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034B1 -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034B1
KR101606034B1 KR1020150098488A KR20150098488A KR101606034B1 KR 101606034 B1 KR101606034 B1 KR 101606034B1 KR 1020150098488 A KR1020150098488 A KR 1020150098488A KR 20150098488 A KR20150098488 A KR 20150098488A KR 101606034 B1 KR101606034 B1 KR 101606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jig
drill
drill hea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재윤
김승진
배대열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주)씨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엠티 filed Critical (주)씨엠티
Priority to KR102015009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2201/0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원통형의 고정부와, 원통형의 몸체로서, 상기 고정부내에 수용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중심축에서 연장되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되, 외연에 드릴파이프와 드릴헤드가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몸체와 일체로 회전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고정지그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정지그의 회전축과 대응되는 축방향으로 전후이동가능하도록 밀핀이 설치되는 밀핀작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밀핀의 선단이 상기 고정지그의 선단에 고정된 드릴헤드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밀핀이 상기 고정지그측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드릴헤드와 상기 드릴파이프의 접면에 용접봉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드릴파이프와 상기 드릴헤드의 접면이 연속적으로 용접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드릴헤드와 드릴파이프를 고정지그에 장착한 상태에서 고정지그를 회전시키면서 드릴헤드와 드릴파이프간을 아크용접한 다음, 고정지그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면서 드릴헤드의 선단에 인서트와 가이드패드가 브레이징 접합되도록 하여 단일의 장비로 아크용접과 브레이징 접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공정이 단순화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지그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여 드릴헤드의 결합면이 상시 상방으로 향해 브레이징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드릴헤드의 결합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회전몸체를 돌리면서 일일이 각도를 맞추는 것이 아니라 회전몸체에 기형성된 고정홈에 의해 연속적으로 정확한 각도로 회전몸체가 고정되도록 하여 브레이징 작업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JIG FOR WELDING DRILL APPARATUS}
본 발명은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릴헤드와 드릴파이프를 고정지그에 장착한 상태에서 고정지그를 회전시켜 아크용접과 브레이징 용접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공정이 단순화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구멍가공은 기계가공의 약 30% 정도를 차지하는 중요한 공정이나, 일반적인 절삭가공인 선삭가공, 밀링가공 등이 자유로운 가공방식을 선정할 수 있는 것에 비하여, 구멍가공은 폐쇄된 조건에서 가공하기 때문에 많은 제약이 따르며, 이에 따른 칩의 신속한 배출, 가공물 형상 및 정밀도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고압의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는 공구를 사용하여 심공가공을 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BTA드릴을 이용한 가공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BTA드릴은 드릴 튜브와 가공되는 구멍사이에 압송되는 절삭유의 유속이 빠르게 되어 칩이 드릴 튜브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다른 가공공구에 비하여 우수한 가공능력을 갖추고 있다.
BTA드릴은 드릴헤드와 드릴파이프로 구성되며, 드릴헤드의 선단부분에는 가이드패드와 인서트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BTA드릴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드릴헤드와 드릴파이프간을 아크용접시킨 다음, 드릴헤드에 가이드패드와 인서트를 브레이징 접합하여 완성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BTA드릴의 드릴헤드와 드릴파이프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지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BTA드릴의 드릴헤드에 안착되는 인서트와 가이드패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브레이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BTA드릴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직형 지그(1000)에 드릴파이프(200)와 드릴헤드(100)를 체결시킨 다음 용접봉으로 접합면에 국부적으로 열을 가하여 용접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드릴헤드(100)와 드릴파이프(200)가 일체로 용접된 몸체를 수직형 지그(1000)에서 탈착시키고 도 2에서와 같이 수평형 지그(2000)에 드릴헤드(100)와 드릴파이프(200)를 체결시키도록 한다.
