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344B1 - 도풍관 - Google Patents

도풍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344B1
KR101606344B1 KR1020137012060A KR20137012060A KR101606344B1 KR 101606344 B1 KR101606344 B1 KR 101606344B1 KR 1020137012060 A KR1020137012060 A KR 1020137012060A KR 20137012060 A KR20137012060 A KR 20137012060A KR 101606344 B1 KR101606344 B1 KR 101606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flow
delete delete
air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260A (ko
Inventor
슈에이 유안 리
후이 넌 수
유안 리앙 리
치아 춘 리
Original Assignee
액싱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싱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액싱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8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도풍관으로 하나의 관체와 적어도 하나의 도류부품을 포함하는데, 도류부품은 분리와 조립이 가능하며 관체의 한 출풍구에 설치된다. 도류부품은 하나의 출풍구에 대응되는 도류수로를 가지며 도류수로에는 하나의 집류단, 하나의 정류단과 하나의 도류단이 있으며, 그중 관체 내와 유통되는 기류는 집류단을 거쳐 정류단까지 유통되고 정류단을 경유하여 도류단에서 압축되어 도풍관 바깥으로 빠져 나가고 나아가 기류를 관체의 상방에서 하나의 공기벽을 형성하게 하여 공기 중의 오염원을 격리하고 흩어지게 하는 데 쓰인다.

Description

도풍관{AIRFLOW GUIDING MEMbER AND AIR DUCT WITH AIRFLOW GUIDING MEMEBER}
본 발명은 일종의 도류부품과 이 도류부품을 가진 도풍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종의 기류를 도인해 하나의 공기벽(공기발이라고도 칭함)을 형성하여 공기 중의 오염원을 격리하는 도류부품과 이 도류부품을 가진 도풍관을 일컫는다.
현재 기름연기, 납땜, 유기용제, 납, 가루먼지 혹은 특정 화학물질 등 오염원을 가진 작업장소에서 일반적으로 작업대 주변에 배기(혹은 집진)설비를 설치하고 이로써 오염원을 작업대 주변으로부터 옮겨 작업인원이 오염원을 호흡함으로써 건강에 이상을 초래되는 상황을 방지하고 있다. 재래의 흔히 보이는 배기설비는 작업대 상방에 설치되는 배기기구인데 예를 들어 주방의 레인지 상방에 설치된 레인지 후드 혹은 실험탁자 상방의 배기기구 등인데 작업대 상방의 오염원이 배기기구의 흡인을 받아 위로 유동하여 흩어지게 되고 오염원을 배기기구 내로 흡입하여 작업대 주변에서 옮겨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기기구는 작업대 상방에 매달려 설치되는 방식으로 배기기구와 작업대 사이에 상당한 거리가 존재하여 배기기구의 집결되는 효율이 오염원이 측향으로 확산되거나 혹은 외부 환경의 측풍 영향을 받아 낮아지게 되어 배기기구의 오염원의 집결작용이 효율적으로 발휘되지 못하고 나아가 부분적인 오염원이 작업대 주변으로 확산되어 작업장소에 가득 퍼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은 이전에 일종의 도연기를 제출한 바 있는데 예를 들어 미국공고 제6,752,144호 특허안에서 제시한 바, 이는 앞 기체와 좌, 우 기체를 포함하는데, 좌, 우 기체는 상호 평행하는 방식으로 각각 앞 기체와 상대되는 두 단에 상호 연접되어 도연기가 작업대에 설치될 때 앞 기체와 좌, 우 기체가 작업대의 작업구역의 주변을 둘러싸게 된다. 이밖에 앞 기체와 좌, 우 기체 내에 모터와 쥐조롱 모양의 원통바퀴를 설치하고 앞 기체와 좌, 우 기체의 외곽 측변에 다수의 진풍구를 설치하고 외곽 상방에 다수의 출풍구를 설치한다. 작동은 모터가 원통바퀴를 구동하여 기류를 형성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진풍구로부터 앞 기체와 좌, 우 기체 내로 유입시키고 출풍구로부터 위로 유출시키며 나아가 작업대와 배기기구 사이의 작업구역 주변에 하나의 무형(투명한 모양)의 공기발을 형성시켜 작업대 상방이 오염원을 흩어지게 하여 작업구역 내에서 격리시고 이로써 오염원이 측향으로 확산되거나 외부 환경에서 측풍이 불어 작업대 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배기기구의 집중효율을 높이는데 보조작용을 한다.
