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111B1 -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111B1
KR101604111B1 KR1020160015405A KR20160015405A KR101604111B1 KR 101604111 B1 KR101604111 B1 KR 101604111B1 KR 1020160015405 A KR1020160015405 A KR 1020160015405A KR 20160015405 A KR20160015405 A KR 20160015405A KR 101604111 B1 KR101604111 B1 KR 101604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ipe
spring
hinge
base plate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15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09Supporting means having bra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2Constructional details of supporting mean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4Functioning details of supporting means for radiators
    • F24D19/0256Radiators clamped by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배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판(30); 난방배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원호형의 하부지지체(32)(34); 하부지지체(32)(34)에 형성되는 힌지링(32a)(32b)(34a)(34b); 난방배관(20)의 상부를 덮는 한 쌍의 분할회동조(40)(50); 분할회동조(40)(50)의 중간에 형성되어 힌지링(32a)(32b)(34a)(34b) 사이로 각각 끼워지는 힌지결합부(42)(52); 힌지결합부(42)(52)와 힌지링(32a)(32b)(34a)(34b)을 관통하는 핀(44)(54); 분할회동조(40)(5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난방배관(20)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46)(56); 분할회동조(40)(50)를 개방하는 오픈스프링(60); 오픈스프링(60)의 상단부와 가압부(46)(56) 사이에 위치되고, 중공홀(62h)을 갖는 상부스프링시트(62); 베이스판(30)에 형성되어 오픈스프링(60)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스프링보스(36); 스프링보스(36)의 상단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중공홀(62h)과 만나는 시트안내봉(36s); 힌지결합부(42)(52)에 형성되어 분할회동조(40)(50)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는 클로(42c)(52c); 하부지지체(32)(34)에 형성되어 클로(42c)(52c)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32s)(34s); 분할회동조(40)(5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쌍의 분할회동조(40)(50)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70)과 탄성걸림편(7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Apparment Heating Pipe Retaining Clip}
본 발명은 바닥에 난방배관을 포설할 때 사용하는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배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형성된 슬래브에 난방배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철망을 깔고, 철망 사이로 노출된 바닥에 난방배관용 고정클립을 못과 같은 화스너를 이용해서 설치한 후 난방배관용 고정클립에 난방배관을 끼워서 포설한 다음 시멘트모르타르로 난방배관과 철망을 매립하여 마감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난방배관용 고정클립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고정판(16)의 상부에 "C"자 단면으로 된 탄성클립(12)(14)을 형성한 것으로, 난방배관(10)을 탄성클립(12)(14)의 상부 개방부위를 통해 강제로 탄성클립(12)(14)의 안쪽으로 삽입하게 되면, 탄성클립(12)(14)이 벌어지면서 난방배관(10)이 탄성클립(12)(14)의 안쪽으로 진입되고, 난방배관(10)이 탄성클립(12)(14)에 완전히 악착되면, 탄성클립(12)(14)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난방배관(10)을 잡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난방배관용 고정클립은, 탄성클립(12)(14)의 탄성력에 의해 난방배관(10)을 잡아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탄성클립(12)(14)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난방배관(10)을 설치한 후 시멘트모르타르 작업할 때 작업자가 난방배관(10)을 밟고 지나가게 되면, 난방배관(10)이 탄성클립(12)(14)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시멘트모르타르 때문에 이탈된 난방배관(10)이 보이지 않아 부실시공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88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14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난방배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은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난방배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원호형의 하부지지체; 상기 하부지지체의 좌우측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링; 상기 난방배관의 상부를 각각 좌우측으로 분담하여 덮는 한 쌍의 분할회동조; 상기 분할회동조의 중간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링 사이로 각각 끼워지는 힌지결합부; 상기 힌지결합부와 힌지링을 관통하는 핀; 상기 