수평형 지그(2000)에 체결된 드릴헤드(100)에 인서트 또는 가이드패드를 부착시키기 위해서 먼저 인서트 또는 가이드패드가 결합되는 드릴헤드(100)의 부착면을 상부로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동판(은납)을 드릴헤드(100)의 부착면에 올려놓고 그 위에 부착대상 인서트 또는 가이드패드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수평형 지그(2000)를 고주파코일측으로 이동시키고 고주파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브레이징 접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BTA드릴 제작은 수직형 지그(1000)에 용접대상물을 체결하여 아크용접 한 다음, 다시 용접대상물을 수평형 지그(2000)에 체결하고 다시 브레이징 용접되도록 함으로써 2개의 별도의 지그를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며 작업의 균일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브레이징 접합의 경우 은납을 용해시키기 위해 수평형 지그(2000)를 고주파 코일 내측으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무게가 가벼운 인서트가 정위치에 안착되어 유지되지 않아 용접완료후 제품 불량이 많이 발생된다.
더욱이 브레이징 접합의 경우 모재에 은납을 올려서 열을 가해 녹인후 접착하고자 하는 특정 인서트 또는 가이드패드를 올려놓고 굳히는 방법으로, 드릴헤드에 은납이 안착되는 각 부착면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 상이하여, 일일이 부착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드릴헤드를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BTA드릴 제작방법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드릴헤드와 드릴파이프간의 아크용접 및 드릴헤드에 가이드패드 또는 인서트를 부착하기 위한 브레이징 접합을 단일의 지그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공정이 단순화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5-103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고정지그에 드릴헤드와 드릴파이프를 체결한 상태에서, 고정지그를 회전시켜 아크용접 및 브레이징 접합이 함께 수행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릴헤드가 체결되는 고정지그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여 가이드패드나 인서트가 부착되는 드릴헤드의 결합면이 상시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원통형의 고정부와, 원통형의 몸체로서, 상기 고정부내에 수용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중심축에서 연장되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되, 외연에 드릴파이프와 드릴헤드가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몸체와 일체로 회전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고정지그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정지그의 회전축과 대응되는 축방향으로 전후이동가능하도록 밀핀이 설치되는 밀핀작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밀핀의 선단이 상기 고정지그의 선단에 고정된 드릴헤드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밀핀이 상기 고정지그측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드릴헤드와 상기 드릴파이프의 접면에 용접봉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드릴파이프와 상기 드릴헤드의 접면이 연속적으로 용접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의 상면 일측에는 내측으로 관통되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 내측으로는 고정핀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상기 회전몸체의 외연에는 고정홈이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은 상기 드릴헤드의 선단에 다수개의 인서트 또는 가이드패드가 결합되는 결합면들과 상기 드릴헤드의 중심축과 이루는 결합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 결합면들과 대응되는 고정홈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몸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또는 가이드패드를 상기 드릴헤드의 결합면에 위치시켜 브레이징 용접한다.
상기 고정공에는 고정캡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핀과 상기 고정캡간에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회전몸체의 외연에 밀착되되, 상기 고정홈은 구형상의 함몰된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구형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회전몸체의 외연에 밀착 슬라이딩되고, 고정홈에 다시 탄성복원되면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밀핀작동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밀핀이 설치되어 상기 밀핀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레버가 장착되는 작동몸체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는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양측으로 상호 동일선상에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는 브라켓과, 양측에 상기 브라켓의 결합공과 연통하는 축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회전몸체가 수용되도록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원형의 내주연을 가지는 수용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수용몸체의 양측으로 상기 결합공과 상기 축공을 연통하는 회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수용몸체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회전몸체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지그와 상기 회전몸체간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회전몸체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드릴 파이프가 상기 고정지그의 선단으로 체결되면서 상기 절개부 내측으로 인입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드릴헤드와 드릴파이프를 고정지그에 장착한 상태에서 고정지그를 회전시키면서 드릴헤드와 드릴파이프간을 아크용접한 다음, 고정지그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면서 드릴헤드의 선단에 인서트와 가이드패드가 브레이징 접합되도록 하여 단일의 장비로 아크용접과 브레이징 접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공정이 단순화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지그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여 드릴헤드의 결합면이 상시 상방으로 향해 브레이징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작업자가 드릴헤드의 결합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회전몸체를 돌리면서 일일이 각도를 맞추는 것이 아니라 회전몸체에 기형성된 고정홈에 의해 연속적으로 정확한 각도로 회전몸체가 고정되도록 하여 브레이징 작업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BTA드릴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용접방법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그의 축선상에 드릴 파이프와 드릴헤드가 배치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고정지그에 볼트헤드가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몸체의 단면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의 회전몸체 부분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회전몸체가 회전하여 고정홈이 수용몸체상에 고정되는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드릴부품을 용접하는 전체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는 베이스(10), 고정부(20), 회전몸체(30), 고정지그(40), 밀핀작동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0)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의 부품이 설치되는 플레이트로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져 열에 강한 금속재질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고정부(20)는 베이스(10)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회전몸체(30)를 수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부(20)는 베이스(10)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21)과, 브라켓(21)에 결합되는 수용몸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21)은 수용몸체(22)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베이스(10)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양측으로 배치되는 브라켓(21)에는 수용몸체(22)와 축결합하기 위한 결합공(21a)이 양측으로 동일선상에 각각 형성된다.
