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968B1 -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968B1
KR101606968B1 KR1020137029127A KR20137029127A KR101606968B1 KR 101606968 B1 KR101606968 B1 KR 101606968B1 KR 1020137029127 A KR1020137029127 A KR 1020137029127A KR 20137029127 A KR20137029127 A KR 20137029127A KR 101606968 B1 KR101606968 B1 KR 101606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olymer particles
adhesive
monomer
polymerization init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836A (ko
Inventor
노리아키 아사다
히로시 나루세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8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6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61L15/58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43Mixtures of macromolecula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Abstract

[과제]
독성 및 유해성이 낮고, 높은 접착 강도를 가질뿐만 아니라, 도포할 때의 작업성이 우수하고, 형성되는 필름의 특성에도 우수한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모노머(A), 특정의 중량평균분자량 또한 특정의 체적평균입자경의 중합체 입자(B), 및 특정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또한 특정의 체적 평균 입자경의 중합체 입자(B), 및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를 함유하는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제조한다.

Description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FOR SOFT TISSUE, AND WOUND-DRESSING ADHESIVE COMPOSITION OR WOUND-DRESS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연조직 접착제, 창상 부위의 피복용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로서 여러가지 조성물, 예를 들면,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피브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알부민을 포함하는 조성물 등의 생체 유래 재료를 사용한 조성물 등이 검토되어 오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참조).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접착 강도가 큰 점에서는 우수하지만, 생체 친화성이 부족하고, 그 경화물이 가수분해하여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가 생체에 대해서 큰 독성을 나타내어 치유를 저해하는 것이 큰 문제이며, 특히 중추 신경, 혈관 등에 직접 접하는 부위에 사용할 수 없다. 또한, 경화 시간이 지극히 짧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생체 유래 재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생체 친화성이 높고 치유를 저해하기 어려운 점에서는 우수하지만, 접착 강도가 작고, 또한, 특히 피브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접착제등으로서 사용했을 경우, 조성물에 포함되는 피브린풀이 세균의 배양지가 되어 버리는 측면도 있고, 수술후, 혹은 처치 후의 감염의 위험이 있어 유해성이 염려된다.
또한, 접착제를 피부 등의 창상 부위 혹은 연조직 등에 사용하는 경우, 혹은 창상 부위에 창상 피복재를 사용하는 경우, 작업성, 감염 방지 등을 고려하면, 미리 용기 등의 안에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조제한 후, 이 조성물을 연조직, 창상 피복 부위 등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 통상이다. 그러나, 혼합 후의 상태, 예를 들면,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으면 도포하기 어렵고, 혹은 점도가 너무 낮으면 필요 부분 이외로 흐르는 등, 조성물을 도포할 때의 작업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가 중합하여 고화한 막, 즉, 필름의 특성, 예를 들면, 탄성, 인장 신장율이 적절하지 않으면 피부, 연조직 등은 유연한 피착체이기 때문에, 도포 후에 필름이 피부로부터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한 개시제로 하는 아크릴계 접착제는, 독성 및 유해성이 낮고, 높은 접착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치과 용도에 대한 전개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그러나, 그 외의 의료용도, 예를 들면, 외과 용도, 연조직 접착 용도, 창상 피복 용도 등에 사용하려고 했을 경우, 혼합 후, 적용 부위에 도포할 때까지의 조성물의 취급 안정성이나 작업성을 보다 더욱 향상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61658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051121호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9-110913호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독성 및 유해성이 낮고, 높은 접착 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도포할 때의 작업성이 뛰어나고, 그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필름의 특성이 연조직용 접착제, 창상 피복용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로서 적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연조직용 접착제, 창상 피복용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로서 적합한 조성물에 관하여 예의연구를 거듭했다. 그 결과, 모노머, 중합체, 및 특정의 중합 개시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특정의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또한 이들을 포함하는 성분의 혼합 후의 점도가 특정의 범위에 있는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 의하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이란, 생체의 피부, 근육, 장기 및 혈관 등의 연조직에 수술, 사고 등에 의해 생긴 창상부, 즉, 리단(離斷)된 조직의 표면 도포함으로써 창상부의 피부의 접착, 또한, 창상부의 일시적인 피복을 실시하는 재료의 조성물의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은, 모노머(A), 중량 평균 분자량이 21만 이상 150만 이하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1.0㎛ 이상 90㎛ 이하의 중합체 입자(B), 및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합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25만 이상 140만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체 입자(B)로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 140만 이하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1.0㎛ 이상 90㎛ 이하의 중합체 입자(B1),
중량 평균 분자량이 75만 이상 100만 미만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30㎛ 보다 크고 90㎛ 이하의 중합체 입자(B2),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만 이상 95만 이하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1.0㎛ 이상 30㎛ 이하의 중합체 입자(B3),
중량 평균 분자량이 35만 이상 70만 이하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30㎛보다도 크고 90㎛ 이하의 중합체 입자(B4),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95만 보다 크고 100만 미만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30㎛의 중합체 입자(B5)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은, 상기 (A), (B) 및 (C)의 혼합 후 30초 이내의 점도가 0.4~75,000cp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조제하여 24시간 후의, 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두께 0.1㎛ 이상, 세로 25mm 이상 또한 가로 2mm 이상의 필름이, 시험 속도 2mm/분의 조건으로 측정했을 때의 굴곡 탄성율 750MPa이하, 또한, 시험 속도 1mm/분의 조건으로 측정했을 때의 인장 신장율이 5% 이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는, 예를 들면, 중합 금지제(D),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등이 더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의 중합 금지제(D)의 함유량은, 모노머(A)에 대하여 10~5000pp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 한 양태이다.
상기 중합 금지제(D)로서는, 하이드로퀴논, 디부틸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2,6-디-tert-부틸페놀, 2,6-디-tert-부틸-p-크레졸, 카테콜, 피로갈롤, 벤조퀴논, 2-히드록시벤조퀴논, p-메톡시페놀, t-부틸카테콜,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및 t-부틸히드로퀴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은, 항감염제, 항생 물질,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진통약, 진통약의 배합물, 식욕 억제약, 구충약(anthelmintic drug), 항관절염약, 항천식약, 항경련약, 항우울약, 항이뇨약, 지사제약, 항히스타민약, 항염증약, 항편두통약제, 제구토제, 항신생물약, 항파킨슨병약, 지양약, 항정신병약, 해열약, 진경제, 항콜린 작용약, 교감신경 흥분제, 심장 혈관용 약제, 항부정맥약, 항고혈압약, 이뇨약, 혈관 확장제, 면역 억제약, 근이완제, 부교감 신경 차단약, 각성약, 진정제, 정신 안정제, 콜린 작용약, 화학요법약, 방사성 의약품, 뼈유도성약, 방광 정지성의 헤파린 중화제, 응혈원, 지혈제, 크산신(xanthine) 유도체, 호르몬, 천연 유래 또는 유전자 공학에 의해서 합성된 단백질, 다당류, 당단백질, 리보 단백질,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항체, 항원, 바소프레신, 바소프레신 유사체, 에피네프린, 셀레크틴, 응혈 촉진성의 독물,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저해제, 혈소판 활성제, 및 지혈 작용을 가지는 합성 펩티드, 및 오렌지유, 그레이프 후르츠유, 레몬유, 라임유, 정향유(丁子油), 윈터그린유, 페퍼민트유, 페퍼민트 스피릿, 바나나유출물, 오이유출물, 벌꿀유출물, 로즈워터, 멘톨, 아네톨, 살리실산 알킬, 벤즈알데히드, 글루타민산-나트륨, 에틸바닐린, 티몰, 및 바닐린 등의 향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연조직용 접착제, 창상 피복용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로서 사용하는 킷(kit)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및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각 성분이, 임의의 조합으로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수용된 부재를 가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킷은,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각각 별개로 수납되어 있고, 모노머(A)와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우선 혼합되고, 계속해서 중합체 입자(B)가 혼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킷이 중합 금지제(D)를 포함한 경우에는,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 및 중합 금지제(D)의 각 성분이, 임의의 조합으로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수용된 부재를 가지고 있다.
중합 금지제(D)를 포함한 상기 킷에서는, 모노머(A)와 중합 금지제(D)와의 혼합물,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각각 별개로 수납되고 있고, 모노머(A)와 중합 금지제(D)와의 혼합물과,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우선 혼합되고, 계속해서 중합체 입자(B)가 혼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킷에는, 상기 (A), (B), (C), 또한 필요에 따라 더욱 함유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 성분 또는 창상 피복재 성분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 사용하는 지그(治具, jig)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지그로서는, 예를 들면, 붓, 섬유구, 직물, 스펀지구, 스펀지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킷에는, 1~15중량%의 구연산과, 1~5중량%의 염화철(Ⅲ)을 포함한 접착 전 처리용 수용액이 더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의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는, 모노머(A)가 포함되어 있다. 모노머(A)로서는, 후술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에 의해 중합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노머(A)로서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단관능 모노머, 다관능 모노머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A)로서는,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그 외 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모노머(A) 중에서도, 인체에 대한 자극이 비교적 낮다는 점에서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이하,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모노머(A) 중에서도, 접착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는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모노머(A)로서 (메타)아크릴레이트(단, 산성기를 갖지 않는다)와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양태이다.