비록 상술한 도연기는 이미 오염원이 작업대 주변에 확산되는 문제를 해결했지만 그러나 이러한 도연기의 구성은 좀 복잡하여 생산과 제조에 있어 일정한 곤란함이 생기며 또한 생산원가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키는 문제도 여전히 해결을 기다리고 있다. 따라서 다른 한 종류의 도연기는 선풍기로 원통바퀴를 대신하는 설치방식을 채택하는데 그중 앞 기체와 좌, 우 기체는 각각 알루미늄 압축성형으로 제조한 속이 빈 관체 구조로 앞 기체와 좌, 우 기체 사이에 내부에서 서로 연통되는 도풍관 구조를 형성하며, 선풍기는 좌, 우 기체가 앞 기체와 연접되는 다른 한 단에 설치되어 선풍기가 작동할 때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하나의 기류가 형성되어 좌, 우 기체로부터 앞 기체로 유통된다. 이밖에 알루미늄 압축 과정에서 앞 기체와 좌, 우 기체 등 도풍관 구조의 상방은 함께 다수의 도류구멍을 프레스로 제조하여 기류의 출풍구로 하고 도풍관 내의 기류가 도류구멍을 경유하여 위로 유출되어 도연기 바깥으로 배출되게 하여 작업대와 배기기구 사이의 작업주변에 공기발이 형성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압축성형으로 만든 도풍관 구조는 비록 제조에서 원통바퀴를 사용한 도연기에 비해 간편하지만 그러나 알루미늄 압축성형 과정에서 도풍관에 각각 적당한 간격과 크기 혹은 방향을 가진 다수의 도류구멍을 프레스 성형하는 데는 여전히 상당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제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재래의 알루미늄 압축성형 도풍관에는 생산 원가가 지나치게 높은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상의 문제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일종의 도류부품과 이 도류부품을 가진 도풍관을 제공하는데 재래 도연기에서 사용한 도풍관의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여 도풍관의 조립에 어려움을 초래한 점을 개량하고, 재래의 알루미늄 압축성형 도풍관이 가공 제조과정에서 쉽게 적당한 간격과 크기 및 방향을 가진 도류구멍을 프레스 성형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도풍관의 제조 생산원가를 저하시킬 수 없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다.
일종의 도풍관으로 도연기에 응용되며 이 도연기는 적어도 하나의 선풍기 모듈을 포함하는데 이는 기류를 형성하는데 쓰이며 이 도풍관은 아래를 포함하되,
하나의 관체, 이는 하나의 출풍구를 가지며, 이 출풍구는 관체의 축심방향을 따라 이 고나체표면에 설치되며, 이 관체 내에는 하나의 출풍구와 연통되는 통도가 있고, 이 기류눈 통도 내로 유통되고,
적어도 하나의 도류부품은 조립식으로 이 출풍구에 배치되며 이 도류부품은 하나의 도류수로를 포함하는데 이 도류수로는 하나의 집류단, 하나의 정류단과 하나의 도류단을 포함하며, 이 정류단은 집류단과 도류단 사이에 연접되며 이 집류단의 폭은 정류단의 폭보다 크고 이 정류단의 폭은 도류단의 폭보다 크며 이 기류는 집류단에 집결되어 정류단으로 진입하고 순서에 따라 정류단을 경유하고 도류단에서 압축되어 관체 바깥으로 빠져 나간다.
또한 본 발명은 일종의 도류부품으로 하나의 도풍기의 출풍구에 배치되는데 이 도풍관 내에는 하나의 기류가 형성되는데 이 기류는 도류부품을 경유해 도풍관 바깥으로 유통되며 그 특징은 이렇다. 이 도류부품은 조립식으로 출풍구에 배치되며 이 도류부품은 하나의 도류수로를 가지는데 이 도류수로는 하나의 집류단, 하나의 정류단과 하나의 도류단을 가지며 이 정류단은 집류단과 도류단 사이에 연접되고 이 집류단의 폭은 정류단의 폭보다 크고 정ㄹ간의 폭은 도류단의 폭보다 커서 이 기류가 집류단에서 집결하여 정류단으로 진입하고 순서대로 정류단을 경유하여 도류단에서 압축되어 도풍관 바깥으로 빠져 나간다.
