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547B1 -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547B1
KR101605547B1 KR1020140139314A KR20140139314A KR101605547B1 KR 101605547 B1 KR101605547 B1 KR 101605547B1 KR 1020140139314 A KR1020140139314 A KR 1020140139314A KR 20140139314 A KR20140139314 A KR 20140139314A KR 101605547 B1 KR101605547 B1 KR 101605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tate
actuator
locking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정혁
정금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4013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는, 커넥터본체와 소켓본체의 결합상태를 감지하는 근접감지부; 커넥터본체의 이탈방지레버를 소켓본체의 걸림홈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잠금핀을 왕복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 충전상태를 입력받고 충전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근접감지부로부터 커넥터본체가 결합될 경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충전상태를 입력받아 엑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잠금핀을 왕복 이동시켜 이탈방지레버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CONTROL APPARATUS FOR LOCKING OF CHARGE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전시 충전용 커넥터본체를 소켓본체로부터 인위적 또는 자연적 해제를 방지하여 커넥터본체의 도난을 방지하고, 커넥터본체와 소켓본체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온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충전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차량은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인 배터리를 탑재하여 전기 에너지로 차량 내 동력을 이용해 배터리를 자체 충전하였다.
최근에는, 전기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전량 상태를 효율적으로 확인하여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개선된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전기 차량은 전원에 연결된 충전커넥터를 차량에 장착되어 충전소켓에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8407호(공개일 : 2012.12.26.)인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가 제안되었다.
기존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커넥터는 차량의 충전소켓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리를 비우면 도난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충전시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충전용 커넥터를 강제 탈거할 경우 탈거되는 과정에서 차량내 흐르는 고전압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감전되거나 화재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전시 충전용 커넥터본체를 소켓본체에 다중 잠금 설정함으로써 인위적 또는 자연적 접속 해제를 방지하여 커넥터본체의 도난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본체와 소켓본체의 접속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충전이 되게 하고자 하는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충전시 온도를 모니터링 하여 충전 중 발열에 의한 화재나 소손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는, 커넥터본체와 소켓본체의 결합상태를 감지하는 근접감지부; 커넥터본체의 이탈방지레버를 소켓본체의 걸림홈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잠금핀을 왕복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 충전상태를 입력받고 충전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근접감지부로부터 커넥터본체가 결합될 경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충전상태를 입력받아 엑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잠금핀을 왕복 이동시켜 이탈방지레버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소켓본체에서 주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된 주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할 경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충전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잠금핀의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작동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작동감지부를 통해 잠금핀의 이동상태를 입력받아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근접감지부로부터 커넥터본체와 소켓본체의 결합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커넥터본체와 소켓본체의 결합상태가 감지될 경우 엑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커넥터본체의 이탈방지레버를 고정시키는 단계; 제어부가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킨 후 충전상태를 입력받아 충전의 종료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충전의 종료상태를 판단하여 충전이 종료되면 엑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이탈방지레버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어부가 충전의 종료상태를 판단하여 충전이 종료되지 않으면, 온도센서로부터 소켓본체의 주변온도를 입력받는 단계; 및 제어부가 주변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주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될 경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충전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킬 때 작동감지부로부터 잠금핀의 이동상태를 입력받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은 차량의 충전시 충전용 커넥터본체를 소켓본체에 다중 잠금 설정함으로써 인위적 또는 자연적 접속 해제를 방지하여 커넥터본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본체와 소켓본체의 접속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충전시 온도를 모니터링 하여 충전 중 발열에 의한 화재나 소손을 방지하여 차량과 충전스테이션 및 가정용 전원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푸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이차 로킹 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일차 로킹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일차 로킹된 상태의 푸쉬부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이차 로킹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이차 로킹된 상태의 푸쉬부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푸쉬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이차 로킹 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일차 로킹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일차 로킹된 상태의 푸쉬부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이차 로킹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이차 로킹된 상태의 푸쉬부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10)는 소켓본체(20), 커넥터본체(30), 제 1로킹부(40) 및 제 2로킹부(100)를 포함한다.
소켓본체(20)는 전기차량(도시하지 않음)에 구비되고,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소켓본체(20)는 전기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소켓본체(20)는 충전단자홈(22)을 구비한다. 이때, 충전단자홈(22)의 개수 및 형상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본체(30)는 가정용 또는 전기충전소의 전원과 연결되고, 충전을 위해 충전단자홈(22)에 접속되는 충전접속단자(32)를 구비한다. 이때, 커넥터본체(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충전접속단자(32)가 충전단자홈(22)에 접속되며, 전원으로부터 전기가 배터리에 충전된다.
