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128B1 -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128B1
KR101607128B1 KR1020130110804A KR20130110804A KR101607128B1 KR 101607128 B1 KR101607128 B1 KR 101607128B1 KR 1020130110804 A KR1020130110804 A KR 1020130110804A KR 20130110804 A KR20130110804 A KR 20130110804A KR 101607128 B1 KR101607128 B1 KR 10160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nswer
service providing
providing server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1521A (ko
Inventor
오광훈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퐁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퐁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퐁듀
Priority to KR102013011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1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로부터 답안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답안정보의 오답을 식별하고, 식별된 오답과 연관된 유사문제를 제공하기 위한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은 서비스 제공서버가 관리자단말기로부터 교육콘텐츠와 관련된 문제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문제데이터를 기 설정된 방법으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문제등록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유저단말기로부터 문제요청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문제요청메시지에 대응되는 문제데이터를 상기 유저단말기로 제공하는 문제제공단계와 상기 유저단말기가 상기 제공된 문제데이터에 대한 답안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답안전송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수신된 답안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답안정보 분석을 통해 오답문제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오답문제에 대응되는 유사문제를 추출하는 유사문제추출단계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추출된 유사문제를 상기 유저단말기로 전송하는 유사문제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각 문제데이터에 특정키워드 등록하여 특정키워드를 통해 오답과 연관된 유사문제를 제공하고, 과목 및 단원별로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오답문제가 포함된 카테고리 내의 유사문제를 제공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유사문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PROVIDING RELATED PROBLEM METHOD ABOUT INCORRECT ANSWER}
본 발명은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유저로부터 답안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답안정보의 오답을 식별하고, 식별된 오답과 연관된 유사문제를 제공하기 위한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육과 관련된 콘텐츠 정보 즉, 문제정보, 문제에 대한 해설정보 등 을 도서와 같이 인쇄된 용지를 통해 제공했다. 인쇄된 용지를 통해 교육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용지에 따른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편, 최근 전자기기 및 인터넷망의 발달로 인해 종래에 도서로 제공되던 교육관련 시스템이, 전자기기를 이용한 전자책,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교육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온라인을 통해 교육콘텐츠를 제공가능함으로써, 용지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콘텐츠를 더욱 용이하게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한국 공개특허 10-2013-0042138호(이하 '선행문헌'이라 칭함)는 학습자를 테스트하여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한 후 난이도를 결정하고 해당 난이도에 부합되는 평가 시험 결과에 따른 오답 문제와 유사한 문제, 보충문제, 되새김 자료를 추출하여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하되, 제공되는 문제지의 정해진 영역에 오답 문제, 유사한 문제, 보충 문제, 되새김 자료 등을 배열하여 학습의 능률을 배가시키도록 하며, 지속적인 테스트를 거쳐 오답이 발생할 때까지 이벤트를 진행시켜 오답 문제에 해당하는 학습 내용을 완전히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별 오답 집중 학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은 종래의 시험 문제에 대한 유사 문제를 해설지에 포함시켜 수험생들에게 제공하게 되는데, 해설지에 포함된 유사문제는 모든 수험생에 대해 동일한 것으로서, 각 수험생의 개별적인 학습 수준이나 자주 틀리는 문제 유형이 고려되지 않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학습자를 테스트하여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한 후 난이도를 결정하고 해당 난이도에 부합되는 평가 시험 결과에 따른 오답 문제와 유사한 문제, 보충 문제, 되새김 자료를 추출하여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하되, 제공되는 문제지의 정해진 영역에 오답 문제, 유사한 문제, 보충 문제, 되새김 자료 등을 배열하여 학습의 능률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하지만 선행문헌은 오답과 관련된 유사 문제의 제공이 가능하지만 각 문제에 유사문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신뢰도가 높은 유사문제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42138, 공개일자 2013년04월26일, 출원번호 10-2011-0106268, 출원일자 2011년10월18일, 발명의 명칭 : 개인별 오답 집중 학습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제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각 문제데이터에 특정키워드 등록하여 특정키워드를 통해 오답과 연관된 유사문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제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과목 및 단원별로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오답문제가 포함된 카테고리 내의 유사문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은 서비스 제공서버가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텍스트 각각을 유사 또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특정키워드로 분류하여 키워드저장부에 등록하는 키워드 등록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고유번호부여부가 상기 특정키워드에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고유번호부여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문제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키워드추출부가 상기 문제데이터의 텍스트로부터 문제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추출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식별부가 상기 추출된 문제키워드에 대한 고유번호를 식별하는 고유번호식별단계, 및 상기 문제데이터 및 문제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의 고유번호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문제저장부에 저장되는 문제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자동등록모드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섹션부가 미리 구획된 교과과목 및 교과과목의 