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522B1 -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522B1
KR101607522B1 KR1020150044345A KR20150044345A KR101607522B1 KR 101607522 B1 KR101607522 B1 KR 101607522B1 KR 1020150044345 A KR1020150044345 A KR 1020150044345A KR 20150044345 A KR20150044345 A KR 20150044345A KR 101607522 B1 KR101607522 B1 KR 101607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wedge
wire
annula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용
김중영
임종운
Original Assignee
이준용
임종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용, 임종운 filed Critical 이준용
Priority to KR102015004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 조인트 장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와 연결되는 자유 몸체; 웨지공을 갖고 상기 자유 몸체에 장착되며, 거푸집의 프레임바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지는 웨지핀; 및 상기 웨지공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joint apparatus for mold and construcion mold having the joint apparatus}
본 발명은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의 아파트나 빌딩 또는 상가 등과 같은 높은 건물을 신축함에 있어 외벽면을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방법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이 건물의 외벽면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대형 철제로 이루어진 거푸집(일명 갱폼이라고 함)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거푸집은 벽면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조립되는 판재들로 구성되고, 판재들의 가장자리에는 소정 간격으로 체결공들이 형성된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들은 상호간의 체결 수단으로 고정핀인 웨지핀(wedge pin)들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웨지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의 해체 작업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작업자는 웨지핀을 분리하기 위해 망치 등으로 웨지핀을 타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웨지핀이 튕겨지면서 해체 작업자의 신체를 가격하거나 또는 아래(바닥)로 낙하되면서 건설현장 아래에 위치한 작업자를 가격하게 된다.
둘째,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낙하되는 웨지핀들은 거의 대부분 수거되지 못하고 자재손실로 이어지게 된다.
물론, 웨지핀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및 유실 방지를 위해 작업자가 한 손으로 웨지핀을 잡고 다른 한손은 망치를 들고 두드리기도 하는데, 이는 해체 작업자의 능률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피로도를 높이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셋째, 웨지핀의 설치 및 분리 작업시 작업자가 마대 같은 곳에 수십,수백개를 담아서 운반하면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재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장에서의 취급이 용이한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와 연결되는 자유 몸체; 웨지공을 갖고 상기 자유 몸체에 장착되며, 거푸집의 프레임바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지는 웨지핀; 및 상기 웨지공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거푸집 조인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유 몸체는 상기 고정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유 몸체는 상기 고정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 플레이트에 일부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단부에 상기 웨지핀의 헤드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 조인트 장치는 상기 프레임바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는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몸체는 제1고리부; 제2고리부; 및 상기 제1고리부와 상기 제2고리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유 몸체는 상기 제2고리부와 연결되는 제3고리부; 상기 웨지핀이 고정되는 제4고리부; 및 상기 제3고리부와 상기 제4고리부를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몸체는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1고리부;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2고리부; 및 상기 제1고리부와 상기 제2고리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유 몸체는 상기 제2고리부와 연결되고,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3고리부; 상기 웨지핀이 결합되고,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4고리부; 및 상기 제3고리부와 상기 제4고리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3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4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와이어와 제4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 그리고 상기 제3와이어와 상기 제4와이어는 상기 제2고리부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웨지핀이 끼워지는 체결공과 인접한 또 다른 체결공에 결합되는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제1고리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일부가 오픈된 링형상의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고리부를 통과하여 상기 또 다른 체결공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와 상기 걸림부가 대략적인 오메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판넬; 상기 판넬의 일면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체결공들이 형성된 프레임바; 및 상기 프레임바에 설치되고, 이웃하는 거푸집의 프레임바와의 체결을 위한 조인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 장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와 연결되는 자유 몸체; 웨지공을 갖고 상기 자유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는 웨지핀; 상기 웨지공에 체결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웨지핀이 끼워지는 체결공과 인접한 또 다른 체결공에 결합되는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건축용 거푸집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몸체는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1고리부;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2고리부; 및 상기 제1고리부와 상기 제2고리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자유 몸체는 상기 제2고리부와 연결되고,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3고리부; 상기 웨지핀이 결합되고,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4고리부; 및 상기 제3고리부와 상기 제4고리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3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4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와이어와 제4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제1고리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일부가 오픈된 링형상의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고리부를 통과하여 상기 또 다른 체결공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거푸집의 해체 과정에서 낙하물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그로 인한 작업 시간 단축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웨지핀 및 고정핀의 손실을 방지하여 자재손실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의 취급이 용이하다.