본 발명은 일종의 도풍관을 제시하고자 하여 하나의 도연기에 배치하는데 도연기는 적어도 하나의 선풍기 모듈을 포함하며, 이는 기류를 생성시키는 데 사용된다. 도풍관은 하나의 관체와 적어도 하나의 도류부품을 포함한다. 관체는 하나의 출풍구를 가지며 이 출풍구는 관체의 축심방향을 따라 관체 표면에 설치된다. 관체 내부에는 하나의 출풍구와 연통되는 통도가 있어 기류가 이 통도 내로 유통된다.
도류부품은 출풍구에 조립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도류부품은 하나의 도류수로를 포함하며 이 도류수로는 하나의 집류단, 하나의 정류단과 하나의 도류단을 가지고 있는데 정류단은 집류단과 도류단 사이에 연접되고 동시에 집류단의 폭은 정류단의 폭보다 크며 정류단의 폭은 도류단의 폭보다 크다. 기류는 집류단에 집결하여 정류단으로 흘러 들어가고 정류단을 경유해 도류단에서 압축되어 관체 밖으로 빠져 나온다.
본 발명은 일종의 도류부품을 제공하는데 이는 도풍관의 한 출풍구에 배치되고 도풍관 내에 하나의 기류가 형성되는데 이 기류는 도류부품을 경유해 도풍관 밖으로 유통되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도류부품은 출풍구에 조립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도류부품은 하나의 도류수로를 포함하며, 이 도류수로는 하나의 집류단, 정류단과 하나의 도류단을 가지고 있는데 정류단은 집류단과 도류단 사이에 연접되며 집류단의 폭은 정류단보다 크고 정류단의 폭은 도류단의 폭보다 크며 기류는 집류단에 집결되어 정류단으로 진입하고 정류단을 경유해 도류단에서 압축되어 도풍관 바깥으로 빠져 나간다.
본 발명의 효과는 도류수로를 도류부품에 설치하고 도류부품과 관체 사이에 조립이 가능한 배치방식을 채용하는 것을 통해 도풍관의 제조와 조립과정을 간소화하고 동시에 재래용 알루미늄 압축성형 도풍관이 도류구멍을 쉽게 가공하기 어려워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높은 결점을 극복한다. 이밖에 도류수로의 폭을 집류단, 정류단에서부터 도류단에 이르기까지 점차 축소되는 배치방식을 통해 기류가 균일하게 관체 바깥으로 빠져 나가게 하고 동시에 기류의 유속을 가속화시켜 하나의 공기벽을 형성하여 공기 중의 오염원을 격리한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 설명과 이하의 실시방식의 설명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시범하고 해석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특허 신청범위에 진일보한 해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입체 개략도.
도2a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도풍관의 분해 개략도.
도2b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도풍관의 조립 개략도.
도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도류장치의 입체 개략도.
도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도류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도류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 개략도.
도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 개략도.
도8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입체 개략도.
도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사용상태 개략도.
도10a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도풍관의 분해 개략도.
도10b는 본 발명 제4실시예의 도풍관의 조립 개략도.
도11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사용상태 개략도.
도1 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도풍관(10)은 도연기(1)에 응용되며 도연기(1)는 다수의 도풍관(10), 하나의 기체(20)와 두 개의 연접관(30)을 포함하며, 다수의 도풍관(10)은 기체(20)의 양쪽 대응되는 측에 연접되고 두 개의 연접관(30)은 각각 기체(20)의 양측에서 두 개의 도풍관(10)사이에 연접되어 기체(20)와 동일한 측에 위치한 두 개의 도풍관(10) 사이에 하나의 협각이 형성되게 하며 각각 기체(20)에 대응하여 세로배열과 가로배열을 보여준다. 기체(20)는 전기적으로 하나의 외부전원(도면에는 미 표시)에 연접되며 기체(20)는 하나의 통제판(210)을 가지고 기체(20)내부에는 하나의 전기적으로 통제판(210)에 연접되는 통제회로(도면에는 미 표시)가 설치된다. 각각의 연접관(30)에는 다수의 진풍구(310)가 설치되며 동시에 연접관(30)내에는 두 개의 선풍기(40)가 설치되고 두 개의 선풍기(40)는 각각 연접관(30)내에 두 개의 도풍관(10)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며 동시에 전기적으로 기체(20)내의 통제회로에 연접되어 두 개의 선풍기(40)가 기체(20)의 통제를 받아 전동하게 하며 이로써 하나의 기류가 형성되고 이 기류가 다수의 도풍관(10)내에 유통되게 한다.