한편, 커넥터본체(30)는 소켓본체(20)에 다중 로킹(locking)되어 임의적 또는 자연적으로 소켓본체(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제 1로킹부(40)와 제 2로킹부(100)가 구비된다.
제 1로킹부(40)는 커넥터본체(30)를 소켓본체(20)에 일차적으로 로킹하는 역할을 하고, 제 2로킹부(100)는 커넥터본체(30)를 소켓본체(20)에 이차적으로 로킹하는 역할을 한다.
제 1로킹부(40)는 이탈방지레버(42) 및 걸림홈부(44)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레버(42)는 커넥터본체(30)의 소켓본체(20) 접속측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탈방지레버(42)는 커넥터본체(30)에 소정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탄성적으로 젖혀질 수도 있다.
아울러, 이탈방지레버(42)는 체결돌기(43)를 돌출 형성한다. 편의상, 체결돌기(43)는 이탈방지레버(42)의 하측면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이탈방지레버(42)와 체결돌기(43)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걸림홈부(44)는 소켓본체(20)에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커넥터본체(30)가 소켓본체(20)에 접속시, 이탈방지레버(42)의 체결돌기(43)는 걸림홈부(44)에 수용되어 걸리게 된다.
그래서, 커넥터본체(30)는 일차적으로 소켓본체(20)에 접속되어 충전을 실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이탈방지레버(42)의 체결돌기(43)가 걸림홈부(44) 내측면에서 결속력이 약하거나, 타인에 의해 임의적으로 걸림홈부(44)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이 중지되고, 감전이나 화재의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 1로킹부(40)에 의해 일차적으로 결속된 커넥터본체(30)와 소켓본체(20)는 제 2로킹부(100)에 의해 견고하게 이차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
제 2로킹부(100)는 하우징(110), 잠금핀(120) 및 엑츄에이터(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소켓본체(20)에 구비된다. 이때, 하우징(110)은 소켓본체(2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소켓본체(2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잠금핀(120)은 하우징(11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래서, 체결돌기(43)가 걸림홈부(44)에 수용된 상태에서, 잠금핀(120)은 이탈방지레버(42)를 걸림홈부(44)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하우징(110)은 이탈방지레버(42)의 가장자리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홈부(112)를 형성한다. 그리고, 잠금핀(120)은 단부가 수용홈부(112) 내부로 돌출 및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물론, 잠금핀(1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엑츄에이터(130)는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잠금핀(120)의 왕복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엑츄에이터(130)는 전기식 또는 기계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잠금핀(120)을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또한, 제 2로킹부(100)는 푸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쉬부(140)는 하우징(110)에 탄성적으로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탈방지레버(42)의 일측에 면접된 채 잠금핀(120)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잠금핀(120)은 푸쉬부(140)를 구속하고, 푸쉬부(140)는 이탈방지레버(42)를 가압 고정함에 따라, 이탈방지레버(42)는 2차적으로 견고하게 로킹될 수 있다.
푸쉬부(140)는 제 1푸쉬작동부재(142), 제 2푸쉬작동부재(144) 및 푸쉬탄성부재(146)를 포함한다.
제 1푸쉬작동부재(142)는 하우징(110) 특히, 수용홈부(112) 내측에 구비된다.
아울러, 제 1푸쉬작동부재(142)는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가이드핀(143)을 구비하고, 하우징(110)은 가이드핀(14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수용홈부(112) 내측에 가이드홈(145)을 함몰 형성한다.
이때, 제 1푸쉬작동부재(142)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푸쉬작동부재(144)는 제 1푸쉬작동부재(142)에 힌지 연결되고, 수용홈부(112)에 수용된 이탈방지레버(42)의 단부를 걸림홈부(44)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제 2푸쉬작동부재(144)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푸쉬탄성부재(146)는 제 1푸쉬작동부재(142)에 대해 제 2푸쉬작동부재(144)가 탄성적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제 2푸쉬작동부재(144)가 푸쉬탄성부재(146)에 의해 걸림홈부(44)에 수용된 이탈방지레버(42)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위치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푸쉬탄성부재(146)는 토션 스프링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푸쉬부(140)는 탄성지지부재(148)를 더 포함한다.