단원별로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섹션을 구축하는 섹션 구축단계, 상기 문제데이터, 상기 문제키워드의 고유번호가 상기 섹션별로 상기 문제저장부에 저장되는 섹션별문제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수동등록모드를 포함하는 문제등록단계, 상기 문제저장부가 상기 교과과목, 상기 교과과목의 단원 및 문제생성순서에 각 대응되는 특정 숫자 또는 문자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조합하여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일련번호를 저장하는 일련번호저장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유저단말기로부터 문제요청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문제요청메시지에 대응되는 상기 문제데이터를 상기 유저단말기로 제공하는 문제제공단계, 상기 유저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일련번호 및 상기 문제데이터의 답안번호가 포함된 답안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답안전송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분석부가 상기 답안정보의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해답정보와 상기 답안번호를 비교하여 오답여부를 분석하며, 상기 오답여부에 따라 상기 답안정보의 오답문제를 인식하는 오답문제인식단계, 상기 식별부가 상기 오답문제로 인식된 상기 문제데이터의 일련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문제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고유번호 및 상기 답안정보의 일련번호를 통해 상기 오답문제의 문제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섹션을 식별하는 식별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문제추출부가 상기 식별된 고유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유사문제데이터를 상기 고유번호를 포함한 개수에 따라 매칭률을 적용시켜 상기 문제저장부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식별된 섹션에 저장되어 있는 유사문제데이터를 추출하는 유사문제추출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매칭률이 적용된 유사문제데이터 및 상기 식별된 섹션에 저장된 유사문제데이터를 상기 유저단말기로 전송하는 유사문제제공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동등록모드는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상기 구축된 각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문제데이터를 입력받는 문제입력단계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문제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각 문제데이터에 특정키워드 등록하여 특정키워드를 통해 오답과 연관된 유사문제를 제공하고, 과목 및 단원별로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오답문제가 포함된 카테고리 내의 유사문제를 제공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유사문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등록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등록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사문제추출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사문제추출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연관문제 제공시스템은 유저단말기(100), 서비스 제공서버(200), 관리자 단말기(300) 및 통신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단말기(100)는 유저가 제공받고자 문제요청메시지를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유저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답안정보를 작성하며, 문제데이터 및 답안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유저단말기(100)는 PC(Personal Computer), Laptop,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신을 위해 수 매가바이트 내지 수백 매가바이트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단말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통신부(210), 섹션부(220), 키워드추출부(230), 고유번호부여부(240), 식별부(250), 분석부(260), 문제추출부(270), 문제저장부(280), 키워드저장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유저단말기(100) 및 관리자단말기(300)와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에 유저단말기(100)로부터 답안정보를 수신하며, 답안정보에 대한 오답정보를 유저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또한,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문제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부(210)는 유,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유, 무선 통신모듈을 사용한다. 섹셕부(220)는 미리 구획된 과목 및 단원별로 카테고리를 구축하기 위한 장치이다. 키워드추출부(230)는 관리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문제데이터의 텍스트(Text)로부터 특정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고유번호부여부(240)은 키워드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특정 키워드에 고유번호를 부여하기 위한 장치이다. 식별부(250)는 특정키워드 대한 고유번호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이다. 분석부(260)은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답안정보를 분석하여 오답문제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이다. 문제추출부(270)는 오답문제에 대응되는 유사문제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문제저장부(280)는 관리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문제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키워드저장부(290)는 관리자단말기(300)로부터 지정된 특정키워드 및 특정키워드에 대응되는 고유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관리자단말기(300)는 문제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문제데이터를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관리자단말기(300)는 각 문제데이터와 연관된 유사문제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유사문제데이터를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전송한다.
통신망(300)은 유, 무선통신망이 이용하며, 이에 따라 근거리 통신망(LAN), 원거리 통신망(WAN) 및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망(CDMA, W-CDMA) 등을 이용한다.
이하 도 2 내지 6을 통해 오답에 따른 연관문제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오답에 따른 연관문제를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자동등록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수동등록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유챠트이다. 도 5는 유사문제 추출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유사문제 추출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플로유챠트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서버(200)의 통신부(210)는 관리자단말기(300)로부터 문제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문제데이터를 문제저장소(280)에 등록한다(S100). 문제데이터는 자동등록모드(S200) 또는 수동등록모드(S300)를 통해 문제저장소(280)에 저장된다. 자동등록모드 및 수동등록모드는 후술한다.
