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983B1 - 골전도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골전도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983B1
KR101603983B1 KR1020140186648A KR20140186648A KR101603983B1 KR 101603983 B1 KR101603983 B1 KR 101603983B1 KR 1020140186648 A KR1020140186648 A KR 1020140186648A KR 20140186648 A KR20140186648 A KR 20140186648A KR 101603983 B1 KR101603983 B1 KR 101603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ircuit
bone conduction
elastic body
vibration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규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to KR102014018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골전도(骨傳導)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이 케이스에 고정되고 자기회로가 탄발체에 의해 케이스 일측에서 진동하면서 착용자의 신체로 골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로서, 신체와 접하는 부분이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별도의 확장된 골전도전달체를 구비하되, 상기 골전도전달체가 상기 자기회로와 탄발체를 관통하여 리벳 또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골전도전달체가 진동력을 신체로 직접 전달시키는 기능과 상기 자기회로와 탄발체를 밀착 결합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고, 착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부분이 진동 주체인 자기회로와 직접 결합된 골전도전달체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골전도 출력이 케이스를 통해 분산되지 않고 집중되도록 하고, 상기 자기회로와 탄발체 사이 및 탄발체와 골전도전달체 사이에 스페이서를 마련하여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탄발체의 진동 시 인접한 구성요소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탄발체와 자기회로 및 자기회로와 골전도 전달체에 스토퍼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반복되는 진동에 의해 탄발체에 고정되는 자기회로가 유동(특히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골전도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전도 출력장치{BONE CONDUCTION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은 골전도(骨傳導)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이 케이스에 고정되고 자기회로가 탄발체에 의해 케이스 일측에서 진동하면서 착용자의 신체로 골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로서, 신체와 접하는 부분이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별도의 확장된 골전도전달체를 구비하되, 상기 골전도전달체가 상기 자기회로와 탄발체를 관통하여 리벳 또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골전도전달체가 진동력을 신체로 직접 전달시키는 기능과 상기 자기회로와 탄발체를 밀착 결합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고, 착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부분이 진동 주체인 자기회로와 직접 결합된 골전도전달체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골전도 출력이 케이스를 통해 분산되지 않고 집중되도록 하고, 상기 자기회로와 탄발체 사이 및 탄발체와 골전도전달체 사이에 스페이서를 마련하여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탄발체의 진동 시 인접한 구성요소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탄발체와 자기회로 및 자기회로와 골전도 전달체에 스토퍼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반복되는 진동에 의해 탄발체에 고정되는 자기회로가 유동(특히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골전도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음향을 출력시키거나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ㆍ리시버ㆍ버저ㆍ진동모터(바이브레이터)와 같은 음향 또는 진동력을 출력시키는 장치이며, 골전도(骨傳導) 출력장치도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크기와 용도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특히, 정보통신 산업의 성장에 부응하여 통신단말기의 진동호출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소형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 특히, 소형 진동모터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터치스크린 폰이 인기를 끌면서 기존 회전식 진동모터의 기능을 뛰어 넘는 선형운동 진동모터 채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종래의 진동모터는 진동체가 회전하면서 진동하는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상기, 선형운동 진동모터가 스마트폰을 포함한 터치폰과 일반 휴대폰 등 휴대용 IT기기에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회전식 진동모터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소음이 적으며, 제품 수명 또한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상기의 응답속도는 최대 변위에서의 진동력의 50%에 도달할 때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선형운동 진동모터를 채택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최근, 터치스크린 폰은 스마트폰으로 진화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기능들을 하며 그러한 기능들에 맞는 피드백 진동이 요구되는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종래의 선형운동 진동모터보다 응답속도 즉 반응속도가 더욱 빠른 진동모터가 요구되고 있다.