탄성지지부재(148)는 하우징(110)의 수용홈부(112)에 구비되어 제 1푸쉬작동부재(142)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지지부재(148)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탈방지레버(42)가 수용홈부(112) 내측으로 수용시, 제 1푸쉬작동부재(142)와 제 2푸쉬작동부재(144)는 수용홈부(112)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제 1푸쉬작동부재(142)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핀(143)은 수용홈부(112)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45)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탈방지레버(42)가 걸림홈부(44)에 수용되며 하강시, 제 2푸쉬작동부재(144)는 이탈방지레버(42)의 상측에 위치함에 따라, 제 1푸쉬작동부재(142)와 제 2푸쉬작동부재(144)는 탄성지지부재(14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 2푸쉬작동부재(144)는 이탈방지레버(42)의 상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후, 잠금핀(120)이 이동하며 제 2푸쉬작동부재(144)를 이탈방지레버(42) 방향으로 눌러 가압한다.
또한, 제 2로킹부(100)는 잠금핀(12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엑츄에이터(130)에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한다.
즉, 제어부(150)는 잠금핀(120)이 제 2푸쉬작동부재(144)를 눌러 가압할 때까지 전진, 또는 제 2푸쉬작동부재(144)와 접하지 않을 때까지 후진하도록 엑츄에이터(130)에 작동 시간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와 상호 신호 교환을 할 수 있다.
한편, 잠금핀(120)은 손잡이(122)를 구비한다. 손잡이(122)는 제어부(150) 또는 엑츄에이터(130)의 작동 오류로 초기 위치로 후진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가 손잡이(122)를 잡고 잠금핀(120)을 당겨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손잡이(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물론, 손잡이(122)는 외부인에게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한다.
특히, 잠금핀(120)은 제 2푸쉬작동부재(144)를 눌러 가압함으로써 제 2푸쉬작동부재(144)가 상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 2푸쉬작동부재(144)를 일부 구속함으로써 푸쉬부(140)가 일정 이상 수용홈부(112)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는, 근접감지부(160), 엑츄에이터(130), 인터페이스부(190) 및 제어부(150)를 비롯하여, 작동감지부(180)와 온도센서(170)를 포함한다.
근접감지부(160)는 커넥터본체(30)와 소켓본체(20)의 결합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마이크로 스위치 등 다양한 형태의 센서나 스위치를 통해 구성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130)는 커넥터본체(30)의 이탈방지레버(42)를 소켓본체(20)의 걸림홈부(44)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잠금핀(120)을 왕복 이동시켜 커넥터본체(30)를 2차적으로 로킹시킴으로써, 접속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인위적 또는 자연적 접속 해제를 방지한다.
인터페이스부(190)는 전력선 통신이나 CAN통신을 통해 차량의 충전장치(미도시)나 인케이블 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충전상태와 상호 신호를 교환하고, 충전차단 신호를 출력하여 충전을 중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근접감지부(160)로부터 커넥터본체(30)와 소켓본체(20)가 결합될 경우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충전상태를 입력받아 엑츄에이터(130)를 작동시켜 잠금핀(120)을 전진시켜 이탈방지레버(42)를 고정시킨다.
또한, 제어부(150)는 충전이 종료되면 엑츄에이터(130)를 작동시켜 잠금핀(120)을 후진시켜 이탈방지레버(42)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
이때 잠금핀(120)의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작동감지부(180)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50)는 작동감지부(180)를 통해 잠금핀(120)의 이동상태를 입력받아 엑츄에이터(130)를 작동시킴으로써, 잠금핀(120)의 실질적인 이동상태를 피드백 받으면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켓본체(20)에서 주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온도센서(170)로부터 입력된 주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할 경우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충전차단 신호를 출력한 후 충전이 차단될 경우 엑츄에이터(130)를 작동시켜 이탈방지레버(42)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충전시 온도를 모니터링 하여 충전 중 발열에 의한 화재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충전시 충전용 커넥터본체를 소켓본체에 다중 잠금 설정함으로써 인위적 또는 자연적 접속 해제를 방지하여 커넥터본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본체와 소켓본체의 접속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충전시 온도를 모니터링 하여 충전 중 발열에 의한 화재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150)가 근접감지부(160)로부터 커넥터본체(30)와 소켓본체(20)의 결합상태를 입력받는다(S10). 이후 제어부(150)는 결합상태 여부를 판단한다(S12).