단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단, 산성기를 갖지 않는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헥실, (메타)아크릴산-2-에틸 헥실, (메타)아크릴산 도데실, (메타)아크릴산 라우릴,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벤질, (메타)아크릴산 이소보닐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5-히드록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1,2-디히드록시프로필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1,3-디히드록시프로필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에리트리톨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의 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 알킬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알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모노알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플루오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의 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
γ-(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란 등의 (메타)아크릴록시알킬기를 가지는 실란 화합물; 및
테트라히드로퍼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복소환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단, 산성기를 갖지 않는다.)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칸폴리올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부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옥시 알칸 폴리올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지환계 또는 방향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학식 1]
Figure 112013099794422-pct00001
(상기 식(1)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m 및 n은 동일 또는 달라도 되는 0~10의 수를 나타내고, R1
[화학식 2]
Figure 112013099794422-pct00002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지환계 또는 방향족 에폭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학식3]
Figure 112013099794422-pct00003
(상기 식(2)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n는 0~10의 수를 나타내고, R1
[화학식 4]
Figure 112013099794422-pct00004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및
하기 식(3)에서 표시되는 분자 중에 우레탄 결합을 가지는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학식 5]
Figure 112013099794422-pct00005
(상기 식(3)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화학식 6]
Figure 112013099794422-pct00006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도, 단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등의 (메타)아크릴산 알킬;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1,3-디히드록시프로필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에리트리톨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의 히드록시알킬 에스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내에 에틸렌글리콜쇄를 가지는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하기 식(1)-a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7]
Figure 112013099794422-pct00007
(식(1)-a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m 및 n는 동일 또는 달라도 되는 0~10의 수를 나타낸다.);
하기 식(2)-a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8]
Figure 112013099794422-pct00008
(상기 식(2)-a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및
하기 식(3)-a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9]
Figure 112013099794422-pct00009
(상기 식(3)-a 중,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및 그 무수물, 1,4-디(메타)아크릴록시에틸피로멜리트산, 6-(메타)아크릴록시에틸나프탈렌 1,2,6-트리카르복실산, N-(메타)아크릴로일-p-아미노벤조산, N-(메타)아크릴로일-o-아미노벤조산, N-(메타)아크릴로일-m-아미노벤조산, N-(메타)아크릴로일-5-아미노살리실산, N-(메타)아크릴로일-4-아미노살리실산, 4-(메타)아크릴록시에틸트리멜리트산 및 그 무수물, 4-(메타)아크릴록시부틸트리멜리트산 및 그 무수물, 4-(메타)아크릴록시헥실트리멜리트산 및 그 무수물, 4-(메타)아크릴록시데실트리멜리트산 및 그 무수물, 2-(메타)아크릴로일옥시벤조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벤조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벤조산, β-(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하이드로젠숙시네이트, β-(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하이드로디엔말레이트, β-(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하이드로디엔프탈레이트, 11-(메타)아크릴로일 옥시-1,1-운데칸데칸디카르본산, p-비닐벤조산 등의 카르본산기 또는 그 무수물기를 가지는 모노머;
(2-(메타)아크릴록시에틸)포스포릭산, (2-(메타)아크릴록시에틸페닐)포스포릭산, 10-(메타)아크릴록시데실포스포릭산 등의 인산기를 가지는 모노머; 및,
p-스티렌설폰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등의 설폰산기를 가지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중에서도, 4-메타아크릴록시에틸트리멜리트산 및 그 무수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의 접착성은 보다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는,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단, 산성기를 갖지 않는다) 및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2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8중량부의 양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범위 내에 들어가지 않은 경우는, 접착 강도 혹은 생체에 대한 친화성에 악영향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모노머(A)의 첨가량은, 모노머(A), 및 후술하는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5.9~77.7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9~73.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63.6중량부이다.
모노머(A)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고점도로 되어, 도포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모노머(A)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부족하고, 또한, 혼합물이 목적의 부위 이외로 흘러서, 치료에 지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는, 중합체 입자(B)가 더 포함되어 있다. 상기 중합체 입자(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1만 이상 150만 이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25만 이상 140만 이하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1.0㎛ 이상 90㎛ 이하이다.
이 중합체 입자(B)는, 하기 (B1)~(B5)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입자가 바람직하다.
(B1)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 140만 이하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1.0㎛ 이상 90㎛ 이하의 중합체 입자
(B2) 중량 평균 분자량이 75만 이상 100만 미만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3 0㎛보다도 크고 90㎛ 이하의 중합체 입자
(B3)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만 이상 95만 이하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1.0㎛ 이상 30㎛ 이하의 중합체 입자
(B4) 중량 평균 분자량이 35만 이상 70만 이하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30 ㎛보다도 크고 90㎛ 이하의 중합체 입자(B4)
(B5) 중량 평균 분자량이 95만 보다 크고 100만 미만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30㎛의 중합체 입자(B5)
이러한 중합체 입자(B)를 사용함으로써, 용기 내에서 중합체 입자(B)를, 모노머(A)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에 혼합할 때의 분산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용기로부터의 이들 혼합물의 압출성에도 뛰어나고, 또한, 도포할 때에 환부외에 대한 확장이 없고 도포성도 뛰어나다.
또한, 상기 중합체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초음파 호모지나이저에 의해, 중합체 입자를 분산 용매(예를 들면, 시약 특급 메탄올(굴절률 1.33)(와코순약공업사 제))에 분산시켜,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예를 들면, Microtrac MT3300EXII[Microtrac사 제] 입도 분포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만 이상 137만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만 이상 135만 이하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2)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78만 이상 100만 미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만 이상 100만 미만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3)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5만 이상 94만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만 이상 93만 이하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4)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5만 이상 69만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만 이상 68만 이하이다.
중합체 입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므로써, 용기 내에서 중합체 입자(B)를, 모노머(A)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에 혼합할 때의 분산성이 보다 뛰어난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로부터의 이들 혼합물의 압출성에도 뛰어나고, 또한 도포할 때에 환부외의 확장이 없고 도포성에도 보다 뛰어난 경향이 있다. 또한, 중합체 입자(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작은, 예를 들면 25만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도포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중합체 입자(B1)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7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6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40㎛ 이하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2)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30㎛보다도 크고 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보다도 크고 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보다도 크고 6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50㎛ 이하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3)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30㎛ 이하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4)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30㎛보다도 크고 8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보다도 크고 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보다도 크고 7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50㎛ 이하이다.
중합체 입자의 체적 평균 입자경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므로써, 용기 내에서 중합체 입자(B)를, 모노머(A)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에 혼합할 때의 분산성이 보다 뛰어난 경향에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로부터의 이들 혼합물의 압출성에도 뛰어나고, 또한 도포할 때에 환부외에 대한 확장이 없고 도포성에도 보다 뛰어난 경향이 있다. 또한, 중합체 입자(B)의 체적 평균 입자경이 너무 작은, 예를 들면 1㎛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분산성에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중합체 입자(B1)의 비표면적은, 통상 0.056㎡/g 이상 10㎡/g 이하, 바람직하게는 O.067㎡/g 이상 6.7㎡/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7㎡/g 이상 5.O㎡/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g 이상 5.O㎡/g 이하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2)의 비표면적은, 통상 O.056㎡/g 이상 0.17㎡/g 이하, 바람직하게는 0.063㎡/g 이상 0.17㎡/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0㎡/g 이상 0.17㎡/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3㎡/g 이상 0.17㎡/g 이하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3)의 비표면적은, 통상 O.17㎡/g 이상 10㎡/g 이하, 바람직하게는 0.17㎡/g 이상 6.7㎡/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7㎡/g 이상 5.O㎡/g 이하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4)의 비표면적은, 통상 O.056㎡/g 이상 0.17㎡/g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9㎡/g 이상 0.17㎡/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3㎡/g 이상 0.17㎡/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0㎡/g 이상 0.17㎡/g 이하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5)의 비표면적은, 통상 0.17㎡/g이다.
