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767B1 -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767B1
KR101602767B1 KR1020140107090A KR20140107090A KR101602767B1 KR 101602767 B1 KR101602767 B1 KR 101602767B1 KR 1020140107090 A KR1020140107090 A KR 1020140107090A KR 20140107090 A KR20140107090 A KR 20140107090A KR 101602767 B1 KR101602767 B1 KR 101602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shaft portion
casing
tension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609A (ko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14010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7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47C7/46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by pulling an elastic c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7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flui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과 등판을 연결하는 등좌판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의 하측에 결합되는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하측에 결합되고, 일정한 틸팅 텐션을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제공하는 기본 텐션 공급부; 상기 기본 텐션 공급부와 평행하게 상기 좌판의 하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단계로 틸팅 텐션을 조절하여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제공하는 조절 텐션 공급부; 및 상기 텐션 공급부 및 상기 조절 텐션 공급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좌판의 하측에 결합되는 케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는 각각의 조절단계마다 등좌판커넥터에 제공되는 틸팅 텐션을 일정하게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손쉽게 획득하고자 하는 틸팅 텐션을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 TILTING TENSION OF THE CHAIR}
본 발명은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자 등판의 틸팅에 대한 틸팅 텐션(tension)을 조절할 수 있는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결합된 등판과 좌판으로 이루어지고, 좌판의 하측에 다리가 결합된다. 좌판 및 등판은 스폰지 등의 쿠션재가 내장된 외피에 싸여 있다. 이러한 의자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책상과 함께 업무와 학업에 매진하는 데에 이용된다. 최근에 의자는 사용자의 체형 및 사용 환경을 바탕으로 좌판의 높낮이, 좌판의 경사, 등판의 각도 및 탄성력, 팔걸이 높낮이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한 자세를 제공하기도 한다. 특히, 의자는 좌판 또는 등판의 틸팅(tilting)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의자에 앉은 사용자는 등판이 틸팅된 의자를 이용하여 등을 젖히고 펴서 적당한 움직임을 유발하여 추간 연골 및 주변 근육의 긴장을 이완하고 혈액 및 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2-0002787호(고안의 명칭: 좌판의 틸팅 강도 조절장치) 등을 통해 의자의 틸팅에 대한 틸팅 텐션(tilting tension)을 조절하는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의자에서 틸팅 텐션이 조절될 수 있으나, 틸팅 텐션의 증감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틸팅 텐션이 증가할수록 틸팅 텐션을 조절하는 데에 이용되는 노브(knob)나 핸들(handle)의 회전수가 증가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의자의 틸팅 텐션이 어느 정도 조절되었는지 인지하기 어렵다. 또한, 노브(knob)나 핸들(handle)의 회전이 수회 내지 수십 회 이루어짐과 동시에 조절하기 위한 힘도 증가되어지기에 의자의 틸팅 텐션을 조절하는 데에 다소 불편함을 겪는다.
본 발명은 등좌판커넥터에 제공되는 각각의 조절단계마다 틸팅 텐션을 일정하게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쉽게 획득하고자 하는 틸팅 텐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좌판과 등판을 연결하는 등좌판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의 하측에 결합되는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로서, 상기 좌판의 하측에 결합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에 수용되며, 일측이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틸팅 텐션을 제공하는 기본 텐션 공급부; 및 상기 기본 텐션 공급부와 나란하게 상기 케이싱부에 수용되며, 일측의 회전축이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틸팅 텐션을 제공하는 조절 텐션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텐션 공급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절 텐션 공급부의 타측의 상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 텐션 공급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메인 샤프트부; 상기 회전축으로서, 상기 메인 샤프트부를 관통하는 작용 샤프트부; 상기 조절 텐션 공급부의 타측에서, 상기 메인 샤프트부의 일종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메인 샤프트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 지지부; 상기 이동 지지부와 상기 작용 샤프트부 사이의 상기 메인 샤프트부 상에 고정된 고정 지지부; 상기 이동 지지부와 상기 고정 지지부 사이의 상기 메인 샤프트부 상에 위치되어, 양종단이 각각 상기 이동 지지부 및 상기 고정 지지부에 연결된 조절 탄성부; 상기 메인 