S12 단계에서 결합상태를 판단한 후 커넥터본체(30)와 소켓본체(20)의 결합상태가 감지될 경우, 제어부(150)는 엑츄에이터(130)를 작동시켜 잠금핀(120)을 전진시킴으로써 커넥터본체(30)의 이탈방지레버(42)를 고정시킨다(S14).
이때, 제어부(150)는 작동감지부(180)로부터 잠금핀(120)의 이동상태를 입력받아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엑츄에이터(130)를 작동시킨다.
이후 제어부(150)는 엑츄에이터(130)를 작동시킨 후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충전상태를 입력받는다(S16).
그런 다음, 제어부(150)는 입력된 충전상태를 기반으로 충전의 종료상태를 판단한다(S18).
S18 단계에서 충전이 종료된 경우, 제어부(150)는 엑츄에이터(130)를 작동시켜 잠금핀(120)을 후진시킴으로써 이탈방지레버(42)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S26).
이와 같이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액츄에이터(130)를 작동시켜 잠금핀(120)을 통해 커넥터본체(30)의 이탈방지레버(42)를 소켓본체(20)의 걸림홈부(44)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커넥터본체(30)를 2차적으로 로킹시켜 접속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인위적 또는 자연적 접속 해제를 방지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S18 단계에서 충전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온도센서(170)로부터 소켓본체(20)의 주변온도를 입력받는다(S20).
이후 소켓본체(20)의 주변온도가 충전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였는가 판단한다(S22). 예를 들어, 설정온도 105도 이상 상승하였는가 판단한다.
이때 주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한 경우, 제어부(150)는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충전차단 신호를 차량의 충전장치(미도시)나 인케이블 제어장치(미도시)에 출력하여 충전을 중지할 수 있도록 한다(S24).
이후 제어부(150)는 엑츄에이터(130)를 작동시켜 잠금핀(120)을 후진시킴으로써 이탈방지레버(42)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S26).
한편, 제어부(150)는 S22 단계에서 주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하지 않은 경우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 S16 단계로 회귀하여 충전상태를 입력받아 충전이 종료되지 않을 경우 이탈방지레버(42)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충전시 충전용 커넥터본체를 소켓본체에 다중 잠금 설정함으로써 인위적 또는 자연적 접속 해제를 방지하여 커넥터본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본체와 소켓본체의 접속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충전시 온도를 모니터링 하여 충전 중 발열에 의한 화재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충전장치 20: 소켓본체
22: 충전단자홈 30: 커넥터본체
32: 충전접속단자 40: 제 1로킹부
42: 이탈방지레버 43: 체결돌기
44: 걸림홈부 100: 제 2로킹부
110: 하우징 112: 수용홈부
120: 잠금핀 130: 엑츄에이터
140: 푸쉬부 142: 제 1푸쉬작동부재
144: 제 2푸쉬작동부재 146: 푸쉬탄성부재
148: 탄성지지부재 150: 제어부
160 : 근접감지부 170 : 온도센서
180 : 작동감지부 190 : 인터페이스부

Claims (6)

  1. 커넥터본체와 소켓본체의 결합상태를 감지하는 근접감지부;
    상기 커넥터본체의 이탈방지레버를 상기 소켓본체의 걸림홈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잠금핀을 왕복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
    충전상태를 입력받고 충전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근접감지부로부터 상기 커넥터본체가 결합될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충전상태를 입력받아 상기 엑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잠금핀을 왕복 이동시켜 상기 이탈방지레버를 고정 및 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켓본체에서 주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된 주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할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충전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의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작동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감지부를 통해 상기 잠금핀의 이동상태를 입력받아 상기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3. 삭제
  4. 제어부가 근접감지부로부터 커넥터본체와 소켓본체의 결합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커넥터본체와 상기 소켓본체의 결합상태가 감지될 경우 엑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커넥터본체의 이탈방지레버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킨 후 충전상태를 입력받아 충전의 종료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충전의 종료상태를 판단하여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엑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상기 이탈방지레버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충전의 종료상태를 판단하여 충전이 종료되지 않으면,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소켓본체의 주변온도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변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주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 상승될 경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충전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킬 때 작동감지부로부터 잠금핀의 이동상태를 입력받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방법.