분할회동조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난방배관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 상기 베이스판과 가압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분할회동조를 개방하는 오픈스프링; 상기 오픈스프링의 상단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위치되고, 중공홀을 갖는 상부스프링시트;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되어 상기 오픈스프링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스프링보스; 상기 스프링보스의 상단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중공홀과 만나는 시트안내봉; 상기 힌지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할회동조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는 클로; 상기 하부지지체에 형성되어 상기 클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분할회동조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분할회동조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과 탄성걸림편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난방배관(20)을 설치할 때 개방된 분할회동조(40)(50) 사이로 난방배관(20)을 집어넣어서 아래쪽으로 가압하게 되면, 분할회동조(40)(50)가 닫힐 때 탄성걸림편(72)과 걸림턱(70)이 서로 맞물리면서 분할회동조(40)(5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난방배관(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난방배관(20)을 개방된 분할회동조(40)(50) 사이로 집어넣으면서 누르면, 가압부(46)(56)에 의해 분할회동조(40)(50)가 자동으로 닫힘과 동시에 탄성걸림편(72)과 걸림턱(70)의 결합도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난방배관(20)을 원터치로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클로(42c)(52c)와 스토퍼(32s)(34s)에 의해 분할회동조(40)(50)의 개방각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오픈스프링(60)에 의해 분할회동조(40)(50)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가압부(46)(56)에 의해 하강되는 상부스프링시트(62)에 형성된 중공홀(62h)로 시트안내봉(36s)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스프링시트(62)가 시트안내봉(36s)에 의해 옆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오픈스프링(60)의 상단부가 측방향으로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부지지체(32)(34)와 분할회동조(40)(50)에 의해 난방배관(20)의 외주면 전체 대부분을 잡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난방배관(20)을 보다 더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오픈스프링(60)이 상하방향으로 압축되거나 신장될 때 스프링수납홈(33) 내에서 움직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오픈스프링(60)과 하부지지체(32)(34)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하부지지체(32)(34) 사이에 형성된 간섭방지홈(37)(38)으로 가압부(46)(56)가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분할회동조(40)(50)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탄성걸림편(72)에 형성되는 손잡이(74)를 이용해서 탄성걸림편(72)과 걸림턱(70)의 걸림을 편리하게 해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난방배관 고정클립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판과 하부지지체, 스프링보스, 시트안내봉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배관 고정클립이 개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배관 고정클립이 닫힌 것을 보인 정단면도
도 8은 도 7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판(30); 상기 베이스판(30)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난방배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원호형의 하부지지체(32)(34); 상기 하부지지체(32)(34)의 좌우측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링(32a)(32b)(34a)(34b)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30)에는 콘크리트 못이나 앵커볼트 등의 화스너를 이용해서 베이스판(30)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멍(31a)(31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링(32a)(32b)(34a)(34b)과 하부지지체(32)(34), 베이스판(30)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를 이용해서 모두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체(32)(34)는, 난방배관(20)의 외면과 일치되는 내면을 갖는 반원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난방배관(20)의 상부를 각각 좌우측으로 분담하여 덮는 한 쌍의 분할회동조(40)(50); 상기 분할회동조(40)(50)의 중간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링(32a)(32b)(34a)(34b) 사이로 각각 끼워지는 힌지결합부(42)(52); 상기 힌지결합부(42)(52)와 힌지링(32a)(32b)(34a)(34b)을 관통하는 핀(44)(54); 상기 분할회동조(40)(5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난방배관(20)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46)(56)를 포함한다.