샤프트부의 타측에서, 상기 이동 지지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지지부에 접촉되고, 접촉면에는 상기 이동 지지부의 궤적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연결되는 안내부; 상기 이동 지지부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접촉 이동부; 상기 케이싱부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를 상기 메인 샤프트부의 타종단부에 연결시키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을 상기 메인 샤프트부의 타종단부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 탄성부는 상기 이동 지지부를 통해 상기 접촉 이동부를 상기 고정홈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지지부는, 상기 메인 샤프트부가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관통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지지 몸체부; 상기 메인 샤프트부에 삽입되며, 상기 안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촉 이동부와 결합되는 접촉 지지부; 및 상기 접촉 지지부와 상기 메인 샤프트부를 연결하는 지지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달부는,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전달 기어부;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전달 샤프트부; 상기 전달 샤프트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 1 전달 기어부와 맞물리며, 상기 제 1 전달 기어부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전달 샤프트부를 회전시켜 상하 이동시키는 제 2 전달 기어부; 및 상기 전달 샤프트부와 상기 메인 샤프트부의 타종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샤프트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전달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본 텐션 공급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기본 샤프트부; 상기 기본 샤프트부의 일종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되는 기본 고정부; 상기 기본 고정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기본 샤프트부의 타종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연결되는 기본 지지부; 및 상기 기본 고정부와 상기 기본 지지부 사이의 상기 기본 샤프트부 상에 위치하는 기본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는 조절 텐션 공급부, 기본 텐션 공급부, 및 케이싱부를 포함하여 의자 좌판의 하측에 결합되어, 틸팅 텐션을 조절하는 데에 이용된다. 조절 텐션 공급부는 메인 샤프트부, 작용 샤프트부, 이동 지지부, 고정 지지부, 조절 탄성부, 안내부, 접촉 이동부, 조작부 및 전달부를 포함한다. 조작부가 회전할 때, 조작부의 회전력은 전달부로 전달되어, 메인 샤프트부는 작용 샤프트부를 중심으로 하여 시소 운동된다. 이때, 메인 샤프트부의 종단에 설치된 접촉 이동부는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안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었다가 분리된다. 이로 인해, 메인 샤프트부 상의 이동 지지부와 고정 지지부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위치된 조절 탄성부는 일정하게 압축되거나 이완된다. 또한, 조절 탄성부의 압축 및 이완은 조작부의 일 회전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는 등좌판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로 조절 탄성부의 압축 또는 이완을 통해 등좌판커넥터에 대한 틸팅 텐션을 각 조절단계마다 일정하게 손쉽게 조절하여, 획득하고자 하는 틸팅 텐션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가 적용된 의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에서 조절 텐션 공급부 및 기본 텐션 공급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절 텐션 공급부에서 메인 샤프트부와 전달부의 결합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절 텐션 공급부에서 접촉 이동부와 안내부의 결합 모습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절 텐션 공급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10)가 적용된 의자(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틸팅 텐션 조절 장치(10)는 조절 텐션 공급부(100), 기본 텐션 공급부(200) 및 케이싱부(300)를 포함하고 좌판(20)의 하측에 결합되어, 틸팅 텐션을 조절하는 데에 이용된다. 여기서, 틸팅 텐션(tilting tension)은 등판(30)이 후측으로 틸팅하는 데에 있어 필요로 하는 텐션을 나타낸다.
조절 텐션 공급부(100) 및 기본 텐션 공급부(200)는 케이싱부(300)에 수용되고, 각각 좌판(20)과 등판(30)을 연결하기 위한 등좌판커넥터(40)에 연결된다. 의자(1)에서 등판(30)은 등좌판커넥터(40)에 의해 좌판(20)을 기준으로 하여 좌판(2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틸팅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10)에서 조절 텐션 공급부(100) 및 기본 텐션 공급부(2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절 텐션 공급부(100)에서 메인 샤프트부(101)와 전달부(109)의 결합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절 텐션 공급부(100)에서 접촉 이동부(107)와 안내부(106)의 결합 모습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절 텐션 공급부(100)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조절 텐션 공급부(100)는 좌판(20)의 하측에 결합되고, 틸팅 텐션을 복수의 단계(본 실시예의 경우, 7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 텐션 공급부(100)는 메인 샤프트부(101), 작용 샤프트부(102), 이동 지지부(103), 고정 지지부(104), 조절 탄성부(105), 안내부(106), 접촉 이동부(107), 조작부(108) 및 전달부(109)를 포함한다.