중합체 입자의 비표면적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므로써, 용기 내에서 중합체 입자(B)를, 모노머(A)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에 혼합할 때의 분산성이 보다 뛰어난 경향에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로부터의 이들 혼합물의 압출성에도 뛰어나고, 또한 도포할 때에 환부외에 대한 확장이 없고 도포성에도 보다 뛰어난 경향이 있다. 또한, 비표면적은, 액체 질소 온도하(77K)에 있어서의 질소 가스 흡착(BET법)에 의해 구한 값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를 구성하는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염화 비닐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및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실리콘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합체 중에서도, 혼합시의 균일성의 점에서는,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하,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로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비가교 중합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틸과 부타디엔계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의 가교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중합체 중, 천연 고무, 합성고무 등의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연질제로서 기능하여, 조성물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합성고무로서는, 예를 들면, EPT(에틸렌·프로필렌·터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염화 비닐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및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실리콘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의 분자량은, 통상 1000~100만, 바람직하게는 2000~50만이다. 또한 상기 엘라스토머의 유리 전이점(Tg)은, 통상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0℃ 이하이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는, 금속 산화물 혹은 금속염이, 상기 비가교 중합체 혹은 가교 중합체로 피복된 유기·무기 복합체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구한 표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환산의 분자량이다.
상기 중합체 입자(B)의 첨가량은,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7.5~72.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2.5~72.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2.5~67.5중량부이다.
중합체 입자(B)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중합이 진행하기 어려워져, 접착 효과가 부족하고, 또한, 혼합물이 목적의 부위 이외로 흘러서, 치료에 지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중합체 입자(B)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노머(A)와의 혼합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급격하게 점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용기로부터의 압출이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중합이 진행하여 신속하게 중합 경화물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고,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로서의 조작성이 뛰어나지 않은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서는, 후술하는 유기 붕소 화합물(c1)을 함유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로서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지만, 유기 붕소 화합물은, 모노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첨가하면, 비교적 빠른 단계에서, 완만하게 중합 반응이 개시하고, 중합 반응이 진행되어 가는 것에 대하여, 과산화물을 중합 개시제로서 사용했을 경우에는, 중합 개시제를 혼합해도 중합 개시까지는 비교적 긴 시간이 필요하고, 중합 반응이 일단 개시되면 급격하게 반응하여, 비교적 단시간에 완결해 버리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그 때문에, 창상부, 연조직 등에 대한 사용에 적합한 조성물로 하기 위해서는, 모노머(A)에 대해서, 본 발명의 중합체 입자(B)를 상술에 설명한 것으로 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중합체 입자(B)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장시간에 걸쳐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상부, 연조직 등에 대한 사용에 적합한 유동성, 도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은, 필수 성분으로서 유기 붕소 화합물(c1)을 함유하고, 필요에 따라 비프로톤성 용매(c2), 알코올(c3)을 함유 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붕소 화합물(c1)을 함유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 창상부, 연조직 등에 도포하여 이 조성물 전체가 경화했을 때에, 모노머(A)의 잔존이, 중합 개시제로서 과산화물을 사용한 조성물과 비교해 보다 적은 경향이 있다. 또한, 일부가 표피에 침투하여 중합을 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생체에 대한 사용에 매우 적합하다.
유기 붕소 화합물(c1)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알킬붕소, 알콕시알킬붕소, 디알킬보란 및 부분 산화트리알킬붕소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알킬붕소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붕소, 트리프로필붕소, 트리이소프로필붕소, 트리부틸붕소, 트리-sec-부틸붕소, 트리이소부틸붕소, 트리펜틸붕소, 트리헥실붕소, 트리헵틸붕소, 트리옥틸붕소, 트리시클로펜틸붕소, 트리시클로헥실붕소 등의 탄소수가 2~8의 알킬기를 가지는 트리알킬붕소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기는, 직쇄상 알킬기, 분기상 알킬기, 시클로 알킬기중 어느 하나이어도 되고, 트리알킬붕소에 포함되는 3개의 알킬기는 동일해도 달라도 된다.
알콕시알킬붕소로서는, 모노알콕시디알킬붕소, 디알콕시모노알킬붕소 등이 있다. 상기 알콕시알킬붕소로서는, 예를 들면, 부톡시디부틸붕소 등의 모노알콕시디알킬붕소를 들 수 있다. 또한, 알콕시알킬붕소가 가지는 알킬기와, 그 알콕시기의 알킬부와는 동일해도 달라도 된다.
디알킬보란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시클로헥실보란, 디이소아밀보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알킬보란이 가지는 2개의 알킬기는 동일해도 달라도 된다. 또한, 상기 디알킬보란에 포함되는 2개의 알킬기는 결합하여 단환구조 혹은 비시클로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화합물로서는, 9-보라비시클로[3.3.1] 노난 등을 들 수 있다.
부분 산화트리알킬붕소란, 상기 트리알킬붕소의 부분 산화물이다. 이 부분 산화트리알킬붕소로서는, 부분 산화 트리부틸붕소가 바람직하다. 또한, 부분 산화트리알킬붕소로서는, 트리알킬붕소 1몰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0.9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6몰의 산소를 부가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유기 붕소 화합물 중에서도, 트리부틸붕소 혹은 부분 산화 트리부틸붕소가 바람직하고, 부분 산화 트리부틸붕소가 보다 바람직하다. 트리부틸붕소, 부분 산화 트리부틸붕소를 유기 붕소 화합물(c1)로서 사용했을 경우에는, 조작성이 좋아질뿐만 아니라, 수분을 가지는 생체에 대해서 적절한 반응성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트리부틸붕소, 부분 산화 트리부틸붕소를 유기 붕소 화합물(c1)로서 사용했을 경우에는, 생체와 같이 수분이 많은 장소에서도 반응이 개시하고, 반응이 진행하기 때문에,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와 생체와의 계면에서 모노머가 잔존하기 어렵고, 그 때문에 생체에의 위해성이 지극히 적다. 이들 유기 붕소 화합물(c1)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 조성물(C)에는, 또한 비프로톤성 용매(c2)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중합 개시제 조성물(C) 중에 비프로톤성 용매가 포함되고, 유기 붕소 화합물이 희석되는 것에 의해, 발화성을 가지는 유기 붕소 화합물(c1)의 발열성이 보다 온화하게 되어, 발화성을 억제하고, 반송시, 보존시, 혼합시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발열성의 적당한 저하에 의해 지극히 다량의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급격한 발열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와 접하는 조직에 대한 데미지가 적게 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비프로톤성 용매(c2)의 1기압에 있어서의 비점은, 통상 30℃~150℃이며, 바람직하게는 50℃~120℃이다. 비점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반송시 혹은 보존 중에 중합 개시제 조성물로부터 비프로톤성 용매가 휘발, 비산 등 하여 버려, 유기 붕소 화합물(c1)의 발화 억제 효과가 저하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비점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경화물에의 비프로톤성 용매의 잔존이 많아져, 조성물의 접착 성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비프로톤성 용매(c2)로서는, 유기 붕소 화합물(c1)과 반응하지 않고, 균일한 용액을 형성할 수 있는 용매가 바람직하다.
비프로톤성 용매(c2)로서는, 예를 들면, 펜탄, 헥산, 시클로헥산, 헵탄, 벤젠,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
플루오로벤젠, 1,1-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에탄, 이른바 플론(flons)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등의 케톤;
및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등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펜탄, 헥산, 헵탄 등의 포화 지방족탄화수소, 에테르, 및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헥산, 디이소프로필에테르, 아세트산에틸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비프로톤성 용매(c2)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 조성물(C) 중의 비프로톤성 용매(c2)의 함유량은, 유기 붕소 화합물(c1) 100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0~80중량부이다.
비프로톤성 용매(c2)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의 경우에는, 충분한 희석 효과를 얻지 못하고, 발열 혹은 발화의 억제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향이 있다. 한편, 비프로톤성 용매(c2)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버리는 경우에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중합 개시능을 필요이상으로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중합 개시제 조성물(C)에는, 비프로톤성 용매(c2)에 가하여 알코올(c3)이 더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중합 개시제 조성물(C)에 알코올(c3)이 소량 첨가되는 것에 의해, 중합 활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유기 붕소 화합물(c1)에 의한 반응이 더 온화하게 되어, 공기 중에서 종이 등에 접해도 타거나 발화를 억제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알코올(c3)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및 그 이성체, n-부탄올 및 그 이성체, n-펜탄올 및 그 이성체, n-헥산올 및 그 이성체, n-헵탄올 및 그 이성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코올(c3) 중에서도, 탄소수 4 이하의 알코올, 즉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및 그 이성체, 및 n-부탄올 및 그 이성체가 바람직하고, 에탄올 및 n-프로판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알코올(c3)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 조성물(C)에 있어서의 알코올(c3)의 함유량은, 유기붕소 화합물(c1) 100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2~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4.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O.5~4중량부이다.