도면 1과 2a, 2b를 참고하면, 도풍관(10)은 하나의 관체(110)와 다수의 도류부품(120)를 포함하며, 관체(110)는 하나의 속이 빈 관이며 이로써 관체(110)내에 기류가 유동하는 통도(111)가 구비된다. 관체(110)에는 하나의 출풍구(112)가 설치되고 출풍구(112)는 관체(110)표면을 뚫고 통도(111)와 서로 연통되며 그중 출풍구(112)는 관체(110)의 축심방향으로 따라 관체(110)표면에 열리게 설치되어 하나의 직사각형 모양의 출풍구(112)를 형성한다.
다수의 도류부품(120)은 플라스틱 재료에 국한되지 않고 사출성형으로 제작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성형부품이다. 다수의 도류부품(120)은 조립이 가능하게 각각의 관체(110)의 출풍구(112)에 배치되며 각각의 도류부품(120)은 하나의 본체(121), 하나의 면판(122)과 하나의 도류수로(123)를 포함하며, 본체(121)는 하나의 탑재부(1211)와 하나의 결합부(1212)를 포함하며, 면판(122)은 탑재부(1211)와 서로 대응되는 결합부(1212)의 한 측면에 설치되고 그중 면판(122)의 폭은 탑재부(1211)보다 커서 면판(122)이 탑재부(1211)의 적어도 한 측변에 돌출되게 하고 탑재부(1211)의 폭은 출풍구(112)의 폭에 맞추고 결합부(1212)의 폭보다 크게 한다. 따라서 도류부품(120)이 출풍구(112)에 배합될 때 도류부품(120)은 본체(121)로 출풍구(112)내에 상감되고 면판(122)이 탑재부(1211)의 한 측에 돌출되어 관체(110)에 기대게 되어 본체(121)가 관체(110)내에 매달리게 설치된다.
도류수로(123)는 관체(110)의 축심방향을 따라 도류부품(120)에 설치되고 관체(110)의 방향으로 도류부품(120)을 뚫고 들어가게 된다. 도류수로(123)는 하나의 집류단(1231), 하나의 정류단(1232)과 하나의 도류단(1233)을 가지고 있는데 정류단(1232)은 집류단(1231)과 도류단(1233)사이에 연접되고 집류단(1231)과 정류단(1232)은 관체(110)의 축심에 수직되고 도류단(1233)은 정류단(1232)에 경사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집류단(1231)은 본체(121)의 결합부(1212)에 대응되게 뚫고 설치되며 정류단(1232)은 본체(121)의 탑재부(1211)에 대응되게 뚫고 설치되며, 도류단(1233)은 면판(122)에 대응되게 뚫고 설치된다. 그중 정류단(1232)은 다수의 간격으로 탑재부(1211)에 배열되는 구멍길(1234)로 구성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도면4를 참고) 이 역시 집류단(1231)과 도류단(1233)으로 하나의 직사각형 도랑조의 형식으로 탑재부(1211)에 뚫고 설치된다. 이밖에 집류단(1231)의 폭은 정류단(1232)의 폭보다 크고 정류단(12320의 폭은 도류단(1233)의 폭보다 크며 집류단(1231)의 폭은 집류단(1231)으로부터 정류단(1232)의 방향을 향해 점접 좁혀져 도류수로(123)가 도류부품(120)에서 하나의 분사입 구조를 형성하게 한다.