  6. 삭제
KR1020140139314A 2014-10-15 2014-10-15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605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314A KR101605547B1 (ko) 2014-10-15 2014-10-15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314A KR101605547B1 (ko) 2014-10-15 2014-10-15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547B1 true KR101605547B1 (ko) 2016-03-23

Family

ID=5564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314A KR101605547B1 (ko) 2014-10-15 2014-10-15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54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7609A (zh) * 2016-07-27 2017-02-22 江苏奥功电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充电保护装置及其内部控制系统
KR101928068B1 (ko) * 2016-12-27 2018-12-1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의 충전 락킹구조
CN109693567A (zh) * 2017-10-23 2019-04-3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充电插口的锁定的方法及系统
US10744893B2 (en) 2017-12-13 2020-08-18 Hyundai Motor Company Locking mechanism for vehicle
KR20210018730A (ko) * 2019-08-09 2021-02-18 한국자동차연구원 전기차용 충전 커넥터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5910B1 (ko) * 2021-07-06 2022-05-10 주식회사 이엘일렉트릭 전기차량용 충전건 장치
CN114720789A (zh) * 2021-01-05 2022-07-08 广汽埃安新能源汽车有限公司 直流充电接口对外放电连接设备、车辆及对外放电方法
KR102523347B1 (ko) * 2022-11-04 2023-04-20 주식회사 이엘일렉트릭 전기이륜차 배터리 충전 모듈 및 이를 갖는 충전 스테이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9277A (ja) * 2009-04-28 2010-11-11 Nitto Electric Works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2010264847A (ja) * 2009-05-14 2010-11-25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
JP2011081952A (ja) * 2009-10-05 2011-04-21 Toyota Motor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2014121109A (ja) 2012-12-13 2014-06-30 Tokai Rika Co Ltd 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9277A (ja) * 2009-04-28 2010-11-11 Nitto Electric Works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2010264847A (ja) * 2009-05-14 2010-11-25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
JP2011081952A (ja) * 2009-10-05 2011-04-21 Toyota Motor Corp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2014121109A (ja) 2012-12-13 2014-06-30 Tokai Rika Co Ltd ロック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7609A (zh) * 2016-07-27 2017-02-22 江苏奥功电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充电保护装置及其内部控制系统
KR101928068B1 (ko) * 2016-12-27 2018-12-1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의 충전 락킹구조
CN109693567A (zh) * 2017-10-23 2019-04-3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充电插口的锁定的方法及系统
US10744893B2 (en) 2017-12-13 2020-08-18 Hyundai Motor Company Locking mechanism for vehicle
KR20210018730A (ko) * 2019-08-09 2021-02-18 한국자동차연구원 전기차용 충전 커넥터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5982B1 (ko) * 2019-08-09 2021-07-13 한국자동차연구원 전기차용 충전 커넥터 잠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4720789A (zh) * 2021-01-05 2022-07-08 广汽埃安新能源汽车有限公司 直流充电接口对外放电连接设备、车辆及对外放电方法
KR102395910B1 (ko) * 2021-07-06 2022-05-10 주식회사 이엘일렉트릭 전기차량용 충전건 장치
KR102523347B1 (ko) * 2022-11-04 2023-04-20 주식회사 이엘일렉트릭 전기이륜차 배터리 충전 모듈 및 이를 갖는 충전 스테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547B1 (ko) 전기차량용 충전장치의 로킹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8523589B2 (en) Power plug locking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for moving a lock member between different positions
KR200465368Y1 (ko)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8708728B2 (en) Power plug locking device
JP5610086B2 (ja) 車両用充電装置
JP3316049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
JP5610088B2 (ja) 車両用充電装置
EP2884611B1 (en) Power cord
US20200373763A1 (en) Charging Device
US6109956A (en) Fitting detecting connector
EP2805384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610390B1 (ko) 전원충전 인터페이스장치
EP2705975A1 (en) Vehicle charging device
US9660392B2 (en) Electrical plug and energy transmission arrangement
US8517755B2 (en) Power plug locking device
US10348034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605546B1 (ko) 전기차량용 충전장치
KR101214847B1 (ko)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JP6210304B2 (ja) 電源コード
US20140322952A1 (en) Electrical connector
JP6050680B2 (ja) コネクタ
US912403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24038081A (ja) 車両および充電システム
KR101806558B1 (ko) 전기차량의 배터리 충전용 인터페이스장치
US20140322949A1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