알코올(c3)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의 경우에는, 충분한 희석 효과를 얻지 못하고, 발열 혹은 발화의 억제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향이 있다. 한편, 알코올(c3)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버리는 경우에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중합 개시능을 필요이상으로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알코올(c3)과 비프로톤성 용매(c2)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합 개시제 조성물(C) 중의 비프로톤성 용매(c2)의 함유량은, 유기 붕소 화합물(c1) 100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40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중량부이다.
비프로톤성 용매(c2)의 함유량이, 유기 붕소 화합물(c1)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범위 미만의 경우에는, 발열 혹은 발화의 억제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향이 있다. 또한, 비프로톤성 용매(c2)의 함유량이, 유기 붕소 화합물(c1)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중합 개시능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첨가량은,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7~4.9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7~4.6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O중량부이다.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중합이 진행하기 어려워져, 접착 효과가 부족한 경향이 있다.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희석에 의해 점도를 저하시켜 버릴 가능성, 안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고, 또한 급격한 중합이 진행하여 신속하게 중합 경화물이 형성되는 일도 상정되기 때문에,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로서의 조작성이 뛰어나지 않은 경향이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는, 그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그 외 성분이 더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그 외 성분의 일례로서는 중합 금지제(D)를 들 수 있다. 상기 중합 금지제(D)로서는, 하이드로퀴논, 디부틸하이드로퀴논 등의 하이드로퀴논 화합물류나,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2,6-디-tert-부틸페놀, 2,6-디-tert-부틸-p-크레졸 등의 페놀류, 카테콜, 피로갈롤, 벤조퀴논, 2-히드록시벤조퀴논, p-메톡시페놀, t-부틸카테콜,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및 t-부틸히드로퀴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및 2,6-디-tert-부틸-p-크레졸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중합 금지제(D) 중에서도, 그 자체의 안정성이 좋다는 점에서는,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가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상기 중합 금지제(D)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금지제(D)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0~5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00ppm 첨가한다.
또한, 상기 중합 금지제(D)는, 상기 모노머(A)에 대해서, 10~5000ppm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성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종래와 비교해서, 접착제를 외과 수술시의 환부(절개부 등으로부터의 침출액에 의해 건조하고 있지 않는 환부), 창상 부위, 연조직 등의 피착체에 적용할 때에도, 도포성과 적절한 경화 시간의 확보가 뛰어나고, 접착제 및 피복재로서 안정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성이 뛰어나다.
상기 중합 금지제(D)의 첨가량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모노머(A)에 대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00ppm의 범위에서 첨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조성물을 적용시에 안정되게 취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용 후, 효율적으로 조성물을 경화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중합 금지제(D)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미만의 경우에는, 모노머(A), 중합물(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혼화 직후에 경화해 버려, 도포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중합 금지제(D)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버리는 경우에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중합 개시능을 저하시켜, 경화 시간이 필요이상으로 길어져 의료용도로서 사용이 곤란한 경향이 있다.
그 외 성분의 일례로서는,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ter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sec-부틸-5'-ter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ert-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과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과의 혼합물, 2-[3'-tert-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과 폴리에틸렌글리콜 300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 생성물, [R-CH2CH2-COOCH2]3]2-(식 중, R=3'-tert-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 등의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데실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벤질옥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및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 화합물;
살리실산 4-tert-부틸페닐,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옥틸페닐, 디벤조일레졸시놀, 비스(4-tert-부틸벤조일)레졸시놀, 벤조일레졸시놀, 2,4-디-tert-부틸페닐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tert-부틸페닐, 및 페닐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세바신산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숙신산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세바신산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 n-부틸-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과의 축합 생성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제3-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s-트리아진과의 축합 생성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오에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디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2-n-부틸-2-(2-히드록시-3,5-디-제3-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세바신산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숙신산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몰포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과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과의 축합 생성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과의 축합 생성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조스피로[4.5]데칸-2,4-디온, 및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및 3-도데실-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등의 힌더드아민 화합물;
4,4'-디옥틸옥시옥사닐라이드, 2,2'-디에톡시옥사닐라이드, 2,4'-디에톡시옥사닐라이드, 4,4'-디에톡시옥사닐라이드, 2,2'-디메톡시옥사닐라이드, 2,4'-디메톡시옥사닐라이드, 4,4'-디메톡시옥사닐라이드, 2,2'-디옥틸옥시-5,5'-디-tert-부틸옥사닐라이드, 2,2'-디도데실옥시-5,5'-디-tert-부틸옥사닐라이드, 2-에톡시-2'-에틸옥사닐라이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살아마이드, 2-에톡시-5-tert-부틸-2'-에틸옥사닐라이드, 2-에톡시-5-tert-부틸-2'-에틸옥사닐라이드와 2-에톡시-2'-에틸-5,4'-디-tert-부틸옥사닐라이드와의 혼합물 등의 옥살아마이드 화합물;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부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및 2-[4-도데실/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등의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화합물;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알킬포스파이트, 페닐디알킬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틸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제3-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펜타에리트리틸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제3-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틸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제3-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틸디포스파이트, 비스-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틸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제3-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틸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제3-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틸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소르비틸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제3-부틸페닐) 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제3 부틸-12H-디벤조[d, 9]-1,3,2-디옥사포스포신, 6-플루오로-2,4,8,10- 테트라-제3-부틸-12-메틸디벤조[d,9]-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제3-부틸-6-메틸페닐)메틸포스파이트 및 비스(2,4-디-제3-부틸-6-메틸페닐)에틸포스파이트 등의 포스파이트 화합물 또는 포스나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모노머(A)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0~1,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800ppm 첨가한다. 이와 같이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함으로써, 모노머를 포함한 액의 착색이 억제되고, 모노머 자체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
그 외 성분의 일례로서는, 또한, 가소제를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구연산 에스테르, 이소구연산에스테르, 주석산 에스테르, 사과산에스테르, 유산 에스테르, 글리세린산에스테르 및 글리콜산에스테르 등의 히드록시카르본산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트리메틸, 디벤조산디에틸렌글리콜, 말론산디에틸, o-아세틸구연산트리에틸, 프탈산벤질부틸, 디벤조산디프로필렌글리콜, 아디핀산디에틸, o-아세틸구연산트리부틸, 세바신산디메틸, 및 알킬렌글리콜디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첨가량은, 재료의 종류에 따라 적의 선택되지만, 통상,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 전체 중에서, 통상 0~30wt%, 바람직하게는 0~20wt%, 보다 바람직하게는 O~10wt% 함유하도록 사용된다.
그 외 성분의 일례로서는, 또한 보존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보존제로서는, 메틸파라벤, 메틸파라벤나트륨,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프로필파라벤나트륨,부틸파라벤;
크레졸, 클로로크레졸;
레졸시놀, 4-n-헥실레졸시놀, 3a,4,7,7a-테트라히드로-2-((트리클로로메틸)티오)-1H-이소인돌 1,3(2H)-디온;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잘코늄나트륨, 염화 벤제토늄;
벤조산, 벤질 알코올, 염화 세틸피리디늄, 클로로부탄올, 디히드로아세트산, o-페닐페놀, 페놀, 페닐에틸알코올, 벤조산칼륨, 소르빈산칼륨, 벤조산나트륨, 디히드로아세트산나트륨, 프로피온산나트륨, 소르빈산, 티메로살, 티몰;
붕산페닐 수은, 질산페닐 수은, 아세트산페닐수은 등의 페닐수은 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성분의 일례로서는, 또한 항감염제, 항생 물질, 항균제, 항바이러스제, 진통약, 진통약의 배합물, 식욕 억제약, 구충약, 항관절염약, 항천식약, 항경련약, 항우울약, 항이뇨약, 지사제약, 항히스타민약, 항염증약, 항편두통약제, 제구토제, 항신생물약, 항파킨슨병약, 지양약, 항정신병약, 해열약, 진경제, 항콜린 작용약, 교감신경 흥분제, 심장 혈관용 약제, 항부정맥약, 항고혈압약, 이뇨약, 혈관 확장제, 면역 억제약, 근이완제, 부교감 신경 차단약, 각성약, 진정제, 정신 안정제, 콜린 작용약, 화학요법약, 방사성 의약품, 뼈유도성약, 방광 정지성의 헤파린 중화제, 응혈원, 지혈제, 크산신 유도체, 호르몬, 천연 유래 또는 유전자 공학에 의해서 합성된 단백질, 다당류, 당단백질, 리보 단백질,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항체, 항원, 바소프레신, 바소프레신 유사체, 에피네프린, 셀레크틴, 응혈 촉진성의 독물,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저해제, 혈소판 활성제, 및 지혈 작용을 가지는 합성 펩티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은, 드럭·딜리버리·시스템이나 재생 의료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에는, 상기 단백질로서는, 조직 수복의 촉진 등을 목적으로 하여 혈관 형성 인자,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표피 성장 인자 등을 더 포함시켜도 된다.