메인 샤프트부(101)는 케이싱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판(2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메인 샤프트부(101)는 의자의 팔걸이(미도시됨)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샤프트부(102)는 케이싱부(30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메인 샤프트부(101)와 교차한다. 이때, 작용 샤프트부(102)는 메인 샤프트부(101)의 종단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결합되며, 메인 샤프트부(101)의 회전축을 제공한다. 즉, 메인 샤프트부(101)는 작용 샤프트부(102)를 축으로 하여 시소 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동 지지부(103)는 메인 샤프트부(101)의 일종단부에 위치되고, 메인 샤프트부(101)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이때, 이동 지지부(103)는 작용 샤프트부(102)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다. 또한, 이동 지지부(103)는 지지 몸체부(131), 접촉 지지부(133) 및 지지 탄성부(135)를 포함한다.
지지 몸체부(131)에는 관통 개구(131a)가 형성된다. 관통 개구(131a)에 메인 샤프트부(101)의 일종단부가 삽입되면서, 메인 샤프트부(101)의 일종단부는 지지 몸체부(131)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때, 지지 몸체부(131)는 메인 샤프트부(101)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접촉 지지부(133)는 관통 개구(131a)에 삽입되어 메인 샤프트부(101)의 일종단면에 마주한다.
지지 탄성부(135)는 접촉 지지부(133)와 메인 샤프트부(101)의 일종단면을 연결하고, 압축 및 이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 탄성부(135)의 작용은 작용 샤프트부(102)를 중심으로 한 메인 샤프트부(101)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고정 지지부(104)는 이동 지지부(103)과 작용 샤프트부(102) 사이의 메인 샤프트부(101) 상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 지지부(104)는 메인 샤프트부(101) 상에서 이동 지지부(103)보다 작용 샤프트부(102)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 탄성부(105)는 이동 지지부(103)와 고정 지지부(104) 사이의 메인 샤프트부(101) 상에 위치된다. 이때, 조절 탄성부(105)은 양종단이 각각 이동 지지부(103) 및 고정 지지부(104)에 지지되어 압축된 상태이다.
안내부(106)는 이동 지지부(103)와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안내부(106)에는 복수 개의 고정홈(161)들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홈(161)들은 메인 샤프트부(101)가 작용 샤프트부(102)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할 때 메인 샤프트부(101)의 일종단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또한, 고정홈(161)들의 개수는 틸팅 텐션을 조절하는 단계의 횟수와 동일하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7단계의 조절이 이루어지기에, 7개의 고정홈(161)들이 안내부(106)에 형성된다. 한편, 고정홈(161)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부(106)는 케이싱부(300)에 고정되어 등좌판커넥터(40)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조절 텐션 공급부(100)는 등좌판커넥터(40)에 대하여 변경된 틸팅 텐션을 적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접촉 이동부(107)는 이동 지지부(103)의 일종단면에 결합된다. 특히, 접촉 이동부(107)는 지지 몸체부(131)의 관통 개구(131a)에 삽입된 상태로 접촉 지지부(133)에 결합된다. 이때, 접촉 이동부(107)는 고정홈(161)들의 각각에 삽입된다.
메인 샤프트부(101)가 작용 샤프트부(102)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며 회전할 때, 접촉 이동부(107)는 고정홈(161)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고정홈(161)으로부터 분리될 때 지지 탄성부(135)는 압축된다. 이어서, 메인 샤프트부(101)가 계속해서 회전하여, 접촉 이동부(107)가 인접한 고정홈(161)에 삽입되려고 할 때, 지지 탄성부(135)는 팽창되어 접촉 이동부(107)를 고정홈(161)에 삽입되도록 한다. 접촉 이동부(107)는 고정홈(161)에 삽입되면, 안내부(106)와 충돌하여 충격음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의자(1)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충격음을 통해 틸팅 텐션이 1단계 조절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홈(16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우, 접촉 이동부(107)는 일정한 간격 만큼씩 이동하게 된다. 이동 지지부(103)와 고정 지지부(104) 사이의 간격은 고정홈(161)들의 궤적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이동 지지부(103)와 고정 지지부(104) 사이에 위치되어 양종단이 지지된 조절 탄성부(105)의 작용 샤프트부(102)를 중심으로 한 회전 정도에 의해 틸팅 텐션이 변경된다.