도면1에서 도면5를 참고하면, 다수의 도류부품(120)은 상호 연통되는 방식으로 관체(110)의 축심방향으로 출풍구(112)에 배열되고 출풍구(112)에 하나의 길이가 출풍구(112)의 길이에 맞먹는 도류장치(130)가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도류부품(120)은 출풍구(112)에 대응되는 위치와 다르게 각각 하나의 돌출조각(124)과/혹은 돌출조각(124)에 맞추어지는 상감조(125)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비꼬리와 같은 모양의 홈을 가지는데 이로써 서로 이웃하는 도류부품(120) 중의 하나가 돌출조각(124)으로써 다른 하나의 도류부품(120)의 상감조(125)의 내부에 상감되어 상호 연접된다.(도면3과 도면4를 참고) 이밖에 각 도류부품(120)의 탑재부(1211)에는 적어도 하나의 뚫음구멍(1213)이 개설되고 뚫음구멍(1213)은 관체(110)의 축심방향(즉 본체(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탑재부(1211)에 뚫고 들어간다. 따라서 다수의 도류부품(120)이 직렬접속되어 배열될 때 하나의 축막대(126)를 통해 각 하나의 도류부품(120)의 뚫음구멍(1213)을 통과해 다수의 도류부품(120)이 상호 직렬로 연접되어 하나의 직사각형 도류장치(130)가 되게 한다.(도면5를 참고) 동시에 축막대(126)를 통해 다수의 도류부품(120) 사이에 지탱작용을 하게 하여 도류장치(130)의 구조 강도를 제고한다. 그중 축막대(126)의 한 단은 물림꽃무늬 구조(1261)를 가지고 있어 이로써 축막대(130)의 뚫음구멍(1213) 내에서의 마찰력을 증가하여 축막대(126)가 뚫음구멍(1213)내에서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은 다수의 도류부품(120)이 상호 직렬연접되는 방식의 다름을 통해, 그러나 다수의 도류부품(120)의 직렬연접 방식에 국한되지 않고 기타 유사한 다수의 도류부품(120)을 상호 연접하는 방식으로도 본 발명에서 제시한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1, 도면3과 도면4를 참고하면, 다수의 도류부품(120)이 상호 직렬연접된 후 기류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도류부품(120)사이의 틈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따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도류부품(120)중 하나의 탑재부(1211)에 면판(122)의 길이보다 짧게 하나의 결합부(1214)를 노출하고 또 다른 도류부품(120)의 탑재부(1211)에 면판(122)의 길이에서 연장된 하나의 상감조각(1221)을 돌출시킨다.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도류부품(120)이 상호 직렬연접될 때 그중 하나의 도류부품(120)은 상감조각(1221)을 통해 또 다른 도류부품(120)의 결합부(1214)에 가지런하게 붙여져 두 개의 도류부품(120) 사이의 접합 틈을 가리게 되고 따라서 관체(110)내의 기류가 도류수로(123)를 통과하여 유통되게 하여 관체(110)바깥으로 도인된다.
도면1, 도면2b와 도면6을 참고하면, 사용상 도연기(1)를 오염원이 쉽게 발생하는 작업대(5)에서 사용할 때, 예를 들어 화학실험탁자 혹은 주방의 조리대에 배치할 때 본 실시예 중에서는 도연기(1)를 조리대에 배치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연기(1)는 도풍관(10)으로 레인지(510)가 있는 작업대(5)를 둘러싼 작업구역(520) 주변에 설치되는데 이 작업구역(520) 상방에는 레인지 후드(6)가 대응되게 설치되고 그중 도풍관(10)에 설치된 다수의 도류부품(120)은 도류수로(123)의 도류단(1233)으로 작업구역(520) 방향을 향해 경사되게 배치되는 방식으로 관체(110)에 직렬연접 배열된다. 사용자가 기체(20)의 통제판(210)을 눌러 선풍기(40)를 회전시키면 선풍기(40)가 기류를 발생하여 관체(110)의 통도(111)내에 유통시킨다. 이때 기류는 난류의 형식으로 도류부품(120)에 유동되고 도류수로(123)의 집류단(1231)의 폭이 정류단(1232)을 향해 접접 좁아지는 영향을 받아 집류단(1231)에 집결된다. 이어서 기류는 다시 집류단(1231)을 경유해 정류단(1232)으로 유입되어 기류가 정류단(1232)의 내부구조의 도인을 받아 균일한 기류속도를 가진 질서정연하고 규칙적인 상태의 층류로 형성되게 한다. 그런 후 다시 집류단(1232)을 통해 관체(110)의 바깥으로 유통된다.
