉넉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의 접힘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펼침 상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옷 클립을 이용하여 옷을 접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옷 클립을 이용하여 접은 옷들이 보관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의 펼침 상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접힘 상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의 펼침 상태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접힘 상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의 접힘 상태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옷 클립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각각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을 접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의 펼침 상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의 접힘 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펼침 상태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옷 클립을 이용하여 옷을 접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그리고 도 8은 옷 클립을 이용하여 접은 옷들이 보관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100)은 쉽고 편리하게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옷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7의 과정으로 옷을 용이하게 접어 도 8처럼 보관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구조 설명에 앞서 옷 클립(100)의 효과를 간략하게 부연 설명한다.
앞서도 언급한 것처럼 옷을 정리하고 관리하는 '옷걸이'는 생활용품 이상의 생활필수품으로서, 가정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통상의 옷걸이에 외투 등을 걸기는 용이할 수 있다.
하지만, 티셔츠나 니트류의 옷은 옷걸이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접어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티셔츠나 니트류의 옷은 힘이 없어서 옷걸이에 걸게 되면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에, 다양한 옷들 중에서도 특히, 티셔츠나 니트류의 옷의 경우, 심혈을 기울여 반듯하게 개어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렇게 옷을 반듯하게 개어놓는다 하더라도 그 정돈된 상태가 계속 지속되기는 사실상 용이하지 않다.
특히, 티셔츠나 니트류의 옷을 개서 쌓아둔 경우, 중간의 옷을 빼내게 되면 정돈된 옷이 전부 무너지거나 흐트러질 수밖에 없어 옷들을 다시 개야 하기 때문에 주부의 입장에서, 혹은 매장을 관리하는 점원의 입장에서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이는 와이셔츠 등과 달리 티셔츠나 니트류의 옷이 힘이 없기 때문인데,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100)을 사용하여 도 3 내지 도 7처럼 옷을 접게 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100)이 힘을 제공하면서 옷이 접힌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도 8의 상태에서 설사 중간의 옷을 빼내더라도 종전처럼 쌓아둔 옷이 무너질 일은 없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옷 클립(100)을 사용하여 옷을 접은 후, 도 8처럼 쌓아 보관할 경우, 잘 정돈된 옷이 지속적으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티셔츠나 니트류의 옷에 골격이 잡혀서 흐트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수납공간을 여유롭게 활용하기에 유리하며, 특히 옷의 보관상태가 깔끔할 뿐만 아니라 옷을 쉽게 찾아 꺼낼 수 있어 소비자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100)은 제1 지지용 플레이트(110), 제2 지지용 플레이트(120), 그리고 접철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용 플레이트(110)는 옷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해당 영역을 지지하며, 제2 지지용 플레이트(120)는 옷의 상부와 하부 중 타측에 배치되어 해당 영역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지용 플레이트(110)가 옷의 하부 영역을 지지하고, 제2 지지용 플레이트(120)가 옷의 상부 영역을 지지한다.
이때, 제1 지지용 플레이트(110)와 제2 지지용 플레이트(120)의 사이즈에 따라 성인 옷을 지지할 수도 있고, 유아 옷을 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용 플레이트(110)와 제2 지지용 플레이트(120)의 사이즈가 동일하게 마련되고 있으나 제1 지지용 플레이트(110)와 제2 지지용 플레이트(120)의 사이즈는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접철 연결부(130)는 제1 지지용 플레이트(110)와 제2 지지용 플레이트(120)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제1 지지용 플레이트(110)와 제2 지지용 플레이트(120)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철 연결부(130)는 통상적인 힌지로 적용되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지지용 플레이트(110)와 제2 지지용 플레이트(120)에는 자성이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만약 자성이 포함되지 않을 때는 접철 연결부(130) 영역의 제1 지지용 플레이트(110)와 제2 지지용 플레이트(120)에 돌기홈(미도시)이 포함되어 결합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옷 클립(1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처럼 옷을 펼쳐 둔 상태에서 도 4처럼 옷에 옷 클립(100)을 펼쳐 올려 둔다.