상기와 같은 메인 샤프트부(101)의 작용 샤프트부(102)를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에 따른 접촉 이동부(107)의 상하 이동은 조절 탄성부(105)를 팽창 또는 압축시킬 수 있다. 즉, 조절 탄성부(105)의 팽창 또는 압축도 틸팅 텐션을 조절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고정홈(16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우, 조절 탄성부(105)는 각 단계마다 일정한 크기만큼 변경된 틸팅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접촉 이동부(107)가 상측에 위치된 형성된 고정홈(161)에 삽입될수록 조절 탄성부(105)가 추가적으로 압축되는 형상을 갖는 안내부(106)가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내부(106)는 메인 샤프트부(101)의 회전에 따라 조절 탄성부(105)의 압축이 변경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108)는 메인 샤프트부(10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케이싱부(300)의 외측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조작부(108)는 의자(1)의 사용자에 의해 조작가능한 레버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달부(109)는 케이싱부(3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조작부(108)를 메인 샤프트부(101)의 타종단부에 연결한다. 조작부(108)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은 전달부(109)를 통해 메인 샤프트부(101)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조작부(108)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메인 샤프트부(101)는 접촉 이동부(107)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 샤프트부(10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반면에, 조작부(108)가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메인 샤프트부(101)는 접촉 이동부(107)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 샤프트부(10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전달부(109)는 제 1 전달 기어부(191), 전달 샤프트부(193), 제 2 전달 기어부(195) 및 전달 연결부(197)를 포함한다.
제 1 전달 기어부(191)는 조작부(108)와 연결되도록 케이싱부(40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조작부(108)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 1 전달 기어부(191)는 조작부(108)와 함께 회전한다.
전달 샤프트부(193)는 케이싱부(300)의 내부에서 조작부(108)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제 2 전달 기어부(195)는 전달 샤프트부(193)에 결합되어 제 1 전달 기어부(191)와 교차하여 맞물린다. 이때, 제 2 전달 기어부(195)는 제 1 전달 기어부(191)와 조합하여 베벨 기어(bevel gear)를 구성한다. 조작부(108)가 회전할 때, 제 1 전달 기어부(191) 및 제 2 전달 기어부(195)는 구동하여 전달 샤프트부(193)를 회전시킨다. 이때, 전달 샤프트부(193)는 자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직선 운동을 한다. 또한, 전달 샤프트부(193)의 직선 운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 2 전달 기어부(195)는 전달 샤프트부(193)에 나사 결합된다.
전달 연결부(197)는 전달 샤프트부(193) 상에 위치되어, 메인 샤프트부(101)의 타종단부에 연결된다. 전달 연결부(197)는 제 2 전달 기어부(195)의 회전에 의해 전달 샤프트부(193)와 함께 상하 직선 운동을 한다. 이로 인해, 전달 연결부(197)는 메인 샤프트부(101)의 타종단부의 상하 이동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전달 연결부(197)가 상향 이동하면, 메인 샤프트부(101)의 타종단부는 상향 이동하고, 메인 샤프트부(101)의 일종단부는 하향 이동한다. 반면에, 전달 연결부(197)가 하향 이동하면, 메인 샤프트부(101)의 타종단부는 하향 이동하고, 메인 샤프트부(101)의 일종단부는 상향 이동한다. 즉, 전달 연결부(197)에 대하여, 메인 샤프트부(101)의 타종단부는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고, 메인 샤프트부(101)의 일종단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메인 샤프트부(101)는 작용 샤프트부(102)를 축으로 시소 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달부(109)로 인해 안내부(106)의 고정홈(161)들은 조작부(108)의 일회전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절 텐션 공급부(100)에서 조작부(108)의 회전을 통해 메인 샤프트부(101)의 시소 운동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조절 텐션 공급부(100)의 설치 각도가 변경되면 기본 텐션 공급부(200)와 조절 텐션 공급부(100)의 탄성력의 합이 변경되게 된다. 또한, 조절 탄성부(105)는 단계마다 일정한 크기만큼 압축되거나 팽창되어, 틸팅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08)의 1회전만으로도 조절 텐션 공급부(100)에 의해 조절가능한 틸팅 텐션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조절 텐션 공급부(100)는 손쉬우면서도 일정하게 안정적으로 틸팅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기본 텐션 공급부(200)는 조절 텐션 공급부(100)와 평행하게 좌판(20)의 하측에 결합되고, 틸팅 텐션을 등좌판커넥터(40)에 일정하게 제공한다. 즉, 기본 텐셜 공급부(200)는 조절 텐션 공급부(100)와 조합하여 등좌판커넥터(40)에 틸팅 텐션을 제공한다. 또한, 기본 텐션 공급부(200)는 기본 샤프트부(201), 기본 고정부(202), 기본 지지부(203) 및 기본 탄성부(204)를 포함한다.