상기 분할회동조(40)(50)와 힌지결합부(42)(52), 가압부(46)(56)는 모두 일체로 형성되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회동조(40)(50)는 난방배관(20)의 외면과 일치되는 내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핀(44)(54)은 힌지링(32a)(32b)(34a)(34b)과 힌지결합부(42)(52)를 관통하는 직선형의 환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한쪽에는 납작한 머리를 형성해서 핀(44)(54)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핀(44)(54)을 힌지링(32a)(32b)(34a)(34b)에는 압입되고 힌지결합부(42)(52)와는 헐겁게 결합되도록 해서 핀(44)(5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는 핀(44)(54)을 힌지링(32a)(32b)(34a)(34b)에 삽입하기 전에 힌지링(32a)(32b)(34a)(34b)의 내주면에 혐기성 접착제를 도포해서 핀(44)(54)을 힌지링(32a)(32b)(34a)(34b)에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판(30)과 가압부(46)(56)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분할회동조(40)(50)를 개방하는 오픈스프링(60); 상기 오픈스프링(60)의 상단부와 상기 가압부(46)(56) 사이에 위치되고, 중공홀(62h)을 갖는 상부스프링시트(62); 상기 베이스판(30)에 형성되어 상기 오픈스프링(60)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스프링보스(36); 상기 스프링보스(36)의 상단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중공홀(62h)과 만나는 시트안내봉(36s)을 포함한다.
상기 오픈스프링(60)은, 예를 들면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압출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부스프링시트(62)는 오픈스프링(60)의 상단과 가압부(46)(56) 사이에 위치되는 납작한 원판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부스프링시트(62)의 저면 중앙에는 중공홀(62h)이 형성된 중공파이프(부호생략)를 아래쪽으로 연장해서 오픈스프링(60)의 내측으로 약간 진입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부스프링시트(62)가 오픈스프링(6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힌지결합부(42)(52)에 형성되어 상기 분할회동조(40)(50)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는 클로(42c)(52c); 상기 하부지지체(32)(34)에 형성되어 상기 클로(42c)(52c)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32s)(34s); 상기 분할회동조(40)(5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분할회동조(40)(50)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70)과 탄성걸림편(7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걸림편(72)에는 손잡이(74)를 설치해서 탄성걸림편(72)을 걸림턱(70)으로부터 분리할 때 손으로 잡거나 일자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서 탄성걸림편(72)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하부지지체(32)(34) 사이에 간섭방지홈(37)(38)을 형성해서 가압부(46)(56)가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프링보스(36)와 동심을 이루는 스프링수납홈(33)을 하부지지체(32)(34) 사이 중앙에 형성해서 오픈스프링(6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분할회동조(40)(50)를 하부지지체(32)(34)에 조립하는 과정은, 오픈스프링(60)을 스프링수납홈(33)으로 집어넣어서 오픈스프링(60)의 하단부를 스프링보스(36)에 끼운 다음 오픈스프링(60)의 상단부에 상부스프링시트(62)를 설치하고, 분할회동조(40)(50)에 형성된 힌지결합부(42)(52)를 하부지지체(32)(34)의 좌우측 상단부에 형성된 힌지링(32a)(32b)(34a)(34b)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핀(44)(54)을 힌지링(32a)(32b)(34a)(34b)과 힌지결합부(42)(52)로 삽입하게 되면, 분할회동조(40)(50)이 하부지지체(32)(34)에 조립된다.
이때 가압부(46)(56)가 상부스프링시트(62)에 접촉되어 오픈스프링(60)을 누르도록 분할회동조(40)(50)를 개방한 상태로 힌지결합부(42)(52)에 조립하며, 분할회동조(40)(50)는 클로(42c)(52c)와 스토퍼(32s)(34s)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판(30)이 바닥에 설치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회동조(40)(50)가 오픈스프링(60)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난방배관(20)을 개방된 분할회동조(40)(50) 사이로 집어넣어서 아래쪽으로 누르게 되면, 분할회동조(40)(50)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부(46)(56)가 난방배관(20)에 의해 눌리면서 핀(44)(5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하강된다.
이때 분할회동조(40)(50)와 가압부(46)(56)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부(46)(56)의 회전과 동시에 분할회동조(40)(50)도 함께 핀(44)(5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닫히게 되며, 오픈스프링(60)은 가압부(46)(56)와 상부스프링시트(62)에 의해 압축된다.