선형운동 진동모터는 브러쉬와 정류자를 사용하는 진동모터와는 구별되며, 선형운동 진동모터의 구동원리는 자기장 내에 놓여있는 도체는 일정방향으로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바탕을 두고 있다. 즉, AC교번신호를 고정된 코일에 인가하면, 코일은 전류의 방향과 세기 및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진동자인 마그네트를 운동시켜 진동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종래, 진동모터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3)와 요크(3) 상면에 순차적으로 용접 또는 접착 또는 끼움 고정을 통해 적층 고정되는 마그네트(4) 및 탑플레이트(5)의 외주 방향 또는 내주 방향에 코일(6)이 간격(공극)을 두고 위치하여, 코일(6)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공극에 형성되는 자속에 반응하는 마그네트(4)와 탑플레이트(5 ; 기능 및 설계에 따라서는 요크 또는/ 및 중량체도 포함)를 포함한 자기회로가 진동하면서 진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3)와 탑플레이트(4)를 자기회로로 구분하며, 코일(6)을 진동유발부로 구분한다.
이러한 구조의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통상 함체형 케이스(1)와 덮개(2) 내에 수용되며, 상기 마그네트(4)와 탑플레이트(5)가 안착 고정된 요크(6) 즉 자기회로를 별도의 판스프링(7)이 지지하면서 케이스(1)에 고정(예컨대, 리벳(8) 고정 또는 용접 고정 또는 케이스에 사출 고정)시켜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또한, 종래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코일(6)과 자기회로가 이루는 진동구조에서 발생된 진동이 판스프링(7)을 통해서 케이스(1)에 전달되므로, 진동구조에서 발생된 진동이 진동력을 궁극적으로 전달받는 부분 예컨대, 스마트폰, MP3, 노트북 등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케이스를 통해 분산되면서 골전도율이 감쇄되어, 입력 대비 출력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골전도 출력장치와 같이 섬세한 진동력을 요하는 부분에서 더욱 심화된다.
또한, 종래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는 케이스(1)와 덮개(2) 내부에 자기회로가 수용된 상태에서 자기회로의 진동에 의해 음향 또는 진동이 출력되므로, 착용자의 신체 굴곡의 정도에 따라서는 케이스(1) 또는 덮개(2) 부분이 신체에 완전히 면 밀착되지 않게 되어, 음향 또는 진동 특히 골전도의 경우 음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의 종래 기술을 소개하는 문헌은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문헌에 게재된 종래 기술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문헌1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6482호(출원번호 : 10-2005-7016399호(2005.09.02) ; 골전도장치)
문헌2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1102호(출원번호 : 10-2003-0059198호(2003.08.26) ;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스피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코일이 케이스에 고정되고 자기회로가 탄발체에 의해 케이스 일측에서 진동하면서 착용자의 신체로 골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골전도 출력장치로서, 신체와 접하는 부분이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별도의 확장된 골전도전달체를 구비하되, 상기 골전도전달체가 상기 자기회로와 탄발체를 관통하여 리벳 또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착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부분이 진동 주체인 자기회로와 직접 결합된 골전도전달체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자기회로와 탄발체 사이 및 탄발체와 골전도전달체 사이에 스페이서를 마련하여 간섭없는 진동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탄발체와 자기회로 및 자기회로와 골전도 전달체에 스토퍼 구조를 마련하여서 된 골전도 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자기회로(110)와 코일(120)이 케이스(101)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코일(120)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탄발체(170)에 의해 케이스(101)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10)가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0)에 있어서, 일측 단은 상기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를 관통하여 직접 결합 고정시키고, 타측 단은 케이스(101) 외부에 노출되어 자기회로(110)의 진동력을 신체로 직접 절단시키되, 진동력을 폭 넓게 전도시키도록 확장 면적체로 이루어진 확장전도부(185)가 마련된 골전도전달체(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신체와 접하는 부분이 케이스(101)로부터 돌출된 별도의 확장된 골전도전달체(180)를 구비하되, 상기 골전도전달체(180)가 상기 자기회로(110)와 탄발체(170)를 관통하여 리벳 또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골전도전달체(180)가 