수용몸체(22)는 내측에 회전몸체(30)가 수용되도록 회전몸체(3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원형의 내주연을 가지고, 양측으로 브라켓(21)의 결합공(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하는 축공(22a)이 형성되어 수용몸체(22)의 양측으로 브라켓(21)의 결합공(21a)과 축공(22a)을 연통하는 회동축(33)을 삽입시켜 수용몸체(22)가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아울러, 수용몸체(22)의 상면 일측에는 내측으로 관통되는 고정공(22b)이 형성되며, 고정공(22b)에는 고정핀(22c)이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고정핀(22c)은 후술할 회전몸체(30)의 일측에 일정결합각도로 형성되는 고정홈(32)에 삽입된다.
회전몸체(30)는 원통형의 몸체로서, 수용몸체(22) 내측에 수용되어 원통형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용몸체(22) 내부에서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몸체(3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31)이 회전몸체(30)의 일단부측에 별도로 형성된다.
고정지그(40)는 회전몸체(30)의 중심축선상에서 회전몸체(30)와 일체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고정지그(40)의 외연에 용접대상 드릴파이프(200)와 드릴헤드(100)가 연속적으로 체결되어 회전몸체(30)와 일체로 회전된다.
밀핀작동부(50)는 베이스(10)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몸체(51)와, 고정몸체(51)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밀핀(53)이 설치되어 밀핀(53)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레버가 장착되는 작동몸체(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몸체(52)에 설치되는 밀핀(53)은 고정지그(4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지그(40)의 회전축과 대응되는 축방향으로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밀핀(53)이 고정지그(40)측으로 이동되면서 밀핀(53)이 고정지그(40)의 선단에 고정된 드릴헤드(100)의 일면에 밀착되고 이때에 드릴파이프(200)의 단부는 절개부(41)의 단부면에 밀착된다. 이렇게 드릴헤드(100)와 드릴파이프(200)가 밀핀(53)과 절개부(41)에 밀착지지된 상태에서 용접봉을 드릴헤드(100)와 드릴파이프(200)의 접면에 위치시키고 회전몸체(30)를 회전시켜 드릴파이프(200)와 드릴헤드(100)의 접면이 연속적으로 용접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의 드릴파이프(200)와 드릴헤드(100)간은 아크용접에 의해 접합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그의 축선상에 드릴 파이프와 드릴헤드가 배치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고정지그에 볼트헤드가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몸체의 단면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드릴헤드(100)의 선단에는 다수개의 인서트(110) 또는 가이드패드(120)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인서트(110)와 가이드패드(120)는 드릴헤드(100)의 결합면상에 은납등을 올려놓고 열을 가하여 녹인후 접착대상물을 올려 굳히는 브레이징 접합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징 접합이 용이하도록 고정지그(40)상에 드릴헤드(100)가 고정된 상태로 인서트(110) 또는 가이드패드(120)가 안착되는 결합면(101)이 상부로 향하도록 회전몸체(30)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회전몸체(30)의 외연에 일정한 각도로 고정홈(32)이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데, 이러한 고정홈(32)은 드릴헤드(100)의 선단에 다수개의 인서트(110) 또는 가이드패드(120)가 결합되는 결합면(101)들과 드릴헤드(100)의 중심축과 이루는 결합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로 각각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몸체(3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인서트(110) 또는 가이드패드(120)를 드릴헤드(100)의 결합면에 위치시켜 브레이징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5의 일예에서는 드릴헤드(100)에 3개의 인서트(110)와 2개의 가이드패드(120)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면에 인서트(110) 또는 가이드패드(120)를 브레이징 접합시키기 위해 회전몸체(30)를 회전하게 되면, 회전몸체(30)에 기형성된 고정홈(32)이 순차적으로 고정핀(22c)에 결합되면서 결합면이 상부로 향하게 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제1고정홈(32a)이 수용몸체(22)의 고정핀(22c)에 삽입되도록 회전몸체(30)를 회전시키면, 제1,제2인서트(110)가 결합되는 제1,2결합면(101a, 101b)이 상부로 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회전몸체(30)를 시계방향으로 80°회전시켜 제2고정홈(32b)이 수용몸체(22)의 고정핀(22c)에 삽입되도록 하면, 제1가이드패드(120a)가 안착되는 제3결합면(101c)이 상부로 향하게 된다.