도 1은 건축용 갱폼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를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인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웨지핀이 체결공으로부터 해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웨지핀이 체결공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를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인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웨지핀이 체결공으로부터 해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웨지핀이 체결공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건축용 갱폼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축용 갱폼 시스템(1)은 외부벽체(W)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내측 거푸집(일명 유로폼이라고 함)(10)과, 외부벽체(W)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외측 거푸집(일명 갱폼이라고 함)(10) 그리고, 외측 거푸집(10)에 설치되는 케이지(Cage)(20)를 포함한다. 외측 거푸집(10)에는 케이지 설치를 위해 고정 연결되는 수평(32) 및 수직바(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지(20)는 갱폼 시스템(1)에서 외측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 거푸집 설치/해체작업, 후속 미장, 치장(견출) 등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는데 필요한 작업발판(22), 안전난간(24)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벽체 거푸집에 결합된 부분을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를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인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조인트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여기서 조인트 장치는 건축용 거푸집들을 상호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예컨대, 건축용 거푸집에는 목재폼, 금속폼, 유로폼, 갱폼, 클라이밍폼, 슬라이딩폼, 슬립폼, 트레블링 폼 등의 다양한 거푸집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건축용 거푸집(10)은 판넬(12)과 판넬(12)의 일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프레임바(14) 그리고 프레임바(14)에 설치되는 조인트 장치(100)들을 포함한다. 참고로, 거푸집(10)에는 보강을 위한 수직바(18)들 및 수평바(19)들이 설치된다.
건축용 거푸집(10)의 프레임바(14)에는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16)들이 형성된다. 이 체결공(16)들은 조인트 장치(100)에 의해 이용된다.
조인트 장치(100)는 이웃하는 거푸집(10)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조인트 장치(100)는 고정 몸체(110), 자유 몸체(120), 웨지핀(130), 고정핀(140) 그리고 고정 클립(150)을 포함한다.
고정 몸체(110)는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1고리부(112),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2고리부(114) 그리고 제1고리부(112)와 제2고리부(114)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16)를 포함한다. 일 예로, 고정 몸체(110)는 제1고리부, 제2고리부 그리고 제1연결부가 와이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1연결부(116)는 일단이 제1고리부(112)의 양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고리부(114)의 양단과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와이어(117)와 제2와이어(118)를 포함한다.
제1와이어(117)와 제2와이어(118)는 제2고리부(114)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된다.
자유 몸체(120)는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3고리부(122),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4고리부(124) 그리고 제3고리부(122)와 제4고리부(124)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126)를 포함한다. 일 예로, 자유 몸체(120)는 제3고리부, 제4고리부 그리고 제2연결부가 와이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3고리부(122)는 제2고리부(114)와 연결된다. 제2고리부(114)와 제3고리부(122)는 동일평면상에서 서로 교차되는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제2고리부(114)와 제3고리부(122)의 크기는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2연결부(126)는 일단이 제3고리부(122)의 양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4고리부(124)의 양단과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와이어(127)와 제2와이어(128)를 포함한다.
제1와이어(127)와 제2와이어(128)는 제4고리부(124)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된다.
웨지핀(130)은 고정 볼트(139)에 의해 자유 몸체(120)의 제4고리부(124)에 장착된다. 웨지핀(130)은 체결공(16)에 삽입되는 핀부(132)와, 핀부(132)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고정 볼트(139)가 체결되는 너트(137)가 설치된 머리부(136)를 포함한다. 웨지핀(130)의 핀부(132)에는 웨지공(134)이 형성된다. 핀부(132)는 체결공(1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체결공(16)이 원형인 경우에는 핀부(132)는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예로, 체결공(16)이 슬릿형인 경우, 핀부(13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핀(140)은 선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드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핀(140)은 체결공(16)에 삽입되는 웨지핀(130)의 웨지공(134)에 체결된다.