도 2를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서버(200)의 통신부(210)는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유저가 제공받고자 하는 문제요청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문제요청메시지에 대응되는 문제데이터를 유저단말기(100)로 제공한다(S400).
유저는 제공된 문제데이터에 대한 답안정보를 작성하며, 작성된 답안정보를 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한다(S500).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수신된 답안정보를 분석하여 오답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오답정보과 연관된 유사문제를 추출한다(S600). 유사문제추출단계는 후술한다. 오답정보와 연관된 유사문제는 유저단말기로 제공된다(S700).
[자동등록모드]
도 3을 통해 자동등록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관리자단말기(300)로부터 텍스트(Text)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텍스트(Text)를 특정 키워드로 등록한다(S210). 일 예로 입력된 텍스트(Text)가 '모바일 인터넷', '광인터넷', '무선 인터넷', '차세대 웹'일 경우, 입력된 '모바일 인터넷', '광인터넷', '무선 인터넷', '차세대 웹' 같은 경우는 완벽하게 동일한 의미는 아니지만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이다. 따라서 위의 입력된 텍스트 '모바일 인터넷', '광인터넷', '무선 인터넷', '차세대 웹'을 특정키워드인 '인터넷'으로 등록한다.
도 3을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서버(200)의 고유번호등록부(240)는 등록된 특정키워드에 고유번호 부여한다(S220). 앞서 S210단계처럼 특정키워드인 '인터넷'이 등록된 경우, 등록된 특정키워드 '인터넷'에 고유번호를 부여하게 된다. 일 예로 특정키워드 '인터넷' 이 고유번호 '1'이 부여되고, 또 다른 예로 '석회암동굴', '용암동굴' 및 '해식동굴'의 특정 키워드인 '동굴'에는 고유번호 '2'가 부여된다.
도 3을 살펴보면, 등록된 특정키워드 및 고유번호는 서비스 제공서버(200)의 키워드저장부(290)에 등록된다. 즉, S210 및 S220단계에서 등록된 특정키워드 '인터넷'과 '고유번호 '1' 및 특정키워드 '동굴'과 고유번호'2'는 키워드저장부에 저장된다.
도 3을 살펴보면, 문제정보가 포함된 문제데이터가 관리자단말기(300)로부터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전송된다(S240). 서비스 제공서버(200)의 키워드추출부(230)는 전송된 문제데이터의 텍스트로부터 문제키워드를 추출한다(S250). 일 예로 관리자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된 문제데이터가 '광인터넷의 장점이 아닌 것은?'과 같이 입력되었을 경우, 키워드추출부(230)는 입력된 문제데이터의 '광인터넷'으로부터 문제키워드인 '인터넷'의 추출하게 된다.
도 3을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서버의 식별부(250)는 키워드추출부(230)로부터 추출된 문제키워드의 고유번호를 식별한다(S260). 일 예로, 식별부(250)는 S250단계에서 추출된 문제키워드 '인터넷'에 대한 고유번호를 식별한다. 따라서 식별부(250)는 '인터넷'에 대한 고유번호를 키워드저장부(290)로부터 검색하여 고유번호 '1'를 식별하게 된다.
도 3을 살펴보면, 입력된 문제데이터 및 문제데이터의 고유번호는 문제저장부(280)에 저장한다(S270).
[수동등록모드]
도 4는 수동등록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섹션부(220)를 통해 미리 구획된 교과 및 단원별로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섹션을 구축한다(S310). 여기서 미리 구획된 교과 및 단원은 각 교과과목의 특정 단원을 의미한다. 각 교과과목의 특정 단원을 구획하는 일 예로, 교과과목이 '자연과학'이고, 특정단원이 '3학년 1단원'일 경우, 섹션부(210)는 '자연과학, 3-1'로 카테고리를 구축된다. 이와 같이, 카테고리는 '자연과학, 3-1', '자연과학, 3-2' 및 '자연과학, 3-3'과 같이 각 교과과목과 단원을 기준으로 구축된다.
도 4를 살펴보면, 문제데이터가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입력된다(S320). 문제데이터가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입력되는데 있어서, 관리자는 앞서 S310단계에 구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문제데이터를 입력한다. 일 예로, 관리자가 '물 분자는 어떤 원소로 이루어져 있을까요?'와 같이 자연과학 3학년 1단원에 관한 문제데이터를 입력할 경우, 관리자는 입력된 문제데이터를 카테고리 '자연과학, 3-1'로 분류하여 입력한다.