진동력을 신체로 직접 전달시키는 기능과 상기 자기회로(110)와 탄발체(170)를 밀착 결합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부분이 진동 주체인 자기회로(110)와 직접 결합된 골전도전달체(180)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골전도 출력이 케이스(101)를 통해 분산되지 않고 집중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기회로(110)와 탄발체(170) 사이 및 탄발체(170)와 골전도전달체(180) 사이에 스페이서를 마련하여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탄발체(170)의 진동 시 인접한 구성요소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 및 자기회로(110)와 골전도전달체(180)에 회동방지용 스토퍼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반복되는 진동에 의해 탄발체(170)에 고정되는 자기회로(110)가 유동(특히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골전도 출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실시예1)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실시예1)의 결합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실시예1)의 다른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실시예1)의 또 다른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골전도전달체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실시예1)의 다른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2)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2)의 다른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예2)의 다른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실시예3)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골전도 출력장치(100)는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회로(110)와 코일(120)이 케이스(101)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코일(120)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탄발체(170)에 의해 케이스(101)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10)가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0)에 있어서, 일측 단은 상기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를 관통하여 직접 결합 고정시키고, 타측 단은 케이스(101) 외부에 노출되어 자기회로(110)의 진동력을 신체로 직접 절단시키되, 진동력을 폭 넓게 전도시키도록 확장 면적체로 이루어진 확장전도부(185)가 마련된 골전도전달체(18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케이스(101)는 상부가 개방된 원형 또는 타원 또는 사각을 포함한 다각형 함체일 수 있으며, 바닥면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자기회로(11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111); 상기 마그네트(111)의 일측 면에 적층되어 마그네트의 자력을 집중시키는 탑플레이트(112); 상기 마그네트(111)가 안착 고정되는 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자력선이 통과하는 경로를 제공하면서 마그네트(111)와 탑플레이트(112) 외주면 방향 또는 내주면 방향에 자속이 형성되는 공극을 제공하도록 높이 면을 갖는 요크(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기회로(110)의 일실시예는 원형 또는 타원 또는 사각을 포함한 다각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요크(113) 중앙이 돌출되고, 요크(113)의 돌출된 중앙 부분과 간격을 두고 림 타입의 마그네트(111)와 탑플레이트(112) 적층체가 안착 마련된 것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크(113)와 마그네트(111) 및 탑플레이트(112)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고정은 이들이 적층된 외주면 부분을 해당 형상으로 된 관체가 감싼 상태(예 : 일측 단이 절곡된 ┗ ┛형상의 관체에 요크, 마그네트, 탑플레이트가 인서트 적층된 상태)에서 관체 일측 단 주연부분이 커링 절곡되면서 압착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회로(110)의 다른 실시예는 원형 또는 타원 또는 사각을 포함한 다각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요크(113) 일측 외주연이 환형 돌출되고, 요크(113)의 돌출된 외주연과 간격을 두고 블록 형태의 마그네트(111)와 탑플레이트(112) 적층체가 안착 마련된 것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회로(110)는 코일(120)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블록형 또는 림 타입의 마그네트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코일(120)은 자기회로(110)의 공극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1)의 내측 바닥면 중앙에 접착 고정된 원형 또는 타원 또는 사각을 포함한 다각형의 보이스코일일 수 있다.