상기 항균제로서는, 원소 요오드, 고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요오드, 폴리비닐 피롤리돈 요오드;
트리브로모페놀, 트리클로로페롤, 테트라클로로페놀, 니트로페놀, 3-메틸-4-클로로-페놀, 3,5-디메틸-4-클로로페놀, 페녹시에탄올, 디클로로펜, o-페닐페놀, m-페닐페놀, p-페닐페놀, 2-벤질-4-클로로페놀, 2,4-디클로로-3,5-디메틸페놀, 4-클로로티몰, 크롤펜(chlorophene), 트리클로산(triclosan), 펜티클로르(fenticlor), 페놀, 2-메틸페놀, 3-메틸페놀, 4-메틸페놀, 4-에틸페놀, 2,4-디메틸페놀, 2,5-디메틸페놀, 3,4-디메틸페놀, 2,6-디메틸페놀, 4-n-프로필페놀, 4-n-부틸페놀, 4-n-아밀페놀, 4-tert-아밀페놀, 4-n-헥실페놀, 4-n-헵틸페놀, 모노알킬할로페놀, 폴리알킬할로페놀, 방향족 할로페놀, 및 그들의 암모늄염,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토류 금속염 등의 페놀 화합물;
질산은, 헥사클로로펜, 메르브로민(merbromin), 테트라사이클린·HCl, 테트라사이클린 수화물 및 에리스로마이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그 외 성분의 일례로서는, 또한, 오렌지유, 그레이프 후르츠유, 레몬유, 라임유, 정향유, 윈터 그린유, 페퍼민트유, 페퍼민트 스피릿, 바나나유출물, 오이유출물, 벌꿀유출물, 로즈워터, 멘톨, 아네톨, 살리실산알킬, 벤즈 알데히드, 글루타민산-나트륨, 에틸바닐린, 티몰, 및 바닐린 등의 향료를 들 수 있다.
또한, 그 외 성분의 일례로서는,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유기 복합 필러, 충전제 착색제 등이 더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무기 충전재로서는, 예를 들면, 지르코늄 산화물, 비스무트 산화물, 티탄 산화물, 산화 아연, 산화 알루미늄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분말;
탄산 비스무트, 인산 지르코늄, 황산바륨 등의 금속염 분말;
실리카 유리, 알루미늄 함유 유리, 바륨 함유 유리, 스트론튬 함유 유리,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유리 등의 유리 필러;
은 서방성을 가지는 필러; 및
불소 서방성을 가지는 필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경화 후의 무기 충전재와 모노머(A)와의 사이에서 강고한 결합을 형성하는 관점에서는, 실란 처리, 폴리머 코트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한 무기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무기 충전재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외 성분의 일례로서는, 황산바륨, 산화 지르코늄 등의 X선 조영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X선 조영제로서는, 본 발명에서는 산화 지르코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은, 상기 (A), (B), (C) 및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을 혼합 후 30초 이내(혼합하고 나서 혼합 후 30초 까지의 사이의)의 점도가 0.4~75,000cp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해,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로서 도포하기 쉽다.
상기 점도는, 조작성, 유동성의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0,000cp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00cp의 범위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은, 상기 (A), (B), (C) 및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을 혼합 후 60초의 시점에서의 점도가 10~1,000,000cp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0~1,000,000cp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cp~800,000cp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것에 의해,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로서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고, 또한 도포하기 쉬운 등, 조작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로서의 조작성, 즉, 유동성 등 도포성이 뛰어나다. 또한, 과산화물을 개시제 성분으로서 사용한 조성물과 비교해도, 시술자가 혼합 조작에 필요한 시간도 보다 장시간 확보할 수 있는 경향에 있고, 그러한 점에서도 조작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상기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조제하여 24시간 후의, 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cm 이하의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세로 25mm 이상 또한 가로 2mm 이상의 필름에서는, 시험 속도 2mm/분의 조건에서 측정했을 때의 굴곡 탄성율이 바람직하게는 750M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40M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30MPa 이하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조제하여 24시간 후의, 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cm 이하의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세로 25mm 이상 또한 가로 2mm 이상의 필름에서는, 시험 속도 2mm/분의 조건으로 측정했을 때의 굴곡 탄성율이 바람직하게는 750M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M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MPa 이하이여도 된다.
또한, 상기 필름의 굴곡 탄성율은, 바람직하게는 100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MPa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조제하여 24시간 후의, 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cm 이하의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세로 25mm 이상 또한 가로 2mm 이상의 필름에서는, 시험 속도 1mm /분의 조건으로 측정했을 때의 인장 신장율이,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다.
또한, 상기 인장 신장율은,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인장 신장율은,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경화물은, 연조직이나 피부에 대한 도포막(필름)의 물성이 뛰어나고, 관절 등 굴절 개소의 피부에 대한 접착성에도 뛰어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중합 개시제 조성물(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을 미리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제작하고, 그 조성물을 창상 부위(외과 수술 시의 환부, 창상 피복 부위), 연조직 등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각 성분을 혼합할 때, 혼합되는 순서는 한정되지 않지만,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우선 모노머(A)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를 혼합하고, 계속하여 중합체 입자(B)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이 중합 금지제(D)를 포함한 경우에는, 얻어지는 조성물의 안정성이 보다 뛰어나다는 점에서는, 모노머(A)와 중합 금지제(D)와의 혼합물,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를 우선 혼합하고, 계속하여 중합체 입자(B)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경화하기 전 혹은 경화 중에, 가시광, 전리 방사선(예를 들면 γ선), 전자선 등의 전자파를 더욱 조사하여 살균처리해도 된다. 또한, 경화 조건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는 관점에서는, 가시광선 조사가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또한, 에틸렌옥사이드(EO) 및 과산화 수소 등의 가스, 드라이·히트, 스팀, 여과, 액체 등에 의한 처리, 오토클레이브 멸균 처리 등에 의해, 살균 처리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창상 부위, 연조직 등에 도포하기 전에, 미리 창상 부위, 연조직 등의 표면을 알코올 등의 소독액으로 소독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창상 부위, 연조직 등의 부위에 도포하기 전에, 접착성을 개선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전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상기 전 처리의 처리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1~15중량%의 구연산과 1~5중량%의 염화철(Ⅲ)을 포함한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은, 창상부에 대한 도포시에 중합하여 고화한 막, 예를 들면 필름처럼 되어 창상부의 접착, 창상면의 피복에 사용할 수 있다(즉, 창연을 맞춘 후에, 접착제를 창부의 표면에 도포하여, 표면과의 접착 및 경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같은 경화체의 가장자리, 또는 전체의 고정, 보호, 접착력의 유지, 증강을 목적으로 하여, 창상 부위, 연조직 표면 등에 대한 도포 시 또는 도포 후에, 필름, 시트나 종이, 반창고, 붕대, 가제 등의 피복용품을 사용해도 된다. 그들의 피복 용품은 접착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점착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창상부에 알긴산염 피복재, 하이드로겔 및 하이드로폴리머를 적용시 혹은 적용 후,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도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이 장기에 걸치는 보존, 보관에 의해 형태나 성능이 변화하고,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중합 개시제 조성물(C) 및 중합 금지제(D) 등의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각 성분을, 단독으로 혹은 임의의 조합으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부재에 수납한 연조직용 접착제, 창상 피복용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로서 사용하는 킷으로서 보존하고, 사용 전에 혼합하여 상기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납용의 부재로서는, 모노머(A)나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휘산, 비산을 막기 위해서, 예를 들면, 가스 배리어성이 있는 밀폐 가능한 수지 용기, 혹은 유리 실린지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체 입자(B)의 수납용의 부재로서는, 흡습을 막기 위한 밀폐가 양호한 수지 및 유리제 용기를 들 수 있다. 그 수납하는 양에 관해서는, 1회로 다 사용하는 사용량을 용기에 수납하는 경우와 복수회 사용하는 양을 수납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각 성분을 보존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A)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 (B)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 (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의 3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A), (B),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과, (C)와의 2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A) 및 (B)의 혼합물과, (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과의 2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A), (B),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일부의 혼합물과, (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나머지의 부분의 혼합물과의 2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A)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과, (B) 및 (C)의 혼합물과의 2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A)와, (B), (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과의 2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A)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일부의 혼합물과, (B), (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나머지의 부분의 혼합물과의 2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 금지제(D)를 포함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A)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 (B)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 (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의 3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A), (B), (D),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과, (C)와의 2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A), (B), 및 (D)의 혼합물과, (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과의 2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A), (B), (D),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일부의 혼합물과, (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나머지의 부분의 혼합물과의 2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A), (D)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과, (B) 및 (C)의 혼합물과의 2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A) 및 (D)의 혼합물과, (B), (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과의 2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A), (D)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일부의 혼합물과, (B), (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나머지의 부분의 혼합물과의 2개로 분할하여 보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모노머(A)로서,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와 산성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를 포함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보존 방법에 추가하여,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와 중합 개시제 조성물이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보존하는 방법, 예를 들면,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B),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과, 산성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 및 (C)의 혼합물과의 2로 나누어 보존하는 방법,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및 (B)의 혼합물과, 산성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 (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과의 2개로 나누어 보존하는 방법,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과, 산성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 (B), 및 (C)의 혼합물과의 2개로 나누어 보존하는 방법, 산성기를 가지는 모노머와, 산성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 (B), (C),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의 혼합물과의 2개로 나누어 보존하는 방법 등에 의해, 보존해도 된다.