한편, 관리자는 S320단계에서 입력된 문제와 유사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S320단계에서 입력된 문제데이터와 유사한 유사문제가 있을 경우, 관리자는 유사문제를 입력한다(S340). 일 예로, '1개의 물 분자는 몇 개의 원자로 구성되어 있을까요?' 와 같이 문제는 S320단계에서 입력된 문제데이터와 유사하다, 따라서 이러한 '1개의 물 분자는 몇 개의 원자로 구성되어 있을까요?'와 같은 문제는 S320에서 입력된 문제데이터의 유사문제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관리자는 센셕별로 입력된 문제데이터와 유사데이터를 등록한다(S350).
[유사문제추출]
이하 도 5 내지 6을 통해 유사문제추출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유사문제추출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서버(200)의 분석부(260)는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답안정보를 분석하여 오답문제를 인식한다(S610A). 분석부(260)는 관리자단말기(300)로부터 답안정보를 수신하여 답안정보에 대한 문제데이터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제데이터의 답안정보의 오답여부를 분석한다. 한편, 유저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답안정보는 문제데이터에 대한 일련번호 및 문제데이터의 답안번호를 포함한다. 일 예로, 유저단말기(100)로 전송된 문제데이터가 '1개의 물 분자는 몇 개의 원자로 구성되어 있을까요?'이고 문제의 일련번호가 A31C일 경우, 답안정보에는 일련번호 'A31C'와 유저에 의해 작성한 답안번호가 포함된다. 따라서 분석부(260)는 문제저장부(280)에 저장된 일련번호 A31C의 해답정보와 유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답안정보를 비교하여 오답여부를 분석한다. 문제저장부(280)에는 문제데이터와 고유번호뿐 아니라 일련번호도 저장되어있다. 한편,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방법 일 예로 일련번호가 'A41C'일 경우, A는 교과과목을 의미하며 31은 교과과목의 단원을 의미한다. A는 자연과학이고, 31은 3학년 1단원을 의미하며, C는 문제 생성순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일련번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위의 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5를 살펴보면, 분석부(260)에 의해 답안정보가 오답으로 분석되면, 서비스 제공서버의 식별부(250)는 답안정보의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고유번호를 식별한다(S630A). 일 예로, 식별부(250)는 S620단계에서 전송된 답안정보인 일련번호 A31C를 식별하고, 문제저장부(280)에 저장된 일련번호 중 일련번호가 A31C인 문제데이터의 고유번호를 식별한다.
도 5를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서버의 문제추출부(270)는 앞서 식별된 고유번호를 통해 오답문제에 대응하는 유사문제를 추출한다(S640A). 일 예로, 앞서 S630A단계에서 A31C의 문제데이터의 고유번호가 '5'와 '8'이라면, 문제추출부(270)는 '5'와 '8'의 고유번호를 가지는 문제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문제추출부는 유사문제를 추출하는데 있어서, 고유번호의 매칭률에 따라 유사문제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5'와 '8'만을 가지고 있는 문제데이터는 유사도가 가장 높은 유사문제로, '5'와 '8'과 또 다른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는 문제는 유사도가 다소 높은 유사문제로, '5'와 '8'중 어느 하나의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는 문제는 유사도가 다소 낮은 유사문제로 분류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유사문제추출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또다른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분석부(260)는 관리자단말기(300)로부터 답안정보를 수신하여 답안정보에 대한 문제데이터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제데이터의 답안정보의 오답여부를 분석한다(S610B). 오답여부를 분석하는 방법은 위의 S610A와 동일하다.
서비스 제공서버의 식별부(250)는 앞서 답안정보의 일련번호를 통해 답안정보에 대응되는 문제데이터의 섹션을 식별한다(S620B). 일 예로, 답안정보의 일련번호가 'A31C'일 경우, 'A31C'의 문제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섹션을 식별하게 된다.