다음, 도 5처럼 옷 클립(100)의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옷의 한 쪽 부분을 접고, 이어 도 6처럼 옷 클립(100)의 타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옷의 반대 쪽 부분을 접는다.
그런 다음, 도 7처럼 접철 연결부(130)를 기준으로 하여 옷의 하부 영역을 제1 지지용 플레이트(110)와 함께 접어 제2 지지용 플레이트(120)에 포갬으로, 간단하게 옷을 접을 수 있다. 접힌 옷들은 도 8과 같은 형태로 보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옷 클립(100)에 따르면, 쉽고 편리하게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옷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옷 클립(100)에 따르면, 효율적인 구조로 인해 옷을 접는 과정이 신속하고 편리하며, 옷을 일률적으로 접어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옷 클립(100)은 종전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단독 보관 시 혹은 옷과 함께 보관 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보관공간을 넉넉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의 펼침 상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접힘 상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200) 역시, 제1 지지용 플레이트(210), 제2 지지용 플레이트(220), 그리고 접철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지지용 플레이트(210)와 제2 지지용 플레이트(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제1 자석(241)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1 자석(241)에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제2 자석(242, 또는 자성체)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지지용 플레이트(210)와 제2 지지용 플레이트(220) 모두에 자석(241,242)이 마련되나 한 쪽은 금속 플레이트일 수도 있다.
한편, 제1 지지용 플레이트(210)와 제2 지지용 플레이트(220)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부(251,252)가 각각 마련된다.
미끄럼 방지부(251,252)는 옷과 마찰되어 옷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테이프이거나 도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옷 클립(200)이 적용되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옷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종전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단독 보관 시 혹은 옷과 함께 보관 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보관공간을 넉넉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의 펼침 상태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접힘 상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300) 역시, 제1 지지용 플레이트(310), 제2 지지용 플레이트(320), 그리고 접철 연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310,320)에 자석(341,342)과 미끄럼 방지부(351,352)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접철 연결부(330)는 힌지가 아닌 휘어질 수 있는 예컨대,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적용된다. 이럴 경우, 접철 연결부(330)가 일정한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310,320)를 접어 옷을 개는데 큰 무리는 없다.
본 실시예의 옷 클립(300)이 적용되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옷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종전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단독 보관 시 혹은 옷과 함께 보관 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보관공간을 넉넉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의 접힘 상태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옷 클립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400) 역시, 제1 지지용 플레이트(410), 제2 지지용 플레이트(420), 그리고 접철 연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접철 연결부(430)에는 펼침 상태의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410,420)를 접을 때,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410,420)가 탄성적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탄성 접힘 코너블록(450)이 마련된다.
이때, 탄성 접힘 코너블록(450)은 접철 연결부(430)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탄성 접힘 코너블록(450)이 접철 연결부(430)에 연결되어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410,420)를 접어 옷을 개는데 큰 무리는 없다.
본 실시예의 옷 클립(400)이 적용되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옷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종전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단독 보관 시 혹은 옷과 함께 보관 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보관공간을 넉넉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은 각각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을 접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500) 역시, 제1 지지용 플레이트(510), 제2 지지용 플레이트(520), 그리고 접철 연결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510,520)와 접철 연결부(530) 중 어느 하나에는 다수의 끼움돌기(Q1,P2)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다수의 끼움돌기(Q1,P2)가 위치별로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홈(Q2,P1)이 형성된다.