위와 같은 작업에 의해 난방배관(20)이 하부지지체(32)(34)에 접촉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회동조(40)(50)는 완전히 닫혀서 난방배관(20)의 상부를 덮개 되며, 양쪽 분할회동조(40)(50)에 각각 형성되어 있던 걸림턱(70)과 탄성걸림편(72)이 만나면서 탄성걸림편(72)이 걸림턱(70)에 걸려서 분할회동조(40)(5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분할회동조(40)(50)가 닫히는 과정에서 탄성걸림편(72)은 걸림턱(70)에 도달하기 전에 탄성복원력을 갖고 벌어지다가 걸림턱(70)과 만나는 순간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걸림턱(70)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46)(56)에 의해 눌려서 아래쪽으로 하강되는 상부스프링시트(62)는 시트안내봉(36s)과 만나 결합되면서 오픈스프링(60)의 상단부가 옆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상부스프링시트(62)가 하강될 때 시트안내봉(36s)이 상부스프링시트(62)에 형성된 중공홀(62h)로 진입되면서 상부스프링시트(62)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분할회동조(40)(50)가 닫힐 때 하강되는 가압부(46)(56)는 하부지지체(32)(34) 사이에 형성된 간섭방지홈(37)(38)으로 진입되면서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닫혀진 분할회동조(40)(50)를 다시 개방해서 난방배관(20)을 인출하려는 경우에는 가느다란 봉을 간섭방지홈(37)(38)으로 집어넣어서 오픈스프링(60)을 압축한 상태에서 탄성걸림편(72)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74)를 잡고 탄성걸림편(72)을 상측으로 들어서 올려서 탄성걸림편(72)과 걸림턱(70)의 결합을 해제한 다음, 분할회동조(40)(50)를 벌려서 가압부(46)(56)가 상부스프링시트(62)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누르고 있던 오픈스프링(60)으로부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분할회동조(40)(50)가 오픈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핀(44)(5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된다.
이와 같이 오픈스프링(60)이 신장될 때 오픈스프링(6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스프링시트(62)로부터 가압부(46)(56)로 힘이 전달되면서 가압부(46)(56)와 분할회동조(40)(50)가 핀(44)(5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된다.
또, 가압부(46)(56)와 분할회동조(40)(50)가 회전될 때 분할회동조(40)(50)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결합부(42)(52)와 클로(42c)(52c)도 함께 회전되는데, 클로(42c)(52c)가 스토퍼(32s)(34s)와 만날 때 걸리면서 분할회동조(40)(50)의 개방각도가 제한된다.
20 : 난방배관 30 : 베이스판
31a,31b : 체결구멍 33 : 스프링수납홈
32,34 : 하부지지체 32a,32b,34a,34b : 힌지링
32s,34s : 스토퍼 36 : 스프링보스
36s : 시트안내봉 37,38 : 간섭방지홈
40,50 : 분할회동조 42,52 : 힌지결합부
42c,52c : 클로 44,54 : 핀
46,56 : 가압부 60 : 오픈스프링
62 : 상부스프링시트 62h : 중공홀
70 : 걸림턱 72 : 탄성걸림편
74 : 손잡이

Claims (1)

  1.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판(30);
    상기 베이스판(30)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난방배관(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원호형의 하부지지체(32)(34);
    상기 하부지지체(32)(34)의 좌우측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링(32a)(32b)(34a)(34b);
    상기 난방배관(20)의 상부를 각각 좌우측으로 분담하여 덮는 한 쌍의 분할회동조(40)(50);
    상기 분할회동조(40)(50)의 중간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링(32a)(32b)(34a)(34b) 사이로 각각 끼워지는 힌지결합부(42)(52);
    상기 힌지결합부(42)(52)와 힌지링(32a)(32b)(34a)(34b)을 관통하는 핀(44)(54);
    상기 분할회동조(40)(5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난방배관(20)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46)(56);
    상기 베이스판(30)과 가압부(46)(56)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분할회동조(40)(50)를 개방하는 오픈스프링(60);
    상기 오픈스프링(60)의 상단부와 상기 가압부(46)(56) 사이에 위치되고, 중공홀(62h)을 갖는 상부스프링시트(62);
    상기 베이스판(30)에 형성되어 상기 오픈스프링(60)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스프링보스(36);
    상기 스프링보스(36)의 상단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중공홀(62h)과 만나는 시트안내봉(36s);
    상기 힌지결합부(42)(52)에 형성되어 상기 분할회동조(40)(50)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는 클로(42c)(52c);
    상기 하부지지체(32)(34)에 형성되어 상기 클로(42c)(52c)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32s)(34s);
