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857B1 -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857B1
KR101602857B1 KR1020150143181A KR20150143181A KR101602857B1 KR 101602857 B1 KR101602857 B1 KR 101602857B1 KR 1020150143181 A KR1020150143181 A KR 1020150143181A KR 20150143181 A KR20150143181 A KR 20150143181A KR 101602857 B1 KR101602857 B1 KR 10160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izing
materials
storage par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국
Original Assignee
김문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국 filed Critical 김문국
Priority to KR1020150143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6Bak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2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 A21C1/1435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for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5Controlling; Testing;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 A21D6/003Hea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제빵용 재료들을 정확한 배합비로 공급할 수 있는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합통에 제빵용 재료들을 설정된 배합비로 공급하는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제빵용 재료들을 배합통으로 안내하는 중앙관; 분말 재료 및 액체 재료를 담는 다수의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부에 설치되어 담긴 재료의 저장 높이를 인식하는 센서, 상기 저장부 하단과 연통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중앙관과 연통하는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저장 모듈;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 내부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인식하는 수위센서, 상기 물저장부 하단과 연통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중앙관과 연통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 배출부에 부착되어 상기 중앙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물저장 모듈; 상기 저장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수단; 점도가 높은 재료를 담는 다수의 가압부, 상기 가압부 하단과 연통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중앙관과 연통하는 전자밸브, 상기 가압부 내부를 가압하는 가압장치 및 상기 가압부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가압 모듈; 및 상기 전자밸브 및 상기 가압장치를 사전에 설정된 배합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가동하고, 마지막으로 물저장부의 물을 사전에 설정된 배합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상기 펌프를 가동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하여 상기 중앙관 내부로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Apparatus for feeding fixed amount of bakery material}
본 발명은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빵용 재료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
현대인의 식생활은 점점 서구화되어, 빵이 밥과 더불어 중요한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어, 건강한 빵 제품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높아져 가고 있다.
통상 빵은 밀가루와 기타 첨가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고, 1차발효, 성형, 2차발효 및 굽기과정을 거치면서 완성되며, 기타 참가물로는 베이킹 파우드 및 향과 풍미를 위한 감미료가 주를 이룬다.
한편, 빵의 품질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빵에 있어 여러 가지 기능성 재료를 첨가한 기술들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357844호에는 매실의 풍미를 느낄 수 있는 매실 필을 이용한 빵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01-0097385호에는 숙성된 김치를 분말화한 김치분말을, 밀가루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 첨가하여 반죽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빵을 만들어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인공적인 화학적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는 김치분말을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381268호에는 뿌리 부추를 세정한 후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뿌리 부추를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뿌리 부추를 200-500 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뿌리 부추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와, 원혼합물 80-98 중량%에 뿌리 부추 분말을 2-20 중량% 비율로 첨가 및 반죽하여 뿌리 부추 반죽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뿌리 부추 반죽물을 발효시키는 단계와, 발효된 뿌리 부추 반죽물을 굽거나 찌는 단계를 포함하는 뿌리 부추 빵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338330호에는 흑맥이 첨가됨으로써 저하되는 빵의 물성 및 기호도를 효소를 첨가하여 개선함으로써, 안토시아닌 색소를 비롯하여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의 흑맥의 영양성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용도를 높일 수 있는 기능성이 향상된 흑맥 함유 빵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 개시된 빵들은 통상의 빵에 다른 식재료들을 추가하여 새로운 풍미를 제공하는 점에서 일반적인 빵과 구별되는 특성들이 있다.
따라서 근래의 빵은 기능성을 추가하기 위하여, 밀가루, 이스트, 소금, 설탕 및 물 등의 기본적인 재료에 추가하여 새로운 형태의 분말, 액체 등을 혼합하여 빵을 제조하고 있다.