그런 다음 회전몸체(30)를 시계방향으로 100°회전시켜 제3고정홈(32c)이 수용몸체(22)의 고정핀(22c)에 삽입되도록 하면, 제2가이드패드(120b)와 제3인서트(110c)가 각각 결합되는 제4,5결합면(101d, 101e)이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드릴헤드(100)에 인서트(110) 또는 가이드패드(120)를 브레이징 접합시키기 위해 회전몸체(30)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면서 정확한 각도로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용접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의 회전몸체 부분의 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회전몸체가 회전하여 고정홈이 수용몸체상에 고정되는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용몸체(22)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고정공(22b)에는 고정캡(22d)이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공(22b)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핀(22c)과 고정캡(22d)간에는 스프링(22e)이 개재되어, 이러한 고정핀(22c)은 회전몸체(30)가 회전될 경우 회전몸체(30)의 외연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다가 고정홈(32)에서 고정핀(22c)이 삽입되어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회전몸체(30)가 정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고정핀(22c)은 구형상의 돌기로 홈에 결합되는 것으로 마찰이 적어 회전몸체(30)의 회전방향으로 약간의 외력을 다시 가하게 되면 고정핀(22c)이 고정홈(32)에서 이탈되어 고정돌기(22c')가 다시 회전몸체(30)의 외연에 슬라이딩되면서, 다음번의 고정홈(32)에 안착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를 이용한 드릴부품의 용접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드릴부품을 용접하는 전체 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서는 드릴헤드(100)와 드릴파이프(200)를 고정지그(40)에 장착한 상태에서 드릴헤드(100)와 드릴파이프(200)를 아크용접한 다음, 고정지그(40)를 회전시키면서 드릴헤드(100)의 선단에 인서트(110)와 가이드패드(120)가 브레이징접합되도록 하여 단일의 장비로 아크용접과 브레이징 접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브라켓(21)에 결합된 수용몸체(22)를 회동시켜 고정지그(40)의 선단이 상부측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는 밀핀(53)이 고정지그(40)와 근접하게 위치하여 밀핀(53)의 간섭에 의해 일정 길이를 가지는 드릴파이프(200)가 고정지그(40)에 체결되기 어려워, 이에 고정지그(40)를 들어올려 드릴파이프(200)와 드릴헤드(100)를 체결한 다음 다시 수용몸체(22)를 원위치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렇게 고정지그(40)에 드릴헤드(100)와 드릴파이프(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밀핀작동몸체(52)의 작동레버를 당겨 밀핀(53)의 선단부가 드릴헤드(100)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에 드릴헤드(100)는 드릴파이프(200)와 밀착되고 드릴파이프(200)는 후방으로 밀리면서 드릴파이프(200)의 단부가 절개부(41)의 단부면에 밀착되어 전후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드릴헤드(100)와 드릴파이프(200)를 고정지그(40)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밀착고정시키고, 드릴헤드(100)와 드릴파이프(200)의 접면에 용접봉을 위치시킨 다음, 작업자가 회전몸체(30)의 후방에 결합되는 핸들(31)을 돌려 회전몸체(30)가 회전되면서 고정지그(40)에 고정되는 드릴헤드(100)와 드릴파이프(200)의 접면이 연속적으로 용접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드릴헤드(100)와 드릴파이프(200)를 아크용접에 의해 용접시킨 다음, 회전몸체(30)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서 드릴헤드(100)의 선단에 결합되는 인서트(110) 또는 가이드패드(120)의 결합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시킨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회전몸체(30)의 외연에 드릴헤드(100)의 결합면과 대응되는 각도의 고정홈(32)을 형성시켜 작업자가 회전몸체(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고정공(22b)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돌기(22c')가 회전몸체(30)의 외연에 슬라이딩되다 고정홈(32)이 다다를때에 스프링(22e)의 탄성에 의해 고정돌기(22c')가 고정홈(32)에 삽입되어 회전몸체(30)가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위치가 유지되도록 된다. 이때에 고정홈(32)과 대응되는 결합면이 상부로 향하게 되고, 작업자는 드릴헤드(100)의 결합면에 인서트(110) 또는 가이드패드(120)를 위치시켜 브레이징 접합시킨다.