연결케이블(142)는 고정핀(140)과 제3고리부(122)를 연결해주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로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 케이블(142)는 스트링, 체인 또는 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 클립(150)은 제1고리부(112)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 클립(150)은 웨지핀(130)이 끼워지는 체결공(16)과 인접한 또 다른 체결공(16a)에 결합된다. 일 예로, 고정 클립(150)은 제1고리부(11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일부가 오픈된 링형상의 헤드부(152) 및 헤드부(152)의 양단에 형성되고 제1고리부(112)를 통과하여 또 다른 체결공(16a)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154)를 포함한다. 걸림부(154)는 외측으로 곡면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사이 간격은 또 다른 체결공(16a)의 지름보다 크기 때문에 임의 이탈이 방지된다. 물론, 고정 클립을 또 다른 체결공(16a)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헤드부(152)를 잡고 걸림부(154)를 오므린 상태에서 또 다른 체결공(16a)에 삽입 고정한다.
도 4는 웨지핀이 체결공으로부터 해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웨지핀이 체결공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조인트 장치는 자유 몸체가 고정 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제2고리부(114)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웨지핀(130)을 체결공(16)에 체결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없고, 작업자가 체결공(16)으로부터 웨지핀(130)을 해체하더라도 웨지핀(130)이 자유 몸체(120)의 제4고리부(124)에 결합되어 있어서 분실이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장치(100)에 의해 이웃하는 건축용 거푸집이 상호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좌측 거푸집(10)의 체결공(16)과 우측 거푸집(10)의 체결공(16)이 일치하도록 정렬한다.
조인트 장치(100)는 고정 클립(150)이 제1고리부(112)를 통과하여 또 다른 체결공(16a)에 탄력적으로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한 다음, 웨지핀(130)을 거푸집(10)의 플랜지바(14)들에 형성된 체결공(16)들에 삽입하면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핀(140)을 핀부(132)의 웨지공(134)에 끼워넣으면 좌측 거푸집(10)과 우측 거푸집(10)이 조인트 장치(100)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조인트 장치에 의해 상호 결합된 건축용 거푸집의 해체 과정은 더욱 간단하다. 작업자가 망치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핀(140)의 아래부분을 상방향으로 타격하면, 고정핀(140)이 핀부(132)의 웨지공(134)으로부터 이탈된다. 고정핀(140)이 웨지공(134)으로부터 분리되면, 웨지핀(130)을 체결공(16)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조인트 장치의 해체가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장치를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인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조인트 장치(200)는 이웃하는 거푸집(10)들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조인트 장치(200)는 고정 몸체(210), 자유 몸체(220), 웨지핀(230), 고정핀(240) 및 베이스 플레이트(25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50)는 프레임바(14)의 내측면에 용접이나 볼트체결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몸체(2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50)의 일면에 고정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50)에는 제1홀(252)과 제2홀(2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홀(252)과 제2홀(254)은 프레임바(14)에 형성된 체결공(16)과 대응되게 제공된다. 제1홀(252)에는 고정 몸체(210)에 형성된 돌출부(212)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몸체(210)의 일단에는 힌지부(214)가 제공된다.
자유 몸체(220)는 고정 몸체(2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일 예로, 자유 몸체(220)는 고정 몸체(210)의 힌지부(2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플레이트(222)와 회동 플레이트(222)에 일부가 포개진 상태에서 회동 플레이트(22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4)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24)는 단부에 웨지핀(230)의 헤드(232)가 고정되는 고정부(226)를 포함한다. 웨지핀(230)은 볼트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고정부(226)에 고정된다.
웨지핀과 고정핀은 제1실시예에 따른 웨지핀 및 고정핀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음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조인트 장치 110 : 고정 몸체
120: 자유 몸체 130: 웨지핀
140: 고정핀 150: 고정 클립

Claims (14)

  1. 거푸집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와 연결되는 자유 몸체;
    웨지공을 갖고 상기 자유 몸체에 장착되며, 거푸집의 프레임바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지는 웨지핀; 및
    상기 웨지공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자유 몸체는
    상기 고정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 플레이트에 일부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단부에 상기 웨지핀의 헤드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인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조인트 장치는
    상기 프레임바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는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거푸집 조인트 장치.