이들 2개로 나눠진 것은 따로따로의, 예를 들면 실린지 등의 용기 등에 넣고, 연조직용 접착제, 창상 피복용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로서 사용하는 킷에 수용되어 제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킷은, 보관에 의해 형태나 성능이 변화하고,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될 우려가 없는 한 그 구성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각각 별개로 수납되어 있고, 모노머(A)와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우선 혼합되고, 계속해서 중합체 입자(B)가 혼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성능을 가지는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이 얻어지기 쉽다.
상기 킷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각각 별개로 수납된 부재(예를 들면, 용기, 실린지 등)와, 이들을 수납된 부재로부터 꺼내 혼합하기 위한 부재(예를 들면, 혼합 용기, 혼합 접시 등)를 가지는 킷,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하나의 용기 내의 격벽에 의해 3 이상으로 분리된 챔버에 각각 별개로 수납되어, 격벽의 파괴, 또는, 격벽의 이동에 의해 실린지에 미리 설치된 바이패스(bypass)를 모노머(A)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통과하고, 중합체 입자(B)와 혼합하는 교반유닛을 가지는 킷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킷에 중합 금지제(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노머(A)와 중합 금지제(D)를 포함한 혼합물,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각각 별개로 수납되어 있고 모노머(A)와 중합 금지제(D)를 포함한 혼합물과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우선 혼합되고, 계속해서 중합체 입자(B)가 혼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성능을 갖는 연조직용 접착제, 창상 피복용 접착제, 또는 창상 피복재가 얻어지기 쉽다.
상기 킷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노머(A)와 중합 금지제(D)를 포함한 혼합물,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각각 별개로 수납된 부재(예를 들면, 용기, 실린지 등)와, 이들을 수납된 부재로부터 꺼내 혼합하기 위한 부재(예를 들면, 혼합 용기, 혼합 접시 등)를 가지는 킷,
모노머(A)와 중합 금지제(D)를 포함한 혼합물,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하나의 용기 내의 격벽에 의해 3 이상으로 분리된 챔버에 각각 별개로 수납되어, 격벽의 파괴, 또는, 격벽의 이동에 의해 실린지에 미리 설치된 바이패스를 모노머(A)와 중합 금지제(D)를 포함한 혼합물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통과하고, 중합체 입자(B)와 혼합하는 교반유닛을 가지는 킷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 이상으로 분리된 챔버 내에 각 성분이 수납된 하나의 용기로 이루어지는 킷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두 개 이상의 부재, 전형적으로는 용기로 분할하여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수고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용기로부터 직접 조성물을 필요량만 스펀지 등의 지그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서, 혼합 용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 개시제 조성물(C) 성분의 일부 내지는 전부를, 미리,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창상 부위, 연조직 등에 도포할 때에 사용하는 지그에 함유시켜, 사용 직전에 모노머(A) 또는 모노머(A)와 중합 금지제(D)를 포함한 혼합물, 중합체 입자(B), 및 그 외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성분과 지그를 접촉시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그 자리에서 조제하고, 그대로 창상 부위, 연조직 등에 도포할 수도 있다.
창상 부위, 연조직 등에 도포하는 지그로서는, 예를 들면, 붓, 섬유구, 직물, 스펀지구, 스펀지편(조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술의 킷에는, 상술한 알코올 등의 소독액, 접착성을 개선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 전 처리용을 위한 용액, 피복용품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의 킷으로 보존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각 성분이 변질하지 않는(예를 들면, 모노머가 경화하지 않는) 조건에서, 가시광선 등의 전자파 등에 의해 멸균 처리해도 된다.
본 발명의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은, 예를 들면, 창상 부위의 봉쇄, 보호, 폐색, 연조직 이식편의 고정(접착), 지혈, 혈관을 접합하여 이음(吻合), 혈관 폐색, 기관지를 접합하여 이음, 기관지 폐색, 안과 수술 등의 생물 조직 접착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생체의 피부, 점막 등의 외피에 형성되는 창상에 직접 도포하는 것에 의해서 창상부의 개구부 등을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고, 또한, 피부 이식 시에 이식편의 이식 부위에 대한 고정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창상 피복용 접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창면에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창연을 맞춘 후에, 접착제를 창부의 표면에 도포하여, 표면과의 접착 및 경화하여 사용한다. 또한, 창상 피복으로서는, 찰과상이나 좌멸창, 좌창 등 절개면을 갖지 않는 창상부의 경우는, 환부에 직접, 도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은, 독성 및 유해성이 낮고, 높은 접착 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그 조성물을 도포할 때의 작업성이 뛰어나고, 그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필름의 특성이 연조직 접착, 창상 피복용 접착, 창상 피복재로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창상 부위에 적용했을 경우에는, 접착제가 창상부를 강고하게 접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외피의 창상 부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외피의 창상을 접합시켜, 치유 후에는 그 접착제를 외피로부터 자연스럽게 박리 시킬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로 사용하는 시료 필름의 제작법의 모식도이다.
[도 2] YMP 돼지 피부를 사용한 접착 강도평가 샘플의 제작법의 모식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9, 비교예 1~26]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기 “시약”의 항에 기재된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중합 개시제 조성물(C)를 사용하여, 하기 표 2~표 7에 기재된 배합비에 따라 조성물을 제작하고, 후술하는 평가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시약)
실시예에서는,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했다.
모노머(A): 4-META/MMA: 4-메타크릴록시에틸트리멜리트산 무수물의 메타크릴산 메틸 용액(중량비 약 5%)
중합체 입자(B):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1)~(13)의 분자량, 성상은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13099794422-pct00010
또한, PMMA(굴절률 1.49)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분산 용매로서 시약 특급 메탄올(굴절률 1.33)(와코순약공업사 제)를 사용하고, 장치 내장 초음파 호모지나이저로 5분간(출력 25W)에서 분산시켜, 장치 로딩 인덱스(loading index) 적량 범위 내의 농도 조건에 있어서, 순환 속도 50%(100% 시, 65mL/sec)로, Microtrac MT3300 EXII(Microtrac사 제 입도 분포계)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비표면적은, 오토소브(autosorb) 3(퀀타크롬사 제)을 사용하고, 액체 질소 온도 하(77K)에 있어서의 질소 가스 흡착(BET법)에 의해 구했다.
중합 개시제 조성물(C): TBB A 타입, 즉, 부분 산화 트리부틸붕소 80중량부, 헥산 19중량부, 에탄올 1중량부
(분산성의 평가)
하기 표 1의 실시예 1~29 및 비교예 1~26에 기재되는 배합비에 따라서, 중합체 입자(B)를 루어부(luer part)에 오사카케미컬사 제의 플라스틱 캡(cap)을 붙인 HENKE SASS WOLF사 제 5ml 루어락 부착 라텍스 프리 실린지로 칭량했다. 계속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된 배합비에 따라 10ml 유리제 샘플관 내에서 혼합한 모노머(A)와 중합 개시제 조성물(C)를 상기 실린지 내에 주입하고, 25℃에서, 20초간 손으로 격렬하게 진탕함으로써 교반혼합했다. 진탕 개시 5초 후 및 진탕 개시 20초 후(혼합 종료시)에 실린지 내의 혼합물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평가는, 중합체 입자(B)의 분말이, 진탕 개시 5초 후에서 확인되지 않은 경우를 4, 진탕 개시 20초 후에서 확인되지 않은 경우 3, 진탕 개시 20초 후에서 근소하게 확인되는 경우는 2, 진탕 개시 20초 후에서 대량으로 확인되는 경우는 1로 했다. 또한 분산성이 1의 경우는, 압출성 및 도포성의 평가, 점도의 측정은 실시하지 않고, 결과의 표 중에 사선을 기재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표 7에 나타냈다.