상기에서 코일(120)의 2가닥 단말은 케이스(101)에 형성되는 별도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케이스(101) 외부 바닥면에 마련된 터미널에 납땜으로 통해 전기적 결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탄발체(170)는 중앙이 관통된 원형 또는 타원 또는 사각을 포함한 다각형의 판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에서 탄발체(170)일 수 있는 판스프링은 중앙 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테두리면이 탄발암에 의해 연결된 동일체의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01)의 개방된 단부의 단턱 내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링을 통해 압착 고정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골전도 전달체(180)는 일측 단은 봉 또는 관체로 되어, 선단부가 리벳팅 또는 나사가 결합되면서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를 상기 확장전도체(185) 사이에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부(184); 타측 단은 원형 또는 타원 또는 사각을 포함한 다각형 또는 특정되는 형상(예 : 하트, 나비, 꽃, 그외 캐릭터 등)으로 확장되어 이루어진 진동 전달이 가능한 재질의 확장전도부(185)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전도부(185)의 표면은 볼록 또는 오목하게 만곡질 수도 있고, 표면에 신체에 대한 접촉감 또는 미감을 고려하여 이질의 코팅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장전도부(185)의 표면에는 진동의 전도가 세밀히 이루어지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거나, 격자 상으로 다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심원을 가지며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은 상기 확장전도부(185) 표면 전체에서 진동의 전도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간격이 고르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확장전도부(185) 표면 중 중앙에서 진동의 전도가 세밀히 이루어지도록 중앙 부분으로 가면서 간격이 조밀해질 수도 있으며, 상기 확장전도부(185) 표면 중 외곽에서 진동의 전도가 세밀하게 이루어지도록 외곽으로 가면서 간격이 조밀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자 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은 상기 확장전도부(185) 표면 전체에서 진동의 전도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크기(넓이)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확장전도부(185) 표면 중 중앙에서 진동의 전도가 세밀히 이루어지도록 중앙 부분으로 가면서 크기가 작아질 수도 있으며, 상기 확장전도부(185) 표면 중 외곽에서 진동의 전도가 세밀하게 이루어지도록 외곽으로 가면서 크기가 작아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요철의 돌출된 부분은 단면이 삼각형일 수도 있고 반구형일 수도 있으며 평면일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 사이에 탄발체(170)의 진동 폭을 확보하는 스페이서1(114) 및 상기 탄발체(170)와 골전도전달체(180) 사이에 진동 폭을 확보하는 스페이서2(181)을 더 마련하여서 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스페이서1(114)은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 사이에 간격(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요크(113)의 탄발체(170) 대응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단턱일 수도 있고(도 3 참조), 상기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 사이에 끼워지는 진동 공간 확보용 림(Rim)일 수도 있으며(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스페이서1(114)은 단층의 환형 블록일 수도 있고(도 4 참조), 상기 탄발체(170) 내경에 끼워지도록 단턱진 환형 블록(도 5 참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181)은 탄발체(170)와 골전도전달체(180) 사이에 간격(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골전도 전달체(180)의 탄발체(170) 대응면에 돌출 형성되는 단턱일 수도 있고(도 3 참조), 상기 탄발체(170)와 골전도전달체(180) 사이에 끼워지는 진동 공간 확보용 림(Rim)일 수도 있으며(도 4 참조), 상기 스페이서2(181)는 단층의 환형 블록일 수도 있고(도 4 참조), 상기 탄발체(170) 내경에 끼워지도록 단턱진 환형 블록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 요크(113)의 중앙 돌출부분과 마그네트(111) 및 탑플레이트(112) 적층체 사이의 공극에 코일(120)이 위치하게 되며, 이때, 코일(120)로 인가되는 교류신호에 공극에 형성되는 자속이 상호 반응하여 첨부 도면 도 6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113)와 마그네트(111) 및 탑플레이트(112)로 이루어져 탄발체(170)의 중앙에 탄발 가능하게 고정된 자기회로(110)가 케이스(101)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된 코일(120)에 대해 상하로 진동하면서 진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신체와 접하는 부분이 케이스(101)로부터 돌출된 별도의 확장된 골전도전달체(180)를 구비하되, 상기 골전도전달체(180)가 상기 자기회로(110)와 탄발체(170)를 관통하여 리벳 또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골전도전달체(180)가 진동력을 신체로 직접 전달시키는 기능과 상기 자기회로(110)와 탄발체(170)를 밀착 결합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부분이 진동 주체인 자기회로(110)와 직접 결합된 골전도전달체(180)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골전도 출력이 케이스(101)를 통해 분산되지 않고 집중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기회로(110)와 탄발체(170) 사이 및 탄발체(170)와 골전도전달체(180) 사이에 스페이서1,2(114)(181)를 각각 마련하여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탄발체(170)의 진동 시 인접한 구성요소들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확장전도부(185)의 표면에 진동의 전도가 세밀히 이루어지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거나, 격자 상으로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확장전도부(185)가 평면으로 형성되었을 때는 진동이 전체적으로 넓게 확장된 면으로 전도가 이루어지면서 음의 깊이가 느껴지게 되나, 상기와 같이 확장전도부(185)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면, 요철의 돌기(예 : 삼각 돌기)를 통해 음이 전달되므로 음이 세밀하게 전달되게 된다.