    상기 분할회동조(40)(5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분할회동조(40)(50)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턱(70)과 탄성걸림편(72);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KR1020160015405A 2016-02-11 2016-02-11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KR101604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405A KR101604111B1 (ko) 2016-02-11 2016-02-11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405A KR101604111B1 (ko) 2016-02-11 2016-02-11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111B1 true KR101604111B1 (ko) 2016-03-16

Family

ID=5564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405A KR101604111B1 (ko) 2016-02-11 2016-02-11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1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434B1 (ko) * 2017-11-02 2019-03-28 양지혁 샤워기 헤드용 걸이구
CN111496724A (zh) * 2020-04-26 2020-08-07 广东职业技术学院 一种万能扳手
CN113777105A (zh) * 2021-09-03 2021-12-10 河北地质大学 一种用于监测受电弓碳滑板磨耗的光纤检测系统
KR102513826B1 (ko) * 2022-03-04 2023-03-27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건축용 난방파이프 고정클립
KR102516963B1 (ko) * 2022-02-21 2023-04-04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KR102557254B1 (ko) * 2023-01-13 2023-07-20 주식회사 유솔 수도관 체결형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871B2 (ja) 1992-07-14 2000-10-10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ケーブル用のクランプ装置
JP2011099483A (ja) 2009-11-04 2011-05-19 Kitagawa Ind Co Ltd 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871B2 (ja) 1992-07-14 2000-10-10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ケーブル用のクランプ装置
JP2011099483A (ja) 2009-11-04 2011-05-19 Kitagawa Ind Co Ltd クランプ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434B1 (ko) * 2017-11-02 2019-03-28 양지혁 샤워기 헤드용 걸이구
CN111496724A (zh) * 2020-04-26 2020-08-07 广东职业技术学院 一种万能扳手
CN113777105A (zh) * 2021-09-03 2021-12-10 河北地质大学 一种用于监测受电弓碳滑板磨耗的光纤检测系统
KR102516963B1 (ko) * 2022-02-21 2023-04-04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KR102513826B1 (ko) * 2022-03-04 2023-03-27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건축용 난방파이프 고정클립
KR102557254B1 (ko) * 2023-01-13 2023-07-20 주식회사 유솔 수도관 체결형 원격 수도 검침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111B1 (ko)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US10309557B2 (en) Gripp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KR101540244B1 (ko) 공동주택용 마감석재 지지장치
KR101574426B1 (ko)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KR101650145B1 (ko)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1631862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1563966B1 (ko)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CA2641274A1 (en) Wall framing system, method and product
KR101607175B1 (ko) 공동주택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KR102516963B1 (ko) 건축용 난방배관 고정클립
KR101638598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벽 고정장치
US20040194418A1 (en) Universal supportive suspension pole
KR101592903B1 (ko)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474512B1 (ko) 걸쇠와 클립바를 이용한 천장 패널 고정 구조
RU2699089C1 (ru) Упругий фикс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и система фиксации плинтуса, содержащая плинтус и такой упругий фикс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KR101136350B1 (ko) 천정판 고정구조
KR102145789B1 (ko) 천장에 시공되는 점검구
KR101484580B1 (ko)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110033720A (ko)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KR102055240B1 (ko) 원터치로 고정이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십자 연결 장치
KR101825662B1 (ko) 건축물의 마감패널 고정장치
KR101672162B1 (ko) 원터치 스위치 행거
KR102050079B1 (ko) 비계파이프 결합용 체결장치
KR20160128255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JP6940440B2 (ja) 管状体固定具及びそ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