(압출성 및 도포성의 평가)
하기 표 2~표 7의 실시예 1~29 및 비교예 1~26에 기재되는 배합비에 따라서, 중합체 입자(B)를 루어 부에 오사카케미컬사 제의 플라스틱 캡을 붙인 헨케 사스 울프사 제(HENKE SASS WOLF) 5ml실린지로 칭량했다. 계속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기재의 배합비에 따라 샘플 관내에서 혼합한 모노머(A)와 중합 개시제 조성물(C)를 상기 실린지 내에 주입하고, 25℃에서 20초간 손으로 격렬하게 진탕함으로써 혼합했다. 그 후, 실린지의 캡을 제거하고, 개구부가 폭 1cm, 두께 0.5mm의 노즐을 장착하고, 얻어진 접착제 조성물(피복재 조성물) 1ml를 폴리에틸렌제 시트 상에 길이 4cm도포했다. 실린지로부터의 압출성의 평가는, 용이하게 압출 가능한 경우는 3, 양손으로 힘을 가하여 압출 가능한 경우는 2, 압출이 불가능 혹은 혼합 후, 중합체 입자(B)가 모노머(A)와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혼합물과 분리하고, 불균일하게 액체 부분이 먼저 압출되는 경우, 또한, 균일하게 분산해도 도포 후에 중합체 입자(B)가 액체 부분과 분리된 경우는 1로 했다. 평가 결과를 표 2~표 7에 나타냈다. 또한, 도포성의 평가는, 도포물의 확대의 정도의 확인(도포물의 폭)에 의해 실시했다. 도포물의 폭이 1~1.2cm는 5, 1.2cm~1.4cm는 4, 1.4cm~1.6cm는 3, 1.6cm~1.8cm는 2, 1.8cm~3cm는 1, 3cm 이상은 0으로 했다. 또한, 압출성 1의 경우는 도포성의 평가, 점도의 측정은 실시하지 않고, 결과의 표 중에 사선을 기재했다. 평가 결과를 표 2~표 7에 나타냈다.
(점도의 평가)
하기 표 1의 실시예 1~ 29 및 비교예 1~26에 기재되는 배합비에 따라서, 중합체 입자(B)를 루어부에 오사카케미컬사 제의 플라스틱 캡을 붙인 헨케 사스 울프사 제 5ml 루어락 부착 라텍스 프리 실린지로 칭량했다. 계속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의 배합비에 따라서, 10ml 유리제 샘플 관내에서 혼합한 모노머(A)와 중합 개시제 조성물(C)를 상기 실린지 내에 주입하고, 25℃에서, 20초간 손으로 격렬하게 진탕함으로써 교반혼합했다. 그 후, 실린지의 캡을 제거하고, 실린지 내로부터 얻어진 접착제 조성물(피복재 조성물)을 압출하고, 조제 후 60초 후의 접착제 조성물(피복재 조성물)의 점도를, 레오미터(HAAKE사 제, RS600)를 사용하여, 35℃에서 측정했다. 또한 점도는, 조제시에는 0.4cp 이상이며, 경시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표 7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 (A), (B), 및 (C)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로, 30초 후의 점도가 0.4cp를 하회하는 것은 도포물의 폭이 너무나 큰 것, 및 그 조성물로, 30초 후의 점도가 75000cp를 초과하는 것은 실린지에서 도포할 수 없었던 것을 확인했다.
(종합 평가)
분산성, 용기로부터의 압출성(압출성), 도포물의 확대(도포성)의 평가는, 도포성이 4이상은 AA, 도포성이 2 및 3은 A, 도포성이 1은 B, 도포성이 0 및 도포 불가는 C로 했다. 평가 결과를 표 2~표 7에 나타냈다.
(중합하여 고화한 막(필름)의 제작)
하기 표 2~표 7의 실시예 1~ 29 및 비교예 1~26에 기재되는 배합비에 따라서, 중합체 입자(B)를 루어부에 오사카케미컬사 제의 플라스틱 캡을 붙인 헨케 사스 울프사 제 5ml 루어락 부착 라텍스 프리 실린지로 칭량했다. 계속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의 배합비에 따라 샘플 관내에서 혼합한 모노머(A)와 중합 개시제 조성물(C)를 상기 실린지 내에 주입하여, 25℃에서 20초간 손으로 격렬하게 진탕함으로써 혼합했다. 그 후, 도 1에 예시되는 이하의 순서에 따라, 즉시 얻어진 접착제 조성물(피복재 조성물)을 형틀(frame)에 충전하여 시료 필름을 제작했다. 유리판 위에, PE제 루미러(Lumirror)(상표)의 시트, 두께 0.5mm의 불소 수지제 형틀(형틀 내의 크기: 세로 25mm×가로 2mm)의 순서로 포개놓았다. 이 형틀내에 조제한 접착제 조성물(피복재 조성물)을 충전했다. 충전 시에는 기포가 들어가지 않게 주의하여 작업을 실시했다. 충전 종료 후, 그 위에 또한 PE제 루미러(상표)의 시트, 유리판의 순서로 포개 놓고, 외측의 2매의 유리판의 4 모퉁이를 클립으로 고정했다. 그 후, 25℃(실온)에서 24시간 정치한 후, 형틀로부터 필름을 꺼냈다. 얻어진 필름의 표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에는, 내수 연마지 #600으로 표면을 연마하여 요철을 제거하고, 시료 필름을 제작했다. 얻어진 시료 필름의 크기는, 세로 25mm, 가로 2mm, 두께 0.5mm였다.
이 시료 필름의 굴곡 탄성율(시험 속도 2mm/분), 인장 신장율(시험 속도 1mm/분)를 오토 그래프(쉬마즈제작소사 제 EZ-S)에 의해 구했다. 또한, 이들 필름의 굴곡 탄성율 및 인장 신장율의 값은, 시료 필름 4편에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다. 그 결과, 실시예의 조성물은, 연조직용 접착제, 창상 피복용 접착제 및 창상 피복재로서 충분한 굴곡 탄성율과 인장 신장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YMP 피부를 사용한 접착 강도의 평가)
YMP 돼지 피부(일본 찰스·리버(주)사 제)를 사용하여, ASTM F2255-05에 근거하여 시험했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방층을 제거하고, 두께 2~3mm로 한 YMP 피부를 25mm(폭)×20(길이)mm로 절단하여, 종이로 양면을 닦아낸 후, 25mm(폭)×80mm(길이)의 아크릴판의 가장자리에 25mm의 폭을 맞추고, 외피가 위가 되도록 진피측을 토아고세이(주)사 제 아론알파(상표)로 첩부했다. 그 후, 아크릴판의 긴 쪽의 가장자리로부터 길이 10mm 이상의 피부(외피) 및 피부 측면으로 테프론 그리스를 도포하여, “접착제의 도포면(25mm(폭)×10m m(길이))”를 규정하여 피착체로 했다. 이 피착체는 생리 식염수에서 침수한 가제로 싸서, 밀폐 용기에 넣어 37℃에서 30분간 보온했다. 그 후, 하기 표 2~표 7의 실시예 1~29 및 비교예 1~26에 기재되는 배합비에 따라서, 중합체 입자(B)를 루어부에 오사카케미컬사 제의 플라스틱 캡을 붙인 헨케 사스 울프사 제 5ml 루어락 부착 라텍스 프리 실린지로 칭량했다. 계속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된 배합비에 따라 샘플 관내에서 혼합한 모노머(A)와 중합 개시제 조성물(C)를 상기 실린지 내에 주입하여, 25℃에서, 20초간 손으로 격렬하게 진탕함으로써 혼합했다. 그 후, 도 2에 예시되는 순서에 따라서, 즉시 얻어진 접착제 조성물(피복재 조성물)을, 상기 접착제의 도포면(25mm× 10mm)에 도포했다. 이것을 2매 제작하고, 접착제의 도포면끼리를 겹쳐, 140g의 추를 싣고, 1시간 정치했다. 그 후, 생리 식염수에 담근 가제로 싸서, 용기에 격납한 후, 37℃에서 24시간 정치하고, 접착 강도평가 샘플을 제작했다.