한편, 제빵용 장비들은 배합비에 따라 준비된 재료를 혼합하는 혼합하는 혼합기, 혼합된 반죽을 발효하는 발효기 그리고 빵을 소성하는 소성기 등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근래의 빵들은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도 많아지고, 각 재료의 배합비도 비교적 복잡하여 단순히 개량에 의하여 반죽용 재료를 준비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또한 수작업에 의한 개량의 경우에는 균일한 품질의 빵을 제조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제빵용 재료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제빵용 재료들을 정확한 배합비로 공급할 수 있는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합통에 제빵용 재료들을 설정된 배합비로 공급하는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제빵용 재료들을 배합통으로 안내하는 중앙관; 분말 재료 및 액체 재료를 담는 다수의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부에 설치되어 담긴 재료의 저장 높이를 인식하는 센서, 상기 저장부 하단과 연통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중앙관과 연통하는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저장 모듈;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 내부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인식하는 수위센서, 상기 물저장부 하단과 연통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중앙관과 연통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 배출부에 부착되어 상기 중앙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물저장 모듈; 상기 저장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수단; 점도가 높은 재료를 담는 다수의 가압부, 상기 가압부 하단과 연통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중앙관과 연통하는 전자밸브, 상기 가압부 내부를 가압하는 가압장치 및 상기 가압부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가압 모듈; 및 상기 전자밸브 및 상기 가압장치를 사전에 설정된 배합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가동하고, 마지막으로 물저장부의 물을 사전에 설정된 배합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상기 펌프를 가동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하여 상기 중앙관 내부로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현재 담겨진 재료의 양과 상기 물저장부에 현재 담겨진 물의 양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가압장치의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가압부에 담겨진 재료의 양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는 다양한 제빵용 재료들이 개별적으로 저장되는 저장모듈, 별도로 물은 저장하는 물저장모듈, 상기 저장모듈의 각 배출관에 장착되어 배출관을 개폐하는 전자밸브, 상기 물저장모듈의 배출관에 장착되는 펌프, 상기 저장모듈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수단, 상기 배출관들과 연통하는 중앙관, 상기 전자밸브 및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빵 배합비를 상기 제어장치를 통하여 설정하며, 설정된 혼합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자밸브가 작동하여 일정한 비율로 각 재료을 중앙관으로 배출하고, 마지막으로 물을 배출하여 중앙관이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어, 정확한 계량이 가능하고, 또한 유지 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 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물저장 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압 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저장부(11)를 포함하는 저장 모듈(10), 물저장부(21)를 포함하는 물저장 모듈(20), 상기 저장 모듈(10)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수단(30), 복수의 가압부(41)를 포함하는 가압 모듈(40), 상기 저장 모듈(10)을 통하여 배출되는 재료를 배합통(1)으로 안내하는 중앙관(60), 전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9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저장 모듈(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저장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11)에는 제빵용 재료들이 담겨진다.
상기 제빵용 재료들은 예를 들면, 강력분, 통밀가루, 분유, 소금, 설탕 등과 같은 분말 재료들과, 액체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저장부(11)는 하단에 배출관(12)이 연통되고, 상기 배출관(12)의 끝단에는 전자밸브(13)가 부착되고, 상기 전자밸브(13)는 상기 중앙관(60)과 연통되어 구성된다.
상기 배출관(12)은 유연성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밸브(13)는 상기 제어장치(90)에 의하여 개방 및 폐쇄가 제어되며, 상기 전자밸브(13)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11)에 담겨진 재료들이 상기 중앙관(60)으로 배출된다.
상기 저장부(11)는 탄성재질을 매개로 장치 베이스(101)에 고정되어 외부의 진동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1)는 진동수단(30)에 의하여 진동이 인가되며, 상기 진동수단(30)은 모터 회전축에 부착된 편심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장치로 하나의 저장부(11)에 부착되고, 나머지 저장부(11)들은 상기 진동수단(30)에 부착된 저장부(11)에 연결하여 전체 저장부(11)에 진동이 인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진동수단(30)은 필요한 경우 장치 베이스(101)에 고정되는 선형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11)를 진동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수단(30)은 상기 저장부(11)에 진동을 인가하므로, 내부에 담긴 분말 재료의 배출이 일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액체 재료들에게도 역시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1) 