이럴 경우, 도 15처럼 접철 연결부(530)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510,520)를 펼치거나 도 16처럼 접철 연결부(530)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510,520)를 접는 동작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옷을 개어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옷 클립(500)이 적용되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옷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종전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단독 보관 시 혹은 옷과 함께 보관 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보관공간을 넉넉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의 펼침 상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옷 클립(600) 역시, 제1 지지용 플레이트(610), 제2 지지용 플레이트(620), 그리고 접철 연결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지지용 플레이트(610)와 제2 지지용 플레이트(620)는 길이 조절 가능한 슬라이딩 타입으로 마련된다. 예컨대, 자동차 안테나처럼 텔레스코픽 형식으로 제1 지지용 플레이트(610)와 제2 지지용 플레이트(62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옷 클립(600)을 이용해서 어른 옷이나 유아 옷 모두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확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옷 클립(600)이 적용되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옷을 접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옷을 항상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종전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단독 보관 시 혹은 옷과 함께 보관 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보관공간을 넉넉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옷 클립 110 : 제1 지지용 플레이트
120 : 제2 지지용 플레이트 130 : 접철 연결부

Claims (6)

  1. 옷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어 해당 영역을 지지하는 제1 지지용 플레이트;
    상기 옷의 상부와 하부 중 타측에 배치되어 해당 영역을 지지하는 제2 지지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용 플레이트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용 플레이트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철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접철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다수의 끼움돌기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다수의 끼움돌기가 위치별로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용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제1 자석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자석에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제2 자석 또는 자성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용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 클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 연결부에 결합되며, 펼침 상태의 상기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를 접을 때, 상기 제1 및 제2 지지용 플레이트가 탄성적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탄성 접힘 코너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 클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힘 코너블록은 상기 접철 연결부의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 클립.
  6. 삭제
KR2020150000882U 2015-02-06 2015-02-06 옷 클립 KR200479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882U KR200479381Y1 (ko) 2015-02-06 2015-02-06 옷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882U KR200479381Y1 (ko) 2015-02-06 2015-02-06 옷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381Y1 true KR200479381Y1 (ko) 2016-01-21

Family

ID=5531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882U KR200479381Y1 (ko) 2015-02-06 2015-02-06 옷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3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4597B1 (ja) * 2022-03-01 2022-07-04 啓泰 本多 衣類収納用補助具及び衣類収納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293A (ja) * 2006-05-31 2007-12-13 Yasuhiro Kono ハンガー及びキャビネ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293A (ja) * 2006-05-31 2007-12-13 Yasuhiro Kono ハンガー及びキャビネ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4597B1 (ja) * 2022-03-01 2022-07-04 啓泰 本多 衣類収納用補助具及び衣類収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135B2 (en) Method of securing towel to a rack
US20160029825A1 (en) Garment separator
US20170332782A1 (en) Contractible storage apparatus
US20170065113A1 (en) Space Saving Stackable Tangle Free Clothes Hanger System
US20140306082A1 (en) Hang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0479381Y1 (ko) 옷 클립
KR101774119B1 (ko) 접철식 옷걸이
KR101023888B1 (ko)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US20070119879A1 (en) Open clothes hangers system
GB2597704A (en) Extendable telescopic outfit hanger
KR102666674B1 (ko) 서랍 의류 정리장치
JP6484773B1 (ja) シャツ収納補助具
GB2555781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olding clothing
KR20230149008A (ko) 다용도 옷걸이 장치
CN203182358U (zh) 一种可伸缩置物架
US2547436A (en) Garment hanger
KR20190056278A (ko) 분리형 접이식 양면 행거 다리미판
KR20190060072A (ko) 접이식 다용도 옷걸이
US20160045050A1 (en) Clothes hanger
KR20240055465A (ko) 다용도 옷걸이 장치
CN211212495U (zh) 一种方便撑取和钩取衣架的衣叉
US20140252049A1 (en) Auxiliary hanging member for disposable hanger
TWI528926B (zh) 吊掛與折衣兩用衣架
CN205568587U (zh) 一种新型可折叠带夹子多功能衣架
CN204670879U (zh) 一种可拉伸折叠于一体的晾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