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968B1 -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968B1
KR101603968B1 KR1020140163117A KR20140163117A KR101603968B1 KR 101603968 B1 KR101603968 B1 KR 101603968B1 KR 1020140163117 A KR1020140163117 A KR 1020140163117A KR 20140163117 A KR20140163117 A KR 20140163117A KR 101603968 B1 KR101603968 B1 KR 101603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ing
adjusting cover
rail
center pillar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4016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는 자동차 인테리어 공간의 운전석과 2열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필러 트림; 상기 센터 필러 트림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어퍼 트림; 시트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어퍼 트림과의 접촉을 통하여 이동 방향이 가이드 되는 높이 조정 커버; 상기 어퍼 트림의 상기 높이 조정 커버와 대응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재; 및 상기 돌기부재와 대응되는 상기 높이 조정 커버의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Center pillar assembly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센터 필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해 주기 위해 시트벨트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시트벨트는 지지하는 점의 개수에 따라 2점식, 3점식 등이 있으며, 안전상 운전석 및 조수석에는 3점식 시트벨트가 사용되며, 최근에는 2열 좌석에도 3점식 시트벨트가 일반화 되고 있다.
상기 3점식 시트벨트는 벨트의 한쪽 끝이 센터 필러의 트림 내부에 설치된 리트랙터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은 센터 필러의 상부에 배치되는 벨트 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된 벨트는 센터 필러의 하부에 고정된 앵커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벨트의 중간에는 텅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시트 측에 마련된 버클에 끼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구조를 통해 시트벨트는 3점식으로 인체의 허리 부분을 가로로 지지하면서 어깨부위에서 허리 쪽으로 경사지게 인체의 상반신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어깨부위에서 허리 쪽으로 지지해 주는 벨트 부분은 탑승자의 신장에 따라 안전하게 인체를 지지해 주지 못하고 벨트가 목이나 얼굴에 닿거나 어깨에서 흘러 내리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 또는 승객의 신장에 따라 최적의 착용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한 시트벨트는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트벨트의 높이 조정은 벨트 가이드를 지지하고 있는 높이 조정 커버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높이 조정 커버는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면서, 벨트 가이드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하로 슬라이딩 하는 높이 조정 커버는 센터 필러 트림의 가이드 면과 높이 조정 커버의 레일이 선 접촉하기 때문에,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 중에 작동저항이 많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불편감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2952호(1999.01.25 공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물감 없이 센터 필러 트림에 설치된 시트벨트 높이 조정 커버를 슬라이딩 이동 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는 자동차 인테리어 공간의 운전석과 2열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필러 트림; 상기 센터 필러 트림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어퍼 트림; 시트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어퍼 트림과의 접촉을 통하여 이동 방향이 가이드 되는 높이 조정 커버; 상기 어퍼 트림의 상기 높이 조정 커버와 대응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재; 및 상기 돌기부재와 대응되는 상기 높이 조정 커버의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부재는 적어도 2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레일과 마주보는 단부의 측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은 단면이 반원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재와 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높이 조정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 경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은 상기 높이 조정 커버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트림과 높이 조정 커버는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센터 필러 트림과 높이 조정 커버의 작동감을 개선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이물감 없이 높이 조정 커버를 부드럽게 승하강 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비해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마찰력이 줄어들어 부품간 접촉 및 간섭에 따른 부품 손상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센터 필러 트림의 내측에 배치된 어퍼 트림에 높이 조정 커버의 레일이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돌기부재가 돌출 형성된 어퍼 트림의 배면 사시도,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돌기부재와 레일이 점 접촉 하여 슬라이딩 경로를 가이드 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센터 필러 트림의 내측에 배치된 어퍼 트림에 높이 조정 커버의 레일이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돌기부재가 돌출 형성된 어퍼 트림의 배면 사시도,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돌기부재와 레일이 점 접촉 하여 슬라이딩 경로를 가이드 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는 센터 필러 트림(10), 어퍼 트림(11), 높이 조정 커버(20), 레일(22) 및 돌기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필러 트림(10)은 자동차 인테리어 공간의 운전석과 2열 도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 필러 트림(10)의 내부 공간에는 커튼 에어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시트벨트 조립체가 상기 커튼 에어백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커튼 에어백은 생략될 수도 있다. 센터 필러 트림(10)은 자동차 B 필러의 인테리어 공간에 결합되어, 자동차의 내장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통상 수지 재질로 사출성형 될 수 있다.
어퍼 트림(11)은 상기한 센터 필러 트림(10)의 상측 부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퍼 트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플랜지 형상의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레일(22)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어퍼 트림(11)만이 돌출 형성되어 레일(22)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할 수도 있다.
높이 조정 커버(20)는 미도시된 시트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슬라이딩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정 커버(20)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노브(21)가 전진 및 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높이 조정 커버(20)의 위치를 고정 및 릴리즈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된 기술은 공지 영역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높이 조정 커버(20)는 어퍼 트림(11)과의 접촉을 통해 이동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높이 조정 커버(20)의 어퍼 트림(11)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22)에 의해 이동 방향은 가이드될 수 있다.
레일(22)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정 커버(20)의 배면으로서, 상기 어퍼 트림(11)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22)은 단면이 반원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후술할 돌기부재(100)와 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22)은 상기 높이 조정 커버(20)의 슬라이딩 이동 경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정 커버(20)의 길이 방향으로서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 레일(22)과 접촉하는 어퍼 트림(11)의 대응되는 면과의 마찰 접촉을 통해 이동 경로가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레일(22)은 상기 높이 조정 커버(2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높이 조정 커버(20)와 동일한 금형을 통해 사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 부재를 이용하여 조립 및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돌기부재(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트림(11)의 상기 레일(22)을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재(100)는 어퍼 트림(11)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재(100)는 레일(22)과 점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반원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2)의 단면 또한 반원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경우, 돌기부재(100)와 레일(22)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돌기부재(100)는 대략 반구 형상으로 마련하여, 상기 레일(22)과 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일(22)은 단면이 반원이 아니라, 사각형상 등으로 구성되더라도, 상기 돌기부재(100)와의 접촉이 항상 점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돌기부재(100)와 레일(22)의 마찰 접촉에 의해 높이 조정 커버(20)의 이동 경로가 가이드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마찰력은 최대한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돌기부재(100)와 레일(22)은 마찰력이 작은 별도 부재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표면 마찰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테플론 등의 재질을 표면에 코팅할 수도 있고, 윤활제 등을 표면에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최대한 마찰력에 의한 부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 면적은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재(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볼 베어링과 같은 구름 동작이 가능한 볼 부재를 어퍼 필러(11)의 내부에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구름 동작에 의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센터 필러 트림(10)과 높이 조정 커버(20)의 슬라이딩 작동감을 개선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이물감 없이 높이 조정 커버(20)를 부드럽게 승, 하강 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선 접촉에서 점 접촉으로 접촉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마찰력이 줄어들어 부품간 접촉 및 간섭에 따른 부품 손상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센터 필러 트림 11; 어퍼 트림
20; 높이 조정 커버 21; 록킹 노브
22; 레일 100; 돌기부재