내부에는 담겨지는 재료의 높이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14)가 부착되며, 상기 센서(14)의 신호는 상기 제어장치(90)로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90)는 상기 센서(14)의 신호를 이용하여 저장부(11) 내부의 재료의 양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저장 모듈(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부(21)와 상기 물저장부(21)에 연통되는 배출관(22)과 상기 배출관(22) 끝단에 부착되는 펌프(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물저장부(21)는 내부에 물의 수위를 인식하는 수위센서(24)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23)는 상기 제어장치(90)에 의하여 동작하고, 상기 수위센서(24)는 상기 제어장치(90)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펌프(23)의 출구는 상기 중앙관(60)과 상단에 분사 노즐(25)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23)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물저장부(21)에 저장된 물이 상기 분사 노즐(25)을 통하여 분사되면서, 상기 중앙관(60)의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가압 모듈(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41), 상기 가압부(41)에 연결되는 배출관(42), 상기 배출관(42) 끝단에 부착되는 전자밸브(43), 상기 가압부(41)에 끝단을 가압하는 가압장치(45)를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상기 가압부(41)에는 내부에 위치하는 재료에 열을 인가하는 가열장치(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41)에는 버터, 치즈 등과 같이, 점도가 높은 재료들이 담겨지며, 상기 가압장치(45)의 가압에 의하여 내부의 재료가 상기 배출관(42)을 통하여 배출되며, 이때 상기 가압장치(45)는 상기 전자밸브(43)의 개방과 동시에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46)는 내부에 점도가 높은 재료들에 일정한 열을 인가하여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열장치(46)는 사전에 설정된 온도 범위에서 구동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장치(45)는 상기 가압부(41) 내부를 가압하는 장치로 선형 액추에이터로 구현되며, 해당 선형 액추에이터의 스트로크에 의하여 가압부(41) 내부에 담겨진 재료의 양을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전자밸브(13, 43), 진동수단(30), 펌프(23), 가압장치(45), 가열장치(46)를 제어하며, 상기 센서(14), 상기 수위센서(24), 상기 가압장치(45)의 스트로크 정보를 이용하여 재료의 현재 양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90)는 각 재료의 배합비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해당 배합비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전자밸브(13, 43)의 개방 시간을 조절하여 배합비에 따른 재료의 배출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90)는 상기 진동수단(30)과 상기 가열장치(46)를 먼저 동작시키고, 이후 해당 재료의 배합비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13, 43)의 개방 시간을 조절하여 각 재료를 배출한 후, 마지막으로 상기 펌프(23)를 가동하여 물을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물은 상기 분사 노즐(25)에 의하여 중앙관(60) 내부를 세척하므로, 중앙관(60) 내부에 부착될 수 있는 각 재료들의 잔여 성분들이 말끔하게 배출되어, 상기 중앙관(60)은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전자밸브(13, 43)의 개방 시간은 사전에 진동수단(30)을 통하여 배출되는 각 재료의 양을 사전에 조사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의 양 역시 상기 펌프(23)의 가동에 따른 물의 유량을 사전에 조사하여 가동 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가압 모듈(40) 역시 가압장치(45)의 단위 시간 당 스트로크양을 고려하여 해당 시간을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90)에 특정한 빵에 대한 배합비를 저장하고, 사용자는 저장된 빵과 빵의 양(예를 들면, 제조 완료시 빵의 무게)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빵의 배합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상기 저장 모듈(10), 가압 모듈(40)의 재료를 정량 배출하고, 배출된 재료들은 상기 배합통(1)에 담겨지고, 사용자는 상기 배합통(1)의 재료를 이용하여 이후 제빵 절차를 진행하면 되므로, 비숙련자들도 제조하고자 하는 빵의 양과 개별 재료들의 배합비로 조합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균일한 품질의 빵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모든 재료들을 배출한 뒤, 마지막에 물을 분사 배출하여 중앙관(60) 내부를 세척하므로, 잔여 재료들에 의한 중앙관(6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배합통 10: 저장 모듈
11: 저장부 12: 배출관
13: 전자밸브 14: 센서
20: 물저장 모듈 21: 물저장부
22: 배출관 23: 펌프
24: 수위센서 25: 분사 노즐
30: 진동수단 40: 가압 모듈
41: 가압부 42: 배출관
43: 전자밸브 45: 가압장치
46: 가압장치 60: 중앙관
90: 제어장치 100: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
101: 장치 베이스

Claims (3)

  1. 삭제
  2. 배합통에 제빵용 재료들을 설정된 배합비로 공급하는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제빵용 재료들을 배합통으로 안내하는 중앙관;
    분말 재료 및 액체 재료를 담는 다수의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부에 설치되어 담긴 재료의 저장 높이를 인식하는 센서, 상기 저장부 하단과 연통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중앙관과 연통하는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저장 모듈;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 내부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인식하는 수위센서, 상기 물저장부 하단과 연통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중앙관과 연통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 배출부에 부착되어 상기 중앙관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물저장 모듈;
    상기 저장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수단;
    점도가 높은 재료를 담는 다수의 가압부, 상기 가압부 하단과 연통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중앙관과 연통하는 전자밸브, 상기 가압부 내부를 가압하는 가압장치 및 상기 가압부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가압 모듈; 및
    상기 전자밸브 모두 및 상기 가압장치를 사전에 설정된 배합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가동하고, 마지막으로 물저장부의 물을 사전에 설정된 배합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상기 펌프를 가동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하여 상기 중앙관 내부로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에 현재 담겨진 재료의 양과 상기 물저장부에 현재 담겨진 물의 양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가압장치의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가압부에 담겨진 재료의 양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
KR1020150143181A 2015-10-14 2015-10-14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 KR101602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181A KR101602857B1 (ko) 2015-10-14 2015-10-14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181A KR101602857B1 (ko) 2015-10-14 2015-10-14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857B1 true KR101602857B1 (ko) 2016-03-11

Family

ID=5558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181A KR101602857B1 (ko) 2015-10-14 2015-10-14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8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701B1 (ko) 2017-02-24 2018-02-27 박유범 제빵용 분말원료 공급시스템
GB2559285A (en) * 2018-04-05 2018-08-01 Ashdown Matthew An Egg Dispenser
KR20220120733A (ko) * 2021-02-22 2022-08-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베이킹용 디스펜서
KR102574001B1 (ko) * 2022-12-05 2023-09-04 최인영 제과 제빵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385A (ja) * 1993-10-22 1997-07-29 ザ アンダーソンズ パンの製造機及び製造方法
JP2002504807A (ja) * 1997-03-11 2002-02-12 ケリー・インク 食品片成形用押出機及び型枠
KR101444797B1 (ko) * 2013-08-26 2014-09-26 대통푸드 주식회사 냉떡국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7385A (ja) * 1993-10-22 1997-07-29 ザ アンダーソンズ パンの製造機及び製造方法
JP2002504807A (ja) * 1997-03-11 2002-02-12 ケリー・インク 食品片成形用押出機及び型枠
KR101444797B1 (ko) * 2013-08-26 2014-09-26 대통푸드 주식회사 냉떡국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701B1 (ko) 2017-02-24 2018-02-27 박유범 제빵용 분말원료 공급시스템
GB2559285A (en) * 2018-04-05 2018-08-01 Ashdown Matthew An Egg Dispenser
GB2559285B (en) * 2018-04-05 2019-02-27 Ashdown Matthew An Egg Dispenser
KR20220120733A (ko) * 2021-02-22 2022-08-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베이킹용 디스펜서
KR102581076B1 (ko) * 2021-02-22 2023-09-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베이킹용 디스펜서
KR102574001B1 (ko) * 2022-12-05 2023-09-04 최인영 제과 제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857B1 (ko) 제빵용 재료 정량 공급 장치
CN101711646B (zh) 咖啡冲泡装置及用冲泡装置泡制咖啡饮料的方法
CN206603702U (zh) 调料重量调配装置及调料自动调配系统
CH682723A5 (it) Procedimento per applicare rivestimenti alimentari a partire da sostanze alimentari scorrevoli, ad esempio a base di cioccolato, con temperaggio dello stesso, e relativo dispositivo.
CN108135385A (zh) 用于在自动咖啡机的冲泡装置中生成咖啡饮料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自动咖啡机
US11155455B2 (en) Beverage vending machine
JPH06319427A (ja) パン製造方法及び装置
CN101080358A (zh) 制备适于消费的饮料的系统和方法
US20190358598A1 (en) Mixing chamber
US20200260903A1 (en) Device for the Preparation of a Hot Beverage
US20140199445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nd Cooking a Food Preparation
CN108135390B (zh) 饮料制备机器
CN110549664B (zh) 一种可二次提取的植物活性成分提取装置
JP2022529826A (ja) 包皮食品を製造するための具材詰め込み装置
KR20200015130A (ko) 또띠아용 반죽볼 성형기의 롤링 유니트
WO2019141301A1 (de) Vorrichtung zur fettfreien zubereitung portionierter mengen an rührei
AU2003203931A1 (en) Device and method for dough production
CN216799524U (zh) 一种化妆品配料预混装置
KR200421347Y1 (ko) 밀가루 반죽물 인출장치
US20150290600A1 (en) Device and method for mixing bulk material with a liquid and use of a device
JP5771406B2 (ja) 焼き菓子用成形生地の製造方法、製造装置およびその焼き菓子
US59449A (en) Improved apparatus for aerating and mixing substances
CN108271831A (zh) 烘焙类食品专用软质低筋面粉的调质设备及调质方法
CN112410150B (zh) 自动蒸饭机
CN102258069B (zh) 自动制面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