그중 정류단(1232)의 폭은 집류단(1231)보다 작고 또 도류단(1233)의 폭이 정류단(1232)보다 작아 도류수로(123)가 분사입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기류가 정류단(1232)과 도류단(1233)에 진입할 때 순서대로 정류단(1232)과 도류단(1233)의 압축을 받아 도류수로(123) 내부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키게 되고 이렇게 하여 기류가 도류단(1233)의 경사방향을 향해 관체(110)바깥으로 뿜어져 나오고 나아가 작업대(5)의 작업구역(520)주변에 하나의 공기벽(혹은 공기발)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작업구역(520)에서 요리를 할 때 발생하는 기름연기(오염원)이 공기벽에 의해 격리되어 작업구역(520)과 레인지 후드(6)사이에 제한되고 이로써 기름연기가 측향으로 확산되거나 혹은 외부공기가 불어 작업구역(520)바깥으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동시에 레인지 후드(6)의 집중효율을 촉진시켜 기름연기가 환경을 오염시키고 사용자의 건강에 위해를 조성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도풍관은 도류부품 중 도류수로로 형성된 분사입 구조를 통해 기류가 균일하게 도류부품으로부터 관체 바깥으로 흘러 나오게 하고 기류의 유속을 증가시키며 공기벽을 형성하여 공기중의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격리시킨다. 동시에 다수의 도류부품을 서로 직렬연접하는 배치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각기 다른 길이의 관체와 서로 대응되는 수량의 연접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사용자의 조립 상의 탄성과 편리성을 증가시킨다. 이밖에 도류부품과 관체 사이는 조립이 가능한 배치방식으로 도풍관의 제조와 조립 절차를 간소화하고 동시에 재래용 알루미늄 압축성형 도풍관에서 도류구멍을 쉽게 가공해 내지 못하여 증가하는 생산원가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도풍관은 상술한 실시예의 작업대 표면에 직접 가설하는 설치방식 외에 도류부품과 관체 사이의 상호 결합하는 위치의 다름을 통해 도연기를 작업대의 하방에 설치하여 작업대의 정돈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면7에서 예시한 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도풍관(10)에서 도류부품(120)의 본체(121)에 결합부(1212)의 폭을 관체(110)의 출풍구(112)의 폭에 맞추어 설치하고 동시에 탑재부(1211)를 관체(110)에 맞대어 관체(110)의 표면에 돌출시켜 관체(110)표면과 도류부품(120)의 면판(122)사이에 하나의 작업대의 두께와 맞는 거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풍관(10)의 배치에서 먼저 관체(110)를 작업대(5)의 작업면 하방에 설치하고 그런 후 다시 도류부품(120)의 결합부(1212)를 관체(110)의 출풍구(112)에 맞물리게 결합하고 면판(122)을 작업대(5)의 작업면에 맞물리게 하여 작업대(5)의 작업면이 도류부품(120)의 면판(122)과 관체(110)표면 사이에 끼여 통제되어 작업대(5)의 작업면이 정돈된 외관을 갖추게 한다.
도면8과 도면9애서 예시한 것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제시한 도풍관(10)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제1실시예의 구조는 대체적으로 동일하며 양자의 차이는 제3실시예에서 도풍관(10)을 직선형 구조를 드러내는 도연기(1)에 배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데, 이러한 직선형 구조의 도연기(1) 혹은 이에 국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인 영업식당에서 빠른 요리를 진행할 때 쓰는 레인지나 가스(510)주변에 배치한다.(도면9를 참고) 그중 도풍관(10)의 배치방식은 이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도류부품(120)의 본체(121)의 크기를 관체(110)의 출풍구(112)의 크기에 맞추어 배치하여 도풍관(10)이 단일한 도류부품(120)과 관체(110)로 구성되게 하며 나아가 관체(110)내의 기류가 도류수로(123)의 도인을 받아 유동되고 레인지(510)주변에서 하나의 공기 벽을 형성시켜 공기 중 오염원을 격리시키는 작용을 하게 만든다.