이러한 브레이징 접합은 브레이징되는 결합면을 상부로 향하도록 하여 결합면에 용가재(은납)를 올린 상태에서 토치로 가열하여 녹인후 인서트(110) 또는 가이드패드(120)를 결합면에 안착시켜 굳을수 있도록 한다.
용접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다시 회전몸체(30)에 힘을 가하여 회전시켜, 고정돌기(22c')가 고정홈(32)에서 이탈되도록 하고 고정돌기(22c')가 다시 회전몸체(30) 외연에 슬라이딩되다가 자동적으로 다음번의 고정홈(32)에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되면 드릴헤드(100)의 또다른 결합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와 같이 브레이징 용접을 다시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지그(40)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여 드릴헤드(100)의 결합면이 상시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드릴헤드(100)의 결합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회전몸체(30)를 돌리면서 일일이 각도를 맞출 필요가 없고, 회전몸체(30)에 기형성된 고정홈(32)에 의해 연속적으로 정확한 각도로 고정되도록 하여 작업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베이스
20 : 고정부 21 : 브라켓
21a : 결합공 22 : 수용몸체
22a : 축공 22b: 고정공
22c : 고정핀 22c' : 고정돌기
22d : 고정캡 22e : 스프링
30 : 회전몸체 31 : 핸들
32 : 고정홈 33 : 회동축
40 : 고정지그 41 : 절개부
50 : 밀핀작동부 51 : 고정몸체
52 : 작동몸체 53 : 밀핀
100 : 드릴헤드 110 : 인서트
120 : 가이드패드
200 : 드릴파이프

Claims (6)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원통형의 고정부와;
    원통형의 몸체로서, 상기 고정부내에 수용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중심축에서 연장되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되, 외연에 드릴파이프와 드릴헤드가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몸체와 일체로 회전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고정지그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고정지그의 회전축과 대응되는 축방향으로 전후이동가능하도록 밀핀이 설치되는 밀핀작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밀핀의 선단이 상기 고정지그의 선단에 고정된 드릴헤드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밀핀이 상기 고정지그측으로 이동된 다음, 상기 드릴헤드와 상기 드릴파이프의 접면에 용접봉이 배치되고,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드릴파이프와 상기 드릴헤드의 접면이 연속적으로 용접되되,
    상기 고정부의 상면 일측에는 내측으로 관통되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 내측으로는 고정핀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상기 회전몸체의 외연에는 고정홈이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드릴헤드의 선단에 다수개의 인서트 또는 가이드패드가 결합되는 결합면들과 상기 드릴헤드의 중심축과 이루는 결합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각 결합면들과 대응되는 고정홈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몸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또는 가이드패드를 상기 드릴헤드의 결합면에 위치시켜 브레이징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에는 고정캡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핀과 상기 고정캡간에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회전몸체의 외연에 밀착되되,
    상기 고정홈은 구형상의 함몰된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구형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회전몸체의 외연에 밀착 슬라이딩되고, 고정홈에 다시 탄성복원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핀작동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밀핀이 설치되어 상기 밀핀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레버가 장착되는 작동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양측으로 상호 동일선상에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는 브라켓과,