이때, 상기 동심원을 가지며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은 확장전도부(185) 표면 전체에서 진동의 전도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간격이 고르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확장전도부(185) 표면 중 중앙에서 진동의 전도가 세밀히 이루어지도록 중앙 부분으로 가면서 간격이 조밀해지고, 상기 확장전도부(185) 표면 중 외곽에서 진동의 전도가 세밀하게 이루어지도록 외곽으로 가면서 간격이 조밀해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확장전도부(185) 표면 중 중앙 부분으로 가면서 요철의 간격이 조밀해지면, 첨부 도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서 진동의 세밀함이 집중 전달되고 외곽 부분에서는 통상적인 진동이 전달되어, 착용자가 골전도전달체(180)의 중앙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골전도되는 진동으로부터 세밀한 음향을 감각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확장전도부(185) 표면 중 외곽 부분으로 가면서 요철의 간격이 조밀해지면, 첨부 도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부분에서 진동의 세밀함이 집중 전달되고 중앙 부분에서는 통상적인 진동이 전달되어, 착용자가 골전도전달체(180) 외곽 부분의 넓은 영역으로 골전도되는 진동으로부터 세밀한 음향을 감각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격자 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은 확장전도부(185) 표면 전체에서 진동의 전도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크기(넓이)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확장전도부(185) 표면 중 중앙에서 진동의 전도가 세밀히 이루어지도록 중앙 부분으로 가면서 크기가 작아지고, 상기 확장전도부(185) 표면 중 외곽에서 진동의 전도가 세밀하게 이루어지도록 외곽으로 가면서 크기가 작아진다.
이러한 실시예 또한 상기와 같이 골전도전달체(180)를 통해 세밀한 음향을 감각적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또한,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170)와 자기회로(110) 및 이들을 관통하는 골전도전달체(180)의 관통 결합 부위각 각진 형태로 이루어져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작용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탄성체(170)의 중앙 관통공 부분이 각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를 관통하는 자기회로(110)의 요크(113) 일측 면에 마련되는 스토퍼(114)의 외곽 단턱과 요크(113) 중앙의 관통 부분이 각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탄발체(170)의 각진 관통공에 요크(113)의 각진 외곽 단턱이 끼워지고, 상기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를 관통하는 골전도전달체(180)의 각진 타측 단 부분이 요크(113)의 각진 관통 부분에 끼워져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 및 자기회로(110)와 골전도전달체(180)에 회동방지용 스토퍼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반복되는 진동에 의해 탄발체(170)에 고정되는 자기회로(110)가 유동(특히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골전도전달체(180)가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를 관통한 선단 부분에 나사가 결합되면서 자기회로(110)와 탄발체(170)를 골전도전달체(180) 부분으로 가압하여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2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발체(170)는 원형 또는 정사각형(첨부 도면 도 9 참조) 또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 직사각형(첨부 도면 도 10 및 도 11 참조)으로 이루어지되, 장축방향의 양측 단과 중간 부분에 고도 차이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101)의 개방부를 최단 경로로 횡단하면서, 상기 자기회로(110) 또는 상기 자기회로(110) 및 출력을 외부 또는 신체로 전달하는 골전도전달체(180)를 입체적으로 탄발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탄발체(170)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된 외곽 테두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횡단하는 직선의 탄발암으로서, 상기 탄발암은 양측 외곽 테두리 부분이 상향 절곡되어 경사지게 연장되고, 경사지게 연장된 양단이 중간 부분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 테두리 부분의 상향 절곡되는 부분이 제1진동포인트(VP1)가 되고,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이 제2진동포인트(VP2)가 될 수 있다. 