도면 10a와 10b, 도면11을 참고하면, 이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도풍관(10)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4실시예와 제3실시예는 구조에 있어 대체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양자 간의 차이로만 설명하기로 하겠다. 본 발명 제4실시에에서 제시한 도풍관(10)에서 관체(110)에 서로 이웃하는 출풍구(112)의 양측변은 각각 하나의 오목조(113)를 가지는데 오목조(113)는 관체(110)의 축심방향을 따라 연장설치되며 오목조(113)의 폭은 도류부품(120)의 면판(122)의 두께에 맞춘다. 따라서 도류부품(120)과 관체(110)가 상호 결합할 때 면판(122)이 본체(121)의 서로 대응되는 양측변에 돌출된 것을 통해 각각 관체(110)의 오목조(113)내로 상감되어 면판(122)이 오목조(113)내에 끼워져 고정되며 나아가 도류부품(120)이 관체(11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도류부품(120)이 출풍구(112)로부터 관체(110)에서 떨어져 나오는 상황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풍관(10)을 도연기(1)에 배치할 때 도연기(1)는 위로 빨라들이는 방식의 사용환경에 응용하는데, 예를 들어 작업대 표면에 위로 빨아들이는 바익을 채용하여 공기벽을 형성하는 외 이 도연기(1)는 아래로 빨아들이는 방식의 사용환경에서 예를 들어 백화점, 식당과 매장 등 가게에서 사람들이 들고 나는 문턱(7)상방에 설치하여 도풍관(10)이 아래로 빨아들여 형성한 공기벽을 통해 공기 중의 오염원을 뜨게 하여 가게 바깥으로 격리시켜 가게 내의 공기 청결도를 유지한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설명이 위와 같지만 결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어떠한 재래기술의 숙지자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본 발명의 신청범위에서 서술한 모양, 구조, 특징과 정신에 의거한 어떠한 변경도 본 발명의 신청범위에서 규정한 범위에 드는 것임을 밝혀둔다.
1: 도연기 10: 도풍관
110: 관체 111: 통도
112: 출풍구 113: 오목조
120: 도류부품 1211: 탑재부
1212: 결합부 1213: 뚫음구멍
1214: 결합구 122: 면판
1221: 상감조각 123: 도류수로
1231: 집류단 1232: 정류단
1233: 도류단 1234: 구멍길
124: 돌출조각 125: 상감조
126: 축막대 1261: 물림꽃 구조
130: 도류장치 20: 기체
210: 통제판 30: 연접관
310: 진풍구멍 40: 선풍기
5: 작업대 510: 레인지
520: 작업구역 6: 레인지 후드
7: 전동유리문

Claims (10)

  1. 관체와 도류부품이 구비된 도풍관에 있어서,
    하나의 관체(110)는, 하나의 출풍구(112)를 가지며, 상기 출풍구(112)는 관체의 축심방향을 따라 관체(110)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관체(110) 내에는 하나의 출풍구(112)와 연통되는 통도(111)가 형성된 것이며,
    도류부품(120)은 상기 관체(110)의 출풍구(112)에 배치되며, 하나의 본체(121), 하나의 면판(122)과 하나의 도류수로(123)를 포함하는데 상기 도류수로(123)는 하나의 집류단(1231), 하나의 정류단(1232)과 하나의 도류단(1233)을 가지며, 상기 정류단(1232)은 집류단(1231)과 도류단(1233) 사이에 연접되며 집류단(1231)의 폭은 정류단의 폭보다 크고 정류단(1232)의 폭은 도류단(1233)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21)는 하나의 결합부(1212)와 하나의 탑재부(1211)가 상하방향의 탈착식으로 끼워지며, 면판(122)은 탑재부(1211)와 서로 대응되는 결합부(1212)의 한 측면에 설치되고, 면판(122)의 폭은 탑재부(1211)보다 커서 면판(122)이 탑재부(1211)의 한 측면에 돌출되게 하고, 탑재부(1211)의 폭은 출풍구(112)의 폭에 맞추고 결합부(121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도류부품(120)은 적어도 하나의 뚫음구멍(1213)과 하나의 축막대(126)를 가지고 상기 뚫음구멍(1213)은 관체(110)의 축방향을 따라 탑재부(1211)를 뚫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풍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7012060A 2010-11-26 2010-11-26 도풍관 KR101606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0/001896 WO2012068706A1 (zh) 2010-11-26 2010-11-26 导流元件及具有此导流元件的导风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260A KR20130089260A (ko) 2013-08-09
KR101606344B1 true KR101606344B1 (ko) 2016-03-28

Family

ID=4614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060A KR101606344B1 (ko) 2010-11-26 2010-11-26 도풍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220299A1 (ko)
JP (1) JP5604600B2 (ko)
KR (1) KR101606344B1 (ko)