    양측에 상기 브라켓의 결합공과 연통하는 축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회전몸체가 수용되도록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원형의 내주연을 가지는 수용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수용몸체의 양측으로 상기 결합공과 상기 축공을 연통하는 회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수용몸체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회전몸체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지그와 상기 회전몸체간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회전몸체 내측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드릴 파이프가 상기 고정지그의 선단으로 체결되면서 상기 절개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
KR1020150098488A 2015-07-10 2015-07-10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 KR101606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488A KR101606034B1 (ko) 2015-07-10 2015-07-10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488A KR101606034B1 (ko) 2015-07-10 2015-07-10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034B1 true KR101606034B1 (ko) 2016-03-25

Family

ID=5564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488A KR101606034B1 (ko) 2015-07-10 2015-07-10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2226A (zh) * 2022-06-30 2022-08-30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基于气压吸附与推出的bta深孔钻钻齿安装专用夹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669B1 (ko) * 2000-11-10 2003-12-01 한국원자력연구소 밀봉선원 용접장치
JP2011088181A (ja) 2009-10-22 2011-05-06 Daihen Corp 溶接ワイヤ送給装置
KR101474708B1 (ko) * 2013-03-27 2014-12-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5축 가공기의 레이저 보조 턴-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669B1 (ko) * 2000-11-10 2003-12-01 한국원자력연구소 밀봉선원 용접장치
JP2011088181A (ja) 2009-10-22 2011-05-06 Daihen Corp 溶接ワイヤ送給装置
KR101474708B1 (ko) * 2013-03-27 2014-12-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5축 가공기의 레이저 보조 턴-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2226A (zh) * 2022-06-30 2022-08-30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基于气压吸附与推出的bta深孔钻钻齿安装专用夹具
CN114952226B (zh) * 2022-06-30 2023-08-18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基于气压吸附与推出的bta深孔钻钻齿安装专用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32167B1 (en) Friction stir welding
US8960524B2 (en) Burring apparatus for friction welding machine
CN109475972B (zh) 具有静止的凸肩的fsw工具
EP3444058A1 (en) Jig apparatus for use in forming holes in a workpiece in a guided manner and method of forming a hole in a workpiece
CN105773171A (zh) 旋转切管装置
KR101606034B1 (ko) 드릴 용접용 지그장치
JP2007098510A (ja) スナップリングの組付装置
KR101605442B1 (ko) 다축 드릴링머신
KR20110043498A (ko) 레이저 용접기
JP2015186832A (ja) ボーリング工具
US9415452B2 (en) Tool holder attaching/detaching structure of machine tool
WO2017138324A1 (ja) 接合方法
JP2000033490A (ja) レーザ加工装置
CN115122018A (zh) 一种定位工装和焊接机
KR20160027288A (ko) 어큐뮬레이터 및 오일분리기 냉동부품 자동 용접장치
JP2020163459A (ja) 摩擦撹拌接合用工具
KR20130085682A (ko) 머시닝센터의 팔레트 클램핑 장치
JP5693298B2 (ja) 自動旋回割出機能付きアングルヘッド
CN111515714A (zh) 工件保持工具
CN108515283A (zh) 一种四通阀焊接机及其加工方法
KR101768888B1 (ko) 심공드릴용 가이드장치
JP2021522080A (ja) 深さストッパ付き切削工具
JP6548722B2 (ja) チップドレッサー装置
JP2018176205A (ja) 接合方法
JP2528627B2 (ja) 穴開け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