  5. 삭제
  6. 거푸집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와 연결되는 자유 몸체;
    웨지공을 갖고 상기 자유 몸체에 장착되며, 거푸집의 프레임바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지는 웨지핀; 및
    상기 웨지공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몸체는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1고리부;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2고리부; 및
    상기 제1고리부와 상기 제2고리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인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몸체는
    상기 제2고리부와 연결되고,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3고리부;
    상기 웨지핀이 결합되고,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4고리부; 및
    상기 제3고리부와 상기 제4고리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3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4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와이어와 제4와이어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인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 그리고 상기 제3와이어와 상기 제4와이어는 상기 제2고리부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거푸집 조인트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웨지핀이 끼워지는 체결공과 인접한 또 다른 체결공에 결합되는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하는 거푸집 조인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제1고리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일부가 오픈된 링형상의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고리부를 통과하여 상기 또 다른 체결공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거푸집 조인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걸림부가 오메가 형상을 갖는 거푸집 조인트 장치.
  12. 건축용 거푸집에 있어서:
    판넬;
    상기 판넬의 일면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체결공들이 형성된 프레임바; 및
    상기 프레임바에 설치되고, 이웃하는 거푸집의 프레임바와의 체결을 위한 조인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 장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와 연결되는 자유 몸체;
    웨지공을 갖고 상기 자유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는 웨지핀;
    상기 웨지공에 체결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웨지핀이 끼워지는 체결공과 인접한 또 다른 체결공에 결합되는 고정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몸체는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1고리부;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2고리부; 및
    상기 제1고리부와 상기 제2고리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건축용 거푸집.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몸체는
    상기 제2고리부와 연결되고,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3고리부;
    상기 웨지핀이 결합되고, 일단이 개방된 링 형상의 제4고리부; 및
    상기 제3고리부와 상기 제4고리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3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4고리부의 양단과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와이어와 제4와이어를 포함하는 건축용 거푸집.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제1고리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일부가 오픈된 링형상의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고리부를 통과하여 상기 또 다른 체결공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거푸집.
KR1020150044345A 2015-03-30 2015-03-30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KR101607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345A KR101607522B1 (ko) 2015-03-30 2015-03-30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345A KR101607522B1 (ko) 2015-03-30 2015-03-30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522B1 true KR101607522B1 (ko) 2016-03-30

Family

ID=5566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345A KR101607522B1 (ko) 2015-03-30 2015-03-30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5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062A (ko) * 2019-09-11 2021-08-13 정은용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KR20220139033A (ko) 2021-04-07 2022-10-14 조석환 유로폼 결합체
KR102593095B1 (ko) 2023-01-05 2023-10-23 김부경 유로폼 십자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유로폼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062A (ko) * 2019-09-11 2021-08-13 정은용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KR102497770B1 (ko) * 2019-09-11 2023-02-07 정은용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KR20220139033A (ko) 2021-04-07 2022-10-14 조석환 유로폼 결합체
KR102593095B1 (ko) 2023-01-05 2023-10-23 김부경 유로폼 십자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유로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1869B2 (en) Dual action latching horizontal scaffold member
US9970204B2 (en) Dual latching horizontal scaffold member
KR101607522B1 (ko)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KR200475119Y1 (ko) 시스템비계
KR100918456B1 (ko) 거푸집 조인트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건축용 거푸집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JP5654710B1 (ja) 親綱支柱
KR20100123012A (ko) 건축용 비계
KR20160142928A (ko) 시스템 비계
KR101607665B1 (ko) 갱폼 고정장치
KR101552951B1 (ko) 건축용 수직 안전망
US11123586B2 (en) Safety tether anchor and system for construction workers
KR20180056176A (ko) 거푸집판 설치용 안전 체결구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200489405Y1 (ko) 맞춤형 낙하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KR20210027775A (ko) 비계시스템
KR101929462B1 (ko) 갱폼의 이탈방지레일 고정장치
KR100820218B1 (ko) 거푸집판 체결구
KR200386764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핀
KR200349955Y1 (ko) 안전난간대 설치용 강관고정장치
KR101514891B1 (ko) 슬래브 거푸집 구조
JP2014211052A (ja) 楔金具の装着具及び楔金具の装着方法
KR20110120158A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CN212002129U (zh) 一种镶入式脚手架
KR101372731B1 (ko) 작업발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