WO (1) WO2012068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457B1 (ko) * 2011-11-17 2019-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US20140116414A1 (en) * 2012-10-29 2014-05-01 Broan-Nutone Llc Custom range hood system and method
CN104776476B (zh) * 2015-04-16 2017-03-01 清华大学 一种基于室内pm2.5和co2控制的双功能厨房气幕式油烟机
ITUB20151068A1 (it) * 2015-05-27 2016-11-27 Tre P Eng S R L Piano di cottura soffiante
EP3358259B1 (en) * 2017-02-02 2020-01-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Kitchen assembly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ir stream
CN107860046A (zh) * 2017-12-26 2018-03-30 三立安薪(北京)科技有限公司 导烟机
CN109945266A (zh) * 2019-04-22 2019-06-28 孙善民 一种平衡式污染物清洁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6241A (ja) * 2001-12-04 2003-05-30 Mitsuo Sato エアーカーテン形成装置
KR200349120Y1 (ko) 2004-01-30 2004-04-30 슈에이-유안 리 배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26Y2 (ja) * 1989-06-08 1995-02-01 株式会社丸山産業 ライン型吹出口用ボックス
JPH03159608A (ja) * 1989-11-20 1991-07-09 Japan Air Curtain Corp エアーカーテン及び空気清浄機構付椅子
WO1998022755A1 (en) * 1996-11-21 1998-05-28 Kim Byong Duk Ventilation device with air curtain effect
CN2456065Y (zh) * 2000-12-28 2001-10-24 李衍佑 喷射气流导航装置
US6450879B1 (en) * 2001-10-29 2002-09-17 Yeong-Nian Suen Air curtain generator
JP2003207184A (ja) * 2002-01-11 2003-07-25 Sekisui House Ltd 給排型厨房換気装置の給気吹出し構造
CN2627385Y (zh) * 2003-06-20 2004-07-21 卢忠辉 风帘式油烟防逸装置
CN1693765A (zh) * 2005-06-29 2005-11-09 杨伟 油烟导流机
CN2861844Y (zh) * 2006-01-01 2007-01-2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用于形成风幕的出风装置
CN201255452Y (zh) * 2008-07-11 2009-06-10 安薪实业有限公司 气帘机结构
US20100095949A1 (en) * 2008-10-17 2010-04-22 Rong Fung Huang Pollutant removing device and oblique single air curtain range hood using th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6241A (ja) * 2001-12-04 2003-05-30 Mitsuo Sato エアーカーテン形成装置
KR200349120Y1 (ko) 2004-01-30 2004-04-30 슈에이-유안 리 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20299A1 (en) 2013-08-29
KR20130089260A (ko) 2013-08-09
JP2013543102A (ja) 2013-11-28
JP5604600B2 (ja) 2014-10-08
WO2012068706A1 (zh)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344B1 (ko) 도풍관
CN101825100B (zh) 风扇组件
CN201884310U (zh) 风扇组件
CN203907874U (zh) 气流交换装置
CN203550108U (zh) 气流交换装置
TWI659145B (zh) 廠房散熱結構
DE60128649D1 (de) Staubsauger mit schallgedämpftem, entfernbarem Gebläse
JP2017115629A (ja) 送風装置および送風機能付空気清浄装置
CN111195637B (zh) 一种新型内补风排风柜
CN103883567A (zh) 一种无叶片的智能空气护理系统
JP2018135765A (ja) 送風装置および空気清浄機能付送風装置
CN206860552U (zh) 一种消音通风机以及粮仓通风装置
CN111692702B (zh) 一种空调嵌入式智能语音交互模块
CN108826673B (zh) 一种离心风机反置安装的取暖器
TWI384187B (zh) 導流元件及具有此導流元件之導風管
CN203409427U (zh) 一种激光切割机用激光头结构
CN220611582U (zh) 除尘装置
CN206846956U (zh) 吸顶式过滤箱以及新风系统
CN110560447B (zh) 实验室集成式实验通风柜
CN220718070U (zh) 激光装置及激光加工设备
CN215872477U (zh) 一种具有冷却温控结构的供电控制屏
CN206779708U (zh) 一种模板机的激光装置
CN216598526U (zh) 一种恒温恒湿系统控制柜
CN219665353U (zh) 一种电子配件生产用夹持固定装置
CN218217958U (zh) 一种设有防潮功能的电器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