기본 샤프트부(201)는 케이싱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조절 텐션 공급부(100), 특히 메인 샤프트부(101)와 평행하다.
기본 고정부(202)는 기본 샤프트부(201)의 일종단부를 둘러싸면서 케이싱부(300)에 고정된다.
기본 지지부(203)는 기본 고정부(202)로부터 이격되어 기본 샤프트부(201)의 타종단에 결합된다. 또한, 기본 지지부(203)는 등좌판커넥터(40)에 연결된다. 이때, 기본 지지부(203)는 조절 텐션 공급부(100)의 안내부(106)와 연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 탄성부(204)는 기본 고정부(202)와 기본 지지부(205) 사이의 기본 샤프트부(201) 상에 위치되어 압축된다. 이때, 기본 탄성부(204)의 양종단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기본 탄성부(204)가 항상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기에, 기본 텐션 공급부(200)는 등좌판커넥터(40)에 틸팅 텐션을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즉, 기본 탄성부(204)는 자유장 상태에 이르지 않는다.
케이싱부(30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조절 텐션 공급부(100) 및 기본 텐션 공급부(200)를 수용하면서, 좌판(20)의 하측에 결합된다. 이때, 조절 텐션 공급부(100)의 조작부(108)만이 케이싱부(300)의 외측면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절 텐션 공급부(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외의 구성 요소들은 케이싱부(3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케이싱부(300)에 의해 보호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 의자
10: 의자 틸팅 장치
20: 좌판
30: 등판
40: 등좌판커넥터
100: 조절 텐션 공급부
101: 메인 샤프트부
102: 작용 샤프트부
103: 이동 지지부
104: 고정 지지부
105: 조절 탄성부
106: 안내부
107: 접촉 이동부
108: 조작부
109: 전달부
200: 기본 텐션 공급부
201: 기본 샤프트부
202: 기본 고정부
203: 기본 지지부
204: 기본 탄성부
300: 케이싱부

Claims (8)

  1. 삭제
  2. 좌판과 등판을 연결하는 등좌판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의 하측에 결합되는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하측에 결합되는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에 수용되며, 일측이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틸팅 텐션을 제공하는 기본 텐션 공급부; 및
    상기 기본 텐션 공급부와 나란하게 상기 케이싱부에 수용되며, 일측의 회전축이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틸팅 텐션을 제공하는 조절 텐션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 텐션 공급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절 텐션 공급부의 타측의 상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조절 텐션 공급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메인 샤프트부;
    상기 회전축으로서, 상기 메인 샤프트부를 관통하는 작용 샤프트부;
    상기 조절 텐션 공급부의 타측에서, 상기 메인 샤프트부의 일종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메인 샤프트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이동 지지부;
    상기 이동 지지부와 상기 작용 샤프트부 사이의 상기 메인 샤프트부 상에 고정된 고정 지지부;
    상기 이동 지지부와 상기 고정 지지부 사이의 상기 메인 샤프트부 상에 위치되어, 양종단이 각각 상기 이동 지지부 및 상기 고정 지지부에 연결된 조절 탄성부;
    상기 메인 샤프트부의 타측에서, 상기 이동 지지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지지부에 접촉되고, 접촉면에는 상기 이동 지지부의 궤적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연결되는 안내부;
    상기 이동 지지부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접촉 이동부;
    상기 케이싱부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를 상기 메인 샤프트부의 타종단부에 연결시키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을 상기 메인 샤프트부의 타종단부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탄성부는 상기 이동 지지부를 통해 상기 접촉 이동부를 상기 고정홈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부는,
    상기 메인 샤프트부가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관통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지지 몸체부;
    상기 메인 샤프트부에 삽입되며, 상기 안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접촉 이동부와 결합되는 접촉 지지부; 및
    상기 접촉 지지부와 상기 메인 샤프트부를 연결하는 지지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전달 기어부;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전달 샤프트부;