상기, 평가 샘플을 오토 그래프(쉬마즈제작소(주)사 제 EZ-S)에서, 시험 속도 5mm/분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4개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측정한 값의 평균치로 접착 강도를 구했다. 그 결과, 실시예의 조성물은, 연조직용 접착제, 창상 피복용 접착제 및 창상 피복재로서 충분한 접착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3099794422-pct00011
Figure 112013099794422-pct00012
Figure 112013099794422-pct00013
Figure 112013099794422-pct00014
Figure 112013099794422-pct00015
Figure 112013099794422-pct00016
11: 유리판 12: 루미러(상표) 13: 불소 수지 형틀(중앙의 백색 부분은 세로 25mm×가로 2mm의 공간을 나타내고, 여기에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충전) 21: 테프론 그리스 도포부 22: YMP 피부(외피가 위쪽) 23: 아크릴판

Claims (15)

  1.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및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을 함유하는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이고,
    중합체 입자(B)가,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만 이상 95만 이하 또한 체적 평균 입자경이 1.0㎛ 이상 19.7㎛ 이하인 중합체 입자(B3)이고,
    상기 중합체 입자(B)의 첨가량이,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및 중합개시제 조성물(C)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55.0~67.5중량부이고,
    혼합 후 60초의 시점에서의 점도가 10~1,000,000cp의 범위에 있는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B), 및 (C)의 혼합 후 30초 이내의 점도가 0.4~75,000cp의 범위에 있는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을 조제하여 24시간 후의 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두께 0.1㎛ 이상 또한 세로 25mm 이상 또한 가로 2mm 이상의 필름이, 시험 속도 2mm/분의 조건으로 측정했을 때의 굴곡 탄성율 750MPa 이하, 또한 시험 속도 1mm/분의 조건으로 측정했을 때의 인장 신장율 5%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중합 금지제(D)를 더 포함하는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금지제(D)의 함유량이 모노머(A)에 대하여 10~5000ppm인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금지제(D)가 하이드로퀴논, 디부틸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2,6-디-tert-부틸페놀, 2,6-디-tert-부틸-p-크레졸, 카테콜, 피로갈롤, 벤조퀴논, 2-히드록시벤조퀴논, p-메톡시페놀, t-부틸카테콜,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및 t-부틸히드로퀴논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8. 제1항에 기재된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및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의 각 성분이, 임의의 조합으로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수용된 부재를 가지는 연조직용 접착제 킷.
  9. 제8항에 있어서,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각각 별개로 수납되어 있고, 모노머(A)와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우선 혼합되고, 계속해서 중합체 입자(B)가 혼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조직용 접착제 킷.
  10. 제4항에 기재된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모노머(A), 중합체 입자(B),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 및 중합 금지제(D)의 각 성분이, 임의의 조합으로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수용된 부재를 가지는 연조직용 접착제 킷.
  11. 제10항에 있어서,
    모노머(A)와 중합 금지제(D)와의 혼합물, 중합체 입자(B), 및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각각 별개로 수납되어 있고, 모노머(A)와 중합 금지제(D)와의 혼합물과, 유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 조성물(C)이 우선 혼합되고, 계속해서 중합체 입자(B)가 혼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조직용 접착제 킷.
  12.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B), 및 (C)를 포함하는 접착제 성분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조성물 또는 상기 (A), (B), (C), 및 (D)를 포함하는 접착제 성분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조성물을 도포할 때에 사용하는 지그를 포함하는 연조직용 접착제 킷.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가, 붓, 섬유구, 직물, 스펀지구, 스펀지편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인 연조직용 접착제 킷.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1~15중량%의 구연산과, 1~5중량%의 염화철(Ⅲ)을 포함하는 접착 전처리용 수용액을 더 포함하는 연조직용 접착제 킷.
  15. 삭제
KR1020137029127A 2011-05-19 2012-05-09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 KR101606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12364 2011-05-19
JPJP-P-2011-112364 2011-05-19
PCT/JP2012/061823 WO2012157478A1 (ja) 2011-05-19 2012-05-09 軟組織用接着剤組成物、創傷被覆用接着剤組成物又は創傷被覆材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836A KR20130138836A (ko) 2013-12-19
KR101606968B1 true KR101606968B1 (ko) 2016-03-28

Family

ID=4717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127A KR101606968B1 (ko) 2011-05-19 2012-05-09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40086967A1 (ko)
EP (1) EP2711030A4 (ko)
JP (1) JP5797263B2 (ko)
KR (1) KR101606968B1 (ko)
CN (1) CN103533966B (ko)
BR (1) BR112013029646A2 (ko)
RU (1) RU2618911C2 (ko)
TW (1) TWI549701B (ko)
WO (1) WO2012157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3678B2 (en) * 2017-02-14 2023-10-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ndage composition dispenser
CN111617311B (zh) * 2020-06-17 2022-04-15 湖北大学 一种基于碱基自组装的强韧性自修复组织黏附水凝胶材料的制备方法及应用
CN112590342B (zh) * 2020-12-14 2022-03-08 台州市路桥瑞康家庭用品厂 一种抗菌保鲜膜及其制备工艺
CN113679876B (zh) * 2021-08-13 2022-08-12 上海恩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软组织粘合剂及其制备方法
CN115006584B (zh) * 2022-06-28 2023-11-17 浙江伽奈维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皮肤创面修复粘合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5502B1 (en) 1997-11-03 2002-11-05 Flowers Park Ltd. Kits containing cyanoacrylate compositions comprising an antimicrobial agent
US6511949B1 (en) 1996-02-07 2003-01-28 Rohto Pharmaceutical Co., Ltd. Ophthalmic composition with regulated viscosity
US20060073185A1 (en) 2002-12-13 2006-04-06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ntact lens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7358B2 (ja) * 1992-03-13 1999-04-26 三井化学株式会社 歯科用又は外科用接着充填剤
JP3472938B2 (ja) * 1993-03-09 2003-12-02 三井化学株式会社 軟組織用接着剤キット
US5981621A (en) * 1996-02-29 1999-11-09 Closure Medical Corporation Monomeric compositions effective as wound closure devices
JP3389427B2 (ja) 1995-08-10 2003-03-24 サンメディカル株式会社 歯科用または外科用接着剤およびそのための重合開始剤組成物
JP2007061658A (ja) 1996-02-29 2007-03-15 Closure Medical Corp 創傷閉鎖手段として有効な単量体組成物
JP3527033B2 (ja) * 1996-10-11 2004-05-17 サンメディカル株式会社 歯科用または外科用接着性組成物
DE10042050A1 (de) * 2000-08-26 2002-03-14 Degussa Dentalkomposite aufweisend Hybridfüllstoff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AU2003220895A1 (en) * 2002-03-28 2003-10-13 Sun Medical Co., Ltd. Paste polymerization initiator composition, dental or surgical adhesive and adhesive kit
JP4538241B2 (ja) * 2004-01-15 2010-09-08 サンメディカル株式会社 歯科用接着剤およびそのための重合開始剤組成物
JP2006051121A (ja) 2004-08-10 2006-02-23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アルブミンと生体低分子誘導体から構成される生体内分解吸収性粘着性医用材料
BR112012011951A2 (pt) * 2009-11-20 2016-05-10 Mitsui Chemicals Inc composição adesiva para tecidos moles, composição adesiva para curativo ou composição curativa
ES2666164T3 (es) * 2009-11-20 2018-05-03 Mitsui Chemicals, Inc. Composición para la reparación de tejidos duro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1949B1 (en) 1996-02-07 2003-01-28 Rohto Pharmaceutical Co., Ltd. Ophthalmic composition with regulated viscosity
US6475502B1 (en) 1997-11-03 2002-11-05 Flowers Park Ltd. Kits containing cyanoacrylate compositions comprising an antimicrobial agent
US20060073185A1 (en) 2002-12-13 2006-04-06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ntact len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97263B2 (ja) 2015-10-21
KR20130138836A (ko) 2013-12-19
RU2618911C2 (ru) 2017-05-11
CN103533966B (zh) 2016-03-09
WO2012157478A1 (ja) 2012-11-22
TWI549701B (zh) 2016-09-21
TW201300142A (zh) 2013-01-01
US20140086967A1 (en) 2014-03-27
EP2711030A1 (en) 2014-03-26
JPWO2012157478A1 (ja) 2014-07-31
EP2711030A4 (en) 2014-12-03
BR112013029646A2 (pt) 2020-08-25
CN103533966A (zh) 2014-01-22
RU2013156293A (ru) 2015-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085B1 (ko)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제 조성물
KR101463663B1 (ko) 경조직 보수용 조성물
KR101606968B1 (ko) 연조직용 접착제 조성물, 창상 피복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창상 피복재 조성물
TWI818909B (zh) 硬組織修補用組成物及硬組織修補用套組
KR102394502B1 (ko) 경조직 보수용 조성물 및 경조직 보수용 키트
CN111867640B (zh) 硬组织修补用组合物及硬组织修补用套装
JP2019162364A (ja) 硬組織補修用組成物及び硬組織補修用キット
JP2019213697A (ja) 低生体為害性硬組織補修用組成物及び硬組織補修用キット
JP2019213698A (ja) 高靱性硬組織補修用組成物及び硬組織補修用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