상기 진동포인트들은 진동이 시작되는 기준점이 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 방향의 상향 경사진 구간이 제1탄발지지경로(SL1)가 되고, 중간 부분의 수평구간이 제2탄발지지경로(SL2)가 될 수 있다. 상기 탄발지지경로들은 실질적으로 진동이 일어나면서 탄발하는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발체(170)의 탄발암은 1개가 "-"로 마련될 수도 있고, 2개가 "+"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탄발체(170)의 중간에 탄발 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자기회로(110)가 케이스(101)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된 코일(120)에 대해 상하로 진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탄발체(170)는 양측 각각의 제1진동포인트(VP1)가 제1탄발지지경로(SL1)의 진동 기준점이 되고, 상기 제2진동포인트(VP2)가 제2탄발지지경로(SL2)의 진동 기준점이 되어 진동하게 되는데, 상기 제1탄발지지경로(SL1)는 제1진동포인트(VP1)와 제2진동포인트(VP2) 사이에서 자체적으로 진동을 위한 기준점으로 작용하면서 진동을 위한 탄발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탄발지지경로(SL2)는 일측 제2진동포인트(VP2)와 타측 제2진동포인트(VP2) 사이에서 역시 자체적으로 진동을 위한 기준점으로 작용하면서 진동을 위한 탄발력을 이원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에서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은 탄발체(170) 중앙 부분에 단일의 자기회로(110)가 위치한 상태에서 골전도전달체(180)에 의해 고정된 것이고, 첨부 도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은 탄발체(170)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간격을 두고 양측에 한 쌍의 코일(120)이 위치하고, 상기 코일(120)을 중심으로 자기회로(110)가 각각 공극을 형성하면서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코일(120)을 중심으로 자기회로(110)가 각각 공극을 형성하는 경우, 마그네트(111)와 탑플레이트(112) 적층체는 양측의 코일(120) 중간 부분과 양측 코일(120)의 양 측면 부분에 각각 3개가 분할 배치되고, 하나의 요크(113)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요크(113)는 한 쌍의 마그네트(111)와 탑플레이트(112) 적층체 내경 부분에 코일(120)이 위치하게 될 공극을 형성하도록, 돌출부 2개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골전도전달체(180)는 요크(113)에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여 리벳팅 또는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3을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1)는 코일(120)이 안착되는 베이스(101a)와, 상기 베이스(101a)와 결합되면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함체형 케이스본체(101b) 및 상기 케이스본체(101b)의 평면부 또는 높이면에서 부터 평면부에 이르는 부분에 탄발암(101b')이 형성되고, 평면부 중앙에 골전도전달체(180)에 의해 자기회로(110)가 리벳 또는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케이스 자체가 탄발체(170)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과 같은 구조의 골전도 출력장치(100)는 진동이 공기를 통하지 않고 직접 뼈에서 속귀로 전달되어 들리는 일을 말하며, 진동체가 머리덮개에 붙어 있거나 머리뼈 안에 있을 때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골전도 출력장치로 이용될 경우, 이어폰(헤드폰, 백이어폰 포함)에도 적용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음향 또는 진동 출력장치로도 사용 가능하고, 선글라스 내지 안경의 다리 부분에 적용할 수도 있으며, 꼭 골전도 출력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진동 주파수의 대역 또는 공진주파수에 따라 여타 진동 또는/및 음향 출력장치로도 이용 가능하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골전도 출력장치 101 : 케이스
110 : 자기회로 111 : 마그네트
112 : 탑플레이트 113 : 요크
114 : 스페이서1 120 : 코일
170 : 탄발체 180 : 골전도 전달체
181 : 스페이서2 184 : 고정부
185 : 확장전도부

Claims (9)