서비스 제공서버의 문제추출부(270)는 동일한 섹션에 저장된 문제정보 및 등록된 유사문제정보를 추출한다(S630B). 즉, 문제추출부(270)는 일련번호 A31C의 문제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카테고리에 속해 있는 문제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유저단말기 200 : 서비스 제공서버
210 ; 통신부 220 : 섹션부
230 : 통신부 240 : 키워드추출부
250 : 식별부 260 : 분석부
270 : 문제추출부 280 : 문제저장부
290 : 키워드저장부 300 : 관리자단말기
400 : 통신망

Claims (4)

  1. 서비스 제공서버가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텍스트 각각을 유사 또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특정키워드로 분류하여 키워드저장부에 등록하는 키워드 등록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고유번호부여부가 상기 특정키워드에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고유번호부여단계;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문제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키워드추출부가 상기 문제데이터의 텍스트로부터 문제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추출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식별부가 상기 추출된 문제키워드에 대한 고유번호를 식별하는 고유번호식별단계; 및 상기 문제데이터 및 문제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키워드의 고유번호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문제저장부에 저장되는 문제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자동등록모드;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섹션부가 미리 구획된 교과과목 및 교과과목의 단원별로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섹션을 구축하는 섹션 구축단계; 상기 문제데이터, 상기 문제키워드의 고유번호가 상기 섹션별로 상기 문제저장부에 저장되는 섹션별문제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수동등록모드;를 포함하는 문제등록단계;
    상기 문제저장부가 상기 교과과목, 상기 교과과목의 단원 및 문제생성순서에 각 대응되는 특정 숫자 또는 문자를 기 설정된 방식으로 조합하여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일련번호를 저장하는 일련번호저장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유저단말기로부터 문제요청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문제요청메시지에 대응되는 상기 문제데이터를 상기 유저단말기로 제공하는 문제제공단계;
    상기 유저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문제데이터에 대응되는 일련번호 및 상기 문제데이터의 답안번호가 포함된 답안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답안전송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분석부가 상기 답안정보의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해답정보와 상기 답안번호를 비교하여 오답여부를 분석하며, 상기 오답여부에 따라 상기 답안정보의 오답문제를 인식하는 오답문제인식단계;
    상기 식별부가 상기 오답문제로 인식된 상기 문제데이터의 일련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문제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고유번호 및 상기 답안정보의 일련번호를 통해 상기 오답문제의 문제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섹션을 식별하는 식별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의 문제추출부가 상기 식별된 고유번호를 포함하고 있는 유사문제데이터를 상기 고유번호를 포함한 개수에 따라 매칭률을 적용시켜 상기 문제저장부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식별된 섹션에 저장되어 있는 유사문제데이터를 추출하는 유사문제추출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매칭률이 적용된 유사문제데이터 및 상기 식별된 섹션에 저장된 유사문제데이터를 상기 유저단말기로 전송하는 유사문제제공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등록모드는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상기 구축된 각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문제데이터를 입력받는 문제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30110804A 2013-09-16 2013-09-16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 KR101607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04A KR101607128B1 (ko) 2013-09-16 2013-09-16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04A KR101607128B1 (ko) 2013-09-16 2013-09-16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521A KR20150031521A (ko) 2015-03-25
KR101607128B1 true KR101607128B1 (ko) 2016-03-29

Family

ID=5302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804A KR101607128B1 (ko) 2013-09-16 2013-09-16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133B1 (ko) * 2016-10-25 2017-09-05 이종호 틀린 문제의 학습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6708971B (zh) * 2016-12-02 2020-07-28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复习试题生成方法及系统
CN112749262B (zh) * 2020-07-24 2023-11-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问答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배미영. 키워드의 유사도를 이용한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521A (ko)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554B1 (ko) 학습 컨텐츠 생성 방법
US11790641B2 (en) Answer evaluation method, answer evaluation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CN106156354B (zh) 一种学习资源推荐系统
CN106909682A (zh) 题库设计方法及系统
KR101576727B1 (ko)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CN104537949A (zh) 试题管理系统和方法
CN109299399B (zh) 一种学习内容的推荐方法及终端设备
CN105225563A (zh) 一种学习数据推荐方法、装置及穿戴式学习设备
CN112651211A (zh) 标签信息确定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20130021684A (ko) 답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7128B1 (ko) 오답과 관련된 연관문제 제공방법
KR20200031005A (ko)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KR101050173B1 (ko) 온라인 독서 학습 훈련 시스템 및 방법
CN110689249A (zh) 一种数学学科素养能力综合分析系统及分析方法
CN112396897A (zh) 一种教学系统
KR20180107908A (ko)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 지원자를 위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26725A (ko) 오프라인 학습객체의 온라인 콘텐츠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120026287A (ko) 오답관리시스템 및 방법
WO2015099436A1 (ko)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CN111091035A (zh) 一种科目识别方法及电子设备
KR20140131668A (ko)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맞춤형 교육 시스템 및 방법
CN116110263B (zh) 基于电子学生证的答题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hen et al. An intelligent mobile location-aware book recommendation system with map-based guidance that enhances problem-based learning in libraries
CN114330339B (zh) 文本处理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KR20130046465A (ko) 디지털 교과서에서 등급별 학습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한 원격 교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