Claims (7)

  1. 자동차 인테리어 공간의 운전석과 2열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 필러 트림;
    상기 센터 필러 트림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어퍼 트림;
    시트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어퍼 트림과의 접촉을 통하여 이동 방향이 가이드 되는 높이 조정 커버;
    상기 어퍼 트림의 상기 높이 조정 커버와 대응되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재; 및
    상기 돌기부재와 대응되는 상기 높이 조정 커버의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돌기부재는, 상기 레일과 마주보는 단부의 측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은, 단면이 반원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돌기부재와 접 접촉하는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재는,
    적어도 2개가 돌출 형성되는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높이 조정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 경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높이 조정 커버와 일체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트림과 높이 조정 커버는 수지재질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
KR1020140163117A 2014-11-21 2014-11-21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 KR101603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117A KR101603968B1 (ko) 2014-11-21 2014-11-21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117A KR101603968B1 (ko) 2014-11-21 2014-11-21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968B1 true KR101603968B1 (ko) 2016-03-17

Family

ID=5565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117A KR101603968B1 (ko) 2014-11-21 2014-11-21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9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197Y1 (ko) * 2006-01-16 2006-04-1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센터필러트림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197Y1 (ko) * 2006-01-16 2006-04-1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센터필러트림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3261B2 (ja) 自動車用制御盤装置
KR101782273B1 (ko) 차량 시트의 수용 장치의 신축식 커버 요소
US20110233365A1 (en) Vehicle seat rail assembly
KR101836503B1 (ko) 헤드레스트 가이드
CN106627476B (zh) 弹簧加载的圈状导向件
US10919414B2 (en) Sliding device
JP6368010B2 (ja) シートベルトシステム用ウェビング調節装置
US5897169A (en) Seat belt webbing guide
JP2003040079A (ja) シートベルトガイド
US10787149B2 (en) Vehicular shoulder belt outlet trim assembly
KR101603968B1 (ko) 자동차의 센터 필러 조립체
US9248798B2 (en) Passive knee bolster
CN103370547A (zh) 用于将安全带的支撑物安装至车辆的安装结构
CN106627475B (zh) 枢转弹簧加载的圈状导向件
KR100502232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트랙
US11192482B2 (en) Headrest assembly including locking arrangement reducing BSR
KR101709162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슬라이딩 레일
JP2019127046A (ja) ピラー構造
CN111032448B (zh) 安全带引导系统
EP4344942A1 (en) Seat rail locking device for vehicle
KR20230142052A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KR200151633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KR20230170247A (ko) 이동식 레일장치
KR101388986B1 (ko) 조립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KR101407263B1 (ko) 헤드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