  1. 자기회로(110)와 코일(120)이 케이스(101)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코일(120)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탄발체(170)에 의해 케이스(101)에 탄발 지지된 자기회로(110)가 진동하면서 음향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골전도 출력장치(100)에 있어서,
    일측 단은 상기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를 관통하여 직접 결합 고정시키고, 타측 단은 케이스(101) 외부에 노출되어 자기회로(110)의 진동력을 신체로 직접 절단시키되, 진동력을 폭 넓게 전도시키도록 확장 면적체로 이루어진 확장전도부(185)가 마련되고, 상기 확장전도부(185)의 표면에는 진동의 전도가 세밀히 이루어지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거나, 격자 상으로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골전도전달체(180)를 포함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10)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111); 상기 마그네트(111)의 일측 면에 적층되어 마그네트의 자력을 집중시키는 탑플레이트(112); 상기 마그네트(111)가 안착 고정되는 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자력선이 통과하는 경로를 제공하면서 마그네트(111)와 탑플레이트(112) 외주면 방향 또는 내주면 방향에 자속이 형성되는 공극을 제공하도록 높이 면을 갖는 요크(113)를 포함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10)는 원형 또는 타원 또는 사각을 포함한 다각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요크(113) 중앙이 돌출되고, 요크(113)의 돌출된 중앙 부분과 간격을 두고 림 타입의 마그네트(111)와 탑플레이트(112) 적층체가 안착되고, 상기 요크(113)와 마그네트(111) 및 탑플레이트(112)의 외주면 부분을 관체가 감싼 상태에서 관체 양측 단 주연부분을 커링 절곡되면서 압착에 의해 고정시켜서 된 골전도 출력장치.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10)는 코일(120)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블록형 또는 림 타입의 마그네트로만 이루어진 골전도 출력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탄발체(170)는 중앙이 관통된 원형 또는 타원 또는 사각을 포함한 다각형의 판스프링으로서, 중앙 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테두리면이 탄발암에 의해 연결된 동일체이며, 상기 케이스(101)의 개방된 단부의 단턱 내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케이스(101) 선단부의 커링을 통해 압착 고정된 골전도 출력장치.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전달체(180)는 일측 단은 봉 또는 관체로 되어, 선단부가 리벳팅 또는 나사가 결합되면서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를 상기 확장전도부(185) 사이에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부(184); 타측 단은 원형 또는 타원 또는 사각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확장되어 이루어진 진동 전달이 가능한 재질의 확장전도부(185)를 포함하여서 된 골전도 출력장치.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 사이에 탄발체(170)의 진동 폭을 확보하는 스페이서1(114) 및 상기 탄발체(170)와 골전도전달체(180) 사이에 진동 폭을 확보하는 스페이서2(181)가 더 마련된 골전도 출력장치.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1(114)은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 사이에 간격(공간)을 제공하도록, 자기회로(110)를 구성하는 요크(113)의 탄발체(170)와 대응하는 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단턱이거나, 상기 탄발체(170)와 자기회로(110) 사이에 끼워지는 진동 공간 확보용 림이거나, 상기 스페이서1(114)은 단층의 환형 블록이거나, 상기 탄발체(170) 내경에 끼워지도록 단턱진 환형 블록이고, 상기 스페이서2(181)는 탄발체(170)와 골전도전달체(180) 사이에 간격(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골전도 전달체(180)의 탄발체(170) 대응면에 돌출 형성되는 단턱이거나, 상기 탄발체(170)와 골전도전달체(180) 사이에 끼워지는 진동 공간 확보용 림(Rim)이거나, 상기 스페이서2(181)는 단층의 환형 블록이거나, 상기 탄발체(170) 내경에 끼워지도록 단턱진 환형 블록인 골전도 출력장치.
  9.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탄발체(170)의 탄발암은 테두리면 방향에 위치하는 양측 단과 중간 부분에 고도 차이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101)의 개방부를 최단 경로로 횡단하면서, 상기 자기회로(110) 또는 상기 자기회로(110) 및 출력을 외부 또는 신체로 전달하는 골전도전달체(180)를 입체적으로 탄발 지지하는 골전도 출력장치.
KR1020140186648A 2014-12-23 2014-12-23 골전도 출력장치 KR10160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648A KR101603983B1 (ko) 2014-12-23 2014-12-23 골전도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648A KR101603983B1 (ko) 2014-12-23 2014-12-23 골전도 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983B1 true KR101603983B1 (ko) 2016-03-17

Family

ID=5565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648A KR101603983B1 (ko) 2014-12-23 2014-12-23 골전도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9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860B1 (ko) 2018-12-27 2019-12-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음 방지 기능을 갖는 가변 강성 골전도 마운트 구조
KR102096847B1 (ko) 2019-01-29 2020-04-0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음 방지 기능을 갖는 가압식 골전도 마운트 구조
KR102130618B1 (ko) 2019-05-17 2020-07-0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추에이터 지지위치 제어를 통한 진동크기 제어 골전도 마운트 구조 및 마운트모듈 설계 방법
KR20210034420A (ko) * 2019-09-20 2021-03-30 (주)파트론 진동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14205720A (zh) * 2021-12-17 2022-03-18 杭州声联智能科技有限公司 含有激光焊敷结构的骨传导振子及其制造方法
WO2023241441A1 (zh) * 2022-06-15 2023-12-21 苏州索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弹片、骨传导发声装置及骨传导耳机
WO2024021898A1 (zh) * 2022-07-28 2024-02-01 苏州索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骨传导发声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7951A (ja) 2000-09-01 2004-03-11 ドウミ コーポレーション 骨導振動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7951A (ja) 2000-09-01 2004-03-11 ドウミ コーポレーション 骨導振動子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860B1 (ko) 2018-12-27 2019-12-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음 방지 기능을 갖는 가변 강성 골전도 마운트 구조
EP3675513A1 (en) 2018-12-27 2020-07-01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 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Bone-conduction mount structure having sound leakage prevention function and changeable rigidity
KR102096847B1 (ko) 2019-01-29 2020-04-0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음 방지 기능을 갖는 가압식 골전도 마운트 구조
KR102130618B1 (ko) 2019-05-17 2020-07-0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추에이터 지지위치 제어를 통한 진동크기 제어 골전도 마운트 구조 및 마운트모듈 설계 방법
EP3739902A1 (en) 2019-05-17 2020-11-18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 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Bone conduction mount structure for controlling vibration magnitude by controlling support position of actuator and method of designing mount module
KR20210034420A (ko) * 2019-09-20 2021-03-30 (주)파트론 진동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264328B1 (ko) * 2019-09-20 2021-06-14 (주)파트론 진동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14205720A (zh) * 2021-12-17 2022-03-18 杭州声联智能科技有限公司 含有激光焊敷结构的骨传导振子及其制造方法
CN114205720B (zh) * 2021-12-17 2024-01-23 杭州声联智能科技有限公司 含有激光焊敷结构的骨传导振子及其制造方法
WO2023241441A1 (zh) * 2022-06-15 2023-12-21 苏州索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弹片、骨传导发声装置及骨传导耳机
WO2024021898A1 (zh) * 2022-07-28 2024-02-01 苏州索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骨传导发声装置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983B1 (ko) 골전도 출력장치
KR101514677B1 (ko) 골전도 출력장치
US9210511B2 (en) Micro-electroacoustic device
KR101467500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US11302861B2 (en) Hybrid actuator hav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or applying an electric current to a piezoelectric element and a coil inside a housing of the hybrid actuator
KR101525690B1 (ko) 선형 진동자
US9071909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JP6803685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7106777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子機器
KR20180010288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JP6767638B2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JP2017188885A (ja) 振動スピーカーを含むブルートゥースネックバンドヘッドセット
CN204316698U (zh) 振动产生装置及体感振动音响接收器
JP2013233537A (ja) バイブレータ
KR20160111280A (ko) 진동발생장치 및 체감진동 음향 리시버
JP6928791B2 (ja) 振動ドライバ
KR101667314B1 (ko) 진동발생장치 및 체감진동 음향 리시버
KR20190040715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2130920B1 (ko) 진동자
KR101506216B1 (ko) 진동발생장치 및 체감진동 음향 리시버
KR20170042525A (ko) 진동발생장치 및 체감진동 음향 리시버
KR20170124708A (ko) 소형 스피커 유닛
KR100932754B1 (ko) 다기능 스피커
WO2010106682A1 (ja) スピーカ装置
KR101449383B1 (ko) 무빙 판스프링을 갖는 리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