    상기 전달 샤프트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 1 전달 기어부와 맞물리며, 상기 제 1 전달 기어부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전달 샤프트부를 회전시켜 상하 이동시키는 제 2 전달 기어부; 및
    상기 전달 샤프트부와 상기 메인 샤프트부의 타종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메인 샤프트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전달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텐션 공급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기본 샤프트부;
    상기 기본 샤프트부의 일종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부에 고정되는 기본 고정부;
    상기 기본 고정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기본 샤프트부의 타종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등좌판커넥터에 연결되는 기본 지지부; 및
    상기 기본 고정부와 상기 기본 지지부 사이의 상기 기본 샤프트부 상에 위치하는 기본 탄성부를 포함하는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
KR1020140107090A 2014-08-18 2014-08-18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 KR101602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090A KR101602767B1 (ko) 2014-08-18 2014-08-18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090A KR101602767B1 (ko) 2014-08-18 2014-08-18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609A KR20160021609A (ko) 2016-02-26
KR101602767B1 true KR101602767B1 (ko) 2016-03-11

Family

ID=5544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090A KR101602767B1 (ko) 2014-08-18 2014-08-18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7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51B1 (ko) * 2007-10-05 2008-01-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1123744B1 (ko) 2011-01-19 2012-03-16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틸팅강도 조절장치
KR101285731B1 (ko) * 2013-03-21 2013-07-23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JP2014083076A (ja) * 2012-10-19 2014-05-12 Okamura Corp 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51B1 (ko) * 2007-10-05 2008-01-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KR101123744B1 (ko) 2011-01-19 2012-03-16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틸팅강도 조절장치
JP2014083076A (ja) * 2012-10-19 2014-05-12 Okamura Corp 椅子
KR101285731B1 (ko) * 2013-03-21 2013-07-23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609A (ko) 201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8619B2 (ja) マッサージ装置、及びこのマッサージ装置を備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5917547B2 (ja) 抵抗支持機構
JP2017533069A (ja) 着座者の閾下運動を生じさせるための事務用、作業用、及びレジャー用椅子、及び椅子又は座部面用後付けキット
KR101575774B1 (ko) 의자용 등받이 조립체
US20160256347A1 (en) Ear massage device
WO2018048860A1 (en) Lower back exercise apparatus
KR101602767B1 (ko) 의자 틸팅 텐션 조절 장치
WO2019021857A1 (ja) マッサージ機
KR20210001280U (ko) 등받이가 이동되는 소파
KR20160005501A (ko) 의자의 좌판 각도조절장치
KR101369405B1 (ko) 포워드 슬로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009491B1 (ko) 틸팅거리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JP6250615B2 (ja) 揺動型運動器具及びその調整方法
KR101514386B1 (ko) 허리운동장치가 구비된 의자
KR101501992B1 (ko) 의자의 등받이와 발받침의 절첩장치
KR101408910B1 (ko) 다리운동기구가 구비된 의자
KR101232984B1 (ko) 의자 좌판 경사장치
KR200494583Y1 (ko) 등받이 의자
KR102330397B1 (ko) 등받이 의자
KR101524916B1 (ko) 의자경사장치
KR101920533B1 (ko) 회전롤러가 구비된 경사운동의자
JPH022351Y2 (ko)
KR100593312B1 (ko) 안마용 지압장치를 가진 헤드 레스트
KR102616462